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181B1 - 매크로 복합 리모콘 - Google Patents

매크로 복합 리모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181B1
KR102055181B1 KR1020170116242A KR20170116242A KR102055181B1 KR 102055181 B1 KR102055181 B1 KR 102055181B1 KR 1020170116242 A KR1020170116242 A KR 1020170116242A KR 20170116242 A KR20170116242 A KR 20170116242A KR 102055181 B1 KR102055181 B1 KR 102055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ro
mobile terminal
touch
butt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9107A (ko
Inventor
이동륜
Original Assignee
이동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륜 filed Critical 이동륜
Priority to KR1020170116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181B1/ko
Publication of KR20190029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3Remote control using macros, scrip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다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은, 이동단말기에 대한 조작이 아닌 원격 무선 리모콘을 간단하게 조작을 통하여, 매크로로 미리 등록되어 있는 이동 단말기 조작 시퀀스를 수행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 실행 상태까지 한 번에 도달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Description

매크로 복합 리모콘{remote controller for complex macro function}
본 발명은 리모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기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이동 단말기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조작 시퀀스를 매크로로 설정하여, 원격 버튼 조작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를 빠르고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매크로 복합 리모콘에 관한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이동단말기는 기본적으로 음성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개발되었으나, 부가 서비스로 이동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탑재된 각종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무수히 많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즉, 이동 단말기에 기본 탑재된 애플리케이션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운로드 받아 탑재하는 애플리케이션에는 통화 애플리케이션, 각종 게임 애플리케이션,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각종 SNS 애플리케이션, SMS 애플리케이션,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전자 상거래 애플리케이션 등 이루 말할 수 없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은 모두 사용자들에게 동일한 또는 공통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본으로 설정된 시퀀스를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웹 브라우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특정 단어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먼저 웹 브라이징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다음 검색창을 활성화시켜 특정 단어를 입력한 다음 검색 버튼을 조작하는 시퀀스를 수행해야만 특정 단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이동 단말기 탑재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공통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단계를 모두 거쳐야만 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특화된 또는 사용자에 대해 개인화된 매크로 기능을 제공하지 않아 불편함이 있다. 특히, 평상시 업무에 열중해야만 하는 직장인, 운전 시 이동 단말기 조작에 어려움이 있는 운수업 종사자, 특히 시작 장애인 등 이동 단말기 조작이 용이하지 않은 상태에 놓이 사용자에게는 이러한 불편함을 더 클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최초 구동 시점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 실행 상태까지 도달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 시퀀스를 매크로로 등록한 다음, 이동단말기에 대한 조작이 아닌 원격 무선 리모콘을 간단하게 조작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하게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특정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는 매크로 복합 리모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매크로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등록 이동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미리 설정된 복수의 매크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부;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에 대한 루팅 프로그램(rooting program) 및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에 대한 상기 복수의 매크로의 실행을 위한 복수의 매크로 실행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루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의 설정/관리 권한을 획득하고,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에서의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일련의 터치 시퀀스를 상기 조작 버튼부의 특정 버튼 조작에 대응되는 특정 매크로로 설정하며, 상기 조작 버튼부의 상기 특정 버튼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일련의 터치 시퀀스를 가상으로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에서 수행하여 상기 특정 매크로를 수행하되, 상기 특정 매크로 수행에 따른 화면내 변경 및 화면 전환 과정을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제공하도록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매크로 실행 명령을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될 매크로를 매칭시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의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화면인식에 기초하여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에서 어떤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발생한 이벤트에 매칭되는 매크로를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매크로 설정 과정에서의 상기 조작 버튼부에 마련된 자동 실행 설정 버튼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발생한 이벤트에 대하여 매칭되는 매크로를 이벤트 발생에 대한 자동 실행 매크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의 콜 수신 화면에서의 콜 연결 버튼 터치,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녹음 파일 실행을 위한 터치들, 및 상기 콜 수신 화면에서의 콜 종료 버튼 터치를 포함하는 터치 시퀀스를 콜 수신 대응 매크로로 설정하고,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에서 콜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콜 수신 대응 매크로를 자동 실행하여 상기 녹음 파일로 자동응답 기능을 수행한 다음 통화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의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상기 일련의 터치 시퀀스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일련의 조작시퀀스에 대응되는 가상 터치 시퀀스를 수행하며, 상기 일련의 터치 시퀀스가 수행되는 화면의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변경된 경우에는 화면인식을 통하여 상기 일련의 터치 시퀀스에 대응되는 새로운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적용함으로써 매크로의 동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버튼부의 특정 버튼을,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제1 조작 시퀀스에 따른 제1 매크로 및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제2 조작 시퀀스에 따른 제2 매크로의 공통 실행 버튼으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특정 버튼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매크로를 실행할지 상기 제2 매크로를 실행할지를,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에서 활성화되거나 이벤트가 발생한 애플리케이션이 제1 애플리케이션인지 제2 애플리케이션인지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의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상기 일련의 터치 시퀀스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일련의 터치 시퀀스에 대응되는 가상 터치 시퀀스를 통하여 상기 특정 매크로를 수행하며, 상기 특정 매크로가 실행되는 속도를, 매크로 설정시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상기 일련의 터치 시퀀스가 입력되는 속도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매크로 설정 시 매크로 실행 속도 설정 및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에서 매크로가 실행되는 중 상기 조작 버튼부에 대한 조작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매크로별 실행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은 이동 단말기에 대한 조작이 아닌 원격의 무선 리모콘의 버튼에 대한 간단한 조작만으로 이동 단말기에 탑재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 수행상태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하므로 쉽고 간단하면서도 정확한 이동 단말기 조작을 가능케 해 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의 블락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 구동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의 조작 버튼부(120)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의 구동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 구동 방법에 따라 콜 수신 이벤트에 대응되는 응답 메시지 전송 매크로가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에서 이동단말기(200)에서 실행 중인 화물 운송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매크로가 실행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에 의하여 이동단말기(200)에서의 콜 수신 이벤트에 대한 녹음 파일 자동 응답 매크로가 실행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에 의하여, 이동단말기(200)에서 주소록 검색 결과 화면을 통한 콜 발신 과정에 대응되는 매크로가 실행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에 의하여 동일한 버튼 조작으로 이동단말기(200)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따라 다른 매크로를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의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 또는 기능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은 이동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상기 이동단말기(200)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매크로 제어 기능이 탑재되어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이동단말기는 매크로 설정 및 실행을 위하여 등록된 이동단말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이동단말기에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 등 근거리 통신 기능이 탑재된 다양한 종류의 포터블 디바이스들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근거리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이동단말기(200)에 대한 설정/관리 권한을 획득한 다음 특정 버튼 조작에 대응되는 상기 이동단말기(200)에 대한 매크로를 설정할 수 있으며, 특정 버튼의 조작만으로 상기 이동단말기(200)가 탑재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 수행상태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은 이동단말기(200)에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최초 구동 시점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 실행 상태까지 도달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 시퀀스를 매크로로 등록한 다음, 이동단말기(200)에 대한 조작이 아닌 자체 버튼 조작만으로도 빠르고 정확하게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특정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의 블락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은 통신부(110), 조작 버튼부(120), 제어부(130), 메모리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의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은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는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이동단말기(200)와 매크로 설정 및 실행을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버튼부(120)는 다수의 버튼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다수의 버튼은 매크로 설정 과정에 이용되며,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매크로 실행할 매크로를 선택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40)에는 상기 이동단말기(200)에 대한 설정/관리 권한을 획득하기 위한 루팅 프로그램(rooting program)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이동단말기(200)에 대한 복수의 매크로의 실행을 위한 복수의 매크로 실행 명령이 저장되어 있으며, 기타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와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의 동작시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매크로 설정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버튼부(120)에 대한 조작 및/또는 상기 이동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루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이동단말기(200)의 설정/관리 권한을 획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조작 버튼부(120) 및/또는 상기 터치스크린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단말기(200)에서의 터치스크린에 대한 일련의 터치 시퀀스를 상기 조작 버튼부(120)의 특정 버튼에 대응되는 매크로로 설정할 수 있다.
매크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특정 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특정 버튼에 대응되는 특정 매크로를 실행하는데, 이는 상기 특정 매크로에 대응되는 일련의 터치 시퀀스를 가상으로 수행하도록 상기 이동단말기(200)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특정 매크로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 명령이나 필요한 데이터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이동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특정 매크로의 수행에 따른 상기 이동단말기(200)의 화면내 변경 및 화면 전환 과정을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공하도록 상기 이동단말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화면내 변경이라 함은 상기 일련의 터치 시퀀스가 가상으로 수행되는 결과로 인하여 상기 이동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공된 동일한 화면 내에서 이루어지는 변화를 의미하며, 화면 전환이라 함은 상기 일련의 터치 시퀀스가 가상으로 수행되는 결과로 인하여 상기 이동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의 화면이 다른 화면으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은 단순한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LED 점등 기능, LCD 패널이나 OLED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한 시각정보의 제공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하에 이동단말기(200)와의 매크로 설정 과정에서의 정보 제공 기능 및 매크로 수행 과정에서의 정보 제공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을 이용한 이동단말기(200)에 대한 매크로 설정 및 실행 개념에 대해 살펴 보았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을 이용한 매크로 설정 및 실행에 대한 구체적 예들을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 구동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통하여 상기 구동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이동단말기(200)에서의 매크로 설정을 위하여,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이동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한 다음,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루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이동단말기(200)에 대한 설정/관리 권한을 획득한 다음, 상기 이동단말기(200)에 대한 매크로 설정 기능을 실행한다(S100). 이때, 이러한 제어부(130)의 동작은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의 조작 버튼부(120)에 대한 버튼 조작 또는 상기 이동단말기(200)의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동작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기(200)에 대한 매크로 설정 기능이 실행된 다음, 상기 이동단말기(200)에서는 매크로 설정 대상이 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S110). 그러면 상기 이동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표시된다. 그런 다음, 상기 이동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을 통한 일련의 터치 시퀀스가 이루어지고, 상기 일련의 터치 시퀀스에 대하여 특정 버튼(또는 버튼의 조합)을 매크로 실행버튼으로 설정하면, 그와 관련된 정보가 상기 메모리부(140)에 저장되어 매크로 설정이 완료된다(S120). 여기서 일련의 터치 시퀀스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 하나에 대한 것일 수도 있고 여러 개의 실행화면을 통하여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상술한 S100 내지 S120 단계에 따라서 상기 일련의 터치 시퀀스에 대응되는 매크로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이동단말기(200)와의 근거리 무선통신망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버튼부(120)에 대한 특정 버튼 조작이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특정 버튼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버튼에 대응되는 매크로의 실행을 위하여 상기 매크로에 대응되는 일련의 터치 시퀀스를 가상으로 수행하여 매크로를 실행하도록 상기 이동단말기(200)를 제어하며, 상기 이동단말기(200)는 매크로 실행 과정에 따른 GUI(Graphic User Interface) 변경 과정을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제공한다(S130). 여기서 GUI 변경 과정은 상기 일련의 터치 시퀀스의 실행에 따른 한 화면 내에서의 변경일 수도 있고 화면 전체가 전환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의 조작 버튼부(120)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조작 버튼부(120)는, 기본적으로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에 전력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버튼(Power),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이동단말기(200)에서의 화면 스크롤, 클릭 등 마우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은 휠 또는 터치인식 버튼(Mouse), 상기 이동단말기(200) 또는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의 현재 상태를 벗어나거나 이전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버튼(ESC),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를 통한 선택 또는 입력 기능이나 상기 이동단말기(200)에서의 터치 입력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Enter), 상기 이동단말기(200)에서의 방향이동을 위한 다수의 방향키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 버튼부(120)는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을 통하여 매크로 설정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버튼(Macro)을 포함한다. 상기 버튼(Macro)이 조작되면 제어부(130)는 이동단말기(200) 설정/관리를 위한 루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매크로 설정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 버튼부(120)는 설정되는 매크로의 이벤드 발생에 대응한 자동실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버튼(Auto)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Auto)을 이용한 이벤트에 대응한 매크로 자동실행 기능의 설정과정의 예를 살펴본다. 예컨대, 상기 이동단말기(200)에 콜 수신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매크로 설정 기능 활성화 버튼(Macro)을 터치하고 콜에 대한 SMS 응답 기능 수행을 위한 터치 시퀀스를 수행한 다음, 매크로 자동실행 버튼(Auto) 및 선택 버튼(Enter)을 조작하면 매크로 자동 실행 설정이 완료된다. 그런 다음, 상기 이동단말기(200)에 콜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콜 수신 이벤트에 대한 SMS 응답 기능 실행 매크로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버튼부(120)는 각종 숫자 버튼을 포함하는데, 이는 설정된 매크로에 번호를 지정하는데 이용되며, 향후 숫자 버튼 조작이 수행되면 그에 대응되는 매크로가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조작 버튼부(120)는 속도 조절 버튼(Speed)을 포함하는데 이는 매크로 설정 시에 실행 속도를 설정하거나 실행되고 있는 매크로의 실행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의 구동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이동단말기(200)에서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다(S200). 그러면 상기 이동단말기(200)는 터치스크린에 대한 화면인식을 통하여 발생한 이벤트를 인식하고(S210), 상기 발생한 이벤트가 매크로 자동 실행 대상이 되는 이벤트로 등록된 것인지를 판단한다(S220). 이러한 이동단말기(200)의 동작은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의 제어하에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벤트 발생에 대응한 자동 실행 매크로 설정은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매크로 설정 과정에서의 조작 버튼부(120)의 자동 실행 설정 버튼(Auto)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여, 발생한 이벤트에 대하여 매칭되는 매크로를 이벤트 발생에 대한 자동 실행 매크로로 설정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생한 이벤트가 매크로 자동 실행 이벤트로 등록되어 있으면(S220, YES), 즉, 상기 발생한 이벤트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될 매크로가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의 메모리부(140)에 저장되어 있고 그 실행 여부가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제어부(130)는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되는 매크로를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상기 이동단말기(200)를 제어한다(S230).
그러나 상기 발생한 이벤트가 매크로 자동 실행 이벤트로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S220, NO), 상기 제어부(130)는 매크로 실행을 위한 버튼 조작이 조작 버튼부(120)를 통하여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240). 만약, 매크로 실행을 위한 버튼 조작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130)는 조작된 버튼에 대응되는 매크로를 실행하도록 상기 이동단말기(200)을 제어한다(S250).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 구동 방법에 따라 콜 수신 이벤트에 대응되는 응답 메시지 전송 매크로가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6의 (a)는 이동단말기(200)에서 콜 수신 이벤트가 발생한 것을 나타낸다. 그러면,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는 상기 이동단말기(200)에서의 화면 인식을 통하여 콜 수신 이벤트의 발생을 인식하고 그에 응답하여 콜에 대한 응답 메시지 전송 매크로를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상기 이동단말기(200)를 제어한다. 그 첫 단계로 도 6의 (a)에서는 메시지 작성 개시를 위한 가상의 터치가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의 도면에서 붉은 실선으로 표시된 폭발 아이콘은 매크로 설정시 이루어진 실제 터치에 대응하여, 매크로 실행 시 이동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가상의 터치를 의미한다. 그러나 가상의 터치는 실제로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나, 이동단말기(200)는 실제 터치가 이루어진 것을 가정하여 그에 따라 동작한다.
도 6의 (a)에서 가상의 터치가 이루어지면, 상기 이동단말기(200)의 화면은 도 6의 (b)와 같이 메시지 작성 화면으로 전환되며 메시지 작성을 위한 가상의 터치가 완료된 다음 메시지 전송 소프트 키에 대한 마지막 가상 터치가 수행된다. 그러면 매크로 수행에 따라 작성된 메시지가 콜 발신자에게 전송된 다음 최종적으로 매크로 실행이 마무리된다. 한편, 상기 이동단말기(200)에서는 가상의 터치에 대응되는 음향효과나 진동 효과가 실제 터치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도 6의 예에서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는 발생한 이벤트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매크로를 실행하지 않고, 조작 버튼부(120)에서 매크로 실행을 위한 버튼 조작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미리 정해져 있는 매크로를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동 메시지 전송 기능과 유사하게, 각종 SNS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문자 수신이나 콜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은 발생한 이벤트에 대해 매칭되어 있는 매크로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의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매크로 자동 실행 기능이, 콜이나 문자 수신 이벤트 및 그에 대응되는 응답 메시지 전송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에서 이동단말기(200)에서 실행 중인 화물 운송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하 '화물 애플리케이션'이라 함)에 대한 매크로가 실행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7의 (a)는 상기 화물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에 신규 오더 등록되어 그에 대한 알림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것을 나타낸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가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의 조작 버튼부(120)에서 상기 화물 애플리케이션에 또는 상기 화물 애플리케이션의 신규 오더 이벤트에 대응되는 매크로 실행에 대응되는 버튼을 원격에서 조작한다. 그러면,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은 매크로를 실행하며, 가장 먼저 신규 화물 오더 표시 영역에 대한 제1 가상 터치를 수행하도록 상기 이동단말기(200)를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단말기(200)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상 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신규 오더의 상세 정보 제공 및 배차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한 다음, 배차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 표시 영역에 대한 제2 가상 터치를 수행한다.
그러면, 상기 이동단말기(200)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차 완료 표시 및 오더 발생자와의 전화 통화 연결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한 다음, 전화 통화 연결 선택 버튼에 대한 제3 가상 터치를 수행한 다음, 매크로 실행을 종료한다.
이러한 매크로 실행 과정에 따르면 화물 운송 종사자의 경우에는 직접적으로 이동단말기를 조작하지 않고도 원격에서 새로 등록된 오더에 대한 배차 신청 절차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신규 화물 운송 오더가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되어 배차 신청 매크로가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해 놓을 경우에는 더욱 더 빠르게 배차 신청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은 매크로의 자동 실행 여부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본 실시예들에서 실행된 매크로들에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는 매크로 설정 시 획득된 일련의 터치 시퀀스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 다음, 실제 매크로 실행 시에는 상기 획득된 위치 정보에 대한 가상의 터치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매크로 설정 시 상기 일련의 터치 시퀀스가 수행되는 화면의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변경된 경우에는 매크로 실행이 어려워 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은 화면인식을 통하여 상기 일련의 터치 시퀀스에 대응되는 새로운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적용함으로써 매크로의 동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 (a) 신규 화물 오더 표시 영역이 변경된 경우,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의 제어부(130)는 변경된 화면의 GUI에서의 화면 인식을 통하여 신규 화물 오더 표시 영역을 인식한 다음 매크로 실행에 대응되는 가상의 터치 위치를 그에 따라 변경하는 것이다. 그러면, 사용자는 매크로를 변경하거나 새로 설정하는 불편함 없이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터치 시퀀스가 수행되는 화면의 GUI가 변경된 것은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 또는 상기 이동단말기(200)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체크될 수 있는데, 이는 애플리케이션의 버전 정보 확인, 애플리케이션의 업데이트 정보 확인,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인식 등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에 의하여 이동단말기(200)에서의 콜 수신 이벤트에 대한 녹음 파일 자동 응답 매크로가 실행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동단말기(200)에서 콜 수신 이벤트가 발생한다(S300). 그러면 상기 이동단말기(200)에 대한 화면인식을 통하여 상기 콜 수신 이벤트가 발생한 것이 인식되고 상기 자동 응답 매크로가 실행되어, 콜 수신 화면에서 콜 연결 버튼에 대한 가상 터치가 이루어진다(S310). 그러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녹음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가상의 터치가 이루어지고(S320), 녹음 파일 재생이 완료되면 콜 수신 화면에서 콜 종료 버튼이 가상 터치되어 최종적으로 매크로 실행이 종료된다(S330).
물론,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이동단말기(200)의 콜 수신 화면에서의 콜 연결 버튼 터치,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2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녹음 파일 실행을 위한 터치들, 및 상기 콜 수신 화면에서의 콜 종료 버튼 터치를 포함하는 터치 시퀀스의 위치 정보 및 순서 정보가 콜 수신 대응 매크로로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에 의하여, 이동단말기(200)에서 주소록 검색 결과 화면을 통한 콜 발신 과정에 대응되는 매크로가 실행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상기 콜 발신 매크로에 대응되는 실행 버튼이 상기 조작 버튼부(120)를 통하여 조작된다(S400). 그러면, 상기 이동단말기(200)에서는 바탕 화면의 주소록 아이콘에 대한 제1 가상 터치가 이루어지고(S410), 상기 제1 가상 터치에 응답하여 화면은 검색 화면으로 전환되고 검색 단어 입력을 위한 가상의 터치들이 이루어진 다음 검색 실행 버튼에 대한 제3 가상 터치가 이루어지고(S420), 그런 다음 화면은 검색 결과 제공 화면으로 전환되고 그 화면에서 콜 발신 버튼에 대한 가상의 터치가 이루어짐으로써 최종적으로 검색된 대상에 대한 통화가 이루어져 매크로가 종료된다(S430).
물론, 주소록 아이콘에 대한 터치, 검색 단어 입력 과정에서의 터치들, 검색 실행 버튼에 대한 터치, 검색 결과 화면에서의 콜 발시 버튼에 대한 터치에 대한 위치 및 순서 정보가 콜 발신 매크로에 대응되는 일련의 터치 시퀀스 정보로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에 의하여 동일한 버튼 조작으로 이동단말기(200)에서 발생한 이벤트에 따라 다른 매크로를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벤트A에 대해서는 매크로A가 설정되어 있고, 이벤트B에 대해서는 매크로B가 설정되어 있는데, 조작 버튼부(120)에서 상기 매크로A 및 매크로B의 실행버튼은 공통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은 이벤트 A가 발생한 경우 상기 실행 버튼이 조작되면 매크로A를 실행하고 이벤트B가 발생한 경우 상기 실행 버튼이 조작되면 매크로B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매크로 공통 실행 버튼은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은 애플리케이션C가 활성화되어 있거나 그와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실행 버튼이 조작되면 매크로C를 실행하고, 애플리케이션D가 활성화되어 있거나 그와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에서 실행 버튼이 조작되면 매크로D를 실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는 조작 버튼부(120)의 특정 버튼을,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제1 조작 시퀀스에 따른 제1 매크로 및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제2 조작 시퀀스에 따른 제2 매크로의 공통 실행 버튼으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특정 버튼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매크로를 실행할지 상기 제2 매크로를 실행할지를,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에서 활성화되거나 이벤트가 발생한 애플리케이션이 제1 애플리케이션인지 제2 애플리케이션인지에 따라 결정하는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의 구동 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매크로 설정 기능이 활성화된다(S500). 그런 다음, 이동단말기(200)를 통한 일련의 터치 시퀀스에 대응되는 매크로 실행 버튼이 설정된다(S510). 그런 다음,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의 제어부(130)는 매크로 실행 속도 조절 버튼에 대한 조작이 이루어지는지를 체크한다(S520).
만약, 매크로 실행 속도 조절 버튼에 대한 터치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면(S520, NO), 상기 제어부(130)는 매트크로 실행 속도를 상기 일련의 터치 시퀀스가 입력되는 속도에 대응되도록 설정한다(S530). 예컨대, 상기 제어부(130)는 실제 일련의 터치 시퀀스가 입력되는 속도와 동일하게 매크로 실행 속도를 설정하거나, 일련의 터치 입력되는 속도에 대해 미리 정해진 배수를 곱하여 매크로 실행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매크로 실행 속도는 미리 정해져 있는 속도로 세팅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매크로 실행 속도 조절 버튼에 대한 조작이 있으면(S520), 상기 제어부(130)는 매크로 실행 속도를 상기 매크로 실행 속도 조절 버튼에 대한 조작 횟수에 따라 증감하여 설정할 수 있다(S540). 예컨대, 사용자는 앞서 살펴본 도 4에서의 속도 조절 버튼(Speed)을 조작함으로써 매크로 실행 속도를 일련의 터치 시퀀스 입력 속도와 달리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따르면 상기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는 매크로별 실행 속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는 매크로 실행 도중에 상기 속도 조절 버튼(Speed)을 조작하여 매크로의 실행 속도를 증감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매크로 복합 리모콘(100)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매크로 실행 속도를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매크로 복합 리모콘 110: 통신부
120: 조작 버튼부 130: 제어부
140: 메모리부 150: 디스플레이부
200: 이동단말기

Claims (8)

  1. 터치 스크린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매크로 제어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등록 이동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미리 설정된 복수의 매크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버튼부;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에 대한 루팅 프로그램(rooting program) 및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에 대한 상기 복수의 매크로의 실행을 위한 복수의 매크로 실행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루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의 설정/관리 권한을 획득하고,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에서의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일련의 터치 시퀀스를 상기 조작 버튼부의 특정 버튼 조작에 대응되는 특정 매크로로 설정하며,
    상기 조작 버튼부의 상기 특정 버튼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일련의 터치 시퀀스에 대응되는 가상의 터치 시퀀스를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에서 수행하여 상기 특정 매크로를 수행하되, 상기 가상의 터치 시퀀스에 따른 화면내 변경 및 화면 전환 과정을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제공하도록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련의 터치 시퀀스의 입력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매크로의 기본 실행속도를 설정하되, 상기 조작 버튼부의 속도 조절 버튼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매크로의 실행 속도를 기본 실행 속도에서 증감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매크로 실행 도중에 상기 속도 조절 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특정 매크로의 실행 속도를 상기 설정된 실행 속도에서 증감할 수 있으며,
    상기 일련의 터치 시퀀스의 위치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가상의 터치 시퀀스를 수행하되, 상기 일련의 터치 시퀀스가 수행되는 화면의 GUI(Graphic User Interface)가 변경된 경우에는 화면인식을 통하여 상기 일련의 터치 시퀀스에 대응되는 새로운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적용함으로써 매크로의 동일성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 복합 리모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될 매크로를 매칭시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의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한 화면인식에 기초하여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에서 어떤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결정하고, 상기 발생한 이벤트에 매칭되는 매크로를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 복합 리모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매크로 설정 과정에서의 상기 조작 버튼부에 마련된 자동 실행 설정 버튼에 대한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발생한 이벤트에 대하여 매칭되는 매크로를 이벤트 발생에 대한 자동 실행 매크로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 복합 리모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의 콜 수신 화면에서의 콜 연결 버튼 터치,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녹음 파일 실행을 위한 터치들, 및 상기 콜 수신 화면에서의 콜 종료 버튼 터치를 포함하는 터치 시퀀스를 콜 수신 대응 매크로로 설정하고,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에서 콜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콜 수신 대응 매크로를 자동 실행하여 상기 녹음 파일로 자동응답 기능을 수행한 다음 통화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 복합 리모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 버튼부의 특정 버튼을, 제1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제1 조작 시퀀스에 따른 제1 매크로 및 제2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제2 조작 시퀀스에 따른 제2 매크로의 공통 실행 버튼으로 설정할 수 있고,
    상기 특정 버튼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매크로를 실행할지 상기 제2 매크로를 실행할지를, 상기 등록 이동단말기에서 활성화되거나 이벤트가 발생한 애플리케이션이 제1 애플리케이션인지 제2 애플리케이션인지에 따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크로 복합 리모콘.
  7. 삭제
  8. 삭제
KR1020170116242A 2017-09-12 2017-09-12 매크로 복합 리모콘 KR102055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242A KR102055181B1 (ko) 2017-09-12 2017-09-12 매크로 복합 리모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242A KR102055181B1 (ko) 2017-09-12 2017-09-12 매크로 복합 리모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107A KR20190029107A (ko) 2019-03-20
KR102055181B1 true KR102055181B1 (ko) 2019-12-12

Family

ID=66036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242A KR102055181B1 (ko) 2017-09-12 2017-09-12 매크로 복합 리모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18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624B1 (ko) * 2012-09-20 2013-04-17 알서포트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이동통신단말기의 원격제어 조작상태 표시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142B1 (ko) * 2010-07-26 2011-06-20 주식회사 케이티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624B1 (ko) * 2012-09-20 2013-04-17 알서포트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이동통신단말기의 원격제어 조작상태 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107A (ko) 201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72762B1 (en) Connecting the highest priority Bluetooth device to a mobile terminal
EP3194316B1 (en)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elevator service by entering an elevator call
US8552996B2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of starting application
KR20170112556A (ko) 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79808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이얼링 방법 및 터치스크린을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KR20130108205A (ko) 대안적 잠금 해제 패턴
KR20120063982A (ko) 시각장애 사용자를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JP2021517328A (ja) 仮想入力装置によりpcを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6240125B2 (ja) 情報処理装置と情報処理装置を制御するプログラ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744016B1 (ko) 다국어 지원 객실용 서비스요청장치를 이용한 서비스요청 시스템 및 서비스요청방법
KR10225777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50234554A1 (en) Mobile device
KR102055181B1 (ko) 매크로 복합 리모콘
KR102009182B1 (ko) 앱 다운로드 시스템, 스마트 테이블 및 이를 이용한 앱 설치 방법
JP5359826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の機能設定方法
KR10058413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축키 설정장치
KR10069073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정의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02738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53710A (ko) 이동통신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업데이트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163509B2 (ja) 携帯端末カスタマイズシステム、携帯端末カスタマイズ方法
KR2006010808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브라우저 화면 구성 방법
JP2013090051A (ja) 制御装置
KR20110043971A (ko) Avn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4833004B2 (ja) 通信システム、表示端末およびセンタ装置
KR101762329B1 (ko) 단축 사용자패턴 인식에 의한 스마트 디바이스 앱 신속 실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