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327B1 - 차량용 토크 컨버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토크 컨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327B1
KR102053327B1 KR1020180046972A KR20180046972A KR102053327B1 KR 102053327 B1 KR102053327 B1 KR 102053327B1 KR 1020180046972 A KR1020180046972 A KR 1020180046972A KR 20180046972 A KR20180046972 A KR 20180046972A KR 102053327 B1 KR102053327 B1 KR 102053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rotation axis
fixing plate
hub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3165A (ko
Inventor
박진수
이원호
신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펙발레오
Priority to KR1020180046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327B1/ko
Publication of KR20190123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5/00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 F16H45/02Combinations of flui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couplings or clutches with mechanical clutches for bridging a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07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arrangement of the damper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1/00Rotary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41/2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1/00Rotary fluid gearing of the hydrokinetic type
    • F16H41/24Details
    • F16H2041/246Details relating to one way clutch of the st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Fluid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토크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크 컨버터는 프론트 커버, 프론트 커버와 결합하는 임펠러 쉘, 임펠러 쉘과 대면하고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터빈 쉘, 및 회전축 방향 상 임펠러 쉘과 터빈 쉘 사이에 배치되고,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액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리액터 조립체는 회전축과 동축이고, 회전축 방향상 일측이 개방된 허브 공간부를 가지는 리액터 몸체, 리액터 몸체에 결합되어 개방된 허브 공간부를 차단하는 고정 플레이트, 및 허브 공간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고정 플레이트와 토크 프루프하게 고정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제 1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토크 컨버터{Torque conver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유체 또는 록업 클러치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크 컨버터는, 차량의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 설치되어 유체를 이용하여 엔진의 회전력을 변속기에 전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토크 컨버터는,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임펠러, 이 임펠러에서 토출되는 오일에 의해 회전되는 터빈, 그리고 임펠러로 되돌아 흐르는 오일의 흐름을 임펠러의 회전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토크 변화율을 증대시키는 리액터('스테이터' 라고도 함)를 포함한다.
토크 컨버터는 엔진에 작용하는 부하가 커지면 동력전달 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엔진과 변속기 사이를 직접 연결하는 수단인 록업 클러치(Lock up clutch, 또는 '댐퍼 클러치'라고도 함)를 갖추고 있다. 록업 클러치는 엔진과 직결된 프론트 커버와 터빈 사이에 배치되어 엔진의 회전 동력이 직접 터빈을 통하여 변속기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록업 클러치는, 터빈 축에 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그리고 피스톤은 프론트 커버에 마찰 접촉하는 마찰재가 결합된다. 그리고 피스톤에는 마찰재가 프론트 커버에 결합될 때 축의 회전 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토셔널 댐퍼(Torsional damper)가 결합되어 있다.
종래의 토크 컨버터는 임펠러와 터빈 그리고 스테이터에 의해 주로 유체를 이용해 동력 전달을 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러나 제어기술의 발달과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차량의 발달로 유체에 의한 동력전달 기능은 약화되고 록업 클러치에 의한 동력전달이 강화되고 있다.
종래의 토크 컨버터는 제한된 공간에 별도의 록업 클러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커서 록업 클러치의 설계자유도가 떨어짐은 물론 동력전달 효율이 떨어져 연비 감소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터빈 쉘과 임펠러 쉘 사이에 마찰재를 설치하여 록업 클러치를 형성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록업 클러치는 이른바 터빈 클러치라고도 불리는데, 이러한 터빈 클러치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터빈, 리액터 등이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야 한다.
리액터가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리액터는 임펠러 쉘과 접촉할 수 있어 리액터와 임펠러 쉘 사이에는 원활한 회전을 위해 베어링 등이 적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스러스트 베어링의 경우 회전축 방향 상 일측과 타측 간의 거리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어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리액터와 임펠러 쉘 사이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터빈 클러치가 적용되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에 있어 리액터와 임펠러 쉘 사이에 와셔를 적용하여, 리액터와 임펠러 쉘이 상호 간섭 없이 원활히 회전 가능한 차량용 토크 컨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크 컨버터는 프론트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와 결합하는 임펠러 쉘; 상기 임펠러 쉘과 대면하고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터빈 쉘; 및 상기 회전축 방향 상 상기 임펠러 쉘과 상기 터빈 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액터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리액터 조립체는, 상기 회전축과 동축이고, 상기 회전축 방향상 일측이 개방된 허브 공간부를 가지는 리액터 몸체; 상기 리액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된 허브 공간부를 차단하는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허브 공간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토크 프루프하게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제 1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허브 공간부에는 일방향 클러치 조립체가 장착되고, 상기 제 1 와셔의 일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일방향 클러치 조립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일면은 상기 일방향 클러치 조립체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그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돌기를 가지고, 상기 리액터 몸체는 상기 허브 공간부를 형성하는 내주면에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하는 걸림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리액터 몸체는 상기 허브 공간부를 형성하는 내주면에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고정 플레이트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와셔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러스트 돌기를 가지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스러스트 돌기가 삽입되는 스러스트 돌기 삽입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와셔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 방지 돌기를 가지고, 상기 고정 플레이는 상기 회전 방지 돌기가 삽입되는 회전방지 돌기 삽입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와셔는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러스트 돌기와 상기 돌기 말단에 형성되는 스러스트 면을 가지고, 상기 스러스트 면에는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와셔는 임펠러 쉘의 일면과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터빈 쉘은 방사상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임펠러 쉘의 일부와 록업 클러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토크 컨버터는 상기 터빈 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력을 외부로 출력하고,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토셔널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셔널 댐퍼는 변속기 입력축과 연결되는 댐퍼 플린지 허브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 플린지 허브와 상기 프론트 커버 사이에 제 2 와셔가 배치되며, 상기 댐퍼 플린지 허브 및 상기 프론트 커버 각각에 상기 제 2 와셔의 형상에 대응되는 장작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터빈 클러치가 적용되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에 있어 리액터와 임펠러 쉘 사이에 와셔를 적용하여, 리액터와 임펠러 쉘이 상호 간섭 없이 원활히 회전 가능한 차량용 토크 컨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토셔널 댐퍼가 적용되는 경우, 토셔널 댐퍼와 프론트 커버 사이에 와셔를 적용하여, 토셔널 댐퍼와 프론트 커버가 간섭 없이 원활히 회전 가능한 차량용 토크 컨버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크 컨버터를 축방향으로 자른 반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리액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액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크 컨버터를 축방향으로 자른 반단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리액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액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크 컨버터는 프론트 커버(1), 임펠러(2), 터빈(3) 및 리액터 조립체(5)를 포함한다.
프론트 커버(1)는 엔진의 크랭크 축에 연결되어 회전하고, 상기 회전력은 프론트 커버(1)와 결합하는 임펠러(2)에 전달된다.
임펠러(2)는 임펠러 쉘(21) 및 임펠러 블레이드(23)을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 쉘(21)은 프론트 커버(1)와 결합되어, 프론트 커버(1)와 함께 회전한다. 임펠러 블레이드(23)는 임펠러 쉘(21)과 함께 회전하며, 회전력을 유체역학적으로 터빈(6)에 전달한다.
터빈(3)은 터빈 쉘(31) 및 터빈 블레이드(33)을 포함할 수 있다. 터빈 쉘(31)은 임펠러 쉘(21)과 대면하게 설치된다. 터빈 블레이드(33)는 임펠러 블레이드(23)로부터 유체역학적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이에 의해, 터빈(3)이 회전하게 된다.
리액터 조립체(5)는 회전축(A) 방향 상 임펠러 쉘(21)과 터빈 쉘(31) 사이에 배치된다. 리액터 조립체(5)는 터빈(3)으로부터 나오는 유체의 흐름을 바꾸어 임펠러(2) 측으로 전달한다. 리액터 조립체는(5)는 회전축(A)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액터 조립체(5)는 리액터 몸체(51), 고정 플레이트(53), 제 1 와셔(55)를 포함한다.
리액터 몸체(51)는 회전축(A)과 동축, 즉 동일한 회전 중심을 가지는 허브 공간부(511)를 가진다. 허브 공간부(511)는 일측이 완전히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53)는 리액터 몸체(51)에 결합되어 허브 공간부(511)의 상기 개방된 일측을 차단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리액터 몸체(51)는 고정 플레이트(53)가 안착되는 고정 플레이트 안착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 안착부(512)는 허브 공간부(511)를 형성하는 내주면과 상기 내주면을 방사상으로 가로 지르는 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53)가 고정 플레이트 안착부(512)에 안착된 후, 고정 플레이트(53)는 고정 플레이트 안착부(512)에 코킹됨으로써, 고정 플레이트(52)가 리액터 몸체(51)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와셔(55)는 허브 공간부(511)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고정 플레이트(53)와 토크 프루프하게 고정 플레이트(53)에 장착된다.
제 1 와셔(55)는 회전축(A)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러스트 돌기(551)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53)는 상기 스러스트 돌기(551)가 삽입되는 스러스트 돌기 삽입홀(533)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와셔(55)는 허브 공간부(511) 내측으로부터 고정 플레이트(53)에 장착되되, 스러스트 돌기(551)가 스러스트 돌기 삽입홀(533)에 삽입되어, 스러스트 돌기(551)가 허브 공간부(511) 외측으로 돌출되게 된다.
리액터 조립체(5)가 회전축(A)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스러스트 돌기(551)는 임펠러 쉘(21)의 일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즉, 리액터 조립체(5)가 임펠러 쉘(21)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스러스트 돌기(551)는 임펠러 쉘(21)의 일면과 접촉하게 되고, 리액터 조립체(5)가 반대로 이동하는 경우 임펠러 쉘(21)의 일면과 떨어지게 된다.
제 1 와셔(55), 특히 스러스트 돌기(551)의 말단에 형성되어 임펠러 쉘(21)의 일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스러스트 면(554)은 마찰계수가 낮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리액터 조립체(5)가 임펠러 쉘(21) 측으로 이동하여 이액터 조립체(5)와 임펠러 쉘(21)의 일면이 접촉하는 경우에도 리액체 조립체와 임펠러 쉘(21)은 원활하게 상대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스러스트 면(554)에는 그루브(55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555)에는 토크 컨버터 내부의 유체가 흐를 수 있고, 이에 의해 스러스트 면(554)과 임펠러 쉘(21) 사이의 마찰력은 보다 더 저하될 수 있다.
제 1 와셔(55)는 회전축(A)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 방지 돌기(553)를 가질 수 있고, 고정 플레이트(53)는 상기 회전 방지 돌기(553)가 삽입되는 회전방지 돌기 삽입홀(535)을 가질 수 있다. 회전 방지 돌기(553)가 회전방지 돌기 삽입홀(535)에 삽입되면, 고정 플레이트(53)와 제 1 와셔(55)는 서로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 1 와셔(55)는 고정 플레이트(53)와 토크 프루프하게 고정 플레이트(53)에 장착된다.
리액터 몸체(51)의 허브 공간부(511)에는 일방향 클러치(573)가 장착될 수 있다.
일방향 클러치 조립체(57)는 아웃터 레이스(571), 일방향 클러치(573), 이너 레이스(575)로 구성될 수 있다.
아웃터 레이스(571)는 허브 공간부(511) 내에 장착되고, 아웃터 레이스(571)의 외주면은 리액터 몸체(51)와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아웃터 레이스(571)의 내주면은 일방향 클러치(573)를 사이에 두고 이너 레이스(575)와 연결된다. 이에 의해 아웃터 레이스(571) 및 그와 결합된 리액터 몸체(51)는 이너 레이스(575)에 대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된다.
허브 공간부(511)에 일방향 클러치 조립체(57)가 장착되는 경우 제 1 와셔(55)의 일부, 즉 고정부(557)는 고정 플레이트(53)와 일방향 클러치 조립체(5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정 플레이트(53) 고정부(557)의 양면이 일방향 클러치 조립체(57)와 고정 플레이트(53)에 밀착되어, 제 1 와셔(55)가 고정 플레이트(53)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53)의 일면은 일방향 클러치 조립체(57)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 플레이트(53)에는 일방향 클러치 조립체(57) 측으로 휘어지는 굴곡부(537)가 형성될 수 있고, 굴곡부(537)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53)의 접촉면(538)이 일방향 클러치 조립체(57)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일방향 클러치 조립체(57)는 허브 공간부(511)에 장착되어 리액터 몸체(51)에 대해 회전축(A) 방향 상으로 이동이 제한될 수 있으나, 상기 접촉에 의해 상기 이동이 보다 확실히 제한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53)는 그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돌기(531)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리액터 몸체(51)는 허브 공간부(511)를 형성하는 내주면에 복수개의 걸림홈(513)을 가질 수 있다. 걸림홈(513)은 걸림돌기(531)가 끼워져 안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걸림돌기(531)가 걸림홈(513)에 안착되면, 리액터 몸체(51)와 고정 플레이트(53) 간의 상대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터빈 쉘(31)은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는 터빈 쉘 연장부(311)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임펠러 쉘(21)도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되는 임펠러 쉘 연장부(211)를 가질 수 있다.
터빈 쉘 연장부(311)와 임펠러 쉘 연장부(211) 사이에는 마찰재(41)가 배치될 수 있고, 마찰재(41)는 터빈 쉘 연장부(311) 또는 임펠러 쉘 연장부(211)에 접착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빈 쉘(31)은 회전축(A)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터빈 쉘(31)이 임펠러 쉘(21) 측으로 이동한 때에는 터빈 쉘(31)과 임펠러 쉘(21)이 마찰재(41)에 의해 록업되어 함께 회전하게 된다. 반대로 터빈 쉘(31)이 반대로 이동한 때에는 상기 록업이 해제되게 된다.
즉, 록업 클러치(4)가 터빈 쉘 연장부(311), 마찰재(41) 및 임펠러 쉘 연장부(211)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크 컨버터는 토셔널 댐퍼(6)를 포함할 수 있다. 토셔널 댐퍼(6)는 터빈 쉘(3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력을 외부, 즉 변속기 등으로 출력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토셔널 댐퍼(6)는 리테이닝 플레이트(61),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탄성 요소(63), 댐퍼 플린지(64) 및 댐퍼 플린지 허브(65)를 포함할 수 있다. 리테이닝 플레이트(61)는 리벳 결합 등에 의해 터빈 쉘(3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고, 상기 회전력은 탄성 요소(63)를 지나 댐퍼 플린지(64) 및 댐퍼 플린지 허브(65)에 전달된 후, 댐퍼 프린지 허브(65)와 연결되는 변속기 입력축에 전달되게 된다.
한편, 토셔널 댐퍼(6)는 회전축(A)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토셔널 댐퍼(6)는 프론트 커버(1)의 일면과 접촉될 수 있는데, 상기 접촉은 프론트 커버(1)와 토셔널 댐퍼(6) 상호 간의 회전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댐퍼 플린지 허브(65)와 프론트 커버(1) 사이에는 제 2 와셔(7)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와셔(7)도 제 1 와셔(55)와 동일하게 마찰계수가 낮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제 2 와셔(7)는 회전축(A)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 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와셔(7)의 배치를 위해 프론트 커버(1)와 댐퍼 플린지 허브(65) 각각에는 제 2 와셔(7)의 형상에 대응되는 제 1 및 제 2 장착홈(11, 65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와셔(7)는 제 1 장착홈(11)과 제 2 장착홈(651)의 형상에 의해 그 사이에 고립되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제 2 와셔(7)는 제 1 장착홈(11) 및 제 2 장착홈(651) 중 어느 하나에 접착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프론트 커버, 2: 임펠러,
3: 터빈, 4: 록업 클러치,
5: 리액터 조립체(5), 6: 토셔널 댐퍼,
7: 제 2 와셔 11: 제 1 장착홈,
21: 임펠러 쉘, 31: 터빈 쉘,
23: 임펠러 블레이드, 33: 터빈 블레이드,
41: 마찰재, 51: 리액터 몸체,
53: 고정 플레이트, 55: 제 1 와셔,
57: 일방향 클러치 조립체, 61: 리테이닝 플레이트,
63: 탄성 요소, 64: 댐퍼 플린지,
65: 댐퍼 플린지 허브, 211: 임펠러 쉘 연장부,
311: 터빈 쉘 연장부, 511: 허브 공간부,
512: 고정 플레이트 안착부, 513: 걸림홈,
531: 걸림돌기, 533: 스러스트 돌기 삽입홀,
535: 회전방지 돌기 삽입홀, 537: 굴곡부,
538: 접촉면, 551: 스러스트 돌기,
553: 회전방지 돌기, 554: 스러스트 면,
555: 그루브, 557: 고정부,
571: 아웃터 레이스, 573: 일방향 클러치,
575: 이너 레이스, 651: 제 2 장착홈

Claims (12)

  1. 프론트 커버;
    상기 프론트 커버와 결합하는 임펠러 쉘;
    상기 임펠러 쉘과 대면하고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터빈 쉘; 및
    상기 회전축 방향 상 상기 임펠러 쉘과 상기 터빈 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액터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리액터 조립체는,
    상기 회전축과 동축이고, 상기 회전축 방향상 일측이 개방된 허브 공간부를 가지는 리액터 몸체;
    상기 리액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된 허브 공간부를 차단하는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허브 공간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토크 프루프하게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제 1 와셔;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와셔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회전 방지 돌기를 가지며,상기 고정 플레이는 상기 회전 방지 돌기가 삽입되는 회전방지 돌기 삽입홀을 가지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 공간부에는 일방향 클러치 조립체가 장착되고,
    상기 제 1 와셔의 일부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일방향 클러치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일면은 상기 일방향 클러치 조립체의 일면에 접촉되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그 외주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돌기를 가지고,
    상기 리액터 몸체는 상기 허브 공간부를 형성하는 내주면에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하는 걸림홈을 가지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액터 몸체는 상기 허브 공간부를 형성하는 내주면에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안착되는 고정 플레이트 안착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와셔는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러스트 돌기를 가지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는 상기 스러스트 돌기가 삽입되는 스러스트 돌기 삽입홀을 가지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와셔는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러스트 돌기와 상기 돌기 말단에 형성되는 스러스트 면을 가지고,
    상기 스러스트 면에는 그루브가 형성되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와셔는 임펠러 쉘의 일면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빈 쉘은 방사상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임펠러 쉘의 일부와 록업 클러치를 형성하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토크 컨버터는 상기 터빈 쉘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력을 외부로 출력하고,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토셔널 댐퍼를 포함하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셔널 댐퍼는 변속기 입력축과 연결되는 댐퍼 플린지 허브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 플린지 허브와 상기 프론트 커버 사이에 제 2 와셔가 배치되며,
    상기 댐퍼 플린지 허브 및 상기 프론트 커버 각각에 상기 제 2 와셔의 형상에 대응되는 장작홈이 형성되는 차량용 토크 컨버터.
KR1020180046972A 2018-04-23 2018-04-23 차량용 토크 컨버터 KR102053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972A KR102053327B1 (ko) 2018-04-23 2018-04-23 차량용 토크 컨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972A KR102053327B1 (ko) 2018-04-23 2018-04-23 차량용 토크 컨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165A KR20190123165A (ko) 2019-10-31
KR102053327B1 true KR102053327B1 (ko) 2019-12-06

Family

ID=68420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972A KR102053327B1 (ko) 2018-04-23 2018-04-23 차량용 토크 컨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3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0529A (ja) * 2015-07-07 2017-01-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動吸振器付ダン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5549Y2 (ja) * 1990-08-31 1997-02-12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ステータ
KR101311531B1 (ko) * 2011-10-26 2013-09-25 한국파워트레인 주식회사 차량용 토크 컨버터
BR102012022690A2 (pt) * 2012-09-06 2014-06-10 Whirlpool Sa Mancal hidrodinâmico aplicado em interface de contato de compressor de fluidos baseado em mecanismo tipo espir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20529A (ja) * 2015-07-07 2017-01-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動吸振器付ダン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165A (ko)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5068B2 (ja) ロックアップ装置
KR102038826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WO2011070888A1 (ja) トルクコンバータ用ロックアップ装置
US6899210B2 (en) Piston coupling mechanism and lockup device for fluid-type torque transmission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US6264018B1 (en) Lockup device of a torque converter
US6464054B2 (en) Hydraulic torque transmitting device
KR102053327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KR102005714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JP2000266158A (ja)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装置
US6866129B2 (en) Lockup device for fluid-type torque transmission device
CN212564292U (zh) 用于机动车辆的液力变矩器和包括其的机动车辆
KR102349101B1 (ko) 토크 컨버터용 펜들럼 댐퍼 어셈블리
US6837347B2 (en) Lockup device for fluid-type torque transmission device
US4768633A (en) Torque converter lock up clutch rotary shock absorber with inner plate element location construction
KR102036564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KR102069526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JPH05187518A (ja) 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付き流体伝動装置
KR101944902B1 (ko) 래틀 소음 개선형 차량용 토크 컨버터
US6202810B1 (en) Lock-up clutch mechanism of torque converter
JP2004513304A (ja) 自動車用の流体動力学的結合装置
KR102270056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KR102070578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JP4694876B2 (ja) 流体式トルク伝達装置
KR102088665B1 (ko) 차량용 토크 컨버터
US4440276A (en) Torque converter lock up clutch shock absorber with pressure transmitting hole through disk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