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160B1 - 치과용 석션 - Google Patents

치과용 석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160B1
KR102050160B1 KR1020180057301A KR20180057301A KR102050160B1 KR 102050160 B1 KR102050160 B1 KR 102050160B1 KR 1020180057301 A KR1020180057301 A KR 1020180057301A KR 20180057301 A KR20180057301 A KR 20180057301A KR 102050160 B1 KR102050160 B1 KR 102050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tip
curved
suction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은경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57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1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C17/04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08Aspiration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2Angle hand-pieces
    • A61M1/0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석션은 핸들; 및 상기 핸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곡선을 이루는 만곡부를 가지는 팁을 포함하고, 상기 팁은 상기 핸들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핸들에 대해 설정 각도로 회전하며 상기 핸들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석션{SUCTION FOR DENTAL USE}
이하, 실시예들은 치과용 석션에 관한 것이다.
사람, 동물 등 대상체의 구강으로 삽입한 후 구강 내 물질을 흡입하는 치과용 석션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1580호는 치과 의료기기용 석션을 개시한다. 한편, 대상체는 서로 조금씩 다른 구강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치과 임상의가 대상체의 구강 내 원하는 위치에 접근하기 위한 치과용 석션의 구조의 개발이 요구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대상체의 구강 내 구조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한 치과용 석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석션은 핸들; 및 상기 핸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곡선을 이루는 만곡부를 가지는 팁을 포함하고, 상기 팁은 상기 핸들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핸들에 대해 설정 각도로 회전하며 상기 핸들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관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팁은 원통 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핸들의 단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 결합부; 및 원통 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핸들의 내측부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의 직경은 상기 핸들의 내경보다 크고, 상기 제2 결합부의 직경은 상기 핸들의 내경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팁은 상기 핸들에 끼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팁은 상기 핸들에 대해 360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석션은 곡선을 이루는 제1 만곡부를 구비하는 핸들; 및 곡선을 이루는 제2 만곡부를 구비하며 상기 핸들에 연결된 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만곡부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2 만곡부의 곡률 반경보다 작고, 상기 팁은 상기 핸들에 연결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만곡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단부의 맞은편의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만곡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만곡부까지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상기 제1 만곡부를 기준으로 상기 팁에 연결되는 부분의 맞은편의 부분이 상기 제1 만곡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테이퍼 될 수 있다.
상기 팁은 상기 팁과 상기 핸들이 이루는 각도가 조절 가능하도록 및 상기 팁이 상기 핸들에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석션은 치과 임상의가 대상체의 구강 내 원하는 위치에 쉽게 접근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석션은 유닛 체어와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석션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석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석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조립도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대상체"는 사람, 동물 등 생물체를 말한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사용자"는 치위생사, 치과 임상의 등 치과 분야에서 종사하는 사람을 말한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핸들"은 사용자가 쥐도록 구성되는 부분을 말한다.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팁"은 대상체의 구강으로 삽입되는 부분을 말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100)은 대상체의 구강 내 물질을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석션(100)은 대상체마다 서로 다른 해부학적 구조를 가진다는 특징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대상체의 구강 내 원하는 위치에 쉽게 접근하게 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석션(100)은 핸들(110) 및 팁(120)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110)은 제1 핸들 연장부(112), 제1 만곡부(114) 및 제2 핸들 연장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핸들 연장부(112)는 (도 1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제1 핸들 연장부(112)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2 핸들 연장부(116)는 제1 방향과 설정 각도를 이루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제1 만곡부(114)는 곡선을 이루며 제1 핸들 연장부(112)와 제2 핸들 연장부(116)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팁(120)은 제1 팁 연장부(122), 제2 만곡부(124) 및 제2 팁 연장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팁 연장부(122)는 제2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제2 팁 연장부(126)는 제2 방향과 설정 각도를 이루는 제3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제2 만곡부(124)는 곡선을 이루며 제1 팁 연장부(122)와 제2 팁 연장부(126)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팁(120)은 핸들(110)에 연결되는 제1 단부와, 제2 만곡부(124)를 기준으로 제1 단부의 맞은편의 제2 단부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팁(120)의 제1 단부는 제1 팁 연장부(122)의 단부를 일반적으로 가리키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팁(120)의 제2 단부에는 대상체의 구강 내 물질이 흡입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만곡부(114)의 곡률 반경(R1)은 제2 만곡부(124)의 곡률 반경(R2)보다 작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핸들(110)이 이루는 곡선의 정도가 팁(120)이 이루는 곡선의 정도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가 석션(100)을 사용하는 동안, 대상체의 구강이 가지는 축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사용자가 제1 핸들 연장부(112)를 파지한 상태에서, 제2 핸들 연장부(116)와 제1 팁 연장부(122)가 일차적으로 대상체의 구강의 내부로 향하고, 제2 팁 연장부(126)가 이차적으로 대상체의 구강 내 원하는 위치로 향하므로, 사용자의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대상체의 구강 내 원하는 위치에 대한 접근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팁(120)의 제1 단부로부터 제2 만곡부(124)까지의 거리는, 팁(120)의 제2 단부로부터 제2 만곡부(124)까지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가 석션(100)을 사용하는 동안, 제1 팁 연장부(122)가 대상체의 구강 내 원하는 위치에 근접하게 접근하면서 제2 팁 연장부(126)가 대상체의 구강 내 원하는 위치를 향하도록 배치되므로, 대상체의 구강 내 원하는 위치에 대한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석션(100)은 구강 내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팁(120)이 핸들(110)에 대해 회전 가능한 구조 및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팁(120)은 핸들(110)에 대해 360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팁(120)은 핸들(110)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핸들(110)에 대한 팁(120)이 이루는 각도를 변경하기 위하여, 팁(120)은 핸들(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팁(120)은 핸들(110)로부터 분리된 후, 핸들(110)에 대해 설정 각도로 회전하며 핸들(110)에 다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팁(120)은 대상체의 구강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므로, 살균, 교체 등의 목적을 위해서 핸들(110)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팁(120)은 제2 만곡부(124)를 가짐과 동시에 핸들(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핸들(110)로부터 팁(120)을 분리하고, 핸들(110)에 대해 팁(120)을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팁(120)을 다시 핸들(110)에 결합하면, 핸들(110)의 제1 만곡부(114)와 팁(120)의 제2 만곡부(124)가 이루는 전체적인 곡선 형상으로 인해 사용자는 구강 내 원하는 위치에 접근하기 쉬워진다.
팁(120)은 결합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28)는 핸들(110)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에서, 결합부(128)는 제1 팁 연장부(122)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결합부(128)는 제1 팁 연장부(1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팁(120)은 끼워 맞춤(fit) 방식으로 핸들(11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팁(120)은 미끄럼 끼워 맞춤(slide fit) 방식으로 핸들(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팁(120)은 결합부(128)를 복수 개의 부분들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팁(120)은 제1 결합부(1281) 및 제2 결합부(12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1281)는 핸들(110)의 단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핸들(110)의 단부는 핸들(110)의 제2 핸들 연장부(116)의 단부를 가리킬 수 있다. 제2 결합부(1282)는 핸들(110)의 내측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핸들(110)의 내측부는 제2 핸들 연장부(116)의 내측면을 가리킬 수 있다.
제1 결합부(1281)가 제2 핸들 연장부(116)의 단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제2 결합부(1282)가 제2 핸들 연장부(116)의 내측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팁(120)을 핸들(110)에 결합하거나 핸들(110)로부터 분리할 때, 제2 결합부(1282)가 핸들(110)의 내측부에 대해 슬라이드 되면서 제1 결합부(1281)와 제2 핸들 연장부(116)의 단부 사이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다.
일 예에서, 핸들(110)은 관 형상(tubular shape)을 구비할 수 있고, 제1 결합부(1281) 및 제2 결합부(1282)는 원통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결합부(1281)의 직경은 핸들(110)의 내경보다 크고, 제2 결합부(1282)의 직경은 핸들(110)의 내경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결합부(1281)는 제1 팁 연장부(122)에 연결되고, 제2 결합부(1282)는 제1 결합부(1281)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결합부(1281) 및 제2 결합부(128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원에서 언급하는 팁(120)을 구성하는 부분들 중 핸들(110)에 연결되는 제1단부는 일반적으로 결합부(128)를 제외한 제1 팁 연장부(122)의 단부를 가리키는 것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단부는 제1 결합부(1281)와 제2 결합부(1282) 사이 부분 또는 제2 결합부(1282)의 단부를 가리킬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석션(100)은 유닛 체어(미도시)와의 호환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핸들(110)은 연결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18)는 임의의 유닛 체어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연결부(118)는 제1단차(1181) 및 제2단차(1182)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부(118)의 제1단차(1181)는 제1 핸들 연장부(112)의 일 단에 연결되고, 연결부(118)의 제2단차(1182)는 연결부(118)의 제1단차(1181)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연결부(118)의 제1단차(1181) 및 제2단차(118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단차(1181) 및 제2단차(1182)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부분(1181)의 직경은 제2부분(1182)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예에서, 연결부(118)의 제1단차(1181) 및 제2단차(1182)는 서로에 대하여 슬라이드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단차(1181) 및 제2단차(1182)는 텔레스코프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석션(100)이 유닛 체어와 결합하는 동안, 제1단차(1181)와 제2단차(1182)가 서로에 대하여 슬라이드 하면서 연결부(118)가 유닛 체어의 형상 및 구조에 맞게 유닛 체어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예에서, 연결부(118)는 제1 핸들 연장부(112)의 연장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테이퍼 된 복수 개의 단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단차들의 개수는 유닛 체어의 형상 및 구조에 맞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18)의 테이퍼 방향은, 제1 만곡부(114)와 관련지어 설명하면, 제1 만곡부(114)를 기준으로 팁(120)에 연결되는 부분(즉, 제2 핸들 연장부(116)의 단부)의 맞은편의 부분(즉, 제1 핸들 연장부(112)의 단부)가 제1 만곡부(11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가리킬 수 있다.
석션(100)을 구성하는 부위들 중 석션(100)과 유닛 체어를 연결하는 부위(여기서는 연결부(118)가 위치하는 부위)의 직경이 일정한 구조는 커스텀 제작된 유닛 체어에만 사용 가능한 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100)은 석션(100)과 유닛 체어를 연결하는 부위를 테이퍼 구조로 제작함으로써 임의의 유닛 체어와의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8)

  1. 관 형상을 구비하는 핸들; 및
    상기 핸들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핸들에 결합되고 곡선을 이루는 만곡부를 가지는 팁;
    을 포함하고,
    상기 팁은
    원통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핸들의 단부와 접촉하며 상기 핸들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1 결합부; 및
    원통 형상을 구비하며 상기 핸들의 내측부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2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팁이 상기 핸들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핸들의 내측부에 대해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핸들의 단부 사이의 접촉이 해제되고,
    상기 팁은 상기 핸들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핸들에 대해 설정 각도로 회전하며 상기 핸들에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핸들은 유닛 체어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복수 개의 단차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단차들은 텔레스코프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슬라이드 하도록 구성되는 치과용 석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의 직경은 상기 핸들의 내경보다 크고, 상기 제2 결합부의 직경은 상기 핸들의 내경보다 작거나 같은 치과용 석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은 상기 핸들에 대해 360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한 치과용 석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만곡부는 제1 만곡부이고,
    상기 팁은 곡선을 이루는 제2 만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만곡부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2 만곡부의 곡률 반경보다 작고,
    상기 팁은 상기 핸들에 연결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만곡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단부의 맞은편의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만곡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만곡부까지의 거리보다 큰 치과용 석션.
  7. 삭제
  8. 삭제
KR1020180057301A 2018-05-18 2018-05-18 치과용 석션 KR102050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301A KR102050160B1 (ko) 2018-05-18 2018-05-18 치과용 석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301A KR102050160B1 (ko) 2018-05-18 2018-05-18 치과용 석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0160B1 true KR102050160B1 (ko) 2019-11-28

Family

ID=68730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301A KR102050160B1 (ko) 2018-05-18 2018-05-18 치과용 석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1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90951B1 (de) * 1989-04-06 1993-06-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Zahnärztliches Saughandstück
JP2002165816A (ja) * 2000-11-30 2002-06-11 Osada Res Inst Ltd 口腔内バキューム装置
US7744371B1 (en) * 2007-10-15 2010-06-29 Practicon, Inc. Adjustable HVE tip
JP2011160839A (ja) * 2010-02-04 2011-08-25 Kawamoto Sangyo Kk 口腔用清浄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90951B1 (de) * 1989-04-06 1993-06-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Zahnärztliches Saughandstück
JP2002165816A (ja) * 2000-11-30 2002-06-11 Osada Res Inst Ltd 口腔内バキューム装置
US7744371B1 (en) * 2007-10-15 2010-06-29 Practicon, Inc. Adjustable HVE tip
JP2011160839A (ja) * 2010-02-04 2011-08-25 Kawamoto Sangyo Kk 口腔用清浄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8811B2 (en) Medical device introduction and imag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US20180071481A1 (en) Method of making a sealed lumen and associated computing module
US20180000336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PERFORMING BODY lMAGING
US11696680B2 (en) Ear examination apparatus
US10881832B2 (en) Medical systems, devices, and related methods
JP2018518251A5 (ko)
KR102050160B1 (ko) 치과용 석션
JPWO2019123815A1 (ja) 挿入機器、及び、挿入機器の操作部
US20170119985A1 (en) Fixation Apparatus
US1691823A (en) Cover for dental drill handpieces
CN110123245B (zh) 内窥镜
US9642583B2 (en) Disposable sheath for dental direct imaging digital device
KR20190098159A (ko) 관상 동맥 내에서 관상 동맥 스텐트를 안전하게 포지셔닝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그 방법
US10478046B2 (en) Endoscope
JP3805652B2 (ja) 内視鏡鉗子口用アダプタ
JP6937439B2 (ja) 内視鏡補助具及び内視鏡
US10792189B2 (en) Loading tool for ventilation tube inserter device
AU2017302459B2 (en) Steerable catheter handle
JP5180893B2 (ja) 口内法x線撮影用補助具
US10765309B1 (en) Multifunctional otoscope
US11642011B1 (en) Protective cover apparatus for an otoscope
CN204351789U (zh) 便携式电子弯管喉镜
KR102002721B1 (ko) 의료용 핸드피스
CN204181575U (zh) 一种腹腔镜插管器
US20170281891A1 (en) Trachea monitoring tube and endotracheal catheter incorpor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