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4802B1 - 일체형 유압 파워유니트 - Google Patents

일체형 유압 파워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4802B1
KR102054802B1 KR1020180073139A KR20180073139A KR102054802B1 KR 102054802 B1 KR102054802 B1 KR 102054802B1 KR 1020180073139 A KR1020180073139 A KR 1020180073139A KR 20180073139 A KR20180073139 A KR 20180073139A KR 102054802 B1 KR102054802 B1 KR 102054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lower plate
electric motor
plat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사현
Original Assignee
임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사현 filed Critical 임사현
Priority to KR1020180073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4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4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4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B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OR OF POSITIVE-DISPLACEMENT TYPE, e.g. STEAM ENGINES
    • F01B9/00Reciproc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istons and main shafts and not specific to preceding groups
    • F01B9/04Reciproc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connections between pistons and main shafts and not specific to preceding groups with rotary main shaft other than crank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7/00Systems in which the movement produced is definitely related to the output of a volumetric pump; Telemotors
    • F15B7/06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07Type of prime mover
    • F15B2211/20515Electric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체형 유압 파워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판과; 하판과; 상기 양단의 나사산으로 상기 하판과 상판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기둥축; 캠 샤프트 회전축이 하측을 향하면서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배치되는 전동기; 상기 전동기의 캠 샤프트 회전축을 관통시키면서 상기 전동기 하측을 받치는 것으로서, 상기 기둥축들이 삽입되는 받침대 결합단들이 외향 돌설된 전동기 하부 받침대; 상기 전동기의 상측에 씌워지고, 상기 기둥축을 삽입시키는 커버 결합단들이 외향 돌설된 전동기 상부 커버; 상기 기둥축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동기 하부 받침대들과 전동기 상부 커버들을 압착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유체 유입단과 유체 유출단이 상기 하판 상측에 결합되며, 중심부에 상기 캠 샤프트 회전축이 연결되어 상기 전동기의 캠 샤프트 회전축 회전에 따라 형성되는 유압에 의해 유체를 유체 유입단에서 유체 유출단으로 이송시키는 펌프 유니트;로 구성되며 상기 유체 유출단의 유출구는 상기 하판을 향하게 형성되고, 상기 기둥축들 중 하나는 유체관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판에는 내부에 일측은 상기 유체 유출단의 유출구와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유체관에 연통되는 유체유출경로가 형성되어, 상기 전동기의 캠 샤프트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유체가 유체 유입단을 통해서 유체 유출단으로 이송되면 상기 유체유출경로와 유체관을 통해 이송되어 상판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체형 유압 파워유니트{All in one type hydraulic power unit}
본 발명은 일체형 유압 파워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전동기와 전동기를 하우징시키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과 전동기의 연결을 일체로 구성하여 구조를 단순화시키며, 유체 배관 경로가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유압 파워유니트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시스템은 압력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화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모터를 통해 유압펌프를 가동함으로써 오일탱크 내의 작동유를 제어변을 통해 그 양이나 그 출입의 순서를 제어하면서 작동시키는 엑추에이터이다.
상기 유압시스템의 작동유는 오일탱크로부터 유압펌프를 통해 엑추에이터로 작동하는 각종 밸브기구 및 유압작동요소로 공급되고, 이러한 작동유의 공급은 유압파워유니트(Hydraulic Power Unit)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유압파워유니트에는 공급되는 작동유를 이송하는 배관이 결합되는데, 배관은 단순하게 연결될 수록 장치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유압파워유니트는 내부에 구비된 모터, 유압펌프 등의 구동에 의한 소음, 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압파워유니트를 보호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별도의 케이스가 구비된다.
선출원 실용신안 20-1996-0031879 유압엘리베이터용 유압파워유니트의 유압작동유 냉각장치, 선등록 실용신안 20-0110503 유압엘리베이터용파워유니트의전동기속도검출장치에서 이와 같은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공지의 유압파워유니트의 구조를 살펴보면 케이스 내부에 전동기를 결합시키는 결합축이 별도로 마련되며, 전동기에는 회전자와 고정자를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고정축이 별도로 마련되어 전동기와 케이스의 조립이 별도의 공정으로 진행되어 조립 공수와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펌프 유니트에 배관이 직접 연결되어 유압파워유니트 주변이 배관호스로 어지럽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20-1996-0031879 유압엘리베이터용 유압파워유니트의 유압작동유 냉각장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110503 유압엘리베이터용파워유니트의전동기속도검출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압파워유니트의 전동기와 케이스를 일체로 조립, 구성시키면서, 유압파워유니트에 연결되는 배관 구조를 단순화시키는 일체형 유압 파워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판과; 하판과; 양단에 나사산이 단차 형성된 봉으로서, 상기 양단의 나사산으로 상기 하판과 상판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기둥축; 캠 샤프트 회전축이 하측을 향하면서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배치되는 전동기; 상기 전동기의 캠 샤프트 회전축을 관통시키면서 상기 전동기 하측을 받치는 것으로서, 상기 기둥축들이 삽입되는 받침대 결합단들이 외향 돌설된 전동기 하부 받침대; 상기 전동기의 상측에 씌워지고, 상기 기둥축을 삽입시키는 커버 결합단들이 외향 돌설된 전동기 상부 커버; 상기 기둥축 외측에서 상기 기둥축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 결합단을 받치는 단차부와 상기 기둥축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 결합단을 하측으로 가압시키는 나사와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전동기 하부 받침대들과 전동기 상부 커버들을 압착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상기 하판 상측에서 상기 캠 샤프트 회전축 양측에 연결되는 하판 상면 유입구가 하판을 향하게 아래로 형성된 유체 유입단과 유출구가 하판을 향하게 아래로 형성된 유체 유출단으로 형성되는 펌프 유니트; 상기 기둥축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시킨 유체관; 상기 하판 내부에 형성된 내관으로서, 일측은 상기 유체 유출단의 유출구에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유체관의 하단에 연통되는 유체유출경로; 및 상기 하판 내부에 형성된 내관으로서, 일측은 상기 유체 유입단의 하판 상면 유입구에 연통되고, 타측은 외측으로 연통되는 유체유입경로;로 구성되어 상기 상판과 하판, 전동기가 상기 기둥축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전동기의 캠 샤프트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유압을 발생시키면, 유체가 유체유입경로, 유체 유입단, 캠 샤프트 회전축, 유체 유출단, 유체유출경로 및 유체관을 따라 순차이송되어 상기 유체관 상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유압 파워유니트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여 유압파워유니트의 전동기와 케이스를 일체로 조립, 구성시키면서, 유압파워유니트에 연결되는 배관 구조를 단순화시키는 일체형 유압 파워유니트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시 구조도
도 4는 종래기술방식의 사시 구조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도 1은 본 발명의 단면 구조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 구조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사시 구조도이며, 도 4는 종래기술방식의 사시 구조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체형 유압 파워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판(60)과; 하판(70); 기둥축(80); 캠 샤프트 회전축(100)이 형성된 전동기(10); 받침대 결합단(300)이 돌설된 전동기 하부 받침대(30); 커버 결합단(200)이 외향 돌설된 전동기 상부 커버(20); 결합수단(8); 유체 유입단(51)과 유체 유출단(52)으로 형성된 펌프 유니트(50);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유압 파워유니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과 하판(3)이 형성된 케이싱 내부에 고정축(6)에 의해 별도의 프레임(5)으로 조립완성되는 전동기(2)가 설치되고, 상기 전동기(2)에는 펌프 유니트(7)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본 발명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판(60)은 이와 같은 케이싱 기본 구조가 되는 판상체이다.
본 발명의 하판(70) 역시 상기 상판(60)과 같은 케이싱 기본 구조 판상체이지만,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조가 상기 하판(70)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기둥축(80)은 상기 상판(60)과 하판(70)을 결합시키는 프레임으로서, 케이싱을 형성시키는 기본 구조체가 된다.
즉, 본 발명에서 케이싱은 상기 상판(60)과 하판(70) 및 이를 연결시키는 복수 개의 기둥축(80)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기둥축(80)은 상기 상판(60)과 하판(7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양단에 나사산이 단차 형성된 봉으로 형성된다.
상기 기둥축(80)의 양단에 형성된 단차는 상판(60)과 하판(70)의 걸림턱 기능을 수행하며, 나사산(85)은 상판(60)과 하판(70)에 체결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둥축(80)과 상판(60)의 결합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차에 의지하여 관통 결합되고 제1 나사(82)로 체결 고정되며, 상기 기둥축(80)과 하판(70)의 결합은 기둥축(80)이 상기 단차에 의지하여 하판(70)에 삽입되어 나사체결되는 특징으로 가진다.
본 발명의 전동기(10)는 캠 샤프트 회전축(100)이 하측을 향하면서 상기 상판(60)과 하판(7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캠 샤프트 회전축(100)이 하측을 향하게 형성되는 것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유압 파워유니트에서 일반적인 사용상태이다.
본 발명의 전동기 하부 받침대(30)는 상기 전동기(10)의 캠 샤프트 회전축(100)을 관통시키면서 상기 전동기(10) 하측을 받치는 것으로서, 상기 기둥축(80)들이 삽입되는 받침대 결합단(300)들이 외향 돌설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동기 하부 받침대(30)는 전동기(10) 하측 형상에 형합되는 형합홈이 형성된 판상체로 형성되어 상기 전동기(10)를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 결합단(300)은 상기 전동기 하부 받침대(30)의 외주변에 외향 돌설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기둥축(80)이 관통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전동기 상부 커버(20)는 상기 전동기(10)의 상측에 씌워지고, 상기 기둥축(80)을 삽입시키는 커버 결합단(200)들이 외향 돌설된다.
상기 전동기 상부 커버(20) 역시 전동기(10) 상측 형상에 형합되게 형성되어 전동기(1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커버 결합단(200)에는 상기 기둥축(80)이 관통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수단(8)은 상기 기둥축(80)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동기 하부 받침대(30)들과 전동기 상부 커버(20)들을 압착 결합시키는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결합수단(8)의 일 실시예로서는 상기 기둥축(80) 하측에 상기 받침대 결합단(300)이 거치되는 단차부(84)를 형성시키고, 상측의 상기 커버 결합단(200)이 관통되는 부분에는 외측에 나사산(85)을 형성시키고, 상기 나사산(85)에는 제2 나사(86)를 체결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2 나사(86)의 체결로서, 상기 전동기 상부 커버(20)를 상기 전동기 하부 받침대(30)측으로 가압시켜 전동기(10)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펌프 유니트(50)는 공지의 유압 파워유니트에 사용되는 모듈로서, 유입단(51-1)이 형성된 유체 유입단(51)과 유출단(52-1)이 형성된 유체 유출단(52)으로 구분되며, 중심부에 전동기(10)의 캠 샤프트 회전축(100)이 연결되어 전동기(10)의 회전 동력으로 캠이 피스톤 동작을 함으로써 유압을 형성시켜 유체를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펌프 유니트(50)는 상기 유체 유입단(51)과 유체 유출단(52)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판(70) 상측에 결합되며, 중심부에 상기 캠 샤프트 회전축(100)이 연결되어 상기 전동기(10)의 캠 샤프트 회전축(100) 회전에 따라 형성되는 유압에 의해 유체를 유체 유입단(51)에서 유체 유출단(52)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싱을 형성시키는 상판(60)과 하판(70) 및 전동기(10)가 기둥축(80)들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조립 구조체가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기둥축(80)에 의하여 케이싱이 고정되며, 케이싱의 고정과 동시에 전동기(10)를 케이싱에 고정 결합시키고, 이와 동시에 전동기(10)의 회전자(10-2)와 고정자(10-1)를 고정 결합시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징에 더하여, 유체의 흐름을 안내시키는 배관 구조를 내부에 일체로 형성시키는 특징이 추가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체 유출단(52)의 유출구(52-1)는 상기 하판(70)을 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기둥축(80)들 중 하나는 유체관(800)으로 형성시키며, 상기 하판(70)에는 내부에 일측은 상기 유체 유출단(52)의 유출구(52-1)와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유체관(800)에 연통되는 유체유출경로(700)를 형성시킨다.
즉, 유체유출경로(700)는 상기 하판(70) 내부에 형성된 내관으로서, 일측은 상기 하판(70) 상측에 상기 유체 유출단(52)의 유출구(52-1)와 연통되는 하판 상면 유출구(52-11)를 형성시키고, 타측은 상기 유체관(800)의 하단에 연통되는 관체이다.
상기 유체유출경로(700)는 상기 하판(70)을 금속 후판으로 형성하고, 수평, 수직 드릴링 가공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드릴링 작업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불필요한 드릴링 입구는 포트 플러그(90)를 사용하여 차단시키면 드릴링 작업으로 하판(70)에 유체경로를 쉽게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유체유출경로(700)와 유출구(52-1), 유체관(800)의 연통을 위한 기밀 작업은 공지 기술 수준으로 당연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동기(10)의 캠 샤프트 회전축(100)의 회전에 따라 유체가 유체 유입단(51)을 통해서 유체 유출단(52)으로 이송되면 상기 유체유출경로(700)와 유체관(800)을 통해 이송되어 상판(60)으로 배출되는 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출 유체에 대한 배관 연결은 상판(60)으로 노출되는 유체관(800)에 연결시키면 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쉬운 장치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에 더하여, 상기 유체 유입단(51)의 유입구(51-1)를 상기 하판(70)을 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하판(70)에는 내부에 일측은 상기 유체 유입단(51)의 유입구(51-1)에 연통되고, 타측은 외측으로 연통되는 유체유입경로(710)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즉, 상기 유체유입경로(7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판(70) 내부에 형성된 내관으로서, 일측은 상기 하판(70) 상측에서 상기 유체 유입단(51)의 유입구(51-1)에 연통되는 하판 상면 유입구(51-11)를 형성시키고, 타측은 하판 외주면 측으로 연통되는 하판 측면 유입구(91)를 형성시키는 관체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펌프 유니트(50)를 하판(70)에 연결시키는 것으로 유체유입경로(710)와 유체유출경로(700)에 연통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 전체가 유체 배관의 연결체가 되어 내부 유체경로를 쉽게 형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전동기
20 : 전동기 상부 커버
30 : 전동기 하부 받침대
50 : 펌프 유니트
51 : 유체 유입단
51-1 : 유입구
51-11 : 하판 상면 유입구
52 : 유체 유출단
52-1 : 유출구
52-11 : 하판 상면 유출구
60 : 상판
70 : 하판
80 : 기둥축
100 : 캠 샤프트 회전축
200 : 커버 결합단
300 : 받침대 결합단
700 :유체유출경로
710 : 유체유입경로
800 : 유체관

Claims (5)

  1. 상판(60)과;
    하판(70)과;
    양단에 나사산이 단차 형성된 봉으로서, 상기 양단의 나사산으로 상기 하판(70)과 상판(60)에 체결되는 복수 개의 기둥축(80);
    캠 샤프트 회전축(100)이 하측을 향하면서 상기 상판(60)과 하판(70) 사이에 배치되는 전동기(10);
    상기 전동기(10)의 캠 샤프트 회전축(100)을 관통시키면서 상기 전동기(10) 하측을 받치는 것으로서, 상기 기둥축들이 삽입되는 받침대 결합단(300)들이 외향 돌설된 전동기 하부 받침대(30);
    상기 전동기(10)의 상측에 씌워지고, 상기 기둥축(80)을 삽입시키는 커버 결합단(200)들이 외향 돌설된 전동기 상부 커버(20);
    상기 기둥축(80) 외측에 단차 형성되어 상기 받침대 결합단(300)을 지지시키는 단차부(84)와; 상기 기둥축(80) 외측에서 상기 단차부(84) 상측에 형성되는 나사산(85)과; 상기 커버 결합단(200) 상측에서 상기 나사산(85)에 체결되어 상기 커버 결합단(200)을 하측으로 가압시키는 제2 나사(86)로 형성되어 상기 제2 나사(86)의 체결로 상기 전동기 상부 커버(20)를 상기 전동기 하부 받침대(30)에 가압 결합시켜 상기 전동기를 고정시키는 결합수단(8);
    상기 하판(70) 내부에 형성된 내관으로서, 일측은 상기 하판(70) 상측에 연통되어 하판 상면 유입구(51-11)를 형성시키고, 타측은 하판 외주면 측으로 연통되어 하판 측면 유입구(91)를 형성시키는 유체유입경로(710);
    상기 기둥축(80)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내부에 관로를 형성시킨 유체관(800);
    상기 하판(70) 내부에 형성된 내관으로서, 일측은 상기 하판(70) 상측에 연통되어 하판 상면 유출구(52-11)를 형성시키고, 타측은 상기 유체관(800)의 하단에 연통되는 유체유출경로(700); 및
    상기 하판 상면 유입구(51-11)에 연결되는 유입구(51-1)가 형성된 연결모듈로서, 상기 하판(70) 상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캠 샤프트 회전축(100) 일측과 상기 하판 상면 유입구(51-11)를 연결시키는 유체 유입단(51)과; 상기 하판 상면 유출구(52-11)에 연결되는 유출구(52-1)가 형성된 연결모듈로서, 상기 하판(70) 상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캠 샤프트 회전축(100) 타측과 상기 하판 상면 유출구(52-11)를 연결시키는 유체 유출단(52)으로 형성되는 펌프 유니트(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유압 파워유니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73139A 2018-06-26 2018-06-26 일체형 유압 파워유니트 KR102054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139A KR102054802B1 (ko) 2018-06-26 2018-06-26 일체형 유압 파워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3139A KR102054802B1 (ko) 2018-06-26 2018-06-26 일체형 유압 파워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4802B1 true KR102054802B1 (ko) 2019-12-11

Family

ID=69003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139A KR102054802B1 (ko) 2018-06-26 2018-06-26 일체형 유압 파워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48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8795A (en) * 1955-09-06 1959-12-29 Ramsey Corp Electro-hydraulic actuating cylinder
US4614205A (en) * 1984-12-10 1986-09-30 Uop Inc. Rotary valve with two seating surfaces for interconnecting conduits
KR960031879U (ko) 1995-03-10 1996-10-24 이종길 기어펌프의 헬리컬기어구조
KR101110110B1 (ko) * 2009-11-26 2012-01-3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낙하형 충격시험 설비 및 그를 사용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에 사용되는 충격흡수용 블록소재의 충격시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8795A (en) * 1955-09-06 1959-12-29 Ramsey Corp Electro-hydraulic actuating cylinder
US4614205A (en) * 1984-12-10 1986-09-30 Uop Inc. Rotary valve with two seating surfaces for interconnecting conduits
KR960031879U (ko) 1995-03-10 1996-10-24 이종길 기어펌프의 헬리컬기어구조
KR101110110B1 (ko) * 2009-11-26 2012-01-3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낙하형 충격시험 설비 및 그를 사용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에 사용되는 충격흡수용 블록소재의 충격시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8027B1 (ko) 모터 펌프 유닛
US6589029B1 (en) Self-contained motor driven hydraulic supply unit
JP2017127183A (ja) 電動モータで駆動される液体ポンプ
CN101255868B (zh) 电机内嵌叶片泵
JP5456033B2 (ja) 液圧式の車両ブレーキ装置のピストンポンプ
US10309546B2 (en) Electrically operated valve
GB2360068A (en) Fluid pump
EP2673510B1 (en) Combined power take-off and hydraulic pump assembly
JPH02271085A (ja) 乗物のブレーキ装置用の液力式の高圧ポンプ
US10879762B2 (en) Actuator and pump using the actuator
EP1574714A3 (de) Pumpenaggregat
CN111492143B (zh) 摆线转子泵及其制造方法
US20200309136A1 (en) Electric fluid pump for a motor vehicle
EA026452B1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многоступенчатый электронасос
US20170184092A1 (en) Integrated displacement controlled pump
KR102054802B1 (ko) 일체형 유압 파워유니트
US6499964B2 (en) Integrated vane pump and motor
US8282365B2 (en) Pump for pumping fluid in a wellbore using a fluid displacer means
US7052230B2 (en) Pump assembly
US2368131A (en) Submersible deep well pump
KR101793377B1 (ko) 중공 펌프
JPWO2007122953A1 (ja) 燃料供給装置
JP4813782B2 (ja) 圧力脈動を減衰させる装置及び当該装置を具備する液圧装置
JP2516341Y2 (ja) 水中モータポンプ
KR101611983B1 (ko) 수중 펌프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