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888B1 -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 - Google Patents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888B1
KR102053888B1 KR1020190078536A KR20190078536A KR102053888B1 KR 102053888 B1 KR102053888 B1 KR 102053888B1 KR 1020190078536 A KR1020190078536 A KR 1020190078536A KR 20190078536 A KR20190078536 A KR 20190078536A KR 102053888 B1 KR102053888 B1 KR 102053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whitening
hyaluronic acid
weight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종열
윤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비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비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비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78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8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2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ix 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0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93Material properties pharmaceutically effec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1In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6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 A61L2300/602Type of release, e.g. controlled, sustained, slow
    • A61L2300/604Biodegrad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34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미백 및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백 성분, 히알루론산 및 색소를 고체화시켜 형성된 미백 색소실을 이용하여 피부 리프팅 장치의 니들을 통하여 피시술자의 피부 내로 미백 색소실이 삽입된 후, 미백 색소실이 피부 내에서 녹아 용해되면서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리프팅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은 피시술자의 피부 내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로서, 미백 성분; 히알루론산; 및 색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WHITENING DYE THREAD FOR SKIN LIFTING DEVICE CHANGING SKIN TONE BRIGHTLY OR DARKLY}
본 발명은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리프팅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백 및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백 성분, 히알루론산 및 색소를 고체화시켜 형성된 미백 색소실을 이용하여 피부 리프팅 장치의 니들을 통하여 피시술자의 피부 내로 미백 색소실이 삽입된 후, 미백 색소실이 피부 내에서 녹아 용해되면서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리프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보호 기능, 장벽 기능, 온도 조절 기능, 배설 기능, 호흡 기능 등을 하는 기관으로, 표피, 진피 및 피하 지방으로 이루어진다. 표피는 가장 얇은 층으로 각질 형성 세포와 멜라닌 세포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진피는 피부의 약 95%를 차지하며, 피부의 보습 및 보호를 담당하는 층으로, 피부탄력(주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단백질인 콜라겐 및 엘라스틴이 그물처럼 분포되어 있고, 혈관과 신경이 존재한다.
피하지방은 표피 및 진피로의 영양 공급, 체형 결정, 체온 유지, 외부적인 충격흡수 및 피하지방 하부의 세포 보호 등의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피부 고유의 기능을 유지시키면서 빠르고 효과적으로 피부의 상처를 치유하고 재생을 촉진시킴으로써 보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 미백 성분을 화장품에 첨가한 미백 화장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백 화장품은 사용자의 피부 표면에 도포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피부의 내부 깊숙이 침투하지 못하는 관계로 미백효과를 제대로 발휘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관련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8695호(2017.12.18.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유자를 함유하는 미백화장품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백 및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백 성분, 히알루론산 및 색소를 고체화시켜 형성된 미백 색소실을 이용하여 피부 리프팅 장치의 니들을 통하여 피시술자의 피부 내로 미백 색소실이 삽입된 후, 미백 색소실이 피부 내에서 녹아 용해되면서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리프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톤을 회복시키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은 피시술자의 피부 내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로서, 미백 성분; 히알루론산; 및 색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미백 색소실은 상기 미백 성분, 히알루론산 및 색소가 혼합된 혼합물을 고체화시켜 형성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백 색소실은 0.1 ~ 10 중량%의 미백 성분, 5 ~ 30 중량%의 히알루론산 및 30 ~ 90 중량%의 색소를 포함한다.
상기 미백 성분은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프롤린(proline), 라이신(lysine),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레시틴(lecithin), 아데노신(adenosine), sh-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sh-폴리펩타이드-3(sh-Polypeptide-3) 중 1종 이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히알루론산은 순수한 히알루론산 또는 히알루론산염이며, 상기 히알루론산염은 히알루론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칼륨, 히알루론산 칼슘, 히알루론산 마그네슘, 히알루론산 아연, 히알루론산 코발트, 히알루론산 테트라부틸 암모늄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미백 색소실은 상기 색소의 색상 및 함량 조절에 의해, 연한 살색부터 진한 살색까지 적어도 3 단계 이상의 색상을 갖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톤을 회복시키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을 이용한 피부 리프팅 방법은 (a) 피시술자의 피부톤을 검사하여, 상기 피시술자의 피부톤에 적합한 색상의 미백 색소실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준비된 미백 색소실을 피부 리프팅 장치의 니들 내의 중공에 삽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미백 색소실이 삽입된 니들을 피시술자의 피부 내에 삽입시켜 피부 리프팅 시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단계에서, 상기 미백 색소실은 0.1 ~ 10 중량%의 미백 성분, 5 ~ 30 중량%의 히알루론산 및 30 ~ 90 중량%의 색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미백 색소실은 상기 피시술자의 피부 내에서 체온에 의해 용해되어 상기 피시술자의 피부톤을 변화시켜 준다.
상기 (c) 단계 이후, (d) 상기 피시술자의 피부 내에 삽입된 니들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은 연한 살색부터 진한 살색까지 적어도 3 단계 이상, 바람직하게는 8 ~ 12 단계로 구성되어 피시술자의 피부톤과 잘 어울리는 자연스러운 피부톤을 갖도록 피부 리프팅 시술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본 발명은 미백 및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백 성분, 히알루론산 및 색소를 고체화시켜 형성된 미백 색소실을 이용하여 피부 리프팅 장치의 니들을 통하여 피시술자의 피부 내로 미백 색소실이 삽입된 후, 미백 색소실이 피부 내에서 녹아 용해되면서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리프팅 시술에 의해 피부 탄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니들에 의해 표피층과 진피층 사이의 피부 깊숙한 곳으로 강제 삽입된 미백 색소실이 체온에 의해 용해되면서 미백 성분, 히알루론산 및 색소가 확산되어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키게 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미백 성분 및 히알루론산이 피부 깊숙이 침투하여 미백효과 및 피부재생 효과와 더불어 피부주름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피부의 표면에 미백 크림을 바르는 것이 아니라, 고체화된 미백 색소실이 니들을 통하여 표피층과 진피층 사이에 강제적으로 삽입되는 반영구적인 피부 리프팅 시술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피부톤의 밝기를 변경시키는데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을 이용한 피부 리프팅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
도 3은 미백 색소실이 삽입된 니들을 피시술자의 피부 내에 삽입시켜 피부 리프팅 시술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모식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리프팅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100)은 피시술자의 피부 내에 삽입되어 사용된다. 이때, 미색 색소실(100)은 피부 리프팅 장치(300)의 니들(200) 내의 중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피부 리프팅 시술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100)은 미백 성분, 히알루론산 및 색소를 포함하며, 0.1 ~ 10 중량%의 미백 성분, 5 ~ 30 중량%의 히알루론산 및 30 ~ 90 중량%의 색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100)은 미백 성분, 히알루론산 및 색소가 혼합된 혼합물을 고체화시켜 형성된 것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미백 색소실(100)은 피부 리프팅 시술시, 피시술자의 피부 내에서 체온에 의해 용해되어 피시술자의 피부탄력을 개선시키게 된다.
미백 성분은 미백 및 피부재생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첨가된다. 미백 성분으로는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프롤린(proline), 라이신(lysine),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레시틴(lecithin), 아데노신(adenosine), sh-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sh-폴리펩타이드-3(sh-Polypeptide-3)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미백 성분으로는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물질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미백 성분은 미백 색소실(100) 전체 중량의 0.1 ~ 10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는 0.5 ~ 3 중량%를 제시할 수 있다. 미백 성분의 첨가량이 미백 색소실(100) 전체 중량의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미백 및 피부재생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미백 성분의 첨가량이 미백 색소실(100) 전체 중량의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효과 없이 제조비용만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히알루론산은 주름개선 및 노화방지의 기능을 갖는 대표적인 물질이다. 이러한 히알루론산은 보습막을 형성하여 피부 장벽을 이중으로 강화시키는 보습제의 역할을 한다.
히알루론산은 순수한 히알루론산 또는 히알루론산염일 수 있다. 이때, 히알루론산염은 히알루론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칼륨, 히알루론산 칼슘, 히알루론산 마그네슘, 히알루론산 아연, 히알루론산 코발트, 히알루론산 테트라부틸 암모늄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히알루론산은 미백 색소실(100) 전체 중량의 5 ~ 30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는 7 ~ 15 중량%를 제시할 수 있다. 히알루론산의 첨가량이 미백 색소실(100) 전체 중량의 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주름개선 및 노화방지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기 어렵다. 반대로, 히알루론산의 첨가량이 미백 색소실 전체 중량의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미백 색소실의 가공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색소는 미백 색소실(100)에 첨가되어 피시술자의 피부톤과 유사한 색상의 색을 구현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러한 색소는 천연색소 또는 합성색소가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천연색소는 원료의 지속적 수급이 어렵고 합성색소에 비하여 가공성이 좋지 않으므로, 합성색소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 색소로는 1,3 부틸렌글리콜(1,3 buthylene glycol) 15 ~ 25 중량%, 마이카(mica) 10 ~ 20 중량%, 1,2-헥산디올(1,2-Hexanediol) 1 ~ 3 중량%, 황색산화철(CI77492) 0.01 ~ 1.0 중량%, 흑색산화철(CI77499) 1 ~ 3 중량%, 적색산화철(CI77491) 1 ~ 3 중량%,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0.1 ~ 2.0 중량%, 에탄올(ethanol) 0.01 ~ 1.0 중량% 및 나머지 글리세린으로 조성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색소는 미백 색소실(100) 전체 중량의 30 ~ 90 중량%의 함량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한 범위로는 60 ~ 80 중량%를 제시할 수 있다.
색소의 첨가량이 미백 색소실(100) 전체 중량의 3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원하는 색상 구현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색소의 첨가량이 미백 색소실(100) 전체 중량의 9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미백 색소실의 가공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100)은 색소의 색상 및 함량 조절에 의해, 연한 살색부터 진한 살색까지 적어도 3 단계 이상의 색상을 갖는다.
이 결과, 고체화된 미백 색소실(100)이 연한 살색부터 진한 살색까지 적어도 3 단계 이상, 바람직하게는 8 ~ 12 단계로 구성되어 피시술자의 피부톤과 잘 어울리는 자연스러운 피부톤을 갖도록 피부 리프팅 시술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을 이용한 피부 리프팅 방법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을 이용한 피부 리프팅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고, 도 3은 미백 색소실이 삽입된 니들을 피시술자의 피부 내에 삽입시켜 피부 리프팅 시술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을 이용한 피부 리프팅 방법은 미백 색소실 준비 단계(S110), 미백 색소실 삽입 단계(S120) 및 피부 리프팅 시술 단계(S130)를 포함한다.
미백 색소실 준비
미백 색소실 준비 단계(S110)에서는 피시술자의 피부톤을 검사하여, 피시술자의 피부톤에 적합한 색상의 미백 색소실(100)을 준비한다.
여기서, 미백 색소실(100)은 0.1 ~ 10 중량%의 미백 성분, 5 ~ 30 중량%의 히알루론산 및 30 ~ 90 중량%의 색소를 포함하는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미백 색소실(100)은 미백 성분, 히알루론산 및 색소가 혼합된 혼합물을 고체화시켜 형성된 것을 이용한다.
이러한 미백 색소실(100)은 색소의 색상 및 함량 조절에 의해, 연한 살색부터 진한 살색까지 적어도 3 단계 이상의 색상을 갖는다.
이 결과, 고체화된 미백 색소실(100)이 연한 살색부터 진한 살색까지 적어도 3 단계 이상, 바람직하게는 8 ~ 12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단계에서는 피시술자의 피부톤을 검사한 결과, 피부조직에 주름이나 변색이 발생한 부분을 3 단계 이상으로 구성된 미백 색소실(100) 중 정상적인 피부조직의 피부톤과 어울리는 색상의 미백 색소실(100)을 찾아서 준비하게 된다.
미백 색소실 삽입
미백 색소실 삽입 단계(S120)에서는 준비된 미백 색소실(100)을 피부 리프팅 장치(300)의 니들(200) 내의 중공에 삽입한다.
이때, 피부 리프팅 장치(300)는 피부 리프팅 시술을 위해 피시술자의 피부에 원활하게 삽입하기 위해, 일측 단부가 뾰족하게 이루어져 있고, 내부에는 미백 색소실(100)을 안정적으로 삽입하기 위한 중공이 구비된 니들(2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으로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피부 리프팅 장치(300)는 시술자(10)가 그립하기 위한 손잡이, 니들(200)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피부 리프팅 시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리프팅 시술 단계(S130)에서는 미백 색소실(100)이 삽입된 니들(200)을 피시술자의 피부 내에 삽입시켜 피부 리프팅 시술을 수행한다.
이때, 피부 리프팅 시술은 노화의 진행으로 늘어지고 처진 피부 내에 삽입한 후, 피부를 원하는 방향으로 리프팅하여 피부의 탄력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피부 리프팅 시술시, 미백 색소실(100)은 니들(200)에 의하여 피시술자의 피부 내의 표피층(E)과 진피층(D)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미백 색소실(100)은 니들(200)에 의해 표피층(E)과 진피층(D) 사이와 인접한 표피층(E)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거나, 표피층(E)과 진피층(D) 사이와 인접한 진피층(D)의 내부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피부 리프팅 시술에 의하여, 미백 색소실(100)은 피시술자의 피부 내부에 삽입 배치되고, 피부 내부에서 체온에 의해 용해되어 피시술자의 피부톤을 변화시켜 주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피부 리프팅 시술에 의해 피부 탄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니들에 의해 표피층(E)과 진피층(D) 사이의 피부 깊숙한 곳으로 강제 삽입된 미백 색소실(100)이 체온에 의해 용해되면서 미백 성분, 히알루론산 및 색소가 확산되어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키게 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미백 성분 및 히알루론산이 피부 깊숙이 침투하여 미백효과 및 피부재생 효과와 더불어 피부주름을 펴주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피부 리프팅 시술은 피부의 표면에 미백 크림을 바르는 것이 아니라, 고체화된 미백 색소실(100)이 니들(200)을 통하여 표피층(E)과 진피층(D) 사이에 강제적으로 삽입되는 반영구적인 시술이므로 피부톤의 밝기를 변경시키는데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을 이용한 피부 리프팅 방법은 니들 제거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니들 제거 단계에서는 피시술자의 피부 내에 삽입된 니들(200)을 제거한다. 이때, 시술자(10)는 피시술자의 피부 외부로 노출된 미백 색소실(100)을 절단하고, 니들(200)을 피시술자의 피부로부터 뽑아내는 방식으로 니들(200)을 제거하게 된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은 연한 살색부터 진한 살색까지 적어도 3 단계 이상, 바람직하게는 8 ~ 12 단계로 구성되어 피시술자의 피부톤과 잘 어울리는 자연스러운 피부톤을 갖도록 피부 리프팅 시술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본 발명은 미백 및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백 성분, 히알루론산 및 색소를 고체화시켜 형성된 미백 색소실을 이용하여 피부 리프팅 장치의 니들을 통하여 피시술자의 피부 내로 미백 색소실이 삽입된 후, 미백 색소실이 피부 내에서 녹아 용해되면서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리프팅 시술에 의해 피부 탄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니들에 의해 표피층과 진피층 사이의 피부 깊숙한 곳으로 강제 삽입된 미백 색소실이 체온에 의해 용해되면서 미백 성분, 히알루론산 및 색소가 확산되어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키게 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미백 성분 및 히알루론산이 피부 깊숙이 침투하여 미백효과 및 피부재생 효과와 더불어 피부주름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피부의 표면에 미백 크림을 바르는 것이 아니라, 고체화된 미백 색소실이 니들을 통하여 표피층과 진피층 사이에 강제적으로 삽입되는 반영구적인 피부 리프팅 시술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피부톤의 밝기를 변경시키는데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 실험 방법
실시예 1
40대의 건강한 여성의 얼굴 피부톤을 검사한 후, 얼굴 피부톤에 적합한 연한 살색의 미백 색소실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준비된 미백 색소실을 피부 리프팅 장치의 니들 내의 중공에 삽입한 후, 미백 색소실이 삽입된 니들을 피시술자의 피부 내에 삽입시켜 피부 리프팅 시술을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피시술자의 피부 내에 삽입된 니들을 제거하였다.
이때, 미백 색소실로는 sh-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1wt%, sh-폴리펩타이드-3(sh-Polypeptide-3) 1wt%, 히알루론산 나트륨 10wt%, 1,3 부틸렌글리콜(1,3 buthylene glycol) 45wt%, 마이카(mica) 20.8wt%, 1,2-헥산디올(1,2-Hexanediol) 2wt%, 황색산화철(CI77492) 0.1wt%, 흑색산화철(CI77499) 2wt%, 적색산화철(CI77491) 2wt%,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1wt%, 에탄올(ethanol) 0.1% 및 나머지 글리세린으로 조성된 것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2
50대의 건강한 여성의 얼굴 피부톤을 검사한 후, 얼굴 피부톤에 적합한 진한 살색의 미백 색소실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 리프트 시술을 수행하였다.
이때, 미백 색소실로는 sh-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1wt%, sh-폴리펩타이드-3(sh-Polypeptide-3) 1wt%, 히알루론산 나트륨 10wt%, 1,3 부틸렌글리콜(1,3 buthylene glycol) 45wt%, 마이카(mica) 20.8wt%, 1,2-헥산디올(1,2-Hexanediol) 2wt%, 황색산화철(CI77492) 0.5wt%, 흑색산화철(CI77499) 2.8wt%, 적색산화철(CI77491) 3wt%,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1wt%, 에탄올(ethanol) 0.1% 및 나머지 글리세린으로 조성된 것을 이용하였다.
비교예 1
40대의 건강한 여성에게 아침, 저녁으로 1일 2회씩 3주 동안 미백 크림을 얼굴에 발라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때, 미백 크림으로는 상황버섯 혼합 추출액 10wt%, 알로에 베라젤 2wt%, 알란토인(allantoin) 0.1wt%, 비타민 C 0.05wt%, 글리세린 4wt%, 에센스 오일 1.5wt%, 배합제 10wt% 및 나머지 정제수로 조성된 것을 이용하였다.
2. 미백효과 측정
표 1은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에 따른 방법으로 실험한 피실험자들에 대한 미백효과 측정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 2에 따른 실험방법으로 피부 리프팅 시술을 실시한 여성들과 비교예 1에 따른 실험방법으로 피부미용을 실시한 여성을 대상으로 1주 단위로 분광측광기를 이용하여 얼굴의 피부톤 밝기를 측정하였다. 이때, 미백효과가 있는 경우는 △L값(실험 후 피부밝기 - 실험 전의 피부밝기)이 증가되어 나타난다.
[표 1]
Figure 112019066900735-pat00001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 2와 같이, 피부 리프팅 시술을 실시할 시, 비교예 1과 같이 미백 크림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피부톤 밝기가 확연하게 밝아졌다.
위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알 수 있듯이, 피부 리프팅 시술을 실시하는 것이 미백 크림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미백효과가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미백 색소실
200 : 니들
300 : 피부 리프팅 장치
S110 : 미백 색소실 준비 단계
S120 : 미백 색소실 삽입 단계
S130 : 피부 리프팅 시술 단계

Claims (10)

  1. 피시술자의 피부 내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로서,
    미백 성분;
    히알루론산; 및
    색소;를 포함하며,
    상기 미백 색소실은 0.1 ~ 10 중량%의 미백 성분, 5 ~ 30 중량%의 히알루론산 및 30 ~ 90 중량%의 색소를 포함하며,
    상기 색소는 1,3 부틸렌글리콜(1,3 buthylene glycol) 15 ~ 25 중량%, 마이카(mica) 10 ~ 20 중량%, 1,2-헥산디올(1,2-Hexanediol) 1 ~ 3 중량%, 황색산화철(CI77492) 0.01 ~ 1.0 중량%, 흑색산화철(CI77499) 1 ~ 3 중량%, 적색산화철(CI77491) 1 ~ 3 중량%,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0.1 ~ 2.0 중량%, 에탄올(ethanol) 0.01 ~ 1.0 중량% 및 나머지 글리세린으로 조성되며,
    상기 미백 색소실은 상기 색소의 색상 및 함량 조절에 의해, 연한 살색부터 진한 살색까지 적어도 3 단계 이상의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백 색소실은
    상기 미백 성분, 히알루론산 및 색소가 혼합된 혼합물을 고체화시켜 형성된 것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백 성분은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프롤린(proline), 라이신(lysine),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레시틴(lecithin), 아데노신(adenosine), sh-올리고펩타이드-1(sh-oligopeptide-1), sh-폴리펩타이드-3(sh-Polypeptide-3)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톤을 회복시키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은 순수한 히알루론산 또는 히알루론산염이며,
    상기 히알루론산염은 히알루론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칼륨, 히알루론산 칼슘, 히알루론산 마그네슘, 히알루론산 아연, 히알루론산 코발트, 히알루론산 테트라부틸 암모늄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톤을 회복시키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78536A 2019-07-01 2019-07-01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 KR102053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536A KR102053888B1 (ko) 2019-07-01 2019-07-01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536A KR102053888B1 (ko) 2019-07-01 2019-07-01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888B1 true KR102053888B1 (ko) 2019-12-10

Family

ID=69002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536A KR102053888B1 (ko) 2019-07-01 2019-07-01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8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1210A (ja) * 2006-09-06 2014-06-19 Covidien Lp とげのある縫合糸における生体活性物質
KR20170066305A (ko) * 2017-06-07 2017-06-14 박분 기능성 생체 이식형 의료기기
KR20180109914A (ko) * 2016-01-05 2018-10-08 아브라함 아미르 피부-확대용 수술 봉합물
JP2018531123A (ja) * 2015-09-03 2018-10-25 ジンウ バイオ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Jinwoo Bio Co.,Ltd. ヒアルロン酸塩がコーティングされた高機能性縫合糸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高機能性縫合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1210A (ja) * 2006-09-06 2014-06-19 Covidien Lp とげのある縫合糸における生体活性物質
JP2018531123A (ja) * 2015-09-03 2018-10-25 ジンウ バイオ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Jinwoo Bio Co.,Ltd. ヒアルロン酸塩がコーティングされた高機能性縫合糸の製造方法及びこれにより製造された高機能性縫合糸
KR20180109914A (ko) * 2016-01-05 2018-10-08 아브라함 아미르 피부-확대용 수술 봉합물
KR20170066305A (ko) * 2017-06-07 2017-06-14 박분 기능성 생체 이식형 의료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lakoub et al.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beauty and cosmetic procedures performed in ethnic patients
CN110448511A (zh) 一种防脱妆且抗蓝光的皮肤调理剂、素颜霜及其制备方法
US20160128919A1 (en) Non-invasive and long lasting skin darkening device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for body contouring
KR101367817B1 (ko) 문신용 입술 팩 화장료 조성물
JP3866643B2 (ja) 髪色再生方法
KR102140198B1 (ko) 안와주위 이상변색의 외관을 개선하는 방법
KR102344747B1 (ko) 모발 및 모발들의 착색용 조성물의 용도
KR102368903B1 (ko) 속눈썹, 눈썹 및 모발의 굵기 증대 및 성장촉진용 조성물
KR102053888B1 (ko) 피부톤을 밝게 또는 어둡게 변화시켜주는 피부 리프팅 장치용 미백 색소실
KR101378789B1 (ko) 문신용 입술 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7115220A (zh) 一种抗衰老活性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WO2013094282A1 (ja) 毛髪及び皮膚外用剤組成物、並びに非治療的な美容方法
KR102174798B1 (ko) 안와주위 이상변색을 개선하기 위한 비시아 파바를 포함하는 화장 조성물
US20150080346A1 (en) Moisturizing composition
KR20100061261A (ko)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산화염색용 염모제 조성물
RU2328324C2 (ru) Способ устранения косметических недостатков и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возрастных изменений кожи
KR20220103432A (ko) 눈썹 문신 또는 반영구 화장에 의해 색소 침착된 피부 부위를 수정 또는 복구하는 방법
KR20180036113A (ko) 피부 착색용 화장료 조성물
CN105434303B (zh) 一种祛皱组合物及其皮肤外用制剂和该组合物的应用
Tsur et al. Camouflaging hairless areas on the male face by artistic tattoo
JP2022514422A (ja) 眉毛を染色またはメーキャップするための水性ゲル
Thami Micropigmentation
TWI827026B (zh) 紋身染料除色組合物及其用途
US12005136B2 (en) Method for translucent dyeing of hair (variants) and composition for the implementation thereof
KR20180102850A (ko)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