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1983B1 - 수중 펌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수중 펌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1983B1
KR101611983B1 KR1020150091580A KR20150091580A KR101611983B1 KR 101611983 B1 KR101611983 B1 KR 101611983B1 KR 1020150091580 A KR1020150091580 A KR 1020150091580A KR 20150091580 A KR20150091580 A KR 20150091580A KR 101611983 B1 KR101611983 B1 KR 101611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ump housing
casing
flange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철영
원종성
Original Assignee
(유)일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일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유)일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091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1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1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1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28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8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가 공급되는 유입 포트를 일측에 구비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싱에 내장되고, 일단부가 상기 유입 포트와 연결되는 펌프 하우징; 및 상기 펌프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유입 포트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체를 상기 펌프 하우징의 타단부를 통하여 토출시키는 펌프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분할되고, 상기 펌프 유닛에 의하여 상기 펌프 하우징의 타단부를 통하여 토출된 상기 유체는, 상기 케이싱의 타측을 거쳐 상기 케이싱의 내주면과 상기 펌프 하우징의 외주면을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상기 유입 포트와 별도로 구비된 외부 배출 포트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며 이송 유체를 이용하여 장치 전체의 가동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수중 펌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중 펌프 어셈블리{UNDERWATER PUMP ASSEMBLY}
본 발명은 수중 펌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며 이송 유체를 이용하여 장치 전체의 가동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수중 펌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수중 펌프는 일반적으로 수중에 설치되고 유체를 흡입한 다음 강제 유동시키는 장치로서, 등록특허 제10-0186487호의 "심정용 펌프의 냉각장치"와 공개특허 제10-2011-0101636호의 "분수용 수중펌프 시스템"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구조의 작동 메카니즘을 가진 것들이 공지되어 연구 개발 중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들은 모두 펌프가 수용되는 케이싱 또는 하우징의 구조가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펌프의 이상 발생시 케이싱 또는 하우징 전체를 배관으로부터 분리하고, 분해하여 점검하거나 보수 또는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186487호 공개특허 제10-2011-010163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며 이송 유체를 이용하여 장치 전체의 가동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중 펌프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가 공급되는 유입 포트를 일측에 구비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싱에 내장되고, 일단부가 상기 유입 포트와 연결되는 펌프 하우징; 및 상기 펌프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유입 포트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체를 상기 펌프 하우징의 타단부를 통하여 토출시키는 펌프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분할되고, 상기 펌프 유닛에 의하여 상기 펌프 하우징의 타단부를 통하여 토출된 상기 유체는, 상기 케이싱의 타측을 거쳐 상기 케이싱의 내주면과 상기 펌프 하우징의 외주면을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상기 유입 포트와 별도로 구비된 외부 배출 포트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펌프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유입 포트와 상기 외부 배출 포트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일단부와 탈착 결합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타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 유닛이 내장된 상기 펌프 하우징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케이스에 수용되며,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되는 상기 제2 케이스의 일단부에 대하여, 상기 펌프 하우징의 타단부는 상기 제2 케이스의 타단부측에 수용되고, 상기 펌프 하우징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와,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 각각의 내주면과 상기 펌프 하우징의 외주면 사이를 흐르는 유체의 방향은 상호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케이싱은, 상기 펌프 하우징의 타단부에 형성된 내부 배출 포트와 상호 대면되게 상기 제2 케이스의 타단부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유체가 상기 제1 케이스의 상기 외부 배출 포트측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흐름 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제1 케이스의 일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호 대면되는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케이스의 일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플랜지와 상호 대면되는 제2 플랜지와, 상기 펌프 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플랜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3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는 상호 적층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제2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걸림단턱 링과, 상기 제2 케이스의 타단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걸림단턱 링에 안착 고정되는 연결 링 프레임과, 일단부는 상기 연결 링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고정부 각각은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3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일정 길이를 가진 앵커 볼트와, 상기 앵커 볼트의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 링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 고정 너트와, 상기 앵커 볼트의 타단부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2 고정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펌프 유닛은, 상기 펌프 하우징에 내장되는 모터 펌프와, 상기 모터 펌프와 상기 펌프 하우징의 타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임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유체를 일방향으로 흡입하여 토출시키는 펌프 유닛이 수용된 펌프 하우징을 내장한 케이싱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분할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유지 및 보수 관리에 있어서 제반 작업의 편의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케이싱과 펌프 하우징 사이를 흐르는 유체와 펌프 하우징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방향은 반대로 하고, 유입 포트와 외부 배출 포트는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이송되는 유체를 냉각 유체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되어 냉각 성능을 구현함에 의한 장치 전체의 가동 부하 경감 효과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펌프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펌프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펌프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 및 유체의 흐름 방향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펌프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펌프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펌프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 및 유체의 흐름 방향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 개념도이다.
우선, 본 발명은 케이싱(100)에 펌프 유닛(300)이 내장된 펌프 하우징(200)이 수용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케이싱(100)은 유체가 공급되는 유입 포트(101)를 일측에 구비한 것으로, 후술할 펌프 하우징(200)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펌프 하우징(200)은 케이싱(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케이싱(100)에 내장되고, 일단부가 유입 포트(101)와 연결되는 것이며, 펌프 유닛(300)은 펌프 하우징(200)에 수용되어 유입 포트(101)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흡입하여 펌프 하우징(200)의 타단부를 통하여 강제적으로 토출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케이싱(100)은 조립 및 체결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펌프 유닛(300)에 의하여 펌프 하우징(200)의 타단부를 통하여 토출된 유체의 배출 경로를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전술한 유체는 케이싱(100)의 타측을 거쳐 케이싱(100)의 내주면과 펌프 하우징(200)의 외주면을 통하여 케이싱(100)의 일측에 유입 포트(101)와 별도로 구비된 외부 배출 포트(102)로부터 배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케이싱(100)은 유입 포트(101)와 외부 배출 포트(102)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제1 케이스(110)와, 제1 케이스(110)의 일단부와 탈착 결합되는 제2 케이스(120)와, 제1 케이스(110)의 타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3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케이싱(100)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2 케이스(110, 120)로 분할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유지 및 보수 관리에 있어서 제반 작업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펌프 유닛(300)이 내장된 펌프 하우징(200)의 일단부는 제1 케이스(110)에 수용되며, 제1 케이스(110)와 결합되는 제2 케이스(120)의 일단부에 대하여, 펌프 하우징(200)의 타단부는 제2 케이스(120)의 타단부측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펌프 하우징(200)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와, 제1 케이스(110) 및 제2 케이스(120) 각각의 내주면과 펌프 하우징(200)의 외주면 사이를 흐르는 유체의 방향은 도 3과 같이 상호 반대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케이싱(100)과 펌프 하우징(200) 사이를 흐르는 유체와 펌프 하우징(200)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방향은 반대로 하되, 유입 포트(101)와 외부 배출 포트(102)는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이송되는 유체를 냉각 유체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되어 냉각 성능을 구현함에 의한 장치 전체의 가동 부하 경감 효과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펌프 하우징(200)은 펌프 하우징(200)의 일단부 외주면에 유입 포트(101)와 접속되는 연결 포트(201)와, 유체가 제2 케이스(120)의 타단부 내측으로 배출되게 펌프 하우징(200)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내부 배출 포트(20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연결 포트(20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100)과 펌프 하우징(200) 사이를 유체가 흐르는 방향과 반대인 펌프 하우징(200)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입구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케이싱(100)에는 내부 배출 포트(202)로부터 배출되는 유체가 원활하게 외부 배출 포트(102)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흐름 유도부(14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흐름 유도부(140)는 펌프 하우징(200)의 타단부에 형성된 내부 배출 포트(202)와 상호 대면되게 제2 케이스(120)의 타단부 내측에 구비되며, 유체가 제1 케이스(110)의 외부 배출 포트(102)측으로 흐르도록 안내하는 것이다.
여기서, 흐름 유도부(140)는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심 유도 사면부(141)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 유도홈부(142)가 구비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중심 유도 사면부(141)는 제2 케이스(120)의 타단부 내측 중심으로부터 내부 배출 포트(202)측을 향하여 원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방사상 유도홈부(142)는 중심 유도 사면부(141)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원호 형상으로 함몰되고, 중심 유도 사면부(141)를 중심으로 하여 링 형상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방사상 유도홈부(142)를 따라 안내되는 유체가 제2 케이스(120)와 펌프 하우징(200) 사이를 원활하게 흘러 외부 배출 포트(102)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방사상 유도홈부(142)의 외측 가장자리는 제2 케이스(120)의 내주면과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케이싱(100)은 제1, 2 케이스(110, 120) 및 펌프 하우징(200) 상호간의 조립 및 체결 작업의 편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 2 플랜지(111, 121) 및 제3 플랜지(21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 플랜지(111)는 제1 케이스(110)의 일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30)와 상호 대면되는 것이다.
제2 플랜지(121)는 제2 케이스(120)의 일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1 플랜지(111)와 상호 대면되는 것이다.
제3 플랜지(210)는 펌프 하우징(200)의 외주면을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1 플랜지(111) 및 제2 플랜지(12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1 플랜지(111)와 제3 플랜지(210) 및 제2 플랜지(121)는 상호 적층되어 결합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플레이트(130)는 제1, 2 케이스(110, 120)가 후술할 연결 링 프레임(150) 및 고정부(160)를 통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시공 대상물이나 시공 구조물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펌프 어셈블리가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한편, 케이싱(100)에는 제1, 2 케이스(110, 120)가 상호 체결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단턱 링(122)과 연결 링 프레임(150)과 고정부(16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걸림단턱 링(122)은 제2 케이스(120)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연결 링 프레임(150)은 제2 케이스(120)의 타단부로부터 삽입되어 걸림단턱 링(122)에 안착 고정되는 것이다.
고정부(160)는, 일단부는 연결 링 프레임(150)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고정되는 복수의 부재이다.
따라서, 복수의 고정부(160) 각각은 제1 플랜지(111)와 제3 플랜지(210) 및 제2 플랜지(121)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을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링 프레임(150)은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링 단차홈(151)과 볼트 통공(152) 및 고정 평면부(153)를 더 구비한 것을 알 수 있다.
링 단차홈(151)은 내주면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걸림단턱 링(122)에 안착 고정되는 것이다.
볼트 통공(152)은 연결 링 프레임(150)의 형성 방향을 따라 복수로 상하 관통 형성되어 고정부(160)의 앵커 볼트(163)가 관통되는 것이다.
고정 평면부(153)는 복수의 볼트 통공(152) 각각의 상면에 평평하고 단차지게 형성되어 고정부(160)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 평면부(153)에는 고정부(160)의 앵커 볼트(163)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제1 고정 너트(161)가 안착 고정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고정부(160)는 연결 링 프레임(150)의 형성 방향을 따라 제2 케이스(120)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고정부(160)는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정 길이를 가진 앵커 볼트(163)와, 앵커 볼트(163)의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어 연결 링 프레임(150)에 고정되는 제1 고정 너트(161)와, 앵커 볼트(163)의 타단부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30)에 고정되는 제2 고정 너트(162)를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도 3의 하부에 도시된 부분 확대 단면도를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저면에 단차지게 함몰된 작업홈(131)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저면으로부터 작업홈(131)의 함몰된 부분까지의 길이는,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볼트 연통홀(132)을 관통하여 작업홈(131)으로부터 앵커 볼트(163)의 타단부가 노출된 길이보다 길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작업홈(131)은 제2 고정 너트(162)를 렌치 등의 공구에 의하여 풀고 조이는 등의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제2 고정 너트(162)보다 큰 폭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작업홈(131)의 전술한 구조는 앵커 볼트(163)의 타단부 및 제2 고정 너트(162)가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저면으로부터 노출되지 않고, 작업홈(131)에 매립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30)가 시공 대상물이나 시공 구조물에 고정되는데 지장이 없도록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경우에 따라 베이스 플레이트(130)의 충분한 두께를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제2 고정 너트(162)를 생략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펌프 유닛(300)은 펌프 하우징(200)에 내장되는 모터 펌프(350)와, 모터 펌프(350)와 펌프 하우징(200)의 타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임펠러(310, 320, 330, 340)를 구비하여, 연결 포트(201)로부터 내부 배출 포트(202)를 통하여 유체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하며 이송 유체를 이용하여 장치 전체의 가동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중 펌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케이싱
101...유입 포트
102...외부 배출 포트
110...제1 케이스
111...제1 플랜지
120...제2 케이스
121...제2 플랜지
122...걸림단턱 링
130...베이스 플레이트
131...작업홈
132...볼트 연통홀
140...흐름 유도부
141...중심 유도 사면부
142...방사상 유도홈부
150...연결 링 프레임
151...링 단차홈
152...볼트 통공
153....고정 평면부
160...고정부
161...제1 고정 너트
162...제2 고정 너트
163...앵커 볼트
200...펌프 하우징
201...연결 포트
202...내부 배출 포트
210...제3 플랜지
300...펌프 유닛
310, 320, 330, 340...임펠러
350...모터 펌프

Claims (7)

  1. 유체가 공급되는 유입 포트를 일측에 구비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싱에 내장되고, 일단부가 상기 유입 포트와 연결되는 펌프 하우징; 및 상기 펌프 하우징에 수용되어 상기 유입 포트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유체를 상기 펌프 하우징의 타단부를 통하여 토출시키는 펌프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분할되고, 상기 펌프 유닛에 의하여 상기 펌프 하우징의 타단부를 통하여 토출된 상기 유체는, 상기 케이싱의 타측을 거쳐 상기 케이싱의 내주면과 상기 펌프 하우징의 외주면을 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상기 유입 포트와 별도로 구비된 외부 배출 포트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유입 포트와 상기 외부 배출 포트가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일단부와 탈착 결합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타단부를 고정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펌프 유닛이 내장된 상기 펌프 하우징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케이스에 수용되며, 상기 제1 케이스와 결합되는 상기 제2 케이스의 일단부에 대하여, 상기 펌프 하우징의 타단부는 상기 제2 케이스의 타단부측에 수용되고, 상기 펌프 하우징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와,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 각각의 내주면과 상기 펌프 하우징의 외주면 사이를 흐르는 유체의 방향은 상호 반대이며,
    상기 제1 케이스의 일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호 대면되는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케이스의 일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플랜지와 상호 대면되는 제2 플랜지와, 상기 펌프 하우징의 외주면을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플랜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3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는 상호 적층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펌프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제2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링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걸림단턱 링과,
    상기 제2 케이스의 타단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걸림단턱 링에 안착 고정되는 연결 링 프레임과,
    일단부는 상기 연결 링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복수의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고정부 각각은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3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펌프 어셈블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정 길이를 가진 앵커 볼트와,
    상기 앵커 볼트의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연결 링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 고정 너트와,
    상기 앵커 볼트의 타단부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제2 고정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펌프 어셈블리.
  7. 삭제
KR1020150091580A 2015-06-26 2015-06-26 수중 펌프 어셈블리 KR101611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580A KR101611983B1 (ko) 2015-06-26 2015-06-26 수중 펌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580A KR101611983B1 (ko) 2015-06-26 2015-06-26 수중 펌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1983B1 true KR101611983B1 (ko) 2016-04-12

Family

ID=55801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580A KR101611983B1 (ko) 2015-06-26 2015-06-26 수중 펌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19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141Y1 (ko) * 2002-06-05 2002-09-09 유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혼합 펌핑식 원심펌프
KR200288958Y1 (ko) * 2001-09-01 2002-09-11 주식회사 플러스매니저 입형 다단 원심 펌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958Y1 (ko) * 2001-09-01 2002-09-11 주식회사 플러스매니저 입형 다단 원심 펌프
KR200288141Y1 (ko) * 2002-06-05 2002-09-09 유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혼합 펌핑식 원심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6075B2 (en) Impeller assembly and method
US8047549B2 (en) Magnetic fluid shaft-sealing device
US10024478B2 (en) Damping device
US8932003B2 (en) Vacuum self-priming pump
US9920764B2 (en) Pump devices
CN108757495B (zh) 一种智能离心泵
KR101611983B1 (ko) 수중 펌프 어셈블리
US10094385B2 (en) Multi-stage centrifugal pump
US20230114352A1 (en) Multistage centrifugal pump with two parallel flows of pumped medium
TWI718766B (zh) 液冷式散熱系統及其串聯式泵浦
KR20180083899A (ko) 축 커플링 및 펌프 장치
WO2017002923A1 (ja) 流体機械
KR101221056B1 (ko) 인라인 펌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수중펌프
CN108603507B (zh) 多段潜水泵用的吸入外壳、以及多段潜水泵
JP2011252477A (ja) 逆予旋回両吸込み遠心ポンプ
AU678015B2 (en) Full-circumferential flow pump
JP7224927B2 (ja) 軸流ポンプ
JP5481346B2 (ja) 遠心ポンプ
KR102507958B1 (ko) 파이프 체결 어셈블리
JP2015028314A (ja) ガイドベーン及びポンプ装置
JP2015089312A (ja) 電気自動車の走行用モータ
KR20140126946A (ko) 가압용 수중 모터펌프 장치
JP7290423B2 (ja) ポンプ
CN217518909U (zh) 一种泵体密封结构
US11879474B2 (en) Centrifugal pump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