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2391B1 - 포장용기용 사운드 캡 - Google Patents

포장용기용 사운드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2391B1
KR102052391B1 KR1020180030061A KR20180030061A KR102052391B1 KR 102052391 B1 KR102052391 B1 KR 102052391B1 KR 1020180030061 A KR1020180030061 A KR 1020180030061A KR 20180030061 A KR20180030061 A KR 20180030061A KR 102052391 B1 KR102052391 B1 KR 102052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opening
sound
closing operation
packag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8702A (ko
Inventor
전병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앤브이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앤브이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앤브이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80030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2391B1/ko
Publication of KR20190108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2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2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46Closure retaining means, e.g. beads,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65D43/0231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15Upper closure of the 41-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포장용기의 주입구에 대해 나사 방식으로 개폐 조작되는 캡에 있어서, 더욱 상세하게는 캡의 개폐 조작시 개폐 조작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캡의 개폐 조작에 따른 흥미를 유발하고, 또 개폐 조작 상태를 직접 느낄 수 있도록 한 포장용기용 사운드 캡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포장용기(10)의 주입구(12)에 나선 결합되는 내캡(110)과; 상기 내캡의 외부에 회전자재 되게 결합 지지되는 외캡(120)과; 상기 내캡 및 외캡으로 형성되고, 외캡(120)의 회전 조작시, 개폐 조작음을 발생시키는 개폐 조작음 발생부(130)와; 상기 내캡 및 외캡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캡(120)의 회전 조작시, 내캡이 일정 회전 구간에서 외캡에 걸려 포장용기(10)의 주입구(12)로 부터 개폐 조작되도록 하는 개폐 조작부(14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용기용 사운드 캡{Sund cap for packaging containers}
본 발명은 각종 포장용기의 주입구에 대해 나사 방식으로 개폐 조작되는 캡에 있어서, 더욱 상세하게는 캡의 개폐 조작시 개폐 조작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캡의 개폐 조작에 따른 흥미를 유발하고, 또 개폐 조작 상태를 직접 느낄 수 있도록 한 포장용기용 사운드 캡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포장용기의 주입구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개폐 조작되는 캡은, 밀봉 기능이나, 포장물의 재사용, 또는 부정 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들만이 갖추어져 있고, 그 외 별도의 흥미를 유발하는 기능들은 갖추어져 있지 못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면, 종래 사용되고 있는 캡들은 개폐 조작 편리성이나 안전성에 주안점을 두고 개발된 관계로 인해 캡의 개폐 조작이 매우 단순하게 이루어져 있고, 개폐 조작에 따른 아무런 흥미나 재미를 느끼지 못하는 실정이다.
1. KR200324138 Y1(2003.08.21. 공고) 2. KR200408547 Y1(2006.02.13.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캡의 개폐 조작시 개폐 조작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캡의 개폐 조작에 따른 흥미를 유발하고, 또 개폐 조작 상태를 직접 느낄 수 있도록 한 포장용기용 사운드 캡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캡의 개폐 조작에 따른 조작음의 발생으로 인해 캡의 개방 상태를 주변에서 쉽게 인식 가능함에 따라 특히, 주의가 요구되는 어린이들이 캡을 개폐 조작하는 경우에 있어서, 캡의 개폐 안전성을 어느 정도 담보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포장용기용 사운드 캡은, 포장용기의 주입구에 나사 결합되는 내캡과; 상기 내캡의 외부에 이탈되지 않도록 회전자재되게 결합되는 외캡과; 상기 내캡 및 외캡과; 상기 내캡 및 외캡으로 형성되고, 외캡의 회전 조작시, 개폐 조작음을 발생시키는 개폐 조작음 발생부와; 상기 내캡 및 외캡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캡의 회전 조작시, 내캡이 일정 회전 구간에서 외캡에 걸려 포장용기의 주입구로 부터 개폐 조작되도록 하는 개폐 조작부;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캡에 대하여 회전자재되는 외캡은, 외캡의 개방 내주면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가 상기 내캡의 측벽 외주면 둘레로 형성되는 이탈 방지 홈에 상호 걸림 조립되는 것에 의해 회전자재 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폐 조작음 발생부는, 내캡의 상벽에 고정단을 중심으로 자유단이 탄발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자유단에 탄발돌기가 형성된 탄발 조작편과, 상기 탄발 조작편의 탄발돌기를 순차적으로 타고 넘어가면서 타격음을 발생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외캡의 내주면 둘레에 연속적으로 대응 형성된 탄발 조작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발 조작편은 하나 이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발 조작돌기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폐 조작부는 내캡의 측벽으로 형성된 스토퍼와 외캡의 대응 내주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에 걸림 및 해제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폐 조작부의 각 스토퍼 사이에는 상기 각 스토퍼 끼워져 안내되는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개폐 조작부를 구성하는 스토퍼는 하나 이상으로 나누어져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용기로부터 캡을 나사 방식으로 열거나 닫기위해 외캡을 잡고 돌려주면 개폐 조작음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용자에게 캡의 개폐 조작에 따른 흥미나 개폐 조작 상태를 직접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고, 또 일정 구간 외캡이 회전하면 외캡의 내부에 구비된 스토퍼가 내캡의 내부에 구비된 스토퍼에 서로 강제 걸림되는 동작을 통해 캡을 포장용기의 주입구로부터 간편하게 개폐 조작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캡의 개폐 조작에 따른 조작음의 발생으로 인해 캡의 개방 상태를 주변에서 쉽게 인식 가능함에 따라 특히, 주의가 요구되는 어린이들이 캡을 개폐 조작하는 경우에 있어서, 캡의 개폐 안전성을 어느 정도 담보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캡이 포장용기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캡이 포장용기와 분리된 상태에서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캡이 포장용기와 분리된 상태에서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캡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캡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캡의 내브 구조를 보인 저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 캡에 있어서, 외캡을 회전 조작시켜 내캡에 구비된 탄발 조작편의 탄발 상태를 보인 조작 전후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조작부의 각 스토퍼가 서로 걸림되게 회전 조작된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할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용 사운드 캡(100)은, 포장용기(10)의 주입구(12)에 나선 결합되는 내캡(110)과; 상기 내캡의 외부에 회전자재 되게 결합 지지되는 외캡(120)과; 상기 내캡 및 외캡으로 형성되고, 외캡(120)의 회전 조작시, 개폐 조작음을 발생시키는 개폐 조작음 발생부(130)와; 상기 내캡 및 외캡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캡(120)의 회전 조작시, 내캡이 일정 회전 구간에서 외캡에 걸려 포장용기(10)의 주입구(12)로 부터 개폐 조작되도록 하는 개폐 조작부(14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캡(110)은 포장용기(10)의 주입구(12)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개폐 조작된다. 이를 위해 내캡(110)의 개방된 내주면으로는 상기 주입구(12)의 외주면으로 형성되는 나선형 돌기(14)에 결합되는 나선형 돌기(112)가 형성되어 있다.
외캡(120)은 상기 내캡(110)의 외부에 회전자재 되게 결합지지 된다. 상기 외캡(120)은 개방 내주면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122)가 상기 내캡의 측벽 외주면 둘레로 형성되는 이탈 방지 홈(114)에 상호 걸림되는 상태로 강제 조립되어 진다. 이러한 결합을 통해 상기 외캡(120)은 내캡(110)으로부터 자유롭게 회전은 되지만 임의적인 분리 이탈은 방지되는 것이다.
내캡(110) 및 외캡(120)으로는 개폐 조작음 발생부(130)가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개폐 조작음 발생부(130)는 내캡의 상벽에 고정단(132a)을 중심으로 자유단(132b)이 탄발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자유단(132b)에 탄발돌기(132c)가 형성된 탄발 조작편(132)과, 상기 탄발 조작편의 탄발돌기를 순차적으로 타고 넘어가면서 타격음을 발생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외캡(120)의 내주면 둘레에 연속적으로 대응 형성된 탄발 조작돌기(13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발돌기(132c)와 탄발 조작돌기(134)는 다양한 형태의 설계가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톱니 형태를 비롯하여 탄발 조작돌기가 상기 탄발돌기를 타고 넘어가는 과정에서 상기 탄발돌기의 강제 탄발 작용을 통해 상기 탄발돌기가 탄발 조작돌기가 형성된 외캡의 내주면에 강제로 부딪히면서 타격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구조라면 다양한 설계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외캡(120)의 회전 조작시, 이에 형성된 탄발 조작돌기(134)가 상기 탄발 조작편(132)의 자유단(132b)에 형성된 탄발돌기(132c)를 순차적으로 타고 넘어가면서 탄발음을 발생시게 된다. 즉, 탄발 조작돌기(134)가 상기 자유단(132b)의 탄발돌기(132c)를 타고 넘어갈 때 상기 탄발돌기는 상기 탄발 조작돌기의 높이만큼 강제로 밀려났다가 복귀되는 과정에서 탄발 조작돌기(134)가 형성된 대응면에 부딪히면서 강제로 타격하게 되고, 이러한 타격에 의해 소리, 예컨대 탄발음이 발생되어 지는 것이다.
탄발음은 내캡(110)으로 형성되는 탄발 조작편(132)과 외캡(120)으로 형성되는 탄발 조작돌기(134)의 성형 소재에 따라 다양하게 발생 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합성수지나 유리, 금속 등의 경우, 그에 따른 타격음이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내캡(110)으로 형성되는 탄발 조작편(132)은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탄발음을 더욱 강하게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탄발 조작편에 형성되는 각 탄발돌기가 외캡의 탄발 조작돌기(134)에 의해 각각 동시에 탄발 조작되기 때문에 그만큼 큰 타격음을 발생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한편, 탄발음은 외캡(120)으로 형성되는 탄발 조작돌기(134)의 간격 조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생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일정한 간격이라면 발생소리도 일정한 패턴으로 발생될 것이나, 간격을 불규칙하게 형성한다면 그에 따라 발생되는 소리도 불규칙하게 발생 될 것이다.
그리고 내캡(110) 및 외캡(120)으로는, 외캡(120)의 회전 조작시, 일정 구간에서 서로 걸림되어 지면서 포장용기(10)의 주입구(12)로부터 내캡(110)이 강제로 회전 조작되어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 조작부(1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 조작부(140)는 내캡(110)의 측벽으로 형성된 스토퍼(142)와 외캡의 대응 내주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142)에 걸림 및 해제되는 스토퍼(14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스토퍼(142)(144)는 각 스토퍼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면(141)(143)을 따라 안내 회전되다가 서로 걸림되어 지게 되고, 이러한 스토퍼의 강제 걸림을 통해 외캡(120)은 내캡(110)을 강제로 회전 조작시키게 된다.
상기 개폐 조작부(140)를 구성하는 스토퍼(142)(144)는 하나 이상으로 나누어져 형성되어 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스토퍼(142)(144)가 적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 그만큼 외캡(120)의 회전 반경이 적어지게 됨에 따라 내캡(110)의 신속한 개폐 동작의 수행이 가능해질 것이다.(도 9 참조)
상기 개폐 조작부(140)의 스토퍼(142)(144)의 형성 개수는 포장용기(10)의 주입구(12) 크기에 따라 다양한 설계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외캡(120)의 회전 조작시, 상기 내캡(110)은, 개폐 조작부(140)의 스토퍼(142)(144)가 서로 걸림되기 전까지는 따라 돌지 않게 되다가 이들이 서로 걸림되는 순간부터 강제로 따라 돌게 되면서 포장용기(10)의 주입구(12)로부터 열리거나 닫히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도 9참조)
한편, 상기 개폐 조작부(140)에 의해 내캡(110)이 포장용기(10)의 주입구(12)로부터 열리거나 닫히는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외캡(120)과 내캡(110)이 동시에 회전 조작되기 때문에 개폐 조작음 발생부(130)에 의한 탄발음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도 9와 같이 개폐 조작부(140)의 각 스토퍼(142)(144)가 서로 걸림되기 전까지는 외캡은 내캡에 대하여 겉돌게 되고, 이 과정에서 탄발 조작편(132)과 탄발 조작돌기(134) 구성을 통해 탄발음이 발생되어 지며, 스토퍼(142)(144)가 서로 걸리되어 내캡 및 외캡이 함께 회전되는 경우에는 탄발음이 발생되지 않고, 내캡은 포장용기로부터 개폐 조작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기용 사운드 캡(100)은, 내캡에 대하여 외캡을 회전자재되게 결합한 상태에서, 내캡(110)을 포장용기(10)의 주입구(12)에 대해 닫거나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외캡(120)을 잡고 일 방향으로 회전 조작한다.
그러면, 상기 외캡의 회전 조작시, 개폐 조작부(140)의 각 스토퍼(142)(144)가 사로 이격된 상태라면 이들이 서로 걸림되는 위치까지 회전되는 과정에서 개폐 조작음 발생부(130)의 탄발 지지편(132)에 형성된 탄발돌기(132c)를 외캡(120)에 형성된 탄발 조작돌기(134)가 순차적으로 타고 넘어가게 되면서 탄발음, 예컨대 “딱딱딱”하는 소리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소리를 듣고 이용자는 사운드 캡(100)의 개폐 조작 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사운드 캡(100)의 개폐 조작시, 탄발음이 발생 됨에 따라 종래에 비하여 사운드 캡의 개폐 조작에 따른 흥미를 더욱 가질 수 있고, 사운드 캡의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직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캡(120)을 계속해서 돌리다 보면 개폐 조작부(140)의 각 스토퍼(142)(144)가 서로 강제로 걸림되어 지게 되고, 이러한 스토퍼의 강제 걸림과 동시에 탄발음 발생은 정지하게 되고, 내캡(110)은 강제로 외캡(120)을 따라 돌면서 포장용기(10)의 주입구(12)로부터 열리거나 닫히는 동작이 수행되어 진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캡(100)의 조작시 개폐 조작음이 발생되기 때문에, 특히 어린이들이 사운드 캡(100)의 조작을 임의적으로 못하게 해야 하는 경우, 개폐 조작음을 주변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포장용기 12: 조입구
100: 사운드 캡 110: 내캡
114: 이탈방지 홈 120: 외캡
122: 이탈방지돌기 130: 개폐 조작음 발생부
132: 탄발 조작편 132a: 고정단
132b: 자유단 132c: 탄발돌기
134: 탄발 조작돌기 140: 개폐 조작부
142,144: 스토퍼 141,143: 가이드면

Claims (8)

  1. 포장용기(10)의 주입구(12)에 나선 결합되는 내캡(110)과;
    상기 내캡의 외부에 회전자재 되게 결합 지지되는 외캡(120)과;
    상기 내캡 및 외캡으로 형성되고, 외캡(120)의 회전 조작시, 개폐 조작음을 발생시키는 개폐 조작음 발생부(130)와;
    상기 내캡 및 외캡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캡(120)의 회전 조작시, 내캡이 일정 회전 구간에서 외캡에 걸려 포장용기(10)의 주입구(12)로 부터 개폐 조작되도록 하는 개폐 조작부(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폐 조작음 발생부(130)는, 내캡(110)의 상벽에 고정되는 고정단(132a)을 중심으로 자유단(132b)이 탄발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자유단(132b)에 탄발돌기(132c)가 형성된 탄발 조작편(132)과, 상기 탄발 조작편의 탄발돌기를 순차적으로 타고 넘어가면서 타격음을 발생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외캡(120)의 내주면 둘레에 연속적으로 대응 형성된 탄발 조작돌기(13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사운드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110)에 대하여 회전자재되는 외캡(120)은, 외캡의 개방 내주면으로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122)가 상기 내캡의 측벽 외주면 둘레로 형성되는 이탈 방지 홈(114)에 상호 걸림 조립되는 것에 의해 회전자재 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사운드 캡.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 조작편(132)은 하나 이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사운드 캡.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발 조작돌기(134)는 불규칙한 간격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사운드 캡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조작부(140)는 내캡(110)의 측벽으로 형성된 스토퍼(142)와 외캡의 대응 내주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에 걸림 및 해제되는 스토퍼(14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사운드 캡.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조작부의 각 스토퍼(142)(144) 사이에는 상기 각 스토퍼(142)(144)가 끼워져 안내되는 가이드면(141)(143)이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사운드 캡.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조작부(140)를 구성하는 스토퍼(142)(144)는 하나 이상으로 나누어져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사운드 캡.
KR1020180030061A 2018-03-15 2018-03-15 포장용기용 사운드 캡 KR102052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061A KR102052391B1 (ko) 2018-03-15 2018-03-15 포장용기용 사운드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061A KR102052391B1 (ko) 2018-03-15 2018-03-15 포장용기용 사운드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702A KR20190108702A (ko) 2019-09-25
KR102052391B1 true KR102052391B1 (ko) 2019-12-05

Family

ID=68068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061A KR102052391B1 (ko) 2018-03-15 2018-03-15 포장용기용 사운드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23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489B1 (ko) * 2020-12-24 2021-06-14 한국콜마주식회사 내용물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036B1 (ko) * 2009-08-05 2011-03-11 주식회사 에코웰스텍 병마개
KR101479069B1 (ko) * 2014-01-22 2015-01-07 (주)연우 측면 가압식 안전캡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138Y1 (ko) 2003-05-13 2003-08-21 윤권선 부정사용 방지용 안전 캡
KR20050108102A (ko) * 2004-05-11 2005-11-16 손준빈 위조방지용 병뚜껑
KR200408547Y1 (ko) 2005-12-01 2006-02-13 김진기 어린이 보호용 안전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036B1 (ko) * 2009-08-05 2011-03-11 주식회사 에코웰스텍 병마개
KR101479069B1 (ko) * 2014-01-22 2015-01-07 (주)연우 측면 가압식 안전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702A (ko)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9952B2 (ja) 開いたねじプロテクター及び契合可能な閉鎖用キャップを有するねじプロテクター組立体
US3612324A (en) Safety cap and container neck construction
KR102052391B1 (ko) 포장용기용 사운드 캡
CN105026279B (zh) 侧压式安全盖
US1044018A (en) Dumb and bar bell and ring-weight.
US7364521B2 (en) Sucker with an annular projection on adhesion surface and adhesion arrow having the sucker
US20070278173A1 (en) Child-resistant closure and container package
US983372A (en) Adjustable bar-bell.
JP2016211675A (ja) 緩衝保護材及び圧力容器
JP6406950B2 (ja) ヒンジ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6806592B2 (ja) 多条ねじ式開閉容器
US1247989A (en) Toy shell.
USD1009625S1 (en) Cam-locking tamper evident band closure
US4961718A (en) Toy pistol with a ball bullet
US549334A (en) Thomas c
JP6861964B2 (ja) 錠剤入り定量錠剤容器
CN209809503U (zh) 碰撞陀螺
WO2019154608A3 (de) Behälter
JP7401237B2 (ja) 容器蓋
US580137A (en) Puzzle money-box
KR20230047679A (ko) 페트병을 이용하는 덤벨 기구
US945610A (en) Toy gun.
US894633A (en) Bottle-closure.
JP2018108839A (ja) 排出部材
KR200444245Y1 (ko) 용기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