KR102055507B1 -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507B1
KR102055507B1 KR1020180083981A KR20180083981A KR102055507B1 KR 102055507 B1 KR102055507 B1 KR 102055507B1 KR 1020180083981 A KR1020180083981 A KR 1020180083981A KR 20180083981 A KR20180083981 A KR 20180083981A KR 102055507 B1 KR102055507 B1 KR 102055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uenza virus
weight
avian influenza
pathogenic avian
disinfecta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상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83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5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8Molluscs, e.g. fresh-water molluscs, oysters, clams, squids, octopus, cuttlefish, snails or s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2Local antise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 들깻잎을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고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고, 여과한 후 동결 건조하여 들깻잎 추출물을 얻는 제 1단계; 2) 조개를 소성하고, 분쇄하여 메쉬화한 후 다시 초음파분쇄하여 나노화한 다음, 전기분해하여 미네랄 입자를 이온화하는 제 2단계; 3) 정제수, 상기 제 1단계에서 얻은 들깻잎 추출물, 제2단계의 이온화 미네랄 나노입자에 시안산나트륨(NaOCN), 글루타르알데하이드(C5H8O2),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구연산(C6H8O7)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만드는 제 3단계; 4) 상기 제 3단계에서 만들어진 혼합액을 초음파 분쇄하여 침전되지 않도록 나노화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제수 95.5중량부에 들깻잎 추출물 3중량부, 이온화 미네랄 나노입자 2중량부, 시안산나트륨(NaOCN) 1중량부, 글루타르알데하이드(C5H8O2) 0.5중량부,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0.5중량부, 구연산(C6H8O7) 0.5중량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들깻잎 추출물 및 전기분해와 나노공정으로 이온화된 미네랄 나노입자 등을 함유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은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소독 효과가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Process for Compositions of Disinfectants for Low Pathogenic Avian Influenza Virus Including Extract of Perilla Leaf}
본 발명은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병원성 조류(鳥類)독감(Avian Influenza)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들깨깻잎 추출물 및 초음파 분쇄에 의한 나노화와 전기분해로 이온화된 미네랄입자를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에 관한 발명이다.
조류 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 바이러스는 가금류(닭, 칠면조, 오리 등)에 감염되는 바이러스이며, 사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도 있고, 주로 외피형 바이러스에 해당한다. 바이러스의 병원성 정도에 따라 저병원성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형(Type)은 바이러스가 가지고 있는 성분(matrix, nucleoprotein)에 따라 A형, B형 및 C형으로 구분되는데, 사람은 A형 및 B형이, 사람을 제외한 동물은 A형이 질병을 야기한다.
A형 인플루엔자의 혈청형은 두 가지 단백질(Hemagglutinin, Neuraminidase)의 종류에 따라 구분되며, H혈청형과 N혈청형이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혈청형은 각각의 H혈청형과 N혈청형으로 표시하는데, 예를 들면, H9N2와 같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H혈청형이 H1부터 H16까지 16종의 아형이 있으며, N혈청형은 N1부터 N9까지 9종의 아형으로 구분되며, H형과 N형을 조합할 경우에 산술적으로 존재 가능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혈청형은 144가지(16×9)이다. 혈청형은 H3N2, H9N2 등으로 나타내고, 바이러스의 병원성과 중요한 연관성이 있다.
각각의 혈청형은 교차면역 반응이 없거나 약하여 다른 혈청형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을 막을 수 없는데, 즉, H6N1 혈청형의 바이러스로 면역시킨 닭은 H5N2 등 다른 혈청형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을 막을 수 없다. 혈청형이 다양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혈청형에 관계없이 방어에 관련된 항원이 없으므로 백신은 개발이 어려움이 따른다. 더불어, 국내를 비롯해서 전 세계적으로 매해 반복적으로 조류독감은 발생되지만 이에 대한 시의 적절한 소독제를 개발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사전에 선제적으로 H6N1, H5N1, H9N2, H5N6 등등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각각의 혈청형에 대한 개별 항바이러스 효능평가 및 조성물의 개발이 전세계적으로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저병원성, 고병원성 바이러스 각각에 미치는 소독제의 효능평가도 실제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종래기술로서, 하기 특허문헌 0001에는 “삼종염 및 사과산에 구연산 및 주석산을 포함하여 소독력을 향상시킨 살균 및 살바이러스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바이러스의 종류로서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 개시되어 있을 뿐 특정되어 있지 않다. 또 조성물이 천연물질로 제조되어 미생물에 의한 생분해가 가능하므로 환경오염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을 뿐이고,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소독 효과가 우수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하기 특허 문헌 0002에는 “소독대상물에 목재로부터 얻은 훈액(熏液)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제를 접촉시켜 조류독감 바이러스를 불활화(不活化)시키는 소독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특정균에 국한되어 있지 않다. 이는 조성물이 천연물질로부터 제조되어 지구환경에 대한 부하가 매우 적으며, 인체, 동물의 안전위생의 염려가 없을 뿐이고,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소독 효과가 우수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하기 특허 문헌 0003에는 “메타규산소다와 탄산칼륨 등을 포함하는 조류 인플루엔자 소독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조류 축사 주변과 각종 축산기구 및 시설물을 소독하기 위한 매우 일반적인 소독용 조성물일 뿐이고, 저병원성의 특정 혈청형에 특정되지 않은 조류 독감 바이러스를 소독하기 위한 조성물이 아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과 달리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에 관한 소독제를 연구하던 중 들깻잎 추출물에 초음파 분쇄에 의한 나노화와 전기분해로 이온화된 미네랄을 유효성분으로 혼합시킴으로써 저병원성의 특정 혈청형에 소독 효과가 우수함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9442호(2009. 01. 13.)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3-136610호(2012. 01. 17.)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2054호(2007. 10. 25.)
본 발명은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제공을 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1) 들깻잎을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고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고, 여과한 후 동결 건조하여 들깻잎 추출물을 얻는 제 1단계; 2) 조개를 소성하고, 분쇄하여 메쉬화한 후 다시 초음파분쇄하여 나노화한 다음, 전기분해하여 미네랄 나노입자를 이온화하는 제 2단계; 3) 정제수, 상기 제 1단계에서 얻은 들깻잎 추출물, 제2단계의 이온화 미네랄입자에 시안산나트륨(NaOCN), 글루타르알데하이드(C5H8O2),구아하이드 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구연산(C6H8O7)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만드는 제 3단계; 4) 상기 제 3단계에서 만들어진 혼합액을 초음파분쇄하여 침전되지 않도록 나노화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제수 95.5중량부에 들깻잎 추출물 3중량부, 이온화 미네랄 나노입자 2중량부, 시안산나트륨(NaOCN) 1중량부, 글루타르알데하이드(C5H8O2) 0.5중량부,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0.5중량부, 구연산(C6H8O7) 0.5중량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기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들깻잎 추출물 및 조개로부터 얻은 각종의 미네랄을 전기분해와 나노공정으로 이온화시켜 함유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소독 효과가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에 관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물성측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독”이란 병의 감염이나 전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병원균을 죽이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이란 본 발명의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구성물질이 소독 효과를 나타내는 모든 세균, 진균, 효모, 조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들깻잎을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고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고, 여과한 후 동결 건조하여 들깻잎 추출물을 얻는 제 1단계; 2) 조개를 소성하고, 분쇄하여 메쉬화한 후 다시 초음파분쇄하여 나노화한 다음, 전기분해하여 미네랄 나노입자를 이온화하는 제 2단계; 3) 정제수, 상기 제 1단계에서 얻은 들깻잎 추출물, 제2단계의 이온화 미네랄입자에 시안산나트륨(NaOCN), 글루타르알데하이드(C5H8O2),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구연산(C6H8O7)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만드는 제 3단계; 4) 상기 제 3단계에서 만들어진 혼합액을 초음파 분쇄하여 침전되지 않도록 나노화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단계는 본 발명의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 준비단계로서, 들깻잎을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고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고, 여과한 후 동결 건조하여 들깻잎 추출물을 얻는 단계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들깻잎"이란 용어는 꿀풀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의 잎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들깻잎은 국내에서 시판되는 임의의 들깻잎, 바람직하게는 국내산 들깻잎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들깻잎 추출물은 유효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들깻잎 추출물은 들깻잎을 70Vol% 에탄올로써, 80℃에서 2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여 얻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들깻잎 추출물은 들깻잎 건조 중량의 2~20배 중량, 바람직하게는 5~15배 중량의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0배 중량을 가할 수 있다. 추출용매로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필요에 따라 물 이외에 다른 유기용매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사용될 수 있는 유기용매로는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및 그 수용액 을 들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70Vol% 에탄올 수용액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들깻잎 추출물"은 상기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들깻잎 추출물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상기 소독제 조성물에서 첨가량은 3.0중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탄올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들깻잎 추출물은 품질 향상시키기 위하여 여과시켜 이물질 등을 제거한 후 변질을 막고, 보존을 위하여 동결 건조될 수 있다.
상기 제 2단계는 조개를 소성하고, 분쇄하여 메쉬화한 후 다시 초음파 분쇄하여 나노화한 다음, 전기분해하여 미네랄 입자를 이온화하는 단계이다.
먼저, 상기 조개는 바닷가에서 얻을 수 있는 조개의 종류는 어느 것이나 사용이 가능하므로 제한은 없으나, 그 중에서도 가리비조개 또는 새꼬막 조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개를 1,200℃에서 2시간 동안 소성하여 얻은 소성된 미네랄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로 할 수 있으며, 그 구성성분으로서 Mg, Na, K, P, S, Fe, Zn을 함유한다. 그 입도는 30~300메쉬의 분말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그 입도가 30메쉬 미만인 경우 가격이 고가이어서 경제성 문제가 있고, 300메쉬를 초과하면 녹지 않고 침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메쉬화된 미네랄입자에 25W의 초음파를 10분간 3회 반복으로 가하는 초음파 분쇄과정(sonication)을 먼저 실시한다. 초음파 분쇄과정을 통하여 100㎚ 크기의 나노입자들을 얻을 수 있고, 이 상태에서 7일간 상온에서 유지하여도 입자의 크기가 변화가 없었다(실험결과 [표 1] 참조). 상기 초음파 분쇄과정을 통한 나노화 공정 이후에, 메네랄입자를 물에 용해시킨 상태에서 100rpm으로 교반하면서 약간의 온도를 증가하여 45~50℃ 조건으로 만든 다음, (+)극과 (-)극의 전해봉을 통해 0.1~5V의 전기를 수분간 총 3~5회 전기분해를 유도한다. 미네랄입자를 녹인 상태에서 물의 전기분해는 미네랄의 이온화를 촉진하여 미네랄입자 각각의 침전을 억제하고 이온화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음극(Cathode)과 양극(Anode)에서는 다음과 같은 반응이 일어나고, 이 과정에서 미네랄들의 이온화가 진행된다.
(1) 음극(Cathode) : 2H2O + 2e- -> 2OH- + H2
(2) 양극(Anode) : 2OH- -> H2O + 2e- + 1/2O2
한편, 상기에서 실시한 나노화와 전기분해는 물과 미네랄의 용해도를 높여 용해 이후 상당시간(약 4주이상) 시간이 지나도 용해도를 유지하는 효과를 불러일으킨다. 나노화와 전기분해가 끝난 미네랄입자 수용액을 별도의 장시간 경과에 따른 실험 결과, 실온에서 270일이 지난상태에서도 105~110㎚를 유지하여 10% 미만의 오차범위 내에서 나노입자크기 변화가 관찰되어, 비교적 안정된 상태로 유지됨을 알 수 있다(실험결과 [표 1] 참조).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소독제 조성물에서 그 첨가량은 2.0중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네랄입자의 보존기간 별 입자크기
보관온도 보관기간(일) 입자크기(㎚)
상온 25±2℃ 0 100
7 101~103
상온 30 100
60 101
90 102
180 104
240 108
270 110
상기 제 3단계는 정제수, 상기 제 1단계에서 얻은 들깻잎 추출물, 제2단계의 이온화 미네랄 나노입자에 시안산나트륨(NaOCN), 글루타르알데하이드(C5H8O2),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구연산(C6H8O7)을 혼합하여 혼합액을 만드는 단계이다. 이때 구성성분의 혼합비율은 정제수 95.5중량부에 들깻잎 추출물 3.0중량부, 이온화 미네랄 나노입자 2.0중량부, 시안산나트륨(NaOCN) 1.0중량부, 글루타르알데하이드(C5H8O2) 0.5중량부,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0.5중량부, 구연산(C6H8O7) 0.5중량부를 함유시켜 혼합액을 만들 수 있다.
상기 시안산나트륨(NaOCN)은 흰색 결정형 고체로서, 본 발명의 상기 소독제 조성물에서는 산화작용으로 바이러스의 단백질 등을 파괴하는 산화제로 사용되는 물질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소독제 조성물에서 그 첨가량은 1.0중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글루타르알데하이드(C5H8O2)는 독성이 있으므로 사람과 가축에는 직접 닿지 않도록 해야 하며, 그 첨가량은 0.5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는 유기물이 다소간 있더라도 소독효과가 좋으나, 값이 비싼 편이어서 대량으로 사용하기에는 소독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이는 또 첨가하지 않아도 소독효과가 유지됨을 의미한다.
상기 구연산(citric acid)은 많은 식물의 씨나 과즙 속에 유리상태의 산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이며, 주로 과일향 보조제, 보존성 상승제, pH 조절제 등 여러 가지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는 사람과 의복에도 안전하여 효력은 좋은 반면 침투력이 약하므로 유기물이 있을 경우에는 효과가 매우 낮아진다. 그 첨가량은 0.5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또 첨가하지 않아도 소독효과가 유지됨을 의미한다.
상기 제 4단계는 상기 제 3단계에서 만들어진 혼합액을 초음파 분쇄하여 침전되지 않도록 나노화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 3단계에서 만들어진 혼합액에 다시 5W의 초음파를 10분간 3회 반복으로 가하는 초음파 분쇄과정(sonication)을 실시하여 나노화함으로써 혼합물의 용액화를 돕고,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단계 내지 제 4단계를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정제수 95.5중량부에 들깻잎 추출물 3.0중량부, 이온화 미네랄 나노입자 2.0중량부, 시안산나트륨(NaOCN) 1.0중량부, 글루타르알데하이드(C5H8O2) 0.5중량부,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0.5중량부, 구연산(C6H8O7) 0.5중량부를 함유시켜 침전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구성성분의 소독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상기 구성성분 이외에도 분산제와 담체 그리고 기타의 항미생물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더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산제의 경우는 물, 알코올(예: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케톤(예: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등), 에테르(예: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셀로솔브,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등), 지방족 탄화수소(예: 헥산, 케로센 등), 방향족 탄화수소(예:벤젠, 톨루엔, 크실렌, 나프탈렌, 메틸 나프탈렌 등), 할로겐화 탄화수소(예: 클로로포름, 카본 테트라클로라이드 등), 산아미드(예: 디메틸 포름아디드 등), 에스테르(예: 메틸아세테이트 에스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에스테르, 부틸 아세테이트 에스테르, 지방산 글리세린 에스테르 등), 니트롤(예: 아세토니트릴 등), 계면활성제(고급 알코올 설페이트 에스테르, 알킬 설폰산, 알킬 알릴 설폰산, 4급 암모늄염, 옥시 알킬아민,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알킬렌옥시드 화합물, 안하이드로 소르비톨 화합물)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담체의 경우, 점토(예: 카올린, 벤토나이트, 산 점토 등), 활석(예: 활석 분말, 납석 분말 등), 실리카(예: 규조토, 규산 무수물, 운모 분말 등), 알루미나, 황 분말 및 활성탄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은 액체상 또는 고체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상기 소독제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등 임의의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 방식의 제형은 정제, 환제, 분제, 액제, 식품 형태 등을 들 수 있으며, 비경구 방식의 제형은 주사제, 국소 투여제(크림, 연고 등), 좌약, 살포제(식물에 적용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소독제 조성물은 국소 투여방식으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인 H9N2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조류 또는 조류군락 및 사육지와 주변에 투여/살포될 수 있다.
또한, 가로·세로 20㎝×10㎝의 크기를 갖는 펄프와 부직포의 혼합 재질로 이루어진 티슈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독제 조성물에 넣고 담궈 소독제 조성물이 티슈에 충분히 스며들도록 1∼2시간 동안 경과시켜 본 발명에 따른 소독제 조성물이 함침된 항바이러스 세정 티슈를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세정 티슈를 이용하여 얼굴과 손을 닦아주는 경우 기존의 손세정제를 이용하여 노출된 피부를 세척하는 경우에 비하여 항바이러스 효과가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끈거림이나 발적(發赤) 등 피부손상 형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피부자극 테스트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은 하기의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실험재료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AI virus)에 대한 실험물질의 항바이러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은 2-3주령 SPF(specific pathogen free) 닭, SPF계 태아난을 사용하였고, 사용 바이러스는 저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LPAI-H9N2)를 사용하였다.
2. 들깻잎 추출물 제조
들깻잎은 대형마트에서 구입하였다. 들깻잎 1000g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한 후 70Vol% 에탄올 10L을 용매로 사용하여 환류추출기로 80℃에서 30분간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와트만 여과지로 여과하였고,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중량의 추출물 32.2g을 수득하였다.
3. 이온화 미네랄 나노입자 제조
1) 가리비조개 또는 새꼬막 조개를 1,200℃에서 2시간 동안 소성하였고, 소성된 미네랄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로 하고, 입도 30~300메쉬의 분말을 얻었다.
2) 소성된 미네랄은 구성성분으로서 Mg, Na, K, P, S, Fe, Zn을 함유하였다. 메쉬 크기의 미네랄입자에 25W의 초음파를 10분간 3회 반복 가하고, 분쇄하여 얻은 100㎚의 미네랄 입자를 전기분해하여 이온화된 미네랄 나노입자를 얻었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병원성 조류 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을 조제하기 위하여 조성성분은 아래 [표 2]로 나타낸 조성비로 균일하게 배합하여 혼합액으로 한 후에 25W의 초음파를 10분간 3회 반복 가하고, 분쇄하여 얻은 혼합액을 다시 전기분해하여 이온화된 나노 혼합액을 얻음으로써 소독제 조성물로 하였다.
구성성분 및 성분 비율
구성성분 성분비율(중량부)
정제수 95.5
들깻잎 추출물 3.0
이온화 미네랄 나노입자 2.0
시안산나트륨 1.0
글루타르알데하이드 0.5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0.5
구연산 0.5
<실험예> 실험방법 및 억제물질 평가
1. 실험방법
상기 <실시예>의 소독제 조성물에 대한 소독효과를 시험하기 위하여 국립수의과학검역원고시 제2016-91호[소독제 효력시험지침]에 따라 실험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로 나타내었다.
2. 억제물질 평가
1) 각각의 바이러스 원액을 1 : 10배로 희석하고, 1.5㎖ ep 튜브를 사용하였으며, 희석 배지로서는 1㎍/㎖ TPCK in DMEM을 사용하였다.
2) 실험물질과 바이러스 반응은 모든 시험액과 시약을 4℃에서 보관하여 온도를 유지하였고, ep 튜브를 사용하였다.
2-1) 실험물질 450㎕와 바이러스 100㎕을 혼합하였다.
2-2) 물질 대조군은 PBS 450㎕와 바이러스 100㎕을 혼합하였다.
2-3) 혼합 후 4℃에서 30분간 반응시켰고, 10분마다 잘 혼합하였다.
3) 450㎕ 1M Tris-HCl (pH 7.2)를 첨가하였으며, 실험물질 pH 중화용 1M Tris-HCl(pH 7.2)을 희석액으로 사용하였다.
4) 혼합액에 대한 바이러스 역가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Deep well plate를 사용하였다.
4-1) 혼합액 100㎕와 배지 900㎕의 비율로 10배 계단희석을 진행하였다.
4-2) 희석배수를 10-1, 10-2, 10-3, 10-4, 10-5, 10-6으로 한 후 세포에 100㎕씩 접종한 다음, 각 희석배수 당 8 반복하였다.
- 희석 배지 : 1㎍/㎖ TPCK in DMEM
* 수정란의 경우에는 0.2㎖를 요막강(allantoic cavity)에 접종하고, 37℃ 배양기에서 5일간 배양하고 매일 검란하며, 바이러스의 증식 유무를 검사하였다.
5) 세포와 반응은 37℃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6) 반응 후에는 접종액을 제거하였다.
7) 배양 배지 200㎖씩 첨가하였다.
- 배지 : 1㎍/㎖ TPCK in DMEM
8) 37℃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고, Carbapenemase 생성 Enterobacteriaceae(CPE)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조류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억제능평가
Figure 112018071390418-pat00001
상기 표로부터 병원체 대조의 경우 희석배수 108 이상에서도 수정란 감염능이 확인되었다. 또한 판정기준으로서, 소독제 평가기준의 경우 104. 0EID50 이상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면 바이러스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 조성물은 바이러스를 104.0EID50 이상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 세포를 이용한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능 평가
Figure 112018071390418-pat00002
세포를 이용한 억제능 평가에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 조성물이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시험에 사용된 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 발육란에서 보다 증식이 현저하게 떨어져 정확한 억제능을 판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바이러스 대조에 비해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는 것은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18071390418-pat00003
상기와 같이, 1 내지 3반복 실시한 H9N2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억제능은 세포에서의 증식성이 양호하여 물질에 대한 억제능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상기 Caco-2세포에서 모두 본 발명의 실시예 조성물이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험결과 분석 종합>
상기 실험결과를 종합하면, 본 발명의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은 발육란 및 세포를 이용한 조류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으로부터 조류를 보호하고, 약제에 대한 부작용 및 잔류 약제에 의한 축산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 없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5)

1) 들깻잎을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고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고, 여과한 후 동결 건조하여 들깻잎 추출물을 얻는 제 1단계;
2) 조개를 소성하고, 분쇄하여 메쉬화한 후 다시 초음파 분쇄하여 나노화한 다음, 전기분해하여 미네랄 입자를 이온화하는 제 2단계;
3) 정제수, 상기 제 1단계에서 얻은 들깻잎 추출물, 제2단계의 이온화 미네랄 나노입자에 시안산나트륨(NaOCN), 글루타르알데하이드(C5H8O2),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구연산(C6H8O7)을 모두 혼합하여 혼합액을 만드는 제 3단계;
4) 상기 제 3단계에서 만들어진 혼합액을 초음파 분쇄하여 침전되지 않도록 나노화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에탄올은 70Vol%을 들깻잎에 10배의 중량비로 가하고, 80℃에서 30분간 환류추출하는 것인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조개는 가리비조개 또는 새꼬막조개인 것인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소성은 1,200℃에서 2시간, 분쇄는 30~300메쉬로 메쉬화하는 것인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나노화는 25W의 초음파를 10분간, 3회 반복하여 입자의 크기를 100㎚로 하는 것인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혼합액은 정제수 95.5중량부, 들깻잎 추출물 3.0중량부, 이온화 미네랄 나노입자 2.0중량부, 시안산나트륨(NaOCN) 1.0중량부, 글루타르알데하이드(C5H8O2) 0.5중량부,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0.5중량부, 구연산(C6H8O7) 0.5중량부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인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혼합액은 25W의 초음파를 10분간, 3회 반복하여 나노화하는 것인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정제수 95.5중량부에 들깻잎 추출물 3.0중량부, 조개를 1,200℃에서 2시간 동안 소성하여 얻는 이온화 미네랄 나노입자 2.0중량부, 시안산나트륨(NaOCN) 1.0중량부, 글루타르알데하이드(C5H8O2) 0.5중량부, 구아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0.5중량부, 구연산(C6H8O7) 0.5중량부를 모두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들깻잎 추출물은 들깻잎을 70Vol% 에탄올로 80℃에서 30분간 환류추출하여 얻는 것인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
삭제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개는 가리비조개 또는 새꼬막조개인 것인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이온화 미네랄 나노입자는 구성성분으로서 Mg, Na, K, P, S, Fe, Zn을 모두 함유하는 것인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는 H9N2인 것인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
청구항 8, 9, 1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의 소독제 조성물은 분산제, 담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
청구항 8, 9, 1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을 함침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 세정 티슈.
KR1020180083981A 2018-07-19 2018-07-19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55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981A KR102055507B1 (ko) 2018-07-19 2018-07-19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981A KR102055507B1 (ko) 2018-07-19 2018-07-19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507B1 true KR102055507B1 (ko) 2019-12-12

Family

ID=69003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981A KR102055507B1 (ko) 2018-07-19 2018-07-19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50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5798A (ko) * 2005-05-06 2006-11-10 이인규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유기질 퇴비,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KR100772054B1 (ko) 2006-09-01 2007-10-31 김고성 조류 인플루엔자 소독용 조성물
KR20090009442A (ko) 2007-07-20 2009-01-23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살균력이 향상된 살균 및 살바이러스 조성물
KR20120003249A (ko) * 2010-07-02 2012-01-10 주식회사 케이알바이오텍 패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 호흡기 바이러스용 조성물
JP2013136610A (ja) 2013-02-15 2013-07-11 Kyoto Sangyo Univ 鳥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に対する消毒方法
KR20160042272A (ko) * 2014-10-08 2016-04-19 윤상용 저콜레스테롤 고칼슘 돼지 사육 방법, 사육용 사료 및 돼지고기
KR20170133859A (ko) * 2016-05-27 2017-12-06 랜기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독감 치료용 한약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5798A (ko) * 2005-05-06 2006-11-10 이인규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유기질 퇴비,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는 장치
KR100772054B1 (ko) 2006-09-01 2007-10-31 김고성 조류 인플루엔자 소독용 조성물
KR20090009442A (ko) 2007-07-20 2009-01-23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살균력이 향상된 살균 및 살바이러스 조성물
KR20120003249A (ko) * 2010-07-02 2012-01-10 주식회사 케이알바이오텍 패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 호흡기 바이러스용 조성물
JP2013136610A (ja) 2013-02-15 2013-07-11 Kyoto Sangyo Univ 鳥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に対する消毒方法
KR20160042272A (ko) * 2014-10-08 2016-04-19 윤상용 저콜레스테롤 고칼슘 돼지 사육 방법, 사육용 사료 및 돼지고기
KR20170133859A (ko) * 2016-05-27 2017-12-06 랜기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독감 치료용 한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0201B2 (ja) A型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属のエンベロープウイルスに対する抗ウイルス剤および抗ウイルス用組成物
JP5618218B2 (ja) 殺菌水、抗ウィルス剤、生鮮食料品処理システムにおける殺菌用洗浄水並びに養鶏用殺虫剤
KR20160079473A (ko)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세정 또는 소독용 조성물 제조방법
CN106818905A (zh) 一种养殖用中草药消毒剂及其制备方法
CN102754668A (zh) 新型中草药生物复方消毒液
KR102196541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친환경 살충 및 기피제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1731288B (zh) 一种用于防治农业病虫害的天然生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43274B1 (ko) 이온화 및 나노화 미네랄을 함유하는 고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Singh et al. Anthelmintic efficacy of aqueous extract of Butea monosperma (Lam.) Kuntze against Haemonchus contortus of sheep and goats
JP4105535B2 (ja) 抗ウイルス性物質
CN104940191B (zh) 一种脂溶性没食子儿茶素没食子酸棕榈酸酯消毒剂及制备方法
CN104886163A (zh) 植物源农药复方陆朴微乳剂及其制备方法
KR102049179B1 (ko) 토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7593807A (zh) 一种畜禽用空气消毒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143273B1 (ko) 이온화 및 나노화 미네랄을 함유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WO2016104966A1 (ko)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세정 또는 소독용 조성물
KR102055507B1 (ko)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61421B1 (ko)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61422B1 (ko) 들깻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돼지 설사바이러스와 호흡기바이러스의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49673B1 (ko) 토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Rodríguez Saint‐Jean et al. Antiviral activity of casein and αs2 casein hydrolysates against the infectious haematopoietic necrosis virus, a rhabdovirus from salmonid fish
KR102110663B1 (ko) 대왕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돼지 설사바이러스와 호흡기바이러스의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10662B1 (ko) 대왕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10503B1 (ko) 대왕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병원성 조류독감 바이러스 소독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56010B1 (ko) 토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돼지 설사바이러스와 호흡기바이러스의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