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0075B1 - 반려견 입마개 - Google Patents

반려견 입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0075B1
KR102050075B1 KR1020180015468A KR20180015468A KR102050075B1 KR 102050075 B1 KR102050075 B1 KR 102050075B1 KR 1020180015468 A KR1020180015468 A KR 1020180015468A KR 20180015468 A KR20180015468 A KR 20180015468A KR 102050075 B1 KR102050075 B1 KR 102050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g
frame
frame portion
air
skelet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034A (ko
Inventor
박철우
도휘성
Original Assignee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5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0075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0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0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5/00Muzz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견 입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마개 본연의 기능성과 더불어 공기 내 오염물질 필터링을 통한 청정호흡의 기능성을 가져다주는 한편 디자인의 차별화로 패션아이템으로써도 충분한 가치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 반려견 입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견의 주둥이를 감싸는 기초뼈대로써, 일부위의 착탈이 가능한 골격체; 상기 골격체에 둘러 입히는 마감직물로써, 공기 내 오염물질 여과가 가능한 한편 디자인요소가 가미되는 피팅커버; 및, 상기 골격체 후측에 연결되는 단일 또는 복수의 착용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려견 입마개{A MASK FOR COMPANION DOG}
본 발명은 반려견 입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마개 본연의 기능성과 더불어 공기 내 오염물질 필터링을 통한 청정호흡의 기능성을 가져다주는 한편 디자인의 차별화로 패션아이템으로써도 충분한 가치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 반려견 입마개에 관한 것이다.
사회(社會, society)가 고도로 발달하면서 물질은 풍요로워지는 반면 인간은 점차 자기중심적이고 마음은 황폐해져만 간다. 이에 비해, 동물의 세계는 항상 천성 그대로이며 순수하다.
이에, 사람은 동물과 접함으로써 상실되어가는 인간본연의 성정(性情)을 되찾으려 한다. 이것이 동물을 애완하는 일이며 그 대상이 되는 동물을 애완동물(愛玩動物, pet)이라 하는데, 1983년 10월 오스트리아 빈에서 인간과 애완동물의 관계(the human-pet relationship)를 주제로 하는 국제심포지엄이 동물행동학자로 노벨상 수상자인 K.로렌츠의 80세 탄생일을 기념하기 위하여 오스트리아 과학아카데미가 주최한 자리에서 개·고양이·새 등의 애완동물을 종래의 가치성을 재인식하여 반려동물(伴侶動物, companion animal)로 부르도록 제안하였다.
한편, 미혼율의 증가와 출산율의 저하로 혼자사는 1인 가구(one person household)가 늘어나면서 허전하고 외로운 마음을 달래기 위해 반려동물을 키우는 이들을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반려견의 수가 증가하면서 최근 반려견 소홀로 인한 인명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소비자원(Korea Consumer Agency)의 통계에 따르면 반려견 물림사고는 2012년 560건에서 2016년 1,019건으로 4년 사이 두 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되었고, 반려견으로 인한 상해 및 사망사고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農林畜産食品部)는 국무총리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반려견 안전관리 대책'을 확정하였다.
이번 대책은 반려견 소유자의 관리의무를 강화하고,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를 조성하는데 촛점이 맞춰졌으며, 주목할 사항으로 체고(體高)가 40cm 이상인 반려견(伴侶犬)을 외출시킬 때에는 '반드시 입마개'를 착용하도록 규정하였다.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31545호를 통해,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혐오감을 저감시키면서 애완동물에게는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하고 침흘림으로 인한 비위생적인 환경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애완동물용 마스크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애완동물용 마스크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써, 애완동물용 마스크에 있어서, 내주면이 애완동물의 주둥이 상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져 있고, 애완동물의 주둥이 측으로부터 전면 상측을 향해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신축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상부덮개부(910); 일측이 상기 상부덮개부(9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애완동물의 주둥이 저부를 감싸도록 이루어져 있고, 애완동물이 흘린 침이 하부로 배출되도록 침배출홀(9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깥쪽 단부가 상기 상부덮개부(910)의 바깥쪽 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상부덮개부(910)와 함께 오리 부리의 형상을 취하는 하부덮개부(920); 상기 상부덮개부(910)와 하부덮개부(920)에 둘러쌓인 채 애완동물의 주둥이가 삽입되는 주둥이삽입홀(930); 상기 주둥이삽입홀(930)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있으며, 애완동물의 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코노출홀(940); 양측 단부가 상기 하부덮개부(920)의 양측에 연결되어 있고, 애완동물의 목 뒷편을 감싸 설치되어 있는 고정밴드(9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상기 애완동물용 마스크에 따르면, 마스크의 형상을 마치 오리 주둥이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 행인이 애완동물을 바라볼 때 친숙하고 재미난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마스크의 바닥 부분에 형성된 침배출홀을 통해 애완동물이 흘린 침이 배출되도록 하여 마스크가 젖지 않고 침으로 인한 오염 및 위생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하지만, 종래의 애완동물용 마스크는, 상기 코노출홀(940)을 통해 애완동물의 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관계로, 호흡시 오염된 공기를 여과없이 그대로 들이마실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어 왔다.
또한, 상기 상부덮개부(910)와 하부덮개부(920)가 단순히 신축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만 이루어진 관계로, 동절기와 같이 기온이 크게 떨어진 환경에서 보온성을 발휘하지 못해 왔다.
(문헌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31545호(공개일자 : 2016. 11. 16.)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착용동물(반려견) 주둥이 대응형태의 골격체(뼈대)를 만들고 그 골격체를 피팅커버로 둘러 감싸되, 반려견의 코가 위치하는 피팅커버의 일부위가 호흡 및 후각을 간섭하지 않는 통기성을 확보토록 함과 더불어 공기 내 황사 및 미세먼지 등의 각종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견 입마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기성 확보 및 필터링 기능을 발휘하는 피팅커버의 일부위가 피팅된 상기 골격체 일부위의 착탈식 구조달성으로, 오염물질 흡착에 의한 기능저하시 해당부위의 교체사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반려견 입마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피팅커버에 디자인요소(컬러, 문양, 문구 패턴 등)를 가미하여, 시각적으로 밋밋하지 않고 차별화된 심미감의 연출로 패션아이템으로도 충분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반려견 입마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려견의 주둥이를 감싸는 기초뼈대로써, 일부위의 착탈이 가능한 골격체; 상기 골격체에 둘러 입히는 마감직물로써, 공기 내 오염물질 여과가 가능한 한편 디자인요소가 가미되는 피팅커버; 및, 상기 골격체 후측에 연결되는 단일 또는 복수의 착용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골격체는, 반려견의 입 주위 부분을 두르는 제1프레임부와, 상기 제1프레임부 앞쪽에서 반려견의 코 부분을 감싸되, 상기 제1프레임부로부터의 착탈식 구조가 달성되는 제2프레임부로 조합되고, 상기 제1,2프레임부의 착탈식 구조달성을 위해, 상기 제1프레임부와 밀착하는 상기 제2프레임부의 일측부에는, 로킹수단이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부재가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착용밴드는, 반려견의 귀에 걸기에 적합하도록 일정길이를 가지며 외측 선단부에 귀걸이부가 일체로 마련되거나, 또는 머리두름에 적합한 길이를 가지며 서로 다른 반려견의 머리둘레 사이즈를 감안하여 신축성과 탄력성을 겸비한 벨트형 구조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피팅커버는, 상기 제1프레임부를 감싸 마감하되, 반려견의 입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분비물의 외부배출을 위한 분비물배출공이 바닥부에 다수 관통형성된 베이스시트와, 상기 제2프레임부를 감싸 마감하되, 호흡시 공기의 출입이 원활토록 함과 아울러 흡입 공기 내 오염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무수한 미세기공이 형성된 여과시트로 조합되고, 반려견 안면에 접촉되는 상기 제1프레임부의 일측 테두리를 감싸는 상기 베이스시트 일부위에는, 밀착압력 저감 및 접촉감 개선의 신축성을 나타내는 엣지씰이 덧입혀진다.
더하여, 상기 베이스시트는, 외피를 이루는 겉감, 내피를 이루는 안감으로 조합되고, 상기 겉감은 촉감이 부드러운 면을 소재로 하며, 상기 안감은 보온성 및 흡수성이 탁월한 솜을 소재로 한다.
또한, 상기 겉감은, 독창적인 이미지 연출을 위한 디자인요소가 가미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반려견 입마개는, 물림사고 방지를 위한 입마개 본연의 기능성 발휘는 물론이거니와 상기 피팅커버의 여과시트에 의한 호흡의 편의 제공과 동시에 호흡시 들이마시는 공기에 혼재된 오염물질(황사, 미세먼지 등) 필터링에 따른 청정호흡의 효과와 더불어, 상기 여과시트가 피팅된 골격체의 제2프레임부 교체사용을 통한 여과효율 유지의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피팅커버의 베이스시트에 디자인요소(다양한 패턴의 문양, 문구 및 컬러 등)를 가미함을 통해, 반려견을 키우는 이들의 취향에 맞는 입마개 디자인 연출의 효과를 가져다준다.
이와 함께, 지금까지와 같은 각종 효과달성을 통한 소비자만족도 충족 및 이에 따라 구매욕구를 증대시키는 판매경쟁력의 확보로 기업이익 창출은 물론 관련산업(애견산업시장 등)의 발전 및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애완동물용 마스크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 입마개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측면구조도와 분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 입마개에 있어서, 골격체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 입마개에 있어서, 골격체의 제1프레임과 마감시트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
도 6(a)(b)(c)(d)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 입마개에 있어서, 마감시트의 겉감 디자인을 다양하게 나타낸 실시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 입마개의 착용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중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 입마개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측면구조도와 분해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 입마개에 있어서 골격체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 입마개에 있어서 골격체의 제1프레임과 마감시트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단면도이고, 도 6(a)(b)(c)(d)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 입마개에 있어서 마감시트의 겉감 디자인을 다양하게 나타낸 실시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 입마개의 착용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 입마개(A)는, 반려견의 주둥이(코와 입 주위의 부분)를 감싸는 기초뼈대로써 일부위의 착탈(着脫)이 가능한 골격체(1)와, 상기 골격체(1)에 둘러 입히는 마감직물로써 공기 내 오염물질 여과가 가능한 한편 디자인요소가 가미(加味)되는 피팅커버(2)와, 상기 골격체(1) 후측에 연결되는 단일 또는 복수의 착용밴드(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골격체(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려견의 주둥이를 감싸는 형태의 뼈대가 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견의 입 주위 부분을 두르는 제1프레임부(11)와, 반려견의 코 부분을 감싸도록 상기 제1프레임부(11) 앞쪽에 연계결합됨에 따라 제1프레임부(11)로부터의 착탈식 구조가 달성되는 제2프레임부(12)로 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착탈식 구조달성을 목적하여, 상기 제1프레임부(11)와 밀착하는 제2프레임부(12)의 일측부에는, 로킹수단(locking means)이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부재(12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결속부재(121)는 후크(hook) 형태 또는 클램프(clamp)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프레임부(11)와 제2프레임부(12) 상호 간 밀착시 그 밀착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형태의 것이라면 얼마든지 달리 채용할 수 있다.
피팅커버(2)는, 상기 골격체(1)에 둘러 입혀 공간을 마감하는 직물인 것으로, 상기 제1프레임부(11)를 감싸 마감하되 호흡시 입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침 등의 분비물 배출을 위한 분비물배출공(20)이 바닥부에 다수 관통형성된 베이스시트(21)와, 상기 제2프레임부(12)를 감싸 마감하되 호흡시 공기의 출입이 원활토록 함과 아울러 공기 내 오염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무수한 미세기공이 형성된 여과시트(22)로 조합된다.
또한, 반려견의 안면(顔面)에 접촉되는 상기 제1프레임부(11)의 일측 테두리를 감싸는 상기 베이스시트(21) 일부위에는, 밀착압력 저감을 통한 접촉감 개선을 목적으로 신축성을 발휘하는 엣지씰(23)이 덧입혀져 있다. 여기서, 상기 엣지씰23)은 실리콘 또는 고무 소재로 된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은 신축성을 발휘할 수 있는 소재의 것이라면 얼마든지 달리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시트(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外皮)를 이루는 겉감(211)과, 내피(內皮)를 이루는 안감(212)으로 조합되는바, 여기서, 상기 겉감(211)은 촉감이 부드럽고 보온성이 좋은 면(綿)을 그 소재로 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안감(212)은 보온성은 물론이거니와 흡수성이 탁월한 솜(cotton)을 그 소재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겉감(21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패턴의 문양이나 문구 및 컬러 등의 디자인요소 가미로 독창적인 이미지(design)를 연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별화된 패션아이템으로써도 충분한 가치를 지닐 수 있도록 한다.
착용밴드(3)는, 반려견의 주둥이에 위치되는 상기 골격체(1) 고정에 필요한 걸이구로써, 반려견의 귀에 걸기에 적합하도록 일정길이를 가지며 외측 선단부에 귀걸이부(31)가 일체로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머리두름에 적합한 길이를 가지며 서로 다른 반려견의 머리둘레 사이즈를 감안하여 신축성과 탄력성을 겸비한 벨트형으로 그 구조를 달리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 입마개(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근 끊이지 않고 발생하는 반려견 물림사고의 방지를 목적하여,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반려견 입마개(A)를 반려견의 주둥이에 착용시키게 되는바, 상기 착용밴드(3) 및 그 선단부에 일체로 마련된 귀걸이부(31)를 이용하여 보다 수월하게 착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반려견 입마개(A)를 착용한 반려견이 그 상태로 호흡을 하게 되는데, 무수한 미세공이 형성된 상기 피팅커버(2)의 여과시트(22)가 반려견의 코 부위에 배치된 상태임에 따라 호흡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이며, 그러한 호흡과정에서 들이마시는 공기 내 황사나 미세먼지 등과 같은 각종 오염물질이 자동적으로 필터링(filtering / 여과)됨에 따라 청정호흡이 가능하다.
아울러, 오염물질의 반복적 필터링 및 오랜 사용으로 상기 여과시트(22)의 기능성이 저하된 경우에는, 상기 골격체(1)의 제1프레임부(11)로부터 상기 제2프레임부(12)를 떼어낸 후 미사용 여과시트(22)가 피팅(fitting)된 새로운 제2프레임부(12)로 교체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반려견 입마개(A) 착용으로 인한 구강움직임 제약의 이유로 반려견 입에서 흘러내리는 침 등의 분비불은, 상기 베이스시트(21)의 바닥부에 형성된 배출공(20)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피팅커버(2) 내부오염 최소화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시트(21)의 내피가 되는 안감(22)이 솜으로 이루어진 관계로 충분한 보온성이 발휘됨으로써, 기침(재채기) 및 콧물 감기 등과 같은 동절기 질병예방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상기 피팅커버(2)의 베이스시트(21)에 다양한 패턴의 문양이나 문구 또는/및 컬러 등을 인쇄함과 같은 디자인요소의 가미를 통해, 기존 애완동물(반려동물) 마스크(입마개)와 달리 반려견을 키우는 이들만의 취향에 맞는 패션아이템으로써 충분한 가치가 있다.
정리하여, 본 발명의 반려견 입마개(A)에 의하면, 물림사고 방지를 위한 입마개 본연의 기능성 발휘는 물론이거니와, 상기 피팅커버(2)의 여과시트(22)에 의한 호흡의 편의성 제공과 동시에 호흡시 들이마시는 공기에 혼재된 각종 오염물질 필터링에 따른 청정호흡의 편의, 그리고 상기 여과시트(22)가 피팅된 골격체(1)의 제2프레임부(12) 교체사용을 통한 여과효율 유지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피팅커버(2)의 베이스시트(21)에 디자인요소를 가미함을 통해, 반려견을 키우는 이들의 취향을 충족하는 입마개 디자인 연출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반려견 입마개, 1 : 골격체
2 : 피팅커버, 3 : 착용밴드
11 : 제1프레임부, 12 : 제2프레임부
20 : 분비물배출공, 21 : 베이스시트
22 : 여과시트, 23 : 엣지씰
31 : 귀걸이부, 211 : 겉감
121 : 결속부재, 212 : 안감

Claims (6)

  1. 반려견의 주둥이를 감싸는 기초뼈대로써, 일부위의 착탈이 가능한 골격체; 상기 골격체에 둘러 입히는 마감직물로써, 공기 내 오염물질 여과가 가능한 한편 디자인요소가 가미되는 피팅커버; 및, 상기 골격체 후측에 연결되는 단일 또는 복수의 착용밴드;를 포함하되,
    상기 골격체는, 반려견의 입 주위 부분을 두르는 제1프레임부와, 상기 제1프레임부 앞쪽에서 반려견의 코 부분을 감싸되, 상기 제1프레임부로부터의 착탈식 구조가 달성되는 제2프레임부로 조합되고, 상기 제1,2프레임부의 착탈식 구조달성을 위해 상기 제1프레임부와 밀착하는 상기 제2프레임부의 일측부에는 로킹수단이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속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피팅커버는, 상기 제1프레임부를 감싸 마감하되, 반려견의 입으로부터 흘러내리는 분비물의 외부배출을 위한 분비물배출공이 바닥부에 다수 관통형성된 베이스시트와, 상기 제2프레임부를 감싸 마감하되 호흡시 공기의 출입이 원활토록 함과 아울러 흡입 공기 내 오염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무수한 미세기공이 형성된 여과시트로 조합되고, 반려견 안면에 접촉되는 상기 제1프레임부의 일측 테두리를 감싸는 상기 베이스시트 일부위에는 밀착압력 저감 및 접촉감 개선의 신축성을 나타내는 엣지씰이 덧입혀지며,
    상기 베이스시트는, 외피를 이루는 겉감과 내피를 이루는 안감으로 조합되고, 상기 겉감은 촉감이 부드러운 면을 소재로 하며, 상기 안감은 보온성 및 흡수성을 나타내는 솜을 소재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입마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밴드는, 반려견의 귀에 걸기에 적합하도록 일정길이를 가지며 외측 선단부에 귀걸이부가 일체로 마련되거나,
    또는, 머리두름에 적합한 길이를 가지며 서로 다른 반려견의 머리둘레 사이즈를 감안하여 신축성과 탄력성을 겸비한 벨트형 구조로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입마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겉감은, 독창적인 이미지 연출을 위한 디자인요소가 가미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입마개.
KR1020180015468A 2018-02-08 2018-02-08 반려견 입마개 KR102050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468A KR102050075B1 (ko) 2018-02-08 2018-02-08 반려견 입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468A KR102050075B1 (ko) 2018-02-08 2018-02-08 반려견 입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034A KR20190096034A (ko) 2019-08-19
KR102050075B1 true KR102050075B1 (ko) 2019-11-28

Family

ID=67807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468A KR102050075B1 (ko) 2018-02-08 2018-02-08 반려견 입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00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862A (ko) 2021-07-27 2023-02-03 김민서 머즐 컨트롤 기능을 가진 애견 입마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900Y1 (ko) * 2015-06-16 2016-03-25 안도규 애완 동물 황사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866B1 (ko) * 2014-08-05 2016-06-29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20160131545A (ko) 2015-05-07 2016-11-16 황정하 애완동물용 마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900Y1 (ko) * 2015-06-16 2016-03-25 안도규 애완 동물 황사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862A (ko) 2021-07-27 2023-02-03 김민서 머즐 컨트롤 기능을 가진 애견 입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034A (ko) 201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3671B1 (ko) 타자 보호용 위생 마스크
US10449398B2 (en) Earless filter mask
KR101720674B1 (ko) 마스크
US20210346730A1 (en) Respiratory protective device
KR101995995B1 (ko) 필터 교체식 마스크
KR20130000983U (ko) 기능성 패션 마스크
KR101650167B1 (ko) 다기능 마스크
KR102050075B1 (ko) 반려견 입마개
CN212036105U (zh) 一种口鼻腔分离式口罩
KR101928962B1 (ko) 애완동물용 마스크
KR20110009652U (ko) 마스크
CN206025296U (zh) 一种口罩
JP3233169U (ja) 衛生マスク用サポート部材
KR20160135568A (ko) 코마개 탈착형 마스크
KR200493196Y1 (ko) 반려동물용 미세먼지 마스크
KR102407258B1 (ko) 애완동물용 마스크
TWI445563B (zh) 單向濾心口罩
KR102287110B1 (ko) 반려동물용 필터 교체형 마스크
KR20200144883A (ko)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KR20110003091U (ko) 위생용 패션 마스크
KR200366429Y1 (ko) 황사 차단기능이 구비된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
KR102273111B1 (ko) 평면형 마스크와 함께 사용가능한 3d 마스크 가드
US20210330005A1 (en) Antiviral and antibacterial face mask
KR200360804Y1 (ko) 햇빛 가리개용 마스크
KR100978112B1 (ko)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