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1546B1 -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 - Google Patents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1546B1
KR102051546B1 KR1020180167501A KR20180167501A KR102051546B1 KR 102051546 B1 KR102051546 B1 KR 102051546B1 KR 1020180167501 A KR1020180167501 A KR 1020180167501A KR 20180167501 A KR20180167501 A KR 20180167501A KR 102051546 B1 KR102051546 B1 KR 102051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re
hole
flow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성테크
한국소방산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성테크, 한국소방산업기술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성테크
Priority to KR1020180167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5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2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by detection of dynamic effects of the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2Compensating or correcting for variations in pressure, density or temperature
    • G01F15/022Compensating or correcting for variations in pressure, density or temperature using electrical means
    • G01F15/024Compensating or correcting for variations in pressure, density or temperature using electrical means involving digital coun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방배관의 내부공을 일방향으로 흐르는 소방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방배관의 길이중간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고, 소방용수가 흐르는 내부공과 연통되어 소방용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1관통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내부공으로 소방용수가 회수되는 제2관통공을 관통형성한 측정배관 ; 상기 제1관통공과 일단이 연통연결되는 제1연결관의 타단과 입수단이 연통연결되고, 상기 제2관통공과 일단이 연통연결되는 제2연결관의 타단과 출수단이 연통연결되어 상기 입수단을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출수단을 통하여 배출되는 소방용수에 의해서 일방향 회전되는 회전날개의 회전수를 근거로 하여 소방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부 ; 상기 유량센서부와 상기 제1,2연결관이 배치되는 내부공간을 갖추며, 상기 유량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방용수의 유량측정값을 표시하는 제어판넬을 갖추어 상기 측정배관에 고정설치되는 케이스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Digital Turbine Flow Meter for Fire Fighting}
본 발명은 소방용 배관에 설치되는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소방배관의 내부공으로 급배수되는 소방용수의 유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고, 소방배관의 내부공과 연통연결하여 설치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내소화전 시스템 또는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소화펌프 토출 측 소방배관에는 소방방재청장이 고시한 국가화재안전기준 중 옥내소화전설비의 기술기준(NFSC 102) 및 스프링클러설비의 기술기준(NFSC 103)에 의해서 각각 소화펌프를 설치하는 경우 당해 소화펌프의 토출 측 소방배관의 체크밸브와 개폐밸브 사이에서 분기된 배관에 당해 펌프 운전시의 소방용수의 토출량을 변화시키면서 그 때의 토출량을 계측하는 별도의 유량측정장치인 유량계를 설치하도록 법령으로 정하고 있다.
즉, 소방법 시행령(소방시설의 설치유지에 관한 내부무령 제419호제8조)에 의하면, 배관의 구경은 정격토출압력의 65% 이하에서 정격토출량의 175% 이상을 토출할 수 있는 크기이상으로 할것과, 펌프 정격토출량의 175%이상을 측정할 수 있는 유량측정장치인 유량계를 설치할것, 다만 펌프의 정격토출량이 1분당 200l 이하로서 노즐 및 소방용 호스를 이용하여 쉽게 펌프성능시험을 할 수 있는 경우를 제외한다.
(특허문헌 1) KR10-1527171 B1
(특허문헌 2) KR20-225772 Y1
특허문헌 1에는 유체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단방향 유통 밸브로 소방급배수관에 사용되는 체크밸브에 소방용수의 토출량을 측정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소방호스의 관창(노즐)에서 분사되는 소화수의 분사압력과 분사유량을 측정하여 소방호스가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점검하기 위한 방수측정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량측정장치는 소방배관의 관내부를 흐르는 소방용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소방배관에 차압면적식 유량계를 설치함으로써 유체가 흐르는 관로중간부분의 단면적을 감소(orifice)시켜 소방용수가 오리피스를 통과할때 발생하는 차압을 측정하는 방식과, 수직으로 설치된 투명테이퍼관의 플로우트가 유체인 소방용수로 인하여 상하로 부유되는 움직임을 검출하여 유량을 구하는 면적방식을 혼용하여 소방배관의 내부를 일방향으로 흐르는 소방용수의 유량을 계측하였다.
그러나, 차압면적식 유량계를 소방배관에 적용하는 경우, 오리피스 조립용접시 작업여건에 따라 균일한 제품의 제작 및 유량계를 의 설치가 곤란하고, 플로우트를 포함하는 게이지의 문제 및 차압검출부 및 도입관 출구노즐의 마모로 인하여 소방용수의 유량에 대한 오차가 크게 발생하고, 부정확하여 계측정밀도가 낮아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소방배관의 점검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낮아지고, 화재발생 등의 유사시에 소방배관으로부터 소방용수가 정격토출되지 않아 화재진압능력이 떨어져 초기화재진압에 실패할 가능성이 있게 되며, 인명과 재산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없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소방배관의 내부공으로 급배수되는 소방용수의 유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고, 소방배관의 내부공과 연통연결하여 설치하는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측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소방배관의 내부공을 일방향으로 흐르는 소방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방배관의 길이중간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고, 소방용수가 흐르는 내부공과 연통되어 소방용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1관통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내부공으로 소방용수가 회수되는 제2관통공을 관통형성한 측정배관 ; 상기 제1관통공과 일단이 연통연결되는 제1연결관의 타단과 입수단이 연통연결되고, 상기 제2관통공과 일단이 연통연결되는 제2연결관의 타단과 출수단이 연통연결되어 상기 입수단을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출수단을 통하여 배출되는 소방용수에 의해서 일방향 회전되는 회전날개의 회전수를 근거로 하여 소방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부 ; 상기 유량센서부와 상기 제1,2연결관이 배치되는 내부공간을 갖추며, 상기 유량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방용수의 유량측정값을 표시하는 제어판넬을 갖추어 상기 측정배관에 고정설치되는 케이스부; 를 포함하는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배관은 상기 제1,2관통공의 각 입구단이 노출되는 내주면을 따라 일방향으로 흐르는 소방용수의 일부가 상기 제1관통공의 입구단을 통하여 안내유입되도록 방사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돌출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배관은 상기 케이스부가 고정설치되도록 외부면에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융기부에 제1,2관통공을 관통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량센서부는 상기 제1연결관에 연통연결되는 입수단과 상기 제2연결관에 연통연결되는 출수단을 좌우양측에 각각 구비하는 센서하우징과, 상기 센서하우징의 밀폐된 바닥면에 형성되는 지지홈에 날개축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회전날개와, 상기 센서하우징의 개방된 입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센서하우징과 조립되는 덮개부재 및 상기 회전날개의 날개축 타단에 구비된 검지단을 센싱하여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수를 검출하도록 상기 덮개부재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센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유량센서부와 제1,2연결관이 고정배치되고, 상기 제1,2관통공과 대응하는 일면에 제1,2개구부를 절개형성한 제1케이싱과, 상기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2케이싱과 일체로 조립되며, 상기 제1,2관통공을 형성하도록 측정배관의 외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융기부에 분리고정판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케이싱은 상기 유량센서부의 센서하우징의 외부면과 접하여 고정지지하는 좌우한쌍의 호형 지지리브와, 상기 유량센서부로부터 연장되는 통합케이블이 끼움배치되는 한쌍의 케이블고정용 수직리브 및 상기 제어판넬이 탑재되는 판넬기판 및 상기 유량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를 지지고정하는 좌우한쌍의 판형 지지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분리고정판은 상기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과의 사이에 개재되고, 복수의 케이블이 통과하는 인출공을 관통형성한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하부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융기부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고정설치되는 절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소방배관의 내부공을 통하여 급배수되는 소방용수의 정격토출량을 실시간으로 간편하게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제어판넬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케이스부가 측정배관에 형성된 융기부에 분리고정판을 매개로 하여 고정설치되기 때문에 설치후 외부충격에 의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보수유지시 측정배관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여 재조립할 수 있어 작업생산성을 높이고, 보수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에 구비되는 측정배관과 케이스부를 결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와 도 3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에 구비되는 측정배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와 도 5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에 구비되는 유량센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에서 소방용수의 흐름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100)는 도 1, 도 2 및 도 3a , 도 3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방배관의 내부공을 일방향으로 흐르는 소방용수의 유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배관(110), 유량센서부(120) 및 케이스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배관(110)은 도 1,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대상물인 소방용수가 일방향으로 흐르는 내부공과 연통되어 소방용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일련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1관통공(113)을 외부면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유량센서부(120)를 통과한 소방용수가 상기 내부공으로 회수되는 일련의 유로를 형성하는 제2관통공(114)을 외부면에 관통형성한 관부재이다.
이러한 측정배관(110)은 제1소방배관(10)과 제2소방배관(20)으로 이루어지는 소방배관사이에 착탈가능하게 연통연결되도록 양단에 플랜지부(111,112)를 각각 갖추어 상기 제1,2소방배관의 각 일단에 구비되는 다른 플랜지부(11,22)와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조립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측정배관(110)의 내부공의 내경크기는 상기 제1,2소방배관(10,20)의 각 내부공의 내경크기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측정배관(110)은 상기 제1,2관통공(113,114)의 각 입구단이 노출되는 내주면을 따라 일방향으로 흐르는 소방용수의 일부가 상기 제1관통공(113)의 입구단을 통하여 안내유입되도록 방사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돌출턱(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턱(115)은 상기 제1관통공(113)의 입구단에 인접하여 상기 측정배관(110)의 내주면에 환고리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관통공(113)의 입구단에 근접하여 부분적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배관(110)은 외부면에 일정높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부(130)가 고정설치되는 융기부(116)를 포함하고, 상기 제1,2관통공(113,114)은 상기 소방용수가 측정배관(110)의 내부공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내부공으로 유입되어 회수되는 일련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융기부(116)에 관통형성된다.
이러한 융기부(116)는 대략 ㄷ 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부(130)와 대응하는 일면은 평면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정배관(110)의 내부공과 연통되도록 융기부(116)에 관통형성되는 제1,2관통공(113,114)은 외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서서히 커지는 단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량센서부(120)는 도 3a, 도 3b 및 도 5a, 도 5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측정배관의 제1관통공(113)과 일단이 연통연결되는 제1연결관(121)의 타단과 입수단(123a)이 연통연결되고, 상기 측정배관의 제2관통공(114)과 일단이 연통연결되는 제2연결관(122)의 타단과 출수단(123b)이 연통연결된다.
상기 유량센서부에는 상기 입수단(123a)을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출수단(122a)을 통하여 배출되는 소방용수에 의해서 일방향 회전되는 회전날개(125)를 갖추어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수를 근거로 하여 소방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량센서부(120)는 상기 제1연결관(121)에 연통연결되는 입수단(123a)과 상기 제2연결관(122)에 연통연결되는 출수단(123b)을 갖추고, 상기 회전날개(125)의 날개축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홈(123c)을 밀폐된 내측면에 함몰형성하여 상기 회전날개(125)를 내부수용하는 센서하우징(123)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하우징의 개방된 입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센서하우징과 조립되는 덮개부재(124)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날개의 날개축 타단에 구비된 검지단(125a)을 센싱하여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수를 검출하도록 상기 덮개부재(124)의 내측면에 센서기판(1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부(130)에 내부수용되는 건전지와 같은 배터리(12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과 상기 제어판넬(1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측정값을 전송하는 신호케이블을 갖는 통합케이블(127)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케이블(127)은 상기 센서하우징(123)과 덮개부재(124)사이의 조립부위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제1연결관(121)은 상기 제1관통공(113)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일단에 형성하는 제1하부엘보우관(121a)을 갖추고, 상기 센서하우징(123)의 입수단(123a)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일단에 형성하는 제1상부엘보우관(121b)을 갖추며, 상기 제1상,하부엘보우관의 각 타단에 형성되는 각 수나사부와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제1링니플(121c)을 갖춤으로써 상기 제1관통공을 통하여 유입되는 소방용수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부엘부관, 제1링니플 및 제1상부엘보우관을 통하여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다음, 상기 제2연결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회전날개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연결관(122)은 상기 제1연결관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관통공에 인접하는 제2관통공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일단에 형성하는 제2하부엘보우관(122a)을 갖추고, 상기 센서하우징(123)의 출수단(123b)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일단에 형성하는 제2상부엘보우관(122b)을 갖추며, 상기 제2상,하부엘보우관의 각 타단에 형성되는 각 수나사부와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제2링니플(122c)을 갖춤으로써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하우징에 내부수용된 회전날개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소방용수는 제2상부엘보우관, 제2링니플, 제2하부엘보우관 및 제2관통공을 경유하여 측정배관의 내부공으로 회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량센서부(120)는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회전날개가 유량에 비례하여 회전하고 회전날개의 회전수를 감지함으로써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터빈 유량계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량에 따른 전파속도, 주파수 변화를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하는 초음파 유량계, 내부에 있는 회전자의 회전운동을 통해 일정한 체적의 유체를 배출하고 이때 생기는 회전자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흘러간 유체의 양을 측정하는 용적 유량계 등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정배관(110)의 제1관통공(113)으로 분기유입되어 회전날개를 회전시킨 후 제2관통공(114)을 통하여 배출되는 소방용수의 측정용 유량은 상기 측정배관의 내부공을 통과하는 전체 유량을 연산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사전에 설정된 일정비율로 분기되도록 상기 측정배관의 내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돌출턱(115) 및 제1,2관통공의 내경크기와 분기유로의 크기를 사전에 설정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소방배관 사이에 연통연결된 측정배관의 내부를 통과하는 소방용수의 전체유량은 상기 측정배관의 제1,2관통공을 통하여 분기되어 계측되는 소방용수의 측정용 유량을 근거로 하여 측정되는 측정유량값에 비레하는 근사값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부(130)는 도 1, 도 2 및 도 3a, 도 3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량센서부(120)와 상기 제1,2연결관(121,122)이 내부배치되는 공간을 갖추며, 상기 유량센서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방용수의 유량측정값을 표시하는 제어판넬(133)을 갖추어 상기 측정배관(110)에 후술하는 분리고정판(1335)을 매개로 하여 고정설치된다.
이러한 케이스부(130)는 상기 유량센서부(120)와 제1,2연결관(121,122)이 고정배치되고, 상기 제1,2관통공(113,114)과 대응하는 일면에 제1,2개구부(131a,131b)를 절개형성한 제1케이싱(131)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판넬이 외부노출되도록 개구창을 개구형성한 제2케이싱(132)을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2케이싱(131.132)과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일체로 조립되며, 상기 제1,2관통공을 형성하도록 측정배관의 외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융기부(116)에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고정설치되는 분리고정판(13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케이싱(131)은 상기 유량센서부의 센서하우징의 외부면과 접하여 고정지지하는 좌우한쌍의 호형 지지리브(136a)를 포함하고, 상기 유량센서부로부터 연장되는 통합케이블(127)이 끼움배치되는 한쌍의 케이블고정용 수직리브(136b)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판넬(133)이 탑재되는 판넬기판(133a) 및 상기 유량센서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128)를 지지고정하는 좌우한쌍의 판형 지지리브(136c)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유량센서부, 통합케이블 및 배터리는 상기 제1케이싱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호형 지지리브, 케이블고정용 수직리브 및 판형 지지리브에 의해서 각각 확고히 위치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판넬기판(133a)에는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수를 근거로 하여 측정된 소방용수의 측정값을 무선방식으로 외부로 송신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칩과 같은 무선통신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량센서부와 배터리와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온/오프 스위치(13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오프 스위치(133b)는 상기 제2케이싱(132)의 하부단테두리 일측에 관통성된 노출공을 통하여 상기 케이스부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고정판(135)은 상기 제1케이싱(131)과 제2케이싱(132)과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어판넬이 탑재되는 판넬기판이 일면에 고정배치되고, 상기 유량센서부 및 배터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판넬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케이블이 통과하는 인출공(135c)을 관통형성한 수직판(135a)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판의 하부단으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융기부(116)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고정설치되는 절곡판(135b)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2케이싱사이에 개재되어 이들과 일체로 결합되는 분리고정판은 금속판과 같은 강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정배관의 외부면에 돌출형성된 융기부에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고정설치됨으로써, 상기 유량센서부 및 전장부품을 내부수용하는 케이스부를 측정배관에 안정적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보수유지시 측정배관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100)를 제1소방배관과 제2소방배관사이에 연통조립되는 측정배관(110)의 융기부(116)에 분리고정판(135)을 매개로 하여 고정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유량센서부(120)의 입수단 및 출수단을 상기 융기부에 측정배관의 내부공과 연통하도록 관통형성된 제1,2관통공(113,114)과 연통연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2소방배관을 통하여 소방용수가 일방향으로 급배수하게 되면, 일방향으로 흐르는 소방용수의 일부가 제1관통공으로 안내유입되어 제1연결관을 통하여 센서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다음, 상기 출수단과 연결된 제2연결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회전날개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소방용수는 제2연결관 및 제2관통공을 통하여 측정배관의 내부공으로 회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회전날개의 회전수를 근거로 하여 소방용수의 유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유량값은 제어판넬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표시되거나 블루투스칩에 의해서 외부로 전송되어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측정배관
113,114 : 제1,2관통공
115 : 돌축턱
116 : 융기부
120 : 유량센서부
121,122 : 제1,2연결관
123 : 센서하우징
124 : 덮개부재
125 : 회전날개
126 : 센서기판
130 : 케이스부
131,132 : 제1,2케이싱
133 : 제어판넬
135 : 분리고정판

Claims (7)

  1. 소방배관의 내부공을 일방향으로 흐르는 소방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방배관의 길이중간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고, 소방용수가 흐르는 내부공과 연통되어 소방용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1관통공을 관통형성하고, 상기 내부공으로 소방용수가 회수되는 제2관통공을 관통형성한 측정배관 ;
    상기 제1관통공과 일단이 연통연결되는 제1연결관의 타단과 입수단이 연통연결되고, 상기 제2관통공과 일단이 연통연결되는 제2연결관의 타단과 출수단이 연통연결되어 상기 입수단을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출수단을 통하여 배출되는 소방용수에 의해서 일방향 회전되는 회전날개의 회전수를 근거로 하여 소방용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부 ;
    상기 유량센서부와 상기 제1,2연결관이 배치되는 내부공간을 갖추며, 상기 유량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방용수의 유량측정값을 표시하는 제어판넬을 갖추어 상기 측정배관에 고정설치되는 케이스부;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유량센서부와 제1,2연결관이 고정배치되고, 상기 제1,2관통공과 대응하는 일면에 제1,2개구부를 절개형성한 제1케이싱과, 상기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2케이싱과 일체로 조립되며, 상기 제1,2관통공을 형성하도록 측정배관의 외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융기부에 분리고정판을 포함하는,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배관은 상기 제1,2관통공의 각 입구단이 노출되는 내주면을 따라 일방향으로 흐르는 소방용수의 일부가 상기 제1관통공의 입구단을 통하여 안내유입되도록 방사방향으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돌출턱을 포함하는,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배관은 상기 케이스부가 고정설치되도록 외부면에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융기부에 제1,2관통공을 관통형성하는,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센서부는 상기 제1연결관에 연통연결되는 입수단과 상기 제2연결관에 연통연결되는 출수단을 좌우양측에 각각 구비하는 센서하우징과, 상기 센서하우징의 밀폐된 바닥면에 형성되는 지지홈에 날개축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는 회전날개와, 상기 센서하우징의 개방된 입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센서하우징과 조립되는 덮개부재 및 상기 회전날개의 날개축 타단에 구비된 검지단을 센싱하여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수를 검출하도록 상기 덮개부재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센서기판을 포함하는,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은 상기 유량센서부의 센서하우징의 외부면과 접하여 고정지지하는 좌우한쌍의 호형 지지리브와, 상기 유량센서부로부터 연장되는 통합케이블이 끼움배치되는 한쌍의 케이블고정용 수직리브 및 상기 제어판넬이 탑재되는 판넬기판 및 상기 유량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를 지지고정하는 좌우한쌍의 판형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고정판은 상기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과의 사이에 개재되고, 복수의 케이블이 통과하는 인출공을 관통형성한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하부단으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융기부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고정설치되는 절곡판을 포함하는,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
KR1020180167501A 2018-12-21 2018-12-21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 KR102051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501A KR102051546B1 (ko) 2018-12-21 2018-12-21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501A KR102051546B1 (ko) 2018-12-21 2018-12-21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396A Division KR102074100B1 (ko) 2019-05-31 2019-05-31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546B1 true KR102051546B1 (ko) 2019-12-03

Family

ID=68838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501A KR102051546B1 (ko) 2018-12-21 2018-12-21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5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8570A (ja) * 2000-09-26 2002-04-05 Aichi Tokei Denki Co Ltd 流量計の取付構造
KR100406859B1 (ko) * 1999-04-06 2003-11-21 장덕규 액체용 유동자식 유량계의 유량측정장치
KR200346637Y1 (ko) * 2004-01-17 2004-04-08 한국에이오씨(주) 유량센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859B1 (ko) * 1999-04-06 2003-11-21 장덕규 액체용 유동자식 유량계의 유량측정장치
JP2002098570A (ja) * 2000-09-26 2002-04-05 Aichi Tokei Denki Co Ltd 流量計の取付構造
KR200346637Y1 (ko) * 2004-01-17 2004-04-08 한국에이오씨(주) 유량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5358C2 (ru) Ультразвуковое измер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скорости потока текучей среды
JP2012018031A (ja) 超音波式ガスメータ
US10928229B2 (en) Self-charging water usage monitor, systems, and methods
WO2009019870A1 (ja) 流量計測装置、通信システム、流量計測方法、流量計測プログラム、流体供給システムおよびガス器具監視装置
KR101622566B1 (ko) 초음파 시간차 유량측정 방식을 이용한 초음파 수도미터
CN111780824B (zh) 一种可拆卸式整流水表
KR102051546B1 (ko)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
KR102074100B1 (ko) 소방배관의 디지털 터빈식 유량계
CA2895658C (en) Water meter including variable orifice device
CN211885101U (zh) 一种带流量计的智能消火栓监测终端及消火栓
US20200188714A1 (en) Fire-Extinguishing Facility, Fire-Extinguishing System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Extent of a Fire
CN204027615U (zh) 流量计壳体及流量计
CN209893131U (zh) 管网检测结构
JPH0961283A (ja) 配管漏洩監視装置
CN209559388U (zh) 用于供水管网的压力检测装置
CN217637481U (zh) 一种燃气异常微小流量检测装置
CN105222838A (zh) 流量计壳体及流量计
CN219558598U (zh) 检测装置和消防系统
CN218187663U (zh) 带水压监测功能的消防栓
CN213779151U (zh) 一种腰轮计量装置
KR102326616B1 (ko) 소방차량용 고압펌프 성능평가 시스템
EP4283054A1 (en) Device for the measurement of flowrates and volumes, and for the detection of consumption in fire or watering hydrants or any type of water outlet
JP2004138627A (ja) 配管漏洩監視装置
CN219495331U (zh) 可监测压力及测量水流量的水表
US20090050337A1 (en) Selectable mode test and drain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