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166B1 -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166B1
KR102050166B1 KR1020180093711A KR20180093711A KR102050166B1 KR 102050166 B1 KR102050166 B1 KR 102050166B1 KR 1020180093711 A KR1020180093711 A KR 1020180093711A KR 20180093711 A KR20180093711 A KR 20180093711A KR 102050166 B1 KR102050166 B1 KR 102050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organism
real
floating
time continuous
susp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호
한장섭
김형래
안상권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3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166B1/ko
Priority to PCT/KR2019/009981 priority patent/WO2020032625A1/ko
Priority to US17/267,598 priority patent/US1182869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Electro-optical investigation, e.g. flow cytometers
    • G01N15/1468Electro-optical investigation, e.g. flow cytometers with spatial resolution of the texture or inner structure of the particle
    • G01N15/147Electro-optical investigation, e.g. flow cytometers with spatial resolution of the texture or inner structure of the particle the analysis being performed on a sample stream
    • G01N15/075
    • G01N2015/019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2015/0681Purposely modifying particles, e.g. humidifying for grow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2015/0693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by optical means, e.g. by integrated nephel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2015/1006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for cytolog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Electro-optical investigation, e.g. flow cytometers
    • G01N2015/1477Multiparameters

Abstract

공기 중 부유 미생물을 연속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는 바디부와, 기화부와, 액화부와, 코팅부, 및 측정부를 포함한다. 바디부는 부유 미생물이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다. 기화부는 용해액을 기화하여 바디부 내부로 공급한다. 액화부는 기화된 용해액을 냉각하여 부유 미생물의 표면에 응축시킨다. 코팅부는 용해액에 의해 용해된 부유 미생물에 발광제를 도포한다. 측정부는 부유 미생물이 발광제와 반응하여 발생하는 광의 강도(intensity)를 검출하여 미생물의 농도를 측정한다.

Description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Real time continuous measurement apparatus for airborne microbial}
본 발명은 기상에서 이동하는 부유 미생물의 농도를 연속적이면서도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한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상에서 이동하는 바이오 에어로졸에 대한 ATP 추출, 생물 발광, 농도 측정까지의 단계를 일련의 과정으로 수행함으로써 바이오 에어로졸을 포집하지 않고도 바이오 에이로졸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조류 인플루엔자, 신종 인플루엔자 등이 이슈화되면서 공기 감염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 중 부유 미생물 측정(airborne microbial measurement)이 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바이오센서 시장도 이에 맞추어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다.
공기 중 부유 미생물 측정하는 방법에는, 시료기체 중에 부유하고 있는 생물입자를 증식에 적합한 고체 또는 액체 표면에 포집하고 일정기간 적당 온습도 환경 하에서 배양한 후, 표면에 출현한 콜로니수에서 포집 미생물수를 구하는 배양법과, 염색 후 형광현미경을 이용하는 염색법 등이 있다.
근래에는 ATP(아데노신삼인산, adenosine triphosphate)와 루시페린(luciferin)/루시페라아제(luciferase)가 반응하여 빛을 내는 원리를 이용하는 ATP 생물 발광법에 의해, ATP 소거처리, ATP 추출, 발광량 측정까지 소요되는 일련의 과정을 30분 정도로 축소하여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들에 의하면 공기 중에 존재하는 부유 미생물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없으며, 별도의 샘플링 과정과 전처리 등을 포함한 일련의 수작업이 요구되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바이오센서들은 공기 중 부유 미생물의 측정시 별도의 샘플링 과정 후 적용하여야 하므로, 최소 20분에서 최대 2시간의 소요시간을 요구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 TSI사의 "UV-APS"제품과 같이 별도의 샘플링 없이도 미생물의 측정이 가능한 장비를 개발하였으나, 매우 고가여서 현실적으로 보급화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부유 미생물에 자동으로 용해액과 ATP 반응 발광제를 공급함으로써, 고가의 장비 없이도 공기중 부유 미생물의 측정이 가능한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부유 미생물의 세포벽을 파괴하기 위한 용해액을 기화하여 증기 상태로 배출시킨 후 이를 냉각하여 부유 미생물의 표면에 응축시킴으로써, 용해액과 부유 미생물 간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ATP의 추출 속도 및 미생물 농도의 측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는 바디부와, 기화부와, 액화부와, 코팅부, 및 측정부를 포함한다. 바디부는 부유 미생물이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다. 기화부는 용해액을 기화하여 바디부 내부로 공급한다. 액화부는 기화된 용해액을 냉각하여 부유 미생물의 표면에 응축시킨다. 코팅부는 용해액에 의해 용해된 부유 미생물에 발광제를 도포한다. 측정부는 부유 미생물이 발광제와 반응하여 발생하는 광의 강도(intensity)를 검출하여 미생물의 농도를 측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해액은 부유 미생물의 세포를 용해하여 아데노신삼인산(ATP, adenosine triphosphate)을 추출하는 라이시스 버퍼(Lysis buffer)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시스 버퍼는 알코올(alcohol)을 포함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제는 루시페린(luciferin) 및 루시페라아제(luciferase)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제는 마그네슘이온(Mg2 +)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부는 PMT(photomultiplier tube) 센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팅부와 측정부 사이에는 부유 미생물을 농축하여 부피를 감소키기 위한 농축부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농축부는 공기역학적 렌즈(aerodynamic lens)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농축부는 바디부의 직경이 단계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하여 마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부의 배출구에는 부유 미생물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흡입 펌프가 설치된다.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는 바디부와, 기화부와, 액화부와, 코팅부와, 농축부, 및 측정부를 포함한다. 바디부는 부유 미생물이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다. 기화부는 용해액을 기화하여 바디부 내부로 공급한다. 액화부는 기화된 용해액을 냉각하여 부유 미생물의 표면에 응축시킨다. 코팅부는 용해액에 의해 용해된 부유 미생물에 ATP 반응 발광제를 도포한다. 농축부는 ATP 반응 발광제가 코팅된 부유 미생물을 농축하여, 부유 미생물의 부피를 감소시킨다. 측정부는 농축된 부유 미생물이 ATP 반응 발광제와 반응하여 발생하는 광의 강도를 검출하여 미생물의 농도를 측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용해액은 부유 미생물의 세포를 용해하여 아데노신삼인산(ATP, adenosine triphosphate)을 추출하는 라이시스 버퍼(Lysis buffer)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시스 버퍼는 알코올(alcohol)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ATP 반응 발광제는 루시페린(luciferin) 및 루시페라아제(luciferase)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ATP 반응 발광제는 마그네슘이온(Mg2+)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부는 PMT(photomultiplier tube) 센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농축부는 공기역학적 렌즈(aerodynamic lens)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농축부는 바디부의 직경이 단계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하여 마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부의 배출구에는 부유 미생물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흡입 펌프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 중에 존재하는 부유 미생물을 샘플링하고, ATP 추출, 생물 발광, 농도 측정까지의 단계를 일련의 과정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공기 중 부유 미생물을 연속적이면서도 실시간으로 측정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기상에서 이동하는 부유 미생물을 실시간으로 측정함에 따라, 부유 미생물을 포집하기 위한 별도의 포집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포집 장치에 의한 폐수액이 발생하지 않아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유 미생물이 포집 장치에 포집되는 방식이 아니므로, 포집 장치의 오염으로 인한 측정 오차가 없다.
또한, 부유 미생물의 샘플링 후 측정까지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유 미생물의 포집과 농축을 위한 별도의 시간이 소요되지 않아 측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유 미생물의 세포벽을 파괴하기 위한 용해액을 기화하여 증기 상태로 배출시킨 후 이를 냉각함으로써, 부유 미생물의 표면에 용해액이 응축되어 용해액과 부유 미생물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게 있게 된다. 따라서, 부유 미생물이 용해되는 속도가 증가하고, 이는 발광제와 반응하여 광을 방출하는 ATP의 추출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미생물 농도의 측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유 미생물의 표면에 용해액이 응축됨에 따라 부유 미생물의 표면적이 증가하게 되므로, 발광제가 부유 미생물의 표면에 부착되지 않는 것을 예방하여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코팅부와 측정부 사이에 부유 미생물의 부피를 단계적으로 줄이고, 층류를 형성하여 일렬로 배출시키기 위한 농축부가 설치됨에 따라, 측정시 부유 미생물들이 겹치지 않아 보다 정확하게 부유 미생물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농축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100)는 바디부(110)와, 기화부(120)와, 액화부(130)와, 코팅부(140) 및 측정부(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100)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바이러스, 세균, 바이오에어로졸(bioaerosol) 등을 포함하는 부유 미생물(10)의 농도를 연속적이면서도 실시간으로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100)는 공기청정기, 제균기 등의 세균 감지 센서에 적용될 수 있다.
바디부(110)는 부유 미생물(10)이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110a)와 배출구(110b)가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10)는 내부에 부유 미생물(10)이 이동하기 위한 통로가 마련된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10)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거나, 복수로 마련된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10)의 배출구(110b)에는 부유 미생물(10)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흡입 펌프(1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바디부(110)의 배출구(110b) 측에 흡입 펌프(170)가 설치됨에 따라, 부유 미생물(10)은 유입구(110a) 측에서 배출구(110b)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기화부(120)는 용해액을 기화하여 바디부(1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기화부(120)는 바디부(110)의 유입구(110a)측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용해액을 기화시키기 위한 기화기(carbure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화기는 공급되는 용해액을 미세하게 작은 입자로 만들어 공기와 혼합시킨 후, 증기 상태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처럼 기화부(120)로부터 용해액이 증기 상태로 공급됨에 따라 바디부(110) 내부를 지나는 부유 미생물(10)의 표면에 용해액이 묻게 되고, 용해액이 묻은 부유 미생물(10)은 용해되어 내부에 있는 ATP(adenosine triphosphate), DNA, RNA 등을 추출하게 된다. 즉, 용해액에 의해 부유 미생물(10)의 세포벽이 손상되어, 부유 미생물(10) 내부에 있던 ATP가 DNA, RNA 등과 함께 세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미생물을 용해한다는 것은 미생물을 녹여 액체상태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미생물 하나를 다수의 요소로 분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기화부(120)로부터 배출되는 용해액은 부유 미생물(10)의 세포를 용해하여 아데노신삼인산(ATP, adenosine triphosphate)을 추출하는 라이시스 버퍼(Lysis 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라이시스 버퍼는 알코올(alcohol)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알코올의 가격이 싸고, 구하기 용이하며, 기화시 성질이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액화부(130)는 기화된 용해액을 냉각하여 부유 미생물(10)의 표면에 응축시킬 수 있다. 이처럼 액화부(130)에 의해 용해액이 냉각되어 부유 미생물(10)의 표면에 응축됨에 따라, 용해액과 부유 미생물(10)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게 되어 용해되는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증기 상태의 용해액이 액화부(130)에 의해 액체 상태로 변화하면 표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표면적 증가에 따라 부유 미생물(10)과의 젖음성이 증가하게 되므로, 증기 상태일 때와 비교하여 더 많은 양의 용해액이 부유 미생물(10)에 접촉되는 것이다.
액화부(130)는 주변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냉각 모듈은 냉각 팬, 냉각수, 냉각 핀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이처럼 액화부(130)가 냉각 모듈을 포함함에 따라, 액화부(130)와 기화부(120) 사이에는 필연적으로 온도차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액화부(130)와 기화부(120)를 서로 다른 공간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일례로, 바디부(110)를 제1 바디부(111)와 제2 바디부(112)로 형성한 후, 제1 바디부(111)에는 액화부(130)를 설치하고 제2 바디부(112)에는 기화부(120)를 설치할 수 있다.
코팅부(140)는 용해액에 의해 용해된 부유 미생물(10)에 발광제를 도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팅부(140)는 노즐을 구비하여 내부에 저장된 발광제를 미립자 형태로 분사할 수 있다.
코팅부(140)로부터 분사되는 발광제는 부유 미생물(10)로부터 추출된 ATP와 반응하여 광을 발생시키는 물질, 일례로 루시페린(luciferin), 루시페라아제(luciferase)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제는 마그네슘이온(Mg2 +)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코팅부(140)에 의해 부유 미생물(10)의 표면에 발광제가 도포됨에 따라, 부유 미생물(10)에서 추출된 ATP는 발광제와 반응하여 광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부유 미생물(10)의 표면에는 용해액이 응축되어 있어 표면적이 증가하게 되므로, 발광제와의 접촉 성공률이 증가하여 발광제가 부유 미생물(10)의 표면에 부착되지 않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ATP와 발광제가 반응하여 광을 발생시키는 과정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측정부(150)는 부유 미생물(10)이 발광제와 반응하여 발생하는 광의 강도(intensity)를 검출하여, 부유 미생물(10)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즉, 부유 미생물(10)의 농도가 높을수록 추출되는 ATP의 양이 많아지므로, 강도 또한 커지게 되는데, 측정부(150)는 이러한 강도의 증감을 측정하여 부유 미생물(10)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때, 측정부(150)를 통해 검출된 강도는 신호 처리과정을 거쳐 부유 미생물(10)의 농도로 최종 변환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측정부(150)는 부유 미생물(10)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150)는 PMT(photomultiplier tube) 센서를 구비하여 미생물에서 발생되는 광을 수광 및 측정할 수 있다. PMT 센서는 고감도 근적외선 센서로서, 세기가 약한 광까지 모두 측정 가능하므로 보다 정확히 미생물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밖에도 측정부(150)는 광 다이오드(PD), 애벌란시 포토 다이오드(APD) 등과 같이 광을 검출하여 미생물의 농도를 추출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100)는 농축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농축부(160)는 부유 미생물(10)을 농축하여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코팅부(140)와 측정부(15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농축부(160)에 의해 부유 미생물(10)이 농축됨에 따라, 동일한 공간에 더 많은 양의 부유 미생물(10)을 저장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농축부(160)는 부유 미생물(10)의 부피를 단계적으로 줄여 층류를 형성하기 위한 공기역학적 렌즈(aerodynamic lens, 161)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역학적 렌즈(16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10) 내에 배치되거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한 쌍의 바디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기역학적 렌즈(161)는 부유 미생물(10)이 통과하도록 중심부에 렌즈 홀이 형성된 렌즈부(161a)를 복수개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렌즈부(161a)에 형성된 홀은 부유 미생물(10)의 이동 방향으로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유 미생물(10)이 하나의 렌즈부(161a)를 통과할 때마다 부피는 점점 작아지게 되고, 층류가 형성되어 일렬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부유 미생물(10)의 부피를 한번에 줄이지 않고, 단계적으로 줄이는 이유는 차압의 발생을 줄여 부유 미생물(10)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농축부(160)의 배출부위, 즉 측정부(150)가 위치한 바디부(110)의 폭을 농축부(160)가 배치된 바디부(110)의 폭 보다 좁게 형성하여, 농축된 부유 미생물(10)이 일렬로 흐르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100)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부유 미생물(10)을 샘플링하고, ATP 추출, 생물 발광, 농도 측정까지의 단계를 일련의 과정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공기 중 부유 미생물(10)을 연속적이면서도 실시간으로 측정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기상에서 이동하는 부유 미생물(10)을 실시간으로 측정함에 따라, 부유 미생물(10)을 포집하기 위한 별도의 포집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포집 장치에 의한 폐수액이 발생하지 않아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유 미생물(10)이 포집 장치에 포집되는 방식이 아니므로, 포집 장치의 오염으로 인한 측정 오차가 없다.
또한, 부유 미생물(10)의 샘플링 후 측정까지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유 미생물(10)의 포집과 농축을 위한 별도의 시간이 소요되지 않아 측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유 미생물(10)의 세포벽을 파괴하기 위한 용해액을 기화하여 증기 상태로 배출시킨 후 이를 냉각함으로써, 부유 미생물(10)의 표면에 용해액이 응축되어 용해액과 부유 미생물(10) 간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부유 미생물(10)이 용해되는 속도가 증가하고, 이는 발광제와 반응하여 광을 방출하는 ATP의 추출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미생물의 농도의 측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유 미생물(10)의 표면에 용해액이 응축됨에 따라 부유 미생물(10)의 표면적이 증가하게 되므로, 발광제가 부유 미생물(10)의 표면에 부착되지 않는 것을 예방하여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코팅부(140)와 측정부(150) 사이에 부유 미생물(10)의 부피를 단계적으로 줄이고, 층류를 형성하여 일렬로 배출시키기 위한 농축부(160)가 설치됨에 따라, 측정시 부유 미생물(10)들이 겹치지 않아 보다 정확하게 부유 미생물(10)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농축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축부(260)는 바디부(110)의 직경이 단계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즉, 농축부(260)는 코딩부와 측정부(150) 사이에 위치한 바디부(110)의 직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가공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바디부(110)에는 복수의 단차(261)가 형성되고, 부유 미생물(10)이 이 단차(261)를 통과할 때마다 부피가 점점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단차(261)를 통과한 부유 미생물(10)은 일렬로 배치되며 바디부(110)의 배출구(110b) 측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부유 미생물
110.. 바디부
120.. 기화부
130.. 액화부
140.. 코팅부
150.. 측정부
160.. 농축부
170.. 배출 펌프

Claims (19)

  1. 부유 미생물이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바디부;
    용해액을 기화하여 상기 바디부 내부로 공급하는 기화부;
    상기 기화된 용해액을 냉각하여 상기 부유 미생물의 표면에 응축시키는 액화부;
    상기 용해액에 의해 용해된 부유 미생물에 발광제를 도포하는 코팅부; 및
    상기 부유 미생물이 상기 발광제와 반응하여 발생하는 광의 강도(intensity)를 검출하여 상기 미생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를 포함하는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액은 상기 부유 미생물의 세포를 용해하여 아데노신삼인산(ATP, adenosine triphosphate)을 추출하는 라이시스 버퍼(Lysis buffer)를 포함하는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시스 버퍼는 알코올(alcohol)을 포함하는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는 루시페린(luciferin) 및 루시페라아제(luciferase)를 포함하는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제는 마그네슘이온(Mg2 +)을 더 포함하는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PMT(photomultiplier tube) 센서를 포함하는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와 상기 측정부 사이에는 상기 부유 미생물을 농축하여 부피를 감소키기 위한 농축부가 형성되는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부는 공기역학적 렌즈(aerodynamic lens)를 포함하는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부는 상기 바디부의 직경이 단계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하여 마련되는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에는 상기 부유 미생물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흡입 펌프가 설치되는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11. 부유 미생물이 유입 및 배출되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바디부;
    용해액을 기화하여 상기 바디부 내부로 공급하는 기화부;
    상기 기화된 용해액을 냉각하여 상기 부유 미생물의 표면에 응축시키는 액화부;
    상기 용해액에 의해 용해된 부유 미생물에 ATP 반응 발광제를 도포하는 코팅부;
    상기 ATP 반응 발광제가 코팅된 상기 부유 미생물을 농축하여, 상기 부유 미생물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농축부; 및
    상기 농축된 부유 미생물이 상기 ATP 반응 발광제와 반응하여 발생하는 광의 강도를 검출하여 미생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를 포함하는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액은 상기 부유 미생물의 세포를 용해하여 아데노신삼인산(ATP, adenosine triphosphate)을 추출하는 라이시스 버퍼(Lysis buffer)를 포함하는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시스 버퍼는 알코올(alcohol)을 포함하는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TP 반응 발광제는,
    루시페린(luciferin) 및 루시페라아제(luciferase)를 포함하는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TP 반응 발광제는 마그네슘이온(Mg2 +)을 더 포함하는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PMT(photomultiplier tube) 센서를 포함하는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부는 공기역학적 렌즈(aerodynamic lens)를 포함하는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부는 상기 바디부의 직경이 단계적으로 줄어들도록 형성하여 마련되는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배출구에는 상기 부유 미생물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흡입 펌프가 설치되는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KR1020180093711A 2018-08-10 2018-08-10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KR102050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711A KR102050166B1 (ko) 2018-08-10 2018-08-10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PCT/KR2019/009981 WO2020032625A1 (ko) 2018-08-10 2019-08-08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US17/267,598 US11828694B2 (en) 2018-08-10 2019-08-08 Apparatus for real-time continuous measurement of airborne microorganis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711A KR102050166B1 (ko) 2018-08-10 2018-08-10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0166B1 true KR102050166B1 (ko) 2019-11-28

Family

ID=68730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711A KR102050166B1 (ko) 2018-08-10 2018-08-10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28694B2 (ko)
KR (1) KR102050166B1 (ko)
WO (1) WO202003262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108A (ko) * 2020-06-30 2022-01-06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액화 포집 시스템
KR20230055061A (ko) * 2021-10-18 2023-04-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응축부를 포함하는 공기 중 바이오 에어로졸의 포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85077B (zh) * 2020-10-12 2022-08-23 军事科学院系统工程研究院卫勤保障技术研究所 一种生物气溶胶浓度监测装置及监测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38757A1 (en) * 2005-02-09 2006-10-26 Silcott David B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classifying and identifying particles
KR20120086384A (ko) * 2011-01-26 2012-08-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생물 용해 시스템과 atp발광을 이용한 기상 중 부유 미생물 실시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WO2013132630A1 (ja) * 2012-03-08 2013-09-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中微生物の検出方法及び装置
KR101508146B1 (ko) * 2014-02-17 2015-04-07 광주과학기술원 기화-전자 이온화기 및 레이저 이온화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질량분석기
KR20150101648A (ko) * 2014-02-27 2015-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유미생물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20170097887A (ko) * 2016-02-19 2017-08-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생물 측정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4350A (ja) * 1992-01-16 1993-07-27 Mitsubishi Heavy Ind Ltd 空中浮遊細菌の自動計測システム
FR2774754B1 (fr) * 1998-02-09 2000-03-03 Air Liquide Procede de detection de presence d'impuretes, poste et procede de vaporisation de liquide, et double colonne de distillation d'air
FR2985519B1 (fr) * 2012-01-10 2016-02-19 Biomerieux Sa Procede de detection et d'identification directe par voie optique d'un microorganisme dans un echantillon biologique
WO2013148162A1 (en) * 2012-03-29 2013-10-03 University Of Vermont Novel methods of microorganism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US10060296B2 (en) * 2012-11-15 2018-08-28 Kevin Lee Friesth Quintuple-effect generation multi-cycle hybrid renewable energy system with integrated energy provisioning, storage facilities and amalgamated control system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KR102028821B1 (ko) * 2017-09-13 2019-10-0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공중 부유 미생물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FR3110936B1 (fr) * 2020-05-28 2022-06-17 Safran Dispositif de régulation de la pression d'un réservoir de carburant cryogénique d’un aéronef.
US11766716B2 (en) * 2022-01-04 2023-09-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of increasing cooling rate of metal sand casting during solidification
JP7174205B1 (ja) * 2022-05-23 2022-11-17 岡野 浩志 空調給気も可能な空気中二酸化炭素をガス源とするドライアイス製造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38757A1 (en) * 2005-02-09 2006-10-26 Silcott David B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classifying and identifying particles
KR20120086384A (ko) * 2011-01-26 2012-08-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생물 용해 시스템과 atp발광을 이용한 기상 중 부유 미생물 실시간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WO2013132630A1 (ja) * 2012-03-08 2013-09-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中微生物の検出方法及び装置
KR101508146B1 (ko) * 2014-02-17 2015-04-07 광주과학기술원 기화-전자 이온화기 및 레이저 이온화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질량분석기
KR20150101648A (ko) * 2014-02-27 2015-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유미생물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KR20170097887A (ko) * 2016-02-19 2017-08-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생물 측정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108A (ko) * 2020-06-30 2022-01-06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액화 포집 시스템
KR102530604B1 (ko) 2020-06-30 2023-05-09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액화 포집 시스템
KR20230055061A (ko) * 2021-10-18 2023-04-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응축부를 포함하는 공기 중 바이오 에어로졸의 포집 장치
KR102620777B1 (ko) 2021-10-18 2024-01-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응축부를 포함하는 공기 중 바이오 에어로졸의 포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28694B2 (en) 2023-11-28
WO2020032625A1 (ko) 2020-02-13
US20210310927A1 (en)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0166B1 (ko) 부유 미생물의 실시간 연속 측정장치
US11268930B2 (en) Triggered sampling systems and methods
TWI728453B (zh) 在生產儀器及表面上偵測奈米粒子
US7605910B2 (en) Particle measuring system and method
CN103168241B (zh) 病毒检测装置及病毒检测方法
US20230287522A1 (en) Automatic pathogen-from-expiratio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7201878B2 (en) Aerosol particle analyzer for measuring an analyte in airborne particles
US20220397510A1 (en) Condensation particle counters and methods of use
JP2022549294A (ja) エアロゾル粒子を迅速かつ自律的に検出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Seshadri et al. Application of ATP bioluminescence method to characterize performance of bioaerosol sampling devices
CN108048296B (zh) 微生物实时分离检测方法及分离检测装置在微生物分离检测鉴定中的应用
US20120247232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collection of airborne particles and their concentration in small amounts of liquid
JP3998782B2 (ja) 微生物数の迅速測定法とそれに使用するろ過膜
CN111540665A (zh) 一种离子化装置及其应用
An et al. Recent progress in online detection methods of bioaerosols
Jung et al. Distinguishing biotic and abiotic particles using an ultraviolet aerodynamic particle sizer for real-time detection of bacterial bioaerosols
Zhang et al. Adenosine triphosphate (ATP) bioluminescence-based strategies for monitoring atmospheric bioaerosols
CN112945825B (zh) 一种口罩细菌过滤效率实时检测方法
Frank et al. Single-particle aerosol mass spectrometry (SPAMS) for high-throughput and rapid analysis of biological aerosols and single cells
US10436682B2 (en) Sample preparation for spectroscopy analysis
Yang et al. Detection of airborne pathogens with single photon counting and a real-time spectrometer on microfluidics
Zhu et al. Development of a bioaerosol detection system based on 280-nm LED for classifying aerosol types
TWI833984B (zh) 觸發式採樣系統及方法
KR101815751B1 (ko) 미생물 측정장치 및 방법
KR102575983B1 (ko) 공기 중 에어로졸의 실시간 분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