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812B1 -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812B1
KR102051812B1 KR1020170148812A KR20170148812A KR102051812B1 KR 102051812 B1 KR102051812 B1 KR 102051812B1 KR 1020170148812 A KR1020170148812 A KR 1020170148812A KR 20170148812 A KR20170148812 A KR 20170148812A KR 102051812 B1 KR102051812 B1 KR 102051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ver
elastic member
support portion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2936A (ko
Inventor
이상철
임영훈
수브라마니암 샨무함
마틴 로사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프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프,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프
Priority to KR1020170148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812B1/ko
Priority to US15/933,813 priority patent/US11027704B2/en
Publication of KR20190052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6Means, or measures taken, for influencing the aerodynamic quality of the wiper blades
    • B60S1/381Spoilers mounted on the squeegee or on the verteb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3Connectors having a spo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60S1/3853Snap-fit, e.g. elastic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51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 B60S1/3858Mounting of connector to blade assembly with protrusions cooperating with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7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the connector being suitable for receiving different types of adap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43Wiper blades equipped with removable cover or protec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체결되는 결합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스포일러부; 상기 스포일러부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플레이트;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제1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결합돌기부; 및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제2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결합돌기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결합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커버는, 하부 내측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제1결합돌기부와 체결되는 제2결합홀부; 및 상기 제2결합홀부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제1결합홀부와 체결되는 제2결합돌기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커버부재가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신뢰성 높게 고정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A Wiper Blade Assembly}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스포일러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신뢰성 높게 고정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윈드실드(windshield)의 표면을 닦아내기 위한 와이퍼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와이퍼장치는 와이퍼 모터와, 와이퍼 아암과,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퍼 아암은 기단에서 와이퍼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와이퍼 모터에 의해 왕복회동하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와이퍼 아암의 말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와이퍼 아암의 왕복회동에 의해 윈드실드의 표면을 슬라이드하면서 윈드실드의 표면을 닦아낸다.
이러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가 차량의 윈드실드에 놓이는 경우, 와이퍼 블레이드는 차량의 주행시에 그 길이방향에 걸쳐 윈드실드에 부딪히는 바람 또는 기류에 의해 힘을 받게 되는데, 기류에 의해 유발되는 힘은 와이퍼 블레이드를 윈드실드의 표면으로부터 부상시키게 되고, 특히,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수록, 이러한 부상력이 커지게 되고, 이는 와이퍼스트립과 윈드실드의 표면 간의 접촉을 약화시켜 와이핑 성능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이와 같은,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부상으로 인한 와이핑 성능의 저하에 대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스포일러가 장착되고 있으며, 상기 스포일러는 기류와의 반작용으로 윈드실드의 표면 쪽으로 반력을 생성시키는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상기 스포일러는 와이퍼 스트립을 지지하는 탄성부재에 끼워맞춤식으로 상호 결합되어 있으나,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작동에 따라, 상기 스포일러가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스포일러가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신뢰성 높게 고정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체결되는 결합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스포일러부; 상기 스포일러부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플레이트;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제1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결합돌기부; 및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제2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결합돌기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결합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커버는, 하부 내측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제1결합돌기부와 체결되는 제2결합홀부; 및 상기 제2결합홀부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제1결합홀부와 체결되는 제2결합돌기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체결되는 결합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스포일러부; 상기 스포일러부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플레이트; 및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3결합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3결합홀부와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커버는, 하부 내측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제3결합홀부와 체결되는 제3결합돌기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체결되는 결합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스포일러부; 상기 스포일러부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플레이트; 및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4결합홀부 또는 제4결합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커버는, 하부 내측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제4결합홀부와 체결되는 제5결합돌기부, 또는, 상기 커버부재의 제4결합돌기부와 체결되는 제5결합홀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결합커버가 체결이 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분리가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결합커버가 체결이 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재의 높이방향에서 상기 결합커버가 상기 커버부재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타측 끝단을 폐쇄하는 폐구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밀착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 상기 결합홀의 일측 끝단에 위치하는 밀착부재 삽입홀; 및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방향 중심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두께방향 측면에 위치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결합커버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에 어댑터가 착탈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결합커버의 저면 영역으로부터 상기 결합커버의 높이방향 내측영역으로 연장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고정홈에 상기 고정돌기가 체결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결합커버의 하부 내측면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일정 간격(d) 이격하여 위치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의 이격된 일정 간격(d)에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제1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제2면을 지지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지지부는 걸림턱부 및 상기 걸림턱부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퍼면을 포함하며, 상기 테이퍼면을 따라 상기 탄성부재의 두께 방향 측면이 이동하여, 상기 걸림턱부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제1면이 지지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부재가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신뢰성 높게 고정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조립순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 커버부재와 결합커버의 제1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와 결합커버의 제2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와 결합커버의 제3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00)는 차량 윈드 쉴드에 맞닿는 고무재질의 밀착부재(200),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300) 및 상기 탄성부재를 커버하는 한 쌍의 커버부재(4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00)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길이 방향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부재(300)와 체결되며, 수용부(510)를 포함하는 결합커버(500) 및 상기 결합커버(500)의 수용부(510)에 착탈되는 어댑터(6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결합커버(500)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길이 방향의 중심 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커버의 위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어댑터(600)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어댑터(600)의 유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조립순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탄성부재(300)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써, 상기 탄성부재(300)는 상기 밀착부재(20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310) 및 상기 결합홀(310)의 일측 끝단에 위치하는 밀착부재 삽입홀(320)을 포함한다.
즉, 상기 밀착부재 삽입홀(320)을 통해, 상기 밀착부재(200)의 일측 끝단을 삽입하여, 상기 결합홀(310)에 상기 밀착부재(200)가 길이방향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00)는 탄성부재의 길이방향 중심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부재(300)의 두께방향 측면에 위치하는 고정홈(33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홈(330)은 후술하는 결합커버(500)의 고정돌기(550)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는 탄성부재(300)와 커버부재(400)가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써,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방향(X 또는 -X)으로 상기 한쌍의 커버부재(400)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커버부재(400)는 상기 탄성부재(300)를 커버하게 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한쌍의 커버부재 중, 도 3a에 도시된 좌측에 위치하는 커버부재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도 3a에 도시된 우측에 위치하는 커버부재는, 좌측의 커버부재를 참조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400)는, 스포일러부(410); 상기 스포일러부(41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플레이트(420); 상기 연장 플레이트(420)의 제1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결합돌기부(430); 및 상기 연장 플레이트(420)의 제2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결합돌기부(430)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결합홀부(4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400)는 상기 스포일러부(4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재 삽입부(450)을 포함한다.
즉, 상술한 도 2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400)는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한쌍의 커버부재(400)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커버부재(400)는 상기 탄성부재(300)를 커버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탄성부재(300)의 두께 방향 측면이 상기 탄성부재 삽입부(450)에 체결됨으로써, 탄성부재(300)와 커버부재(400)가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400)는, 상기 커버부재(400)의 타측 끝단을 폐쇄하는 폐구부(460)를 포함하며, 즉, 상기 커버부재(400)의 타측 끝단은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타측 끝단을 벗어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폐구부(460)에 의해 삽입되는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c는 탄성부재(300)와 커버부재(40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400)에 결합커버(500)를 체결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부재(400)의 높이방향(-Y)에서 상기 결합커버(500)가 상기 커버부재(400)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방향(X 또는 -X)으로 상기 한쌍의 커버부재(400)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커버부재(400)는 상기 탄성부재(300)와 체결되며, 또한, 상기 탄성부재(300)와 상기 커버부재(40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400)의 높이방향(-Y)에서 상기 결합커버(500)가 상기 커버부재(400)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커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결합커버(500)는, 상기 결합커버(500)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용부(510)를 포함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510)에는 어댑터(600)가 착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커버(500)는, 상기 결합커버(500)의 하부 내측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부재(400)의 제1결합돌기부(430)와 체결되는 제2결합홀부(521); 및 상기 제2결합홀부(521)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커버부재(400)의 제1결합홀부(440)와 체결되는 제2결합돌기부(522)를 포함한다.
즉, 상술한 도 2c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부재(400)의 높이방향(-Y)에서 상기 결합커버(500)가 상기 커버부재(400)에 체결되는데, 이때, 상기 커버부재(400)의 제1결합돌기부(430)와 상기 결합커버(500)의 제2결합홀부(521)가 체결되고, 또한, 상기 커버부재(400)의 제1결합홀부(440)와 상기 결합커버(500)의 제2결합돌기부(522)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결합커버(500)가 상기 커버부재(40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부재(400)와 상기 결합커버(500)가 체결이 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부재(400)는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방향(X 또는 -X)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부재(400)의 제1결합돌기부(430)와 상기 결합커버(500)의 제2결합홀부(521)가 체결되고, 또한, 상기 커버부재(400)의 제1결합홀부(440)와 상기 결합커버(500)의 제2결합돌기부(522)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커버부재(400)는 상기 탄성부재(300)로부터 분리가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부재(400)의 높이방향(-Y)에서 상기 결합커버(500)가 상기 커버부재(400)에 체결되기 때문에, 상기 제1결합돌기부(430) 및 상기 제2결합돌기부(522)의 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상기 결합커버(500)가 상기 커버부재(400)에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상기 스포일러는 와이퍼 스트립을 지지하는 탄성부재에 끼워맞춤식으로 상호 결합되어 있으나,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작동에 따라, 상기 스포일러가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부재(400)의 제1결합돌기부(430)와 상기 결합커버(500)의 제2결합홀부(521)가 체결되고, 또한, 상기 커버부재(400)의 제1결합홀부(440)와 상기 결합커버(500)의 제2결합돌기부(522)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커버부재(400)와 상기 결합커버(500)가 체결이 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부재(400)는 상기 탄성부재(300)로부터 분리가 되지 않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부재(400)가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에 신뢰성 높게 고정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결합커버(500)는, 상기 결합커버(500)의 하부 내측면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540) 및 상기 제1지지부(540)와 일정 간격(d) 이격하여 위치하는 제2지지부(53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결합커버의 저면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제1지지부와 일정 간격을 이격하여 위치하면서, 상기 결합커버의 높이 방향의 내측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지지부(540) 및 상기 제2지지부(531)는 일정 간격(d) 이격하여 위치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3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또한, 상기 탄성부재(300)가 상기 일정 간격(d)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지지부(540) 및 상기 제2지지부(531)는 상기 탄성부재(300)를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제1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제2면을 지지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400)의 높이방향(-Y)에서 상기 결합커버(500)가 상기 커버부재(400)에 체결되며, 이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300)와 커버부재(400)가 체결된 상태임을 설명한 바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300)와 상기 커버부재(40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400)의 높이방향(-Y)에서 상기 결합커버(500)가 상기 커버부재(400)에 체결되는데, 이때, 상기 결합커버(500)는 상기 제1지지부(540) 및 상기 제2지지부(531)의 이격간격인, 상기 일정 간격(d)에 상기 탄성부재(300)가 삽입되도록, 상기 결합커버(500)와 상기 커버부재(400)가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일정 간격(d)에 상기 탄성부재(300)가 삽입됨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00)의 삽입의 용이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지지부(540)는 걸림턱부(541) 및 상기 걸림턱부(541)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퍼면(542)을 포함하며, 상기 테이퍼면(542)을 따라 상기 탄성부재(300)의 두께 방향 측면이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걸림턱부(541)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300)의 제1면이 지지되며, 상기 탄성부재(300)의 제2면은 상기 제2지지부에 지지된다.
계속해서,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결합커버(500)는, 상기 결합커버(500)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결합커버의 저면 영역으로 부터 상기 결합커버의 높이방향 내측영역으로 연장되는 고정돌기(55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돌기(550)는 상기 탄성부재(300)가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방향 중심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부재(300)의 두께방향 측면에 위치하는 고정홈(330)에 상기 고정돌기(500)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가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d는 커버부재(400)에 결합커버(500)를 체결하는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400)에 삽입된 탄성부재(300)에 밀착부재(200)를 체결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300)는 상기 밀착부재(20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310) 및 상기 결합홀(310)의 일측 끝단에 위치하는 밀착부재 삽입홀(320)을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밀착부재 삽입홀(320)을 통해, 상기 밀착부재(200)의 일측 끝단을 삽입하여, 상기 밀착부재를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계속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결합홀(310)에 상기 밀착부재(200)를 길이방향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와 결합커버의 체결에 관한 다른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 커버부재와 결합커버의 제1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 커버부재와 결합커버의 제1변형예는 후술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도 2a의 탄성부재, 도 3a 및 도 3b의 커버부재, 도 4a 내지 도 4d의 결합커버를 참조할 수 있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변형예의 커버부재(1400)는 스포일러부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플레이트(1420) 및 상기 연장 플레이트(1420)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3결합홀부(14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3결합홀부(1440)은 제3-1결합홀부(1440a) 및 상기 제3-1결합홀부(1440a)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위치하는 제3-2결합홀부(1440b)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변형예의 탄성부재(1300)는 상기 제3결합홀부(1440)와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관통홀(134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홀(1340)은 상기 제3-1결합홀부(1440a)와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제1관통홀(1340a) 및 상기 제3-2결합홀부(1440b)와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제2관통홀(1340b)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변형예의 결합커버(1500)는, 상기 결합커버(1500)의 하부 내측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부재(1400)의 제3결합홀부(1440)와 체결되는 제3결합돌기부(1522)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결합돌기부(1522)는, 상기 제3-1결합홀부(1440a)와 체결되는 제3-1결합돌기부(1522a) 및 상기 제3-2결합홀부(1440b)와 체결되는 제3-2결합돌기부(1522b)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제3-1결합돌기부(1522a)는 상기 제3-1결합홀부(1440a)와 체결되면서, 이와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1300)의 제1관통홀(1340a)과도 체결되며, 또한, 상기 제3-2결합돌기부(1522b)는 상기 제3-2결합홀부(1440b)와 체결되면서, 이와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1300)의 제2관통홀(1340b)과도 체결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부재(1400)와 상기 결합커버(1500)가 체결이 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부재(1400)는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방향(X 또는 -X)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보다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와 결합커버의 제2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와 결합커버의 제2변형예는 후술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도 3a 및 도 3b의 커버부재, 도 4a 내지 도 4d의 결합커버를 참조할 수 있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변형예의 커버부재(2400)는 스포일러부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플레이트(2420) 및 상기 연장 플레이트(2420)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4결합홀부(2440)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변형예의 결합커버(2500)는, 상기 결합커버(2500)의 하부 내측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부재(2400)의 제4결합홀부(2440)와 체결되는 제4결합돌기부(2522)를 포함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부재(2400)와 상기 결합커버(2500)가 체결이 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부재(2400)는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방향(X 또는 -X)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와 결합커버의 제3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부재와 결합커버의 제3변형예는 후술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도 3a 및 도 3b의 커버부재, 도 4a 내지 도 4d의 결합커버를 참조할 수 있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3변형예의 커버부재(3400)는 스포일러부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플레이트(3420) 및 상기 연장 플레이트(3420)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5결합돌기부(3430)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3변형예의 결합커버(3500)는, 상기 결합커버(3500)의 하부 내측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부재(3400)의 제5결합돌기부(3430)와 체결되는 제5결합홀부(3521)를 포함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부재(3400)와 상기 결합커버(3500)가 체결이 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부재(2400)는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방향(X 또는 -X)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합커버에 결합돌기부 및 결합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결합커버의 결합돌기부에 체결되는 결합홀부 및 상기 결합커버의 결합홀부에 체결되는 결합돌기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결합커버에 결합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결합커버의 결합돌기부에 체결되는 결합홀부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결합커버에 결합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에는 상기 결합커버의 결합홀부에 체결되는 결합돌기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결합커버가 체결이 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방향(X 또는 -X)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3)

  1.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체결되는 결합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스포일러부; 상기 스포일러부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플레이트;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제1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결합돌기부; 및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제2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결합돌기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결합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커버는, 하부 내측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제1결합돌기부와 체결되는 제2결합홀부; 및 상기 제2결합홀부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제1결합홀부와 체결되는 제2결합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밀착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 상기 결합홀의 일측 끝단에 위치하는 밀착부재 삽입홀; 및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방향 중심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두께방향 측면에 위치하는 고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결합커버의 하부 내측면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일정 간격(d) 이격하여 위치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의 이격된 일정 간격(d)에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제1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제2면을 지지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2.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체결되는 결합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스포일러부; 상기 스포일러부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플레이트; 및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3결합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3결합홀부와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커버는, 하부 내측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제3결합홀부와 체결되는 제3결합돌기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3. 밀착부재;
    상기 밀착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를 커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체결되는 결합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스포일러부; 상기 스포일러부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플레이트; 및 상기 연장 플레이트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4결합홀부 또는 제4결합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커버는, 하부 내측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제4결합홀부와 체결되는 제5결합돌기부, 또는, 상기 커버부재의 제4결합돌기부와 체결되는 제5결합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밀착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 상기 결합홀의 일측 끝단에 위치하는 밀착부재 삽입홀; 및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방향 중심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두께방향 측면에 위치하는 고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결합커버의 하부 내측면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일정 간격(d) 이격하여 위치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의 이격된 일정 간격(d)에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제1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제2면을 지지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결합커버가 체결이 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탄성부재로부터 분리가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결합커버가 체결이 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높이방향에서 상기 결합커버가 상기 커버부재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타측 끝단을 폐쇄하는 폐구부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밀착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 상기 결합홀의 일측 끝단에 위치하는 밀착부재 삽입홀; 및 상기 탄성부재의 길이방향 중심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두께방향 측면에 위치하는 고정홈을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결합커버의 상부에 위치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에 어댑터가 착탈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0. 제 1 항, 제 3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결합커버의 저면 영역으로부터 상기 결합커버의 높이방향 내측영역으로 연장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고정홈에 상기 고정돌기가 체결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1. 삭제
  12. 제 1 항 및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걸림턱부 및 상기 걸림턱부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퍼면을 포함하며,
    상기 테이퍼면을 따라 상기 탄성부재의 두께 방향 측면이 이동하여, 상기 걸림턱부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제1면이 지지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커버는, 상기 결합커버의 하부 내측면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일정 간격(d) 이격하여 위치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의 이격된 일정 간격(d)에 상기 탄성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제1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제2면을 지지하며,
    상기 제1지지부는 걸림턱부 및 상기 걸림턱부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퍼면을 포함하며,
    상기 테이퍼면을 따라 상기 탄성부재의 두께 방향 측면이 이동하여, 상기 걸림턱부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의 제1면이 지지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20170148812A 2017-11-09 2017-11-09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2051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12A KR102051812B1 (ko) 2017-11-09 2017-11-09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15/933,813 US11027704B2 (en) 2017-11-09 2018-03-23 Wiper blad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812A KR102051812B1 (ko) 2017-11-09 2017-11-09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936A KR20190052936A (ko) 2019-05-17
KR102051812B1 true KR102051812B1 (ko) 2019-12-04

Family

ID=66326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812A KR102051812B1 (ko) 2017-11-09 2017-11-09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027704B2 (ko)
KR (1) KR1020518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15669A (zh) * 2015-09-11 2017-03-22 罗伯特·博世有限公司 雨刷片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3427B4 (de) * 2000-09-04 2010-09-23 Valeo Wischersysteme Gmbh Wischvorrichtung
US20060207050A1 (en) * 2004-07-30 2006-09-21 Subramaniam Shanmugham Windshield wiper structure
FR2890026B1 (fr) 2005-08-29 2008-12-05 Valeo Systemes Dessuyage Balai d'essuie-glace comportant une monture de support en deux parties
KR101130039B1 (ko) * 2010-09-10 2012-03-28 김인규 스포일러를 갖춘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DE102011077519A1 (de) * 2011-06-15 2012-12-20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zum Reinigen von Scheiben insbesondere von Kraftfahrzeugen
KR101484062B1 (ko) 2013-06-10 2015-01-20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KR101514227B1 (ko) * 2013-09-03 2015-04-23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그 결합방법
US10043427B2 (en) * 2014-09-05 2018-08-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atrix device, measurement method of characteristics thereof, and driv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15669A (zh) * 2015-09-11 2017-03-22 罗伯特·博世有限公司 雨刷片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27704B2 (en) 2021-06-08
KR20190052936A (ko) 2019-05-17
US20190135234A1 (en)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1482B2 (ja) ワイパー装置
JP4791494B2 (ja) ワイパー装置
JP5043933B2 (ja) フロントガラス・ワイパー装置
US9434353B2 (en) Flat wiper blade
US9533658B2 (en) Wiper connector for vehicle
KR101511044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10239499B2 (en) Device for connecting a wiper arm and a wiper blade together including an area arranged to receive a plurality of spray openings
US10611343B2 (en) Windshield wiper assembly
US20110107543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comprising an elastic, elongated carrier element, as well as an elongated wiper blade of a flexible material, which can be placed in abutment with the windscreen to be wiped
EP3019373B1 (en) Windscreen wiper device
RU2556830C1 (ru) Устройство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ветрового стекла
KR102051812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EP3398821B1 (en) One-touch slide assembly type wiper blade
KR101511045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1786640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US7472982B2 (en) Ink removal device
US20200406863A1 (en) A windscreen wiper device
US20170197593A1 (en) Adaptor for connecting a windscreen wiper unit to a driving arm
JP2005306117A (ja) ワイパブレ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