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690B1 - 공동주택의 정보통신공사 감리를 위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정보통신공사 감리를 위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690B1
KR102050690B1 KR1020190035383A KR20190035383A KR102050690B1 KR 102050690 B1 KR102050690 B1 KR 102050690B1 KR 1020190035383 A KR1020190035383 A KR 1020190035383A KR 20190035383 A KR20190035383 A KR 20190035383A KR 102050690 B1 KR102050690 B1 KR 102050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unit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환
Original Assignee
(주)재원엔제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원엔제니어링 filed Critical (주)재원엔제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035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6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정보통신공사 감리를 위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은 휴대용단말 및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단말은 세대별통신단자함에 포설되는 케이블의 일단에 접속되는 커넥터를 연결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1커넥터접속부와, 상기 케이블의 일단에 접속되는 복수 개의 단자를 직접 연결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1단자대와, 상기 제1커넥터접속부 또는 제1단자대에 접속된 상기 케이블의 이상 유무를 상기 본체와 연동하여 점검하는 점검부와, 상기 세대별통신단자함에 마련되는 RFID칩으로부터 세대 정보를 수신하는 RFID리더부; 및 상기 수신된 세대 정보를 상기 본체로 송신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제1통신부로부터 송신된 세대 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와, 각각의 세대별통신단자함으로부터 포설되는 복수 개의 케이블의 타단에 접속되는 커넥터들을 동시에 연결시킬 수 있는 복수개의 제2커넥터접속부와, 각각의 세대별통신단자함으로부터 포설되는 복수 개의 케이블의 타단에 접속되는 복수 개의 단자를 직접 연결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제2단자대 및 상기 세대 정보 및 케이블점검 결과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정보통신공사 감리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정보통신공사 감리를 위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 {Cable Inspecting System for communication cable for apartment construction supervision}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정보통신공사 감리를 위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동주택에 시공되는 정보통신 케이블의 시공상태를 케이블점검장치를 통해 점검함으로써 감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공동주택의 정보통신공사 감리를 위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리시스템은 현장업무, 행정업무 및 대관업무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현장업무는 시공 전, 중, 후 업무절차에 따라 수시 시공확인 및 검측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공동주택 정보통신공사의 경우 시공이 진행됨에 따라 세대 내에 포설되는 정보통신 케이블의 규격 및 커넥터 접속의 이상 유무 등을 점검하게 된다.
종래에는 케이블 점검시 공동주택의 지하 통신실에 위치한 감리 수행자와 감리하고자 하는 세대 내에 위치한 다른 감리 수행자가 무전기를 이용한 음성 통화를 대화하면서 통신실과 해당 세대에 포설된 케이블의 말단을 점검함으로서 케이블 시공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여야 했다. 즉, 2인 이상의 감리 수행자가 공동주택의 각 세대 내와 공동주택 지하 통신실에 각각 배치되어 일일이 직접 케이블의 접속 상태 등을 확인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공동주택의 통신실에는 각 세대로부터 포설되는 케이블들이 연장되어 집합하게 되는데 이때, 통신실에서는 어떤 케이블이 어떤 세대로부터 포설되었는지 세대가 많아질수록 즉각적으로 확인하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공동주택 통신실에 포설되는 각 세대로부터의 케이블들을 효과적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
한편, 각 세대에 포설되는 케이블의 규격은 설계상 세대별로 다를 수 있고 설계대로 시공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설계정보와 실제 포설되는 케이블의 규격을 대비하는 과정도 감리업무 수행에 필요하다.
삭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99863호(2015.03.10.)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케이블의 시공상태를 케이블 점검 시스템을 통해 확인하고 나아가 설계정보와의 대비를 통해 공동주택 감리업무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공동주택 감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점검 시스템은 휴대용단말 및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단말은 세대별통신단자함에 포설되는 케이블의 일단에 접속되는 커넥터를 연결 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1커넥터접속부;와, 상기 케이블의 일단에 접속되는 복수 개의 단자를 직접 연결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1단자대;와, 상기 제1커넥터접속부 또는 제1단자대에 접속된 상기 케이블의 이상 유무를 상기 본체와 연동하여 점검하는 점검부;와, 상기 세대별통신단자함에 마련되는 RFID칩으로부터 세대 정보를 수신하는 RFID리더부; 및 상기 수신된 세대 정보를 상기 본체로 송신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제1통신부로부터 송신된 세대 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와, 각각의 세대별통신단자함으로부터 포설되는 복수 개의 케이블의 타단에 접속되는 커넥터들을 동시에 연결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제2커넥터접속부;와, 각각의 세대별통신단자함으로부터 포설되는 복수 개의 케이블의 타단에 접속되는 복수 개의 단자를 직접 연결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제2단자대; 및 상기 세대 정보 및 케이블점검 결과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설치되는 상기 세대별통신단자함은 내부에 통신 장비가 설치되는 설치 공간이 마련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 내부에 마련되어 케이블의 일단에 접속되는 커넥터가 연결되는 허브;와, 상기 함체 내부에 마련되어 케이블의 일단에 접속되는 단자가 직접 연결되는 세대별단자대; 및 상기 함체 내부에 마련되며 세대 정보가 저장된 RFID칩;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은 상기 수신된 세대 정보를 감리서버로 전송하여 세대 정보에 따른 해당 세대의 설계정보를 요청하여 전송받고, 상기 점검부는 설계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커넥터접속부와 제2커넥터접속부 구간에 케이블 점검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세대별케이블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용단말은 사용자가 세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점검이 완료된 케이블에 부착할 수 있도록 세대 정보가 입력된 라벨을 출력하는 프린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계정보는 각 세대에 설치되는 케이블의 규격, 케이블의 포설 구간, 케이블의 접속 규격을 포함할 수 있다.상기 휴대용단말은 상기 세대별케이블의 이상 유무 점검 결과를 표시하는 제1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정보통신공사 감리를 위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을 이용한 감리 방법은 케이블 점검시스템의 휴대용단말이 세대별통신단자함에 부착된 RFID칩으로부터 세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휴대용단말이 감리서버로 세대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감리서버가 세대정보에 해당하는 정보통신공사 설계정보를 휴대용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휴대용단말이 수신된 설계정보를 기초로 공동주택 통신실에 위치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의 본체를 이용하여 포설된 케이블의 시공 상태를 점검하는 단계;, 휴대용단말이 케이블의 시공 상태를 점검한 결과를 감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 점검 시스템은 휴대용단말 및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단말은 세대별통신단자함에 포설되는 케이블의 일단에 접속되는 커넥터를 연결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1커넥터접속부;와, 상기 케이블의 일단에 접속되는 복수 개의 단자를 직접 연결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1단자대;와, 상기 제1커넥터접속부 또는 제1단자대에 접속된 상기 케이블의 이상 유무를 상기 본체와 연동하여 점검하는 점검부;와, 상기 세대별통신단자함에 마련되는 RFID칩으로부터 세대 정보를 수신하는 RFID리더부; 및 상기 수신된 세대 정보를 상기 본체로 송신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제1통신부로부터 송신된 세대 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와, 각각의 세대별통신단자함으로부터 포설되는 복수 개의 케이블의 타단에 접속되는 커넥터들을 동시에 연결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제2커넥터접속부;와, 각각의 세대별통신단자함으로부터 포설되는 복수 개의 케이블의 타단에 접속되는 복수 개의 단자를 직접 연결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제2단자대; 및 상기 세대 정보 및 케이블점검 결과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리 수행자 단독으로 정보통신 공사의 케이블 규격 및 시공상의 이상 유무 및 커넥터접속의 이상 유무 등을 쉽게 점검할 수 있어 감리업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공동주택 통신실에 집결되는 복수의 세대별케이블이 어느 세대로부터 포설된 것인지 파악할 수 있어 케이블 관리가 용이해진다. 또한 감리현장에서 정보통신공사의 설계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설계정보를 바탕으로 정보통신공사의 진행상황을 점검함으로서 설계와 시공이 일치하는지 여부와 시공상태의 이상 유무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정보통신공사 감리를 위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정보통신공사 감리를 위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단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정보통신공사 감리를 위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을 이용한 감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 감리 시스템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정보통신공사 감리를 위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설치되며 세대정보가 저장된 RFID칩(174)을 포함하는 세대별통신단자함(170)과, 감리원인 사용자가 직접 휴대하여 세대별케이블의 시공상태를 점검하는 휴대용단말(110) 및 공동주택 통신실에 배치되어 휴대용단말(110)과 함께 포설된 케이블의 시공상태와 점검된 케이블의 세대 정보를 표시하는 본체(140)를 포함하는 케이블 점검 시스템(100)과, 세대별 설계정보를 저장하고 휴대용단말(110)과 연결되어 휴대용단말(110)로 세대별 설계정보를 전송하고 점검결과를 받아 저장하는 감리서버(180)로 구성된다.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설치되는 상기 세대별통신단자함(170)은 함체(171), 허브(172), 세대별단자대(173) 및 RFID칩(174)을 포함한다.
함체(171)는 내부에 허브(172) 등 통신 장비가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 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강한 충격 또는 화재 등으로부터 내부에 설치된 통신 장비를 보호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허브(172)는 이더넷망에서 단말들을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함체(171) 내부에 마련되어 세대 내에서부터 포설되는 케이블들에 연결되는 단말이 공동주택 통신실로 포설되는 케이블을 통하여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세대별통신단자함(170)부터 공동주택 통신실까지는 각 세대별케이블이 포설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세대 내의 모든 케이블들은 함체(171) 내부로 포설되어 허브(172)에 연결되고, 통신실로부터 함체(171)로 포설되는 세대별케이블도 허브(172)에 연결된다. 함체(171)로 인입되어 허브(172)로 연결되는 케이블의 일단에는 허브(172)와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
세대별단자대(173)는 커넥터 규격이 아닌 러그 등으로 케이블이 직접 연결되는 경우 사용된다. 전선 수가 많지 않은 통신용 케이블 또는 전원선 등이 연결될 수 있다.
RFID칩(174)은 함체(171) 내부에 마련되며 세대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세대 정보는 해당 세대의 호실, 위치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세대 정보는 휴대용단말(110)을 통해 감리원이 확인하여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는 등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감리원은 RFID칩(174)으로부터 얻은 세대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휴대용단말(110)은 제1커넥터접속부(111), 제1단자대(113), 점검부(114), RFID리더부(112) 및 제1통신부(116)를 포함한다. 휴대용단말(110)은 휴대폰, 스마트폰, 테블릿,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연동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1커넥터접속부(111)는 세대별통신단자함(170)에 포설되는 케이블의 일단에 접속되는 커넥터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커넥터접속부(111)는 복수 개의 케이블이 동시에 접속되도록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1커넥터접속부(111)는 세대에 구비된 세대별케이블이 서로 다른 종류인 경우를 대비하여 서로 다른 접속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UTP 케이블의 RJ45 커넥터 규격 외에도 RS-232C 9핀 또는 25핀 접속규격을 위한 접속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커넥터접속부(111)는 다양한 접속규격의 케이블을 접속하여 점검할 수 있도록 접속규격이 다른 복수 개의 제1커넥터접속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단자대(113)는 각 세대에 포설되는 케이블의 일단에 접속되는 러그 단자와 같은 복수 개의 단자를 직접 연결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단자대(113)는 전선 수가 적은 센서용 케이블 또는 전원선 등과 같이 전선의 단말처리가 러그 등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도 케이블 점검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휴대용 단말의 RFID리더부(112)는 세대별통신단자함(170)에 마련되는 RFID칩(174)에 저장된 세대 정보를 읽도록 마련된다. 감리원은 휴대용단말(110)을 RFID칩(174)에 접촉시키면 RFID리더부(112)가 RFID칩(174)으로부터 세대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세대 정보는 제1통신부(116)를 통하여 통신실에 배치되는 본체(140)의 제2통신부(146)로 전송되고 점검이 시작되면 본체(140)는 제2커넥터접속부(141)에 접속된 각각의 커넥터가 어느 세대로부터 포설된 것인지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세대 정보는 감리서버(180)로도 전송되고 감리서버(180)는 세대 정보에 해당하는 설계정보를 휴대용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점검부(114)는 제1커넥터접속부(111) 또는 제1단자대(113)에 접속된 케이블의 이상 유무를 본체(140)와 연동하여 점검한다. 점검부(114)는 제1통신부(116)를 통해 통신실에 위치하는 본체(140)의 제2통신부(146)로 세대 정보를 전송하고 제1커넥터접속부(111) 또는 제1단자대(113)에 연결된 케이블의 전선 각각에 대하여 케이블 점검 신호를 내보내어 케이블 시공상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본체(140)는 제2커넥터접속부(141) 또는 제2단자대(143)를 통하여 휴대용단말(110)이 제1커넥터접속부(111) 또는 제1단자대(113)를 통하여 보내는 케이블 점검 신호를 검출하고 제2통신부(146)를 통하여 검출 결과를 송신함으로서 휴대용단말(110)의 점검부(114)가 케이블 시공상의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단말(110)은 감리서버(180)로 세대 정보를 전송하고 감리서버(180)로부터 세대 정보에 해당하는 설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감리원은 설계정보를 바탕으로 케이블 규격의 적정성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점검부(114)는 설계정보를 기초로 케이블 점검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점검이 끝나면 세대 정보를 포함하는 점검 결과를 감리서버(180)로 전송할 수 있다.
점검부(114)는 케이블의 시공상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연결된 케이블에 대하여 커넥터의 오결선, 단선, 단락 등을 점검하기 위한 특정 전압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점검 신호를 휴대용단말(110)에 연결된 케이블로 내보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검부(114)는 제1커넥터접속부(111) 또는 제1단자대(113)에 연결된 케이블 일단에 접속된 커넥터의 각각의 핀 또는 각각의 단자에 전압을 인가하고 통신실에 배치되는 본체(140)는 제2커넥터접속부(141) 또는 제2단자대(143)에서 전압을 검출하여 제2통신부(146)를 통하여 휴대용단말(110)의 점검부(114)로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각각의 핀 또는 단자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전압을 인가함으로서 커넥터 각각의 핀의 오결선 여부, 케이블 전선의 단선 또는 단락 등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휴대용단말(110)이 통신실에 배치되는 본체(140)로 점검 개시를 알리면 본체(140)는 제2커넥터접속부(141) 또는 제2단자대(143)에서 각각의 핀 또는 단자를 단락시키고 휴대용단말(110)은 제1커넥터접속부(111) 또는 제1단자대(113)에서 각각의 핀 또는 단자 사이의 단락 여부를 검출하여 커넥터의 오결선 여부, 케이블 전선의 단선 또는 단락 등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공동주택 통신실에 배치되어 휴대용단말(110)과 함께 케이블 점검을 수행하는 본체(140)는 제2통신부(146), 제2커넥터접속부(141), 제2단자대(143) 및 표시부(145)를 포함한다. 본체(140)에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휴대용단말(110)의 점검부(114)와 상호작용을 통해 케이블 점검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본체(140)의 기능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본체(140)는 제2통신부(146)를 통해 휴대용단말(110)의 제1통신부(116)로부터 세대 정보 및 케이블 점검 개시 여부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감리원은 특정 세대 내에서 RFID칩(174)에 휴대용단말(110)을 접촉시켜 RFID리더부(112)를 통해 세대 정보를 얻고, 상기 세대 정보는 제1통신부(116)를 통해 제2 통신부로 전송된다. 휴대용단말(110)의 점검부(114)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커넥터접속부(111) 또는 제1단자대(113)에 연결된 케이블 일단에 접속된 커넥터의 각각의 핀 또는 각각의 단자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과 같은 케이블 점검 신호를 내보내면 본체(140)는 이를 검출하여 케이블 시공상의 이상 유무 및 규격 등을 점검할 수 있다.
제2커넥터접속부(141)에는 공동주택의 각 세대로부터 공동주택 통신실로 포설되는 케이블들이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제2단자대(143)에는 공동주택의 각 세대로부터 공동주택 통신실로 포설되는 케이블들이 연결된다. 각 세대로부터 포설된 케이블의 타단이 커넥터 규격으로 접속되는 경우 제2커넥터접속부(141)에 연결될 수 있으며, 러그 단자 등일 경우 제2단자대(143)로 연결되어 케이블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본체(140)의 표시부(145)는 전송받은 세대정보와 점검이 수행된 케이블의 점검 결과를 표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감리서버(180)는 상기 휴대용단말(110)로부터 세대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세대의 설계정보를 상기 휴대용단말(110)로 송신한다. 설계정보는 세대에 포설되는 케이블의 규격, 케이블 포설 구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감리서버(180)는 휴대용단말(110)로 케이블 규격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현장 감리원이 세대에 포설되는 케이블 규격의 일치 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감리서버(180)에는 세대 정보, 세대별 케이블 규격 및 점검결과, 점검일, 점검시간, 감리원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감리서버(180)는 감리원이 점검결과 보고서 등을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감리서버(180)는 휴대용단말(110)로부터 감리원 정보 등을 수신하고 감리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휴대용단말(110), 본체(140) 및 감리서버(180)는 그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라 함은, 휴대용단말(110), 본체(140) 및 감리서버(18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매개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휴대용 단말 및 본체(140)는 감리 서버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통신 방법을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공중파 이동통신망(3G, 4G 등),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비롯하여,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정보통신공사 감리를 위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감리원은 휴대용단말(110)의 RFID리더부(112)를 통하여 각 세대에 구비되는 세대별통신단자함(170)에 마련되는 RFID칩(174)으로부터 세대 정보를 수신한다. 감리원은 세대 정보를 확인하고 함체(171) 내에 노출된 세대별케이블의 일단(121)을 휴대용단말(110)의 제1커넥터접속부(111)에 연결시키거나 제1단자대(113)에 연결시킨다. 이때, 세대별케이블의 타단(122)은 공동주택 통신실로 포설되고 통신실에 배치되는 본체(140)의 제2커넥터접속부(141) 또는 제2단자대(143)에 연결된다. 한편 세대 정보는 휴대용단말(110)의 제1통신부(116)를 통해 감리서버(180)로 전송되고, 감리서버(180)는 해당 세대의 설계정보를 휴대용단말(110)로 전송한다.
휴대용단말(110)의 점검부(114)는 설계정보를 기초로 본체(140)와 함께 케이블 점검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점검부(114)는 제1커넥터접속부(111) 또는 제1단자대(113)에 연결된 케이블 일단에 접속된 커넥터의 각각의 핀 또는 각각의 단자에 전압을 인가하고 통신실에 배치되는 본체(140)는 제2커넥터접속부(141) 또는 제2단자대(143)에서 전압을 검출하여 제2통신부(146)를 통하여 휴대용단말(110)의 점검부(114)로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각각의 핀 또는 단자에 대한 순차적인 전압 인가와 같은 케이블 점검 신호를 통해 커넥터의 오결선 여부, 케이블 전선의 단선 또는 단락 등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단말(110)이 통신실에 배치되는 본체(140)로 점검 개시를 알리면 본체(140)는 제2커넥터접속부(141) 또는 제2단자대(143)에서 각각의 핀 또는 단자를 단락시키고 휴대용단말(110)은 제1커넥터접속부(111) 또는 제1단자대(113)에서 각각의 핀 또는 단자 사이의 단락 여부를 검출하여 커넥터의 오결선 여부, 케이블 전선의 단선 또는 단락 등의 이상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110)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단말(110)은 제1커넥터접속부(111) 및 제1단자대(113)를 포함한다. 감리원은 세대 내의 세대별케이블의 일단을 제1커넥터접속부(111) 또는 제1단자대(113)에 연결시킨다. 휴대용단말(110)은 세대 정보, 정보 송수신 과정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제1디스플레이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리 수행자는 제1디스플레이부(115)를 통해 자신이 위치한 세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감리서버(180)로부터 수신되는 세대의 설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110)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부(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는 세대 내에서 감리가 필요한 부분을 촬영하여 감리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감리 수행자는 케이블 시공 상태 외에도 세대 내부 구조물 등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은 감리서버(180)로 전송될 수 있고, 감리서버(180)는 감리 수행자에게 감리업무에서 사진 촬영이 필요한 목록들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단말(110)은 사용자가 세대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키패드, 터치패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리 수행자는 RFID칩(174)으로부터 세대 정보를 얻지 못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세대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휴대용단말(110)은 입력부에서 입력된 세대 정보를 감리서버(180)로 전송하고 감리서버(180)는 해당 세대의 설계정보를 휴대용단말(110)로 송신한다. 휴대용단말(110)은 수신된 설계정보를 바탕으로 점검부(114)를 통해 케이블 점검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40)는 제2통신부(146), 제2커넥터접속부(141), 제2단자대(143) 및 표시부(145)를 포함한다. 본체(140)는 공동주택 통신실에 배치되고 각 세대로부터 포설된 세대별케이블의 타단이 제2커넥터접속부(141) 또는 제2단자대(143)에 연결된다.
표시부(145)는 본체(140)의 상태 또는 케이블 점검 결과와 같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휴대용단말(110)과 본체(140)가 케이블 점검을 완료하면 본체(140)는 제2케이블커넥터부의 어느 접속구에 연결된 케이블이 어느 세대로부터 포설된 것인지 확인할 수 있고, 케이블의 이상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40)는 표시부(145)를 통하여 점검이 완료된 세대별케이블의 세대 정보와 해당 세대별케이블의 커넥터가 삽입된 접속구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본체(140)에는 세대 정보가 인쇄된 라벨을 출력하는 프린터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감리원은 출력된 라벨을 해당 세대별케이블에 부착하여 관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프린터부는 세대 정보, 세대별케이블의 위치, 점검결과가 인쇄된 라벨을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정보통신공사 감리를 위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100)을 이용한 감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동주택의 정보통신공사 감리를 위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100)을 이용한 감리 방법은 케이블 점검 시스템(100)의 휴대용단말(110)이 세대별통신단자함(170)에 부착된 RFID칩(174)으로부터 세대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휴대용단말(110)이 감리서버(180)로 세대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감리서버(180)가 세대정보에 해당하는 정보통신공사 설계정보를 휴대용단말(110)로 전송하는 단계;, 휴대용단말(110)이 수신된 설계정보를 기초로 공동주택 통신실에 위치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100)의 본체(140)를 이용하여 포설된 케이블의 시공 상태를 점검하는 단계;, 휴대용단말(110)이 케이블의 시공 상태를 점검한 결과를 감리서버(180)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점검 시스템(100)은 상술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정보통신공사 감리를 위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감리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케이블 점검 시스템
110 : 휴대용단말 111 : 제1커넥터접속부
112 : RFID리더부 113 : 제1단자대
114 : 점검부 116 : 제1통신부
121 : 세대별케이블의 일단 122 : 세대별케이블의 타단
140 : 본체 141 : 제2커넥터접속부
143 : 제2단자대 145 : 표시부
146 : 제2통신부
170 : 세대별통신단자함 171 : 함체
172 : 허브 173 :세대별단자대
174 : RFID칩 180 : 감리서버

Claims (3)

  1. 공동주택의 정보통신공사 감리를 위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점검 시스템은 휴대용단말, 본체 및 감리서버(180)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단말은 세대별통신단자함에 포설되는 케이블의 일단에 접속되는 커넥터를 연결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1커넥터접속부;와,
    상기 케이블의 일단에 접속되는 복수 개의 단자를 직접 연결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1단자대;와,
    상기 제1커넥터접속부 또는 제1단자대에 접속된 상기 케이블의 이상 유무를 상기 본체와 연동하여 점검하는 점검부;와,
    상기 세대별통신단자함에 마련되는 RFID칩으로부터 세대 정보를 수신하는 RFID리더부; 및 상기 수신된 세대 정보를 상기 본체로 송신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제1통신부로부터 송신된 세대 정보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와,
    각각의 세대별통신단자함으로부터 포설되는 복수 개의 케이블의 타단에 접속되는 커넥터들을 동시에 연결시킬 수 있는 복수개의 제2커넥터접속부;와,
    각각의 세대별통신단자함으로부터 포설되는 복수 개의 케이블의 타단에 접속되는 복수 개의 단자를 직접 연결시킬 수 있는 복수 개의 제2단자대; 및 상기 세대 정보 및 케이블점검 결과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설치되는 상기 세대별통신단자함은 내부에 통신 장비가 설치되는 설치 공간이 마련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 내부에 마련되어 공동주택 통신실로 포설되는 케이블의 일단에 접속되는 커넥터가 연결되는 허브;와,
    상기 함체 내부에 마련되어 케이블의 일단에 접속되는 단자가 직접 연결되는 세대별단자대; 및 상기 함체 내부에 마련되며 세대 정보가 저장된 RFID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점검부(114)는 케이블의 시공상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연결된 케이블에 대하여 커넥터의 오결선, 단선, 단락을 점검하기 위한 특정 전압으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점검 신호를 휴대용단말(110)에 연결된 케이블로 내보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본체는 점검이 완료된 케이블에 부착할 수 있도록 세대 정보가 입력된 라벨을 출력하는 프린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감리서버(180)는 상기 휴대용단말(110)로부터 세대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세대의 설계정보를 상기 휴대용단말(110)로 송신하되,
    감리서버(180)에는 세대 정보, 세대별 케이블 규격 및 점검결과, 점검일, 점검시간, 감리원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설계정보는 각 세대에 설치되는 케이블의 규격, 케이블의 포설 구간, 케이블의 접속 규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공동주택의 정보통신공사 감리를 위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부(114)는 제1통신부(116)를 통해 통신실에 위치하는 본체(140)의 제2통신부(146)로 세대 정보를 전송하고 제1커넥터접속부(111) 또는 제1단자대(113)에 연결된 케이블의 전선 각각에 대하여 케이블 점검 신호를 내보내어 케이블 시공상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상기 본체(140)는 제2커넥터접속부(141) 또는 제2단자대(143)를 통하여 휴대용단말(110)이 제1커넥터접속부(111) 또는 제1단자대(113)를 통하여 보내는 케이블 점검 신호를 검출하고 제2통신부(146)를 통하여 검출 결과를 송신함으로서 휴대용단말(110)의 점검부(114)가 케이블 시공상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정보통신공사 감리를 위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
  3. 삭제
KR1020190035383A 2019-03-27 2019-03-27 공동주택의 정보통신공사 감리를 위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 KR102050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383A KR102050690B1 (ko) 2019-03-27 2019-03-27 공동주택의 정보통신공사 감리를 위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383A KR102050690B1 (ko) 2019-03-27 2019-03-27 공동주택의 정보통신공사 감리를 위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0690B1 true KR102050690B1 (ko) 2020-01-08

Family

ID=69153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383A KR102050690B1 (ko) 2019-03-27 2019-03-27 공동주택의 정보통신공사 감리를 위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69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245B1 (ko) 2021-11-01 2022-02-08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정보통신망 케이블 점검시스템
KR102395965B1 (ko) 2021-06-21 2022-05-10 (주)대화 공사감리를 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단자함 장치
KR102525890B1 (ko) * 2022-12-06 2023-04-28 (주)한승이엔씨 친환경 통신시스템을 갖춘 공동주택 시공방법
KR102528915B1 (ko) * 2023-01-17 2023-05-03 주식회사 부일이엔지 인공지능과 연계한 건축물 정보통신망 제어시스템
KR102534020B1 (ko) * 2023-01-25 2023-05-30 (주)한빛기술단 공동주택 건축물의 정보통신 업그레이드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2971A (ko) * 2009-07-31 2011-02-0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케이블 점검 장치 및 방법
JP2014093870A (ja) * 2012-11-03 2014-05-19 Hitachinaka Techno Center:Kk 配電盤ケーブル結線確認装置と画像処理システム
KR101499863B1 (ko) 2014-01-14 2015-03-10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집중형 배선반의 통신선 체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2971A (ko) * 2009-07-31 2011-02-09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케이블 점검 장치 및 방법
JP2014093870A (ja) * 2012-11-03 2014-05-19 Hitachinaka Techno Center:Kk 配電盤ケーブル結線確認装置と画像処理システム
KR101499863B1 (ko) 2014-01-14 2015-03-10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집중형 배선반의 통신선 체크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965B1 (ko) 2021-06-21 2022-05-10 (주)대화 공사감리를 위한 공동주택 정보통신단자함 장치
KR102358245B1 (ko) 2021-11-01 2022-02-08 주식회사 아이비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정보통신망 케이블 점검시스템
KR102525890B1 (ko) * 2022-12-06 2023-04-28 (주)한승이엔씨 친환경 통신시스템을 갖춘 공동주택 시공방법
KR102528915B1 (ko) * 2023-01-17 2023-05-03 주식회사 부일이엔지 인공지능과 연계한 건축물 정보통신망 제어시스템
KR102534020B1 (ko) * 2023-01-25 2023-05-30 (주)한빛기술단 공동주택 건축물의 정보통신 업그레이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690B1 (ko) 공동주택의 정보통신공사 감리를 위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
KR102050691B1 (ko) 공동주택의 정보통신공사 감리를 위한 케이블 점검 시스템을 이용한 감리 방법
JP4091845B2 (ja) 電子モジュールを備えたネットワーク・ドキュメ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
US20090175195A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using time domain reflectometry signatures to monitor network communication lines
CN102783095B (zh) 通信系统、通信方法、服务器设备、通信设备
CN104601799A (zh) 一种数据传输的方法及移动终端
US9157953B2 (en) Test systems with cables that support multiple communications buses
US11450993B2 (en) Automated capture of information about fixed cabling
KR101053171B1 (ko) 마스터 디바이스 및 리모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케이블 테스트 장치
CN110389901A (zh) Arm工控机的测试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7366630B2 (en) Management of electrical cable installations in a building
CN111896884A (zh) 充电检测方法及装置
CN114338493A (zh) 基于网络协议栈的ncsi测试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CN102455965A (zh) 电子装置测试系统及方法
EP3422682B1 (en) Intercom system
JP2000193555A (ja) 光ファイバ線路監視システム
KR101499863B1 (ko) 집중형 배선반의 통신선 체크 시스템
WO2021015118A1 (ja) ケーブル誤抜防止システム、管理装置、ケーブル誤抜防止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210807489U (zh) 一种监控装置
KR200473532Y1 (ko) 랜케이블 테스터
CN104079453B (zh) 调试设备的枚举方法和装置
CN106095703A (zh) 一种drp识别方法及装置
JP2014202699A (ja) ケーブル検査システム、ケーブル検査装置、情報処理装置、ケーブル検査方法、及びケーブル検査プログラム
CN113009246A (zh) Pse设备检测装置及pse设备检测方法
CN216673033U (zh) 一种网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