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997B1 -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 - Google Patents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997B1
KR102052997B1 KR1020170104529A KR20170104529A KR102052997B1 KR 102052997 B1 KR102052997 B1 KR 102052997B1 KR 1020170104529 A KR1020170104529 A KR 1020170104529A KR 20170104529 A KR20170104529 A KR 20170104529A KR 102052997 B1 KR102052997 B1 KR 102052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gas
chamber
filte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0239A (ko
Inventor
강훈
윤광상
정낙은
이익진
이준혁
임현준
김두영
공서영
이준영
진익중
Original Assignee
아이디에스(주)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디에스(주),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아이디에스(주)
Priority to KR1020170104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997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171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 A61B5/1172Identification of persons based on the shapes or appearances of their bodies or parts thereof using fingerprin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는 일측으로 개구되며 3개 이상의 모듈공이 형성된 챔버로 이루어진 챔버부와, CA기체발생모듈과, CA기체필터모듈과, 습도조절모듈로 이루어지며; 상기 CA기체발생모듈과, CA기체필터모듈과, 습도조절모듈은 챔버부를 이루는 챔버의 각 모듈공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Portable Fingerprint Detection Device Of Module-Type}
본 발명은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 및 조립식으로 이루어져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며, 지문 현출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 가스를 제거하며 현장에서 바로 지문 현출이 가능한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지문은 사건, 사고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 범인을 찾아낼 수 있는 결정적인 증거자료가 되기 때문에 사건, 사고 등이 발생하게 되면 범인의 지문이 찍혀있는 증거물을 수집하게 되며, 이를 약품으로 처리한 후에 지문 현출 장치를 이용하여 지문을 현출한다. 이렇게 현출된 지문을 이용하여 지문대조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지문과 비교 대조함으로써 범인을 조사하게 된다.
지문을 현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체법, 액체법, 분말법이 제시되고 있다.
분말법은 미세한 분말을 지문이 있는 물체에 뿌려 잠재지문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액체법은 닌히드린(ninhydrin) 용액 등이 사용된다. 닌히드린(ninhydrin) 용액법은 땀속에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에 작용 자청색의 발색(發色)반응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닌히드린 용액을 스텐레스 용기에 부은 후 검체를 담가서 적신 후 2분 경과되면 용액이 증발하게 되고 이를 약 1분간 가열함으로써 잠재지문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기체법은 CA(CyanoAcrylate:시아노아크릴레이트,순간접착제) 등이 사용된다. CA(CyanoAcrylate)법은 CA현출제인 CA를 훈증하여 증기에 의해 지문 속에 함유되어 있는 염분, 지방분, 단백질 등과 화학반응을 일으켜서 백색의 잠재지문이 검출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CA(CyanoAcrylate)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지문 현출 장치에서는 가열부가 설치되며, 상기 가열부에 CA현출제를 놓고 가열하여 훈증된 CA기체가 잠재 지문에 증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지문 현출 장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에 설치되는 컨트롤박스(50)와, 제1 본체(20)와, 제2 본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컨트롤박스(50)는 상기 지문 현출 장치의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으로써 본체부(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박스(50)는 제1 본체(20)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제어하는 터치 패널과 제1 본체(20)의 전원, 상부회전프레임, 하부회전선반, 램프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본체(20)는 지문 현출 작업이 이루어지는 작업공간으로써, 도어(21)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본체(20) 내부에는 바닥면에 설치되어 전원 인가시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는 가열부(25)와, 제1 본체(20)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배기구와, 작업공간 내부의 일정한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급배수라인이 설치된다. 상기 제1 본체(20)의 내측 벽면에는 지문감식을 위한 증거물(검체) 거치하는 선반(23)이 설치된다.
상기 가열부(25)는 제1 본체(20) 바닥면에 설치되어 전원 인가시 가열수단에 의해 내부를 적정 온도로 가열시킨다. 상기 가열부(25)에는 CA(CyanoAcrylate)로 이루어지는 현출제가 적치된다.
상기 제1 본체(20)의 하부에는 제2 본체(30)이 설치된다. 상기 제2 본체(30) 내부에는 호스로 이루어진 내부덕트(31), 급수탱크(33-1), 배수조(32-1)가 설치된다. 상기 내부덕트(31)는 상기 배기구와 연결되며, 상기 내부덕트(31)에는 상기 제1 본체(20)의 내부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기(31-1)가 설치된다. 상기 급수탱크(33-1)와 배수조(32-1)는 상기 급수라인(32) 및 배수라인(33)과 연결되며, 상기 배수라인(32)에는 밸브(32-5)가 설치된다.
종래의 지문 현출 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지문 현출 작업시 증거물(검체)을 선반(23)에 올려놓고 현출 작업을 수행한다. 제1 본체(20)의 내부 온도는 가열부(25)에 설치된 온도센서를 통해 적정 온도로 유지된다.
상기 제1 본체(20) 내부에서 유해 가스 등이 발생되면 내부덕트(31)를 통해 내부공기를 배기시킨다. 지문 현출 작업 중 급수라인(33)을 이용하여 제1 본체(20) 내부 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급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배수라인(32)을 통해 제1 본체(20) 내부의 제공된 급수 중 불필요한 것이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지문 현출 장치는 부피가 커 휴대가 불편하며, 정형화된 챔버로 인해 사용성 및 효율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2727(2010.08.23)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다양한 크기의 챔버가 구비되어 상황에 맞는 챔버 사용이 가능하며,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여 휴대와 이동성이 향상되는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는 일측으로 개구되며 3개 이상의 모듈공이 형성된 챔버로 이루어진 챔버부와, CA기체발생모듈과, CA기체필터모듈과, 습도조절모듈로 이루어지며; 상기 CA기체발생모듈과, CA기체필터모듈과, 습도조절모듈은 챔버부를 이루는 챔버의 각 모듈공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챔버부는 복수의 챔버로 이루어지며, 챔버는 일측으로 개구된 중공체로 형태로 형성되며, 챔버부를 이루는 복수의 챔버 중 가장 큰 챔버 내로 나머지 챔버가 수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챔버는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며, 직각으로 절곡된 면이 개구되어 챔버개구부가 직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CA기체발생모듈은 기체모듈본체와, 상기 기체모듈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체모듈본체는 내측에 단면이 원형인 회전부재지지부가 형성된 기체모듈본체부와, 상기 기체모듈본체부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는 기체모듈지지부와, 상기 기체모듈본체부와 기체모듈지지부를 연결하며 기체모듈본체부와 기체모듈지지부 사이에 기체모듈오목부를 형성하는 기체모듈연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재지지부는 기체모듈지지부의 반대쪽으로 개구되며 기체모듈본체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는 회전부재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단면이 원형인 회전본체와, 상기 회전본체로부터 기체모듈지지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단면이 원호형인 회전덮개부와, 상기 회전덮개부의 반대쪽으로 상기 기체모듈본체개구부로 돌출된 회전손잡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체모듈연결부는 회전덮개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회전손잡이를 돌려 회전부재가 회전하면 기체모듈연결부와 마주하여 기체모듈오목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기체모듈지지부에는 기체모듈본체부를 향하는 면에 오목하며 링형인 지지본체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덮개부의 단부는 지지본체홈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기체모듈지지부로부터 기체모듈본체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기체모듈연결부를 향하는 면은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반대쪽면은 평면을 형성된 기체모듈적치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기체모듈적치부의 원호면은 회전덮개부의 내면과 마주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CA기체필터모듈은 중공체이며 모듈공으로 삽입되도록 돌출되며 단부가 개구된 필터모듈삽입부와 개구되어 물수용부재가 연결되는 수용부재연결부를 가지는 필터모듈본체와, 상기 수용부재연결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며 내측에 물이 수용되는 물수용부재와, 상기 필터모듈본체 내에 구비되는 필터모듈펌프와, 일측은 상기 필터모듈펌프의 흡입부에 연결되며 단부는 필터모듈삽입부 내로 위치하여 필터모듈삽입부가 모듈공에 삽입되면 챔버 내로 연통되는 흡입관과, 일측은 상기 필터모듈펌프의 배출부에 연결되며 타측은 물수용부재로 연장되어 물수용부재 내에 수용된 물에 잠기도록 구비되는 연결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는 다양한 크기의 챔버가 구비되어 상황에 맞는 챔버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여 CA 가스 증착으로 인한 기기 손상이 방지되어 기기의 수명이 증대되며, 기기의 휴대와 이동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문 현출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내부 설치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의 챔버부의 챔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의 CA기체발생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CA기체발생모듈의 회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의 CA기체발생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의 CA기체필터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의 습도조절모듈의 일부를 절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1은 챔버의 모듈공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의 챔버부의 챔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의 CA기체발생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CA기체발생모듈의 회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의 CA기체발생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의 CA기체필터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의 습도조절모듈의 일부를 절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1은 챔버의 모듈공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서 세로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100)는 챔버부(110)와, CA기체발생모듈(120)과, CA기체필터모듈(130)과, 습도조절모듈(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100)는 챔버부(110)에 CA기체발생모듈(120), CA기체필터모듈(130), 습도조절모듈(140)이 조립 및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챔버부(110)는 복수의 챔버(111)로 이루어진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111)는 일측이 개구된 중공체로 형성된다. 상기 챔버(111)는 일측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챔버(111)는 지문 현출 과정을 바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투명창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챔버부(110)를 이루는 복수의 챔버(111) 중 가장 큰 챔버(111)는 가장 큰 챔버(111) 내로 나머지 챔버(111)가 수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지문 현출 장치(100)는 가장 큰 챔버(111) 내로 나머지 챔버(111)와, CA기체발생모듈(120)과, CA기체필터모듈(130)과, 습도조절모듈(140)을 넣을 수 있어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3과 도 4는 챔버(111)가 하향 개구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챔버(111)는 복수의 챔버본체패널(111-1)과 이음부재(1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챔버본체패널(111-1)은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챔버본체패널(111-1)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챔버본체패널(111-1)이 서로 접하는 부분은 이음부재(111-3)로 결합된다. 상기 이음부재(111-3)로는 접착제 등이 있다.
상기 챔버(111)에는 3개의 모듈공(111-1a)이 형성된다. 상기 모듈공(111-1a)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모듈공(111-1a)은 개구부와 마주하는 챔버본체패널(111-1)과, 개구부와 접하며 서로 마주하는 챔버본체패널(111-1)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챔버(111)의 나머지 면을 이루는 챔버본체패널(111-1)에도 각각 모듈공(1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공(111-1a)에는 CA기체발생모듈(120), CA기체필터모듈(130), 습도조절모듈(140)이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비된다. 사용자는 지문 현출의 장소에 맞게 모듈공(111-1a)의 위치를 선택하여 CA기체발생모듈(120)과, CA기체필터모듈(130)과, 습도조절모듈(140)을 삽입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모듈공(111-1a)이 4개 이상 형성된 경우 CA기체발생모듈(120)과, CA기체필터모듈(130)과, 습도조절모듈(140)이 삽입되지 않은 모듈공(111-1a)은 씰부재(도시하지 않음)로 막아 구비한다.
상기 모듈공(111-1a)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11)의 내측으로 내향 돌출된 챔버본체지지부(111-1b)가 더 구비된다. 상기 챔버본체지지부(111-1b)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챔버본체지지부(111-1b)는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챔버본체지지부(111-1b)는 모듈공(111-1a)에 삽입되는 CA기체발생모듈(120)과, CA기체필터모듈(130)과, 습도조절모듈(1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111)는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직각으로 절곡 형성된 챔버(111)에는 오목하게 직각으로 절곡된 면이 개구되어 챔버개구부(OP)가 직각으로 형성된다.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인 챔버(111)는 직각으로 돌출 형성된 벽면에 남겨진 지문 현출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직각으로 형성된 챔버개구부(OP)를 직각으로 돌출된 면에 밀착시켜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여 지문을 현출할 수 있다.
상기 CA기채발생모듈(120)은 상기 모듈공(111-1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A기체발생모듈(120)은 기체모듈본체(121)와 회전부재(123)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체모듈본체(121)는 일부가 개구된 중공체로 형성된다. 상기 기체모듈본체(121)는 기체모듈본체부(1211)와, 기체모듈지지부(1213)와, 기체모듈연결부(1215)로 이루어진다.
도 6에서 회전손잡이(1235)에서 기체모듈지지부(1213)를 향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기체모듈본체부(1211)는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의 중공체로 형성된다. 상기 기체모듈본체부(1211)의 외면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기체모듈본체부(1211)의 외면은 상기 모듈공(111-1a)에 슬라이딩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기체모듈본체부(1211)의 외면은 상기 모듈공(111-1a)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모듈공(111-1a)이 다각형인 경우 기체모듈본체부(1211)의 외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기체모듈본체부(1211)의 외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기체모듈본체부(1211)의 외면에는 기체모듈걸림돌기부(1219)가 구비된다. 상기 기체모듈걸림돌기부(1219)는 상기 기체모듈본체부(1211)의 양단부로부터 이격되어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기체모듈걸림돌기부(1219)는 상기 CA기체발생모듈(120)이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체모듈본체부(1211)의 외면에는 상기 기체모듈걸림돌기부(1219)의 전방으로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씰링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씰링부재는 기체모듈본체부(1211)의 외면에 얇은 층을 이루어 구비된다. 상기 씰링부재는 상기 CA기체발생모듈(120)이 모듈공(111-1a)에 삽입되었을 때 CA기체 누설을 방지하며, 모듈공(111-1a)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체모듈본체부(1211)의 내측면에는 단면이 원형인 회전부재지지부(1211a)가 형성된다. 상기 기체모듈본체부(1211)의 일측에는 회전부재지지부(1211a)로부터 반경 방향 내향 돌출된 턱부(1214a)가 형성되며 기체모듈본체개구부(1214)가 형성된다. 상기 턱부(1214a)는 회전부재(123)가 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기체모듈지지부(1213)는 상기 기체모듈본체부(1211)의 전방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기체모듈지지부(1213)에는 상기 기체모듈본체부(1211)를 향하는 면에 오목하며 링형인 지지본체홈(1213a)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본체홈(1213a)에는 회전부재(123)의 회전덮개부(1233)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지지본체홈(1213a)은 상기 회전부재(123)의 전방 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회전부재(123)의 회전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기체모듈연결부(1215)는 상기 기체모듈본체부(1211)와 기체모듈지지부(1213)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기체모듈연결부(1215)는 단면이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기체모듈연결부(1215)의 원호각은 180°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기체모듈연결부(1215)의 원호각은 180∼270°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체모듈연결부(1215)는 상기 기체모듈본체부(1211)와 기체모듈지지부(1213)를 연결하며 기체모듈본체부(1211)와 기체모듈지지부(1213) 사이에 기체모듈오목부(1217)를 형성한다.
상기 기체모듈연결부(1215)는 단면이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내면에 회전덮개부(1233)의 외면이 마주하여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기체모듈연결부(1215)는 회전덮개부(1233)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회전손잡이(1235)를 돌려 회전부재(123)가 회전하면 기체모듈연결부(1215)의 내면과 회전부재(123)의 회전덮개부(1233)의 내면이 마주하여 기체모듈오목부(1217)를 덮도록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재(123)는 상기 기체모듈본체(1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123)는 회전본체(1231)와, 회전덮개부(1233)와, 회전손잡이(1235)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본체(1231)는 상기 회전부재지지부(1211a)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회전본체(1231)는 단면이 원형인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본체(1231)는 중공체일 수도 있다.
상기 회전덮개부(1233)는 상기 회전본체(1231)로부터 기체모듈지지부(1213)를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상기 회전덮개부(1233)는 단면이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덮개부(1233)의 단부는 상기 기체모듈지지부(1213)의 지지본체홈(1213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회전덮개부(1233)는 원호각이 180°인 반원호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체모듈연결부(1215)는 원호각이 180°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덮개부(1233)가 회전하여 기체모듈연결부(1215)와 마주할 때 기체모듈연결부(1215)의 원호의 양단부는 회전덮개부(1233)의 원호의 양단부와 오버랩된다. 상기 기체모듈연결부(1215)의 양단부와 회전덮개부(1233)가 오버랩되도록 구비됨으로써 기체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회전손잡이(1235)는 상기 회전본체(1231)의 후방에 구비된다. 상기 회전손잡이(1235)는 상기 기체모듈본체개구부(1214)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CA기체발생모듈(120)에는 기체모듈적치부(12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체모듈적치부(1212)는 기체모듈지지부(1213)로부터 기체모듈본체부(1211)를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기체모듈적치부(1212)는 기체모듈연결부(1215)를 향하는 면은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반대쪽인 기체모듈오목부(1217)를 향하는 면은 평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기체모듈적치부(1212)의 원호면은 상기 회전덮개부(1233)의 내면과 마주하여 구비된다.
상기 CA기체발생모듈(120)에서 CA기체를 발생시킬 때, 기체발생물질인 NaOH 수용액을 묻힌 솜(이하에서는 'NaOH 솜'이라고 한다.)을 상기 기체모듈적치부(1212)에 올려놓은 후, 순간접착제를 뿌려 모듈공(111-1a)으로 삽입하여 NaOH 솜으로부터 CA기체를 발생시킨다.
상기 기체모듈적치부(1212)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덮개부(1233)의 원호형인 오목한 내면에 기체발생물질을 적치할 수 있다.
CA기체가 발생되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상기 CA기체발생모듈(120)은 상기 회전부재(123)가 회전부재지지부(1211a)를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기체모듈적치부(1212)를 덮어 CA기체가 챔버(111) 내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CA기체발생모듈(120)에는 별도의 가열수단(도시하지 않음)과 전원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기체발생모듈(120)은 전원 인가시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며, 기체모듈적치부(1212)에 적치된 기체발생물질인 현출제(CA;Cyanoacrylate)가 훈증되며 CA기체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CA기체필터모듈(130)은 상기 모듈공(111-1a) 중 어느 하나에 삽입 구비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A기체필터모듈(130)은 필터모듈본체(131)와, 필터모듈펌프(133)와, 물수용부재(137)와, 흡입관(135)과, 연결관(139)으로 이루어진다.
도 9에서 세로 방향은 "상하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필터모듈본체(131)는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필터모듈본체(131)는 상기 모듈공(111-1a)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필터모듈본체(131)에는 필터모듈삽입부(131-1)와 수용부재연결부(131-5)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모듈삽입부(131-1)는 상기 모듈공(111-1a)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필터모듈삽입부(131-1)는 단부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필터모듈삽입부(131-1)의 외면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모듈삽입부(131-1)의 외면은 상기 모듈공(111-1a)에 슬라이딩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필터모듈삽입부(131-1)의 외면은 상기 모듈공(111-1a)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모듈공(111-1a)이 다각형인 경우 필터모듈삽입부(131-1)의 외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필터모듈삽입부(131-1)의 외면에는 고무 재질인 씰링부재(131-3)가 구비된다. 상기 씰링부재(131-3)는 챔버(111)로부터 모듈공(111-1a)을 통해 CA기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밀봉하며, CA기체필터모듈(130)이 상기 모듈공(111-1a)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용부재연결부(131-5)는 상기 필터모듈본체(131)의 하부에 하향 개구되어 구비된다. 상기 수용부재연결부(131-5)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물수용부재(137)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물수용부재(137)는 일측이 개구된 중공체로 형성된다. 상기 물수용부재(137)는 내측이 물이 수용되어 상기 수용부재연결부(131-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물수용부재(137)의 개구부에는 나사산인 수용부재연결부(137-1)가 형성된다.
상기 물수용부재(137)의 수용부재연결부(137-1)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모듈본체(131)의 수용부재연결부(131-5)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물수용부재(137)는 필터모듈본체(131)에 나사체결되어 결합된다.
상기 필터모듈펌프(133)는 상기 필터모듈본체(131) 내에 구비된다. 상기 필터모듈펌프(133) 내에는 모터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모듈펌프(133)는 전원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고 모터가 구동되며 필터모듈펌프(133)가 작동된다.
상기 흡입관(135)은 관체로 형성된다. 상기 흡입관(135)의 일측은 상기 필터모듈펌프(133)의 흡입부에 연결된다. 상기 흡입관(135)의 타측 단부는 필터모듈삽입부(131-1) 내로 위치하여 필터모듈삽입부(131-1)가 모듈공(111-1a)에 삽입되면 챔버(111)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흡입관(135)의 단부는 필터모듈삽입부(131-1)의 단부로부터 돌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관(135)은 상기 필터모듈삽입부(131-1)와 통로가 분리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관(139)은 관체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관(139)의 일측은 상기 필터모듈펌프(133)의 배출부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관(139)의 타측은 물수용부재(137)로 연장되어 물수용부재(137) 내에 수용된 물에 잠기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결관(139)의 타측 단부는 상기 물수용부재(137)의 바닥부로부터 상향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CA기체필터모듈(130)은 상기 챔버(111) 내에 형성된 CA기체를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CA기체가 상기 흡입관(135)과 연결관(139)을 통해 물수용부재(137)에 수용된 물에 용해되면서 정화된다. 정화된 기체는 상기 필터모듈삽입부(131-1)를 통해 챔버(111) 내로 배출된다.
상기 습도조절모듈(140)은 상기 모듈공(111-1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습도조절모듈(140)은 습도조절본체부(141)와, 습도조절삽입부(143)와, 습도조절설치부(145)로 이루어진다.
상기 습도조절본체부(141)에는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와, 분무장치인 진동자(도시하지 않음)와, 전자회로부(도시하지 않음) 등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습도조절삽입부(143)는 상기 모듈공(111-1a)에 삽입되도록 상기 습도조절본체부(141)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상기 습도조절삽입부(143)는 단부가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습도조절삽입부(143)의 외면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습도조절삽입부(143)의 외면은 상기 모듈공(111-1a)에 슬라이딩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습도조절삽입부(143)의 외면은 상기 모듈공(111-1a)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모듈공(111-1a)이 다각형인 경우 습도조절삽입부(143)의 외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습도조절삽입부(143)의 외면에는 고무 재질인 씰링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씰링부재는 챔버(111)로부터 모듈공(111-1a)을 통해 CA기체가 누설되지 않도록 밀봉하며, 상기 모듈공(111-1a)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습도조절설치부(145)는 상기 습도조절본체부(141)에 형성된다. 상기 습도조절설치부(145)는 상기 습도조절삽입부(143)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습도조절설치부(145)의 단부는 개구되어 형성된다. 습도조절설치부(145)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물이 수용되는 병(BT)의 개구부와 나사체결되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습도조절모듈(140)은 병(BT)에 수용된 물이 습도조절설치부(145) 쪽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챔버(111)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이 채워져 있는 병(BT)이 연결된 습도조절모듈(140)에 전원 스위치를 켜면 병(BT)으로부터 진동자로 유입된 물이 미립화되고, 미화된 수분입자는 습도조절삽입부(143)을 통하여 챔버(111) 내로 토출된다. 상기 습도조절모듈(140)에 의해 챔버(111) 내부의 습도가 조절된다. 챔버(111) 내부의 습도는 육안으로 확인하여 적정 습도가 되면 전원 스위치를 쓴다.
상기 습도조절모듈(140)의 가습 원리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0627호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100)는 복수의 챔버(111) 중 가장 큰 챔버(111)에 나머지 챔버(111)와, CA기체발생모듈(120)과, CA기체필터모듈(130)과, 습도조절모듈(140)을 넣을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하다.
또한, 다양한 크기의 챔버(111)와, CA기체발생모듈(120)과, CA기체필터모듈(130)과, 습도조절모듈(140)을 상황에 맞게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
110 : 챔버부 111 : 챔버
120 : CA기체발생모듈 121 : 기체모듈본체
123 : 회전부재 130 : CA기체필터모듈
131 : 필터모듈본체 133 : 필터모듈펌프
135 : 흡입관 137 : 물수용부재
139 : 연결관 140 : 습도조절모듈
141 : 습도조절본체부 143 : 습도조절삽입부

Claims (5)

  1. 일측으로 개구되며 3개 이상의 모듈공(111-1a)이 형성된 챔버(111)로 이루어진 챔버부(110)와, CA기체발생모듈(120)과, CA기체필터모듈(130)과, 습도조절모듈(140)로 이루어지며; 상기 CA기체발생모듈(120)과, CA기체필터모듈(130)과, 습도조절모듈(140)은 챔버부(110)를 이루는 챔버(111)의 각 모듈공(111-1a)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비되며;
    상기 CA기체필터모듈(130)은 중공체이며 모듈공(111-1a)으로 삽입되도록 돌출되며 단부가 개구된 필터모듈삽입부(131-1)와 개구되어 물수용부재(137)가 연결되는 수용부재연결부(131-5)를 가지는 필터모듈본체(131)와, 상기 수용부재연결부(131-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며 내측에 물이 수용되는 물수용부재(137)와, 상기 필터모듈본체(131) 내에 구비되는 필터모듈펌프(133)와, 일측은 상기 필터모듈펌프(133)의 흡입부에 연결되며 단부는 필터모듈삽입부(131-1) 내로 위치하여 필터모듈삽입부(131-1)가 모듈공(111-1a)에 삽입되면 챔버(111) 내로 연통되는 흡입관(135)과, 일측은 상기 필터모듈펌프(133)의 배출부에 연결되며 타측은 물수용부재(137)로 연장되어 물수용부재(137) 내에 수용된 물에 잠기도록 구비되는 연결관(139)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
  2. 일측으로 개구되며 3개 이상의 모듈공(111-1a)이 형성된 챔버(111)로 이루어진 챔버부(110)와, CA기체발생모듈(120)과, CA기체필터모듈(130)과, 습도조절모듈(140)로 이루어지며; 상기 CA기체발생모듈(120)과, CA기체필터모듈(130)과, 습도조절모듈(140)은 챔버부(110)를 이루는 챔버(111)의 각 모듈공(111-1a)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비되며;
    상기 CA기체발생모듈(120)은 기체모듈본체(121)와, 상기 기체모듈본체(1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123)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체모듈본체(121)는 내측에 단면이 원형인 회전부재지지부(1211a)가 형성된 기체모듈본체부(1211)와, 상기 기체모듈본체부(1211)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는 기체모듈지지부(1213)와, 상기 기체모듈본체부(1211)와 기체모듈지지부(1213)를 연결하며 기체모듈본체부(1211)와 기체모듈지지부(1213) 사이에 기체모듈오목부(1217)를 형성하는 기체모듈연결부(1215)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재지지부(1211a)는 기체모듈지지부(1213)의 반대쪽으로 개구되며 기체모듈본체개구부(1214)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재(123)는 회전부재지지부(1211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단면이 원형인 회전본체(1231)와, 상기 회전본체(1231)로부터 기체모듈지지부(1213)를 향하여 연장되며 단면이 원호형인 회전덮개부(1233)와, 상기 회전덮개부(1233)의 반대쪽으로 상기 기체모듈본체개구부(1214)로 돌출된 회전손잡이(1235)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체모듈연결부(1215)는 회전덮개부(1233)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회전손잡이(1235)를 돌려 회전부재(123)가 회전하면 기체모듈연결부(1215)와 마주하여 기체모듈오목부(1217)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모듈지지부(1213)에는 기체모듈본체부(1211)를 향하는 면에 오목하며 링형인 지지본체홈(1213a)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덮개부(1233)의 단부는 지지본체홈(1213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모듈지지부(1213)로부터 기체모듈본체부(1211)를 향하여 연장되며, 기체모듈연결부(1215)를 향하는 면은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반대쪽면은 평면을 형성된 기체모듈적치부(1212)를 더 구비하며;
    상기 기체모듈적치부(1212)의 원호면은 회전덮개부(1233)의 내면과 마주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
  5. 삭제
KR1020170104529A 2017-08-18 2017-08-18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 KR102052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529A KR102052997B1 (ko) 2017-08-18 2017-08-18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529A KR102052997B1 (ko) 2017-08-18 2017-08-18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239A KR20190020239A (ko) 2019-02-28
KR102052997B1 true KR102052997B1 (ko) 2019-12-09

Family

ID=65584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529A KR102052997B1 (ko) 2017-08-18 2017-08-18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9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585B1 (ko) * 2019-10-02 2021-02-25 대한민국 휴대용 퓨밍 진공식 지문 현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4458B2 (ja) * 1989-04-12 1997-01-22 川崎製鉄株式会社 指紋検出方法
JP2002505598A (ja) * 1997-06-09 2002-02-19 アラリス メディカル 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モジュール式患者ケアシステムにおける電力接続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861B1 (ko) * 2004-12-24 2007-04-13 (주)대일바이오텍 지문현출 장치
KR20100092727A (ko) 2009-02-13 2010-08-23 우관식 지문현출 반응기용 원형가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4458B2 (ja) * 1989-04-12 1997-01-22 川崎製鉄株式会社 指紋検出方法
JP2002505598A (ja) * 1997-06-09 2002-02-19 アラリス メディカル 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モジュール式患者ケアシステムにおける電力接続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239A (ko) 2019-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76417A1 (en) Pressurized cleaning system
KR102052997B1 (ko) 모듈형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
RU2013102307A (ru) Безыголь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RU94036768A (ru) Климатрон для химического резервуара
CN106821751B (zh) 一种无菌配药系统及无菌配药方法
WO2010120865A1 (en) Chlorine dioxide decontamination system and method
CN111714045B (zh) 一种应用在智能办公室的清洁消毒机器人
KR101880970B1 (ko) 잔수처리 가능한 휴대용 살균수 스프레이건
KR200493630Y1 (ko) 극저온 치료장치
DE69825490D1 (de) Chirurgische vorrichtung zum spülen und absaugen einer physiologischen lösung
ES2684350T3 (es) Aparato de protección y método para lavar instrumentos médicos endoscópicos, tales como sondas transesofágicas o similares
JP2005214600A (ja) 空気調和機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KR102028431B1 (ko) 휴대용 지문 현출 장치
RU16438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качки жидкости для промывки и дезинфекции каналов эндоскопов и других канальных медицинских инструментов и изделий
CN109630904A (zh) 一种氯气泄漏应急处置系统及使用方法
ES2260780T3 (es) Dispositivo para control de programa.
JP2016087079A (ja) 医療用吸引器
CN109663554B (zh) 一种二氧化氯活化生成装置和空气消毒装置
CN204501851U (zh) 腹膜透析清洁仓用耗材
JPH0746341Y2 (ja) 吸湿器
CN106794987A (zh) 用于安全提供臭氧的系统和方法
CN217528427U (zh) 一种用于制药设备的清洗装置
KR101512130B1 (ko) 배관 철거용 중성화 장치의 샘플링 키트
CN214914862U (zh) 一种新型工业企业危险废弃物暂贮存管理控制柜
CN217040842U (zh) 一种消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