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7258B1 - 애완동물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7258B1
KR102407258B1 KR1020190118092A KR20190118092A KR102407258B1 KR 102407258 B1 KR102407258 B1 KR 102407258B1 KR 1020190118092 A KR1020190118092 A KR 1020190118092A KR 20190118092 A KR20190118092 A KR 20190118092A KR 102407258 B1 KR102407258 B1 KR 102407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mask
base sheet
sheet
mou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8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6089A (ko
Inventor
임채정
Original Assignee
임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채정 filed Critical 임채정
Priority to KR1020190118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7258B1/ko
Publication of KR20210036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6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7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7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6Gas mask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에 착용하여 호흡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도록 된 마스크로서, 애완동물의 입부분에 배치되어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도록 된 마스크본체와, 상기 마스크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애완동물의 목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시트와, 상기 베이스시트의 단부에 형성되며 애완동물의 목을 감싸도록 된 한쌍의 연결밴드와, 상기 베이스시트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애완동물의 입과 코부분을 감싸도록 된 연결시트들로 이루어진 연결부와, 상기 마시크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 또는 상기 베이스시트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부벨크로테잎이 마련된 고정시트로 이루어져, 반려동물의 호흡기에 착용하여 오염된 대기오염물질로부터 애완견과 같은 반려동물을 보호할 수 있게 되고, 마스크본체가 탈부착가능한 구조로 마련되어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마스크 { Pet Mask }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의 호흡기에 착용하여 오염된 대기오염물질로부터 애완견과 같은 반려동물을 보호할 수 있게 되고, 마스크본체가 탈부착가능한 구조로 마련되어 편의성을 향상시킨 애완동물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황사,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또는 매연이 인체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이들로부터 우리의 건강을 스스로 지키기 위하여 마스크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마스크도 등급에 맞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여야 미세먼지 등을 제대로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미세먼지 등에 대한 피해는 우리 사람들뿐만 아니라 반려동물에게도 미칠 수 있다. 반려동물의 산책은 그들의 건강유지를 위하여 필수적이다. 그리고 반려동물을 산책시킬 경우에 그들의 건강을 지켜주기 위한 배려도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반려동물을 위한 산업분야도 날로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반려동물을 위한 용품도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제공되어 왔다. 특히 산책시 대기오염에 따른 미세먼지를 필터링하기 위한 마스크 형태의 반려동물용 제품의 공급이 최근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애완동물용 마스크는 애완동물의 호흡기 부분만 가리는 구조로 되어 있어, 활동량이 많은 애완동물의 경우 마스크가 벗겨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마스크의 안정적인 거치를 위해 애완동물의 목에 걸어 고정시키게 되는데 먹이나 물을 먹이기 위해 목에 고정된 마스크를 풀고 재차 걸어 고정시켜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애완동물용 마스크는 기본적으로 애완동물에게 마스크를 착용시키는 것에 어려움이 있으며, 마스크가 완성된 형태로 출시되었다는 부분이 문제가 된다. 또한 미세먼지 마스크의 특성상 필터부분이 세탁이 될 경우에는 그 기능을 잃게 되는데, 동물은 코에서 나오는 콧물이나, 입에서 나오는 침, 또한 산책 시 이물질이 매번 묻을 수 있어, 기존에 세탁이 불가능한 미세먼지 마스크들은 그 기능에도 문제가 있지만 비용대비 실용성도 매우 떨어지고, 착용자체도 여러 이유로 용이하지 않게 된다.
또한, 반려동물은 입과 코 부분이 반려동물의 의사를 전달하는 대부분의 역할을 담당하는데 처음에 마스크를 반려동물이 착용할 때 모든 부분이 막혀있다는 것이 그들에게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1975176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반려동물의 호흡기에 착용하여 오염된 대기오염물질로부터 애완견과 같은 반려동물을 보호할 수 있게 되고, 마스크본체가 탈부착가능한 구조로 마련되어 편의성을 향상시킨 애완동물용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입 부분의 개방 정도가 반려동물로 인한 거부반응을 낮춰 착용 훈련기간이 짧게 걸리게 되며, 반려동물의 물음 방지 입마개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미세먼지 마스크를 반려동물에게 훈련 시킬시 별도의 도구가 불필요하게 마스크 착용 훈련이 가능한 애완동물용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해진 모양의 마스크가 모든 종의 반려동물을 수용할 수 없다는 것과, 더 나아가 같은 종에서도 크기나 성장정도 등에 따라 변수가 많기 때문에 연결부를 마련하여 크기와 형상이 다른 애완동물들에 적용할 수 있는 애완동물용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애완동물에 착용하여 호흡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도록 된 마스크로서, 애완동물의 입부분에 배치되어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도록 된 마스크본체와, 상기 마스크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애완동물의 목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시트와, 상기 베이스시트의 단부에 형성되며 애완동물의 목을 감싸도록 된 한쌍의 연결밴드와, 상기 베이스시트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애완동물의 입과 코부분을 감싸도록 된 연결시트들로 이루어진 연결부와, 상기 마스크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 또는 상기 베이스시트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부벨크로테잎이 마련된 고정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크본체에는 테두리에 상부지퍼띠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시트 및 상기 연결시트들에는 하부지퍼띠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퍼띠와 상기 하부지퍼띠는 막음쇠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상부지퍼띠와 상기 하부지퍼띠를 연결하며 슬라이드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스크본체는 한쌍의 메쉬망과 상기 메쉬망들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시트들에는 측부벨트로테잎이 더 마련되어, 상기 연결시트들이 상호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시트에는 애완동물이 대상자를 무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애완동물의 입부분을 막는 교체형입마개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교체형입마개수단은 상기 베이스시트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탄성밴드와, 상기 연결탄성밴드의 타단이 연결되도록 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애완동물의 입부분에 끼움되는 체결링본체와, 상기 체결링본체에 테두리 부분이 고정되며 상기 애완동물의 입부분에 끼움되도록 만곡지게 형성되는 보호망과, 상기 체결링본체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체결시트와, 상기 체결시트의 양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 또는 상기 베이스시트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벨크로테잎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애완동물용 마스크는 반려동물의 호흡기에 착용하여 오염된 대기오염물질로부터 애완견과 같은 반려동물을 보호할 수 있게 되고, 마스크본체가 탈부착가능한 구조로 마련되어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입 부분의 개방 정도가 반려동물로 인한 거부반응을 낮춰 착용 훈련기간이 짧게 걸리게 되며, 반려동물의 물음 방지 입마개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고, 미세먼지 마스크를 반려동물에게 훈련 시킬시 별도의 도구가 불필요하게 마스크 착용 훈련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해진 모양의 마스크가 모든 종의 반려동물을 수용할 수 없다는 것과, 더 나아가 같은 종에서도 크기나 성장정도 등에 따라 변수가 많기 때문에 연결부를 마련하여 크기와 형상이 다른 애완동물들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마스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마스크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마스크의 마스크본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마스크를 나타낸 착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마스크의 마스크본체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마스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마스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마스크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마스크의 마스크본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마스크를 나타낸 착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마스크의 마스크본체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마스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확대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애완동물용 마스크(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마스크라 명명함)는 애완동물에 착용하여 호흡시 외부의 미세먼지를 걸러내어 필터링하도록 된 마스크(10)로서, 이에 이와같은 마스크는 마스크본체(20)와 베이스시트(30)와 연결밴드(40)와 연결부(50)와 고정시트(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스크본체(20)는 애완동물의 입부분에 배치되어 입과 코를 통해 흡입되는 대기중의 유해한 미세먼지를 걸러내도록 필터링하게 된다.
상기 마스크본체(20)는 한쌍의 합성섬유재 또는 천연섬유재로 이루어진 메쉬망(21)과 상기 메쉬망(21)들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시트(22)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쉬망(21)과 상기 필터시트(22)는 테두리부분이 밖음질되어 상호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메쉬망(21)과 상기 필터시트(22)는 테두리부분을 접착하여 상호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필터시트(22)는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섬유재로 이루어진 시트이면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며 부직포와 같은 합성섬유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필터시트(22)를 갖는 마스크본체(20)는 소비자 입장에서 별도로 힘들게 구입 할 필요 없이, 마스크본체(20)를 어디서나 쉽게 구매하거나 만들 수 있다. 다르게는 마스크본체를 필터시트 모양으로 잘라서 넣어 사용이 가능하다. 마스크본체 이외에 다른 구성의 수급도 상당히 용이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시트(30)는 상기 마스크본체(20)의 하부에 형성되며 애완동물의 목 하부를 감싸면에 밀착되게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시트(30)는 합성섬유재로 이루어지며 천연섬유재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르게는 상기 베이스시트(30)의 내측면에 탄성패드를 더 부착하여 애완동물의 목부분을 탄성에 의해 가압하며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스크본체(20)는 상기 베이스시트(30)에 밖음질되어 고정되며, 후술될 막음쇠(25)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밴드(40)는 상기 베이스시트(30)의 단부에 형성되며 애완동물의 목을 감싸도록 된 한쌍을 이루며 형성된다.
상기 연결밴드(40)는 탄성을 갖는 합성섬유 또는 합성섬유재로 형성시키게 되며, 끝단부에 버클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밴드(40)로 애완동물의 목을 감싼 후 상기 버클을 체결하여 상기 연결밴드(40)들을 상호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연결밴드(40)는 상기 베이스시트(30)에 밖음질되어 고정되며, 다르게는 접착하여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50)는 상기 베이스시트(3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애완동물의 입과 코부분(주둥이)을 감싸도록 된 연결시트(51)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시트(51)는 합성섬유재 또는 천연섬유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시트(30)의 양측면에 각각의 일단이 밖음질 또는 접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연결시트(51)들에는 측부벨크로테잎(52)이 더 마련되어, 상기 애완동물의 입과 코부분을 감싼 후 상기 연결시트(51)들이 상호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시트(51)는 전술한 합성섬유재 또는 천연섬유재 이외에 탄성을 갖는 합성섬유 또는 탄성시트로 형성시켜 탄성에 의해 애완동물을 목을 감싸도록 함으로써,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탄성에 의해 목과의 결착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결시트(51)의 내측면에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곡선의 지지패널을 더 부착하여 애완동물의 목을 감싸도록 함으로써, 빗물이나 땀에 의해 상기 연결시트(51)가 변형되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착용시 애완동물의 떨이 연결시트의 섬유사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스크본체(20)에는 테두리에 상부지퍼띠(23)가 밖음질되어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시트(30) 및 상기 연결시트(51)들에는 하부지퍼띠(24)가 밖음질되어 고정되며, 상기 상부지퍼띠(23)의 하부와 상기 하부지퍼띠(24)의 중앙부분는 막음쇠(25)에 의해 지퍼연결방식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상부지퍼띠(23)와 상기 하부지퍼띠(24)를 연결하며 한쌍의 슬라이드(26)가 더 마련되어, 상기 상부지퍼띠(23)와 상기 하부지퍼띠(24)를 슬라이드(26)로 지퍼연결함으로써, 상기 마스크본체(20)가 애완동물의 입을 막으면서 상기 연결부(50) 및 상기 베이스시트(30)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지퍼띠(23)와 상기 하부지퍼띠(24)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자성체가 부착되어, 상기 자성체들의 자성에 의해 상기 상부지퍼띠(23)와 상기 하부지퍼띠(24)가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애완동물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슬라이드가 이동하여 상기 상부지퍼띠(23)와 상기 하부지퍼띠(24)가 분리시에도 상기 마스크본체(20)를 상기 연결부(50) 및 상기 베이스시트(30)에 밀착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시트(60)는 상기 마스크본체(2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50) 또는 상기 베이스시트(30)와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부벨크로테잎(61)이 마련된다.
상기 고정시트(60)는 합성섬유재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마스크본체(20)에 밖음질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시트(60)의 양면에는 상부벨크로테잎(61)이 접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50)의 연결시트(51) 중 어느하나 및 상기 베이스시트(30)에는 상기 상부벨크로테잎(61)과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고정벨크로테잎(31,53)이 더 접착되어 고정됨으로써, 미세먼지의 차단을 위해 마스크본체(20)로 애완동물의 입부분에 맞댄 후 상기 상부벨크로테잎(61)으로 입과 코부분을 감싸면서 배치되는 상기 연결시트(51)의 고정벨크로테잎에 부착하여 마스크본체(20)를 고정시키게 된다.
다르게는, 마스크본체(20)를 애완동물의 입에서 분리시 상기 상부벨크로테잎(61)을 상기 베이스시트(30)에 형성되는 고정벨크로테잎(31)에 부착하여 상기 마스크본체(20)를 고정시키게 되고,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먹일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시트(30)에는 애완동물이 대상자를 무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애완동물의 입부분을 막는 교체형입마개수단(70)이 더 마련된다.
상기 교체형입마개수단(70)은 상기 베이스시트(30)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고정홀(71)과, 상기 고정홀(71)에 일단이 묶음 연결되는 연결탄성밴드(72)와, 상기 연결탄성밴드(72)의 타단이 묶음 연결되도록 이동홀(731)이 형성되며, 상기 애완동물의 입부분에 끼움되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체결링본체(73)와, 상기 체결링본체(73)에 테두리 부분이 접착 또는 융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애완동물의 입과 코부분에 끼움되도록 만곡지게 형성되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보호망(74)과, 상기 체결링본체(73)에 일단이 융착 또는 접착 연결되어 고정되는 합성섬유재로 이루어진 체결시트(75)와, 상기 체결시트(75)의 양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50) 또는 상기 베이스시트(30)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벨크로테잎(76)으로 이루어져, 상기 마스크본체(20)를 애완동물의 입부분에서 분리시켜 상기 베이스시트(30)에 고정시킨 후 상기 체결링본체(73)와 상기 보호망(74)을 애완동물의 입부분에 끼운 후 상기 체결벨크로테잎(76)으로 상기 연결시트(51)의 고정벨크로테입(53)에 부착함으로써, 원활히 호흡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애완동물의 입을 막아 사람을 물거나 바닥의 이물질을 먹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야외활동시 미세먼지의 제거기능과 애완동물의 입마개기능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마스크와 입마개를 별도로 소지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마스크
20 : 마스크본체
21 : 메쉬망
22 : 필터시트
23 : 상부지퍼띠
24 : 하부지퍼띠
25 : 막음쇠
26 : 슬라이드
30 : 베이스시트
31 : 고정벨크로테잎
40 : 연결밴드
50 : 연결부
51 : 연결시트
52 : 측부벨크로테잎
53 : 고정벨크로테잎
60 : 고정시트
61 : 상부벨크로테잎
70 : 교체형입마개수단
71 : 고정홀
72 : 연결탄성밴드
73 : 체결링본체
731 : 이동홀
74 : 보호망
75 : 체결시트
76 : 체결벨크로테잎

Claims (5)

  1. 애완동물에 착용하여 호흡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도록 된 마스크로서,
    애완동물의 입부분에 배치되어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도록 된 마스크본체;
    상기 마스크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애완동물의 목 하부에 배치되며, 일 면에 고정벨크로테잎이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시트;
    상기 베이스시트의 단부에 형성되며 애완동물의 목을 감싸도록 된 한쌍의 연결밴드;
    상기 베이스시트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애완동물의 입과 코부분을 감싸도록 된 연결시트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시트 중 어느 하나의 일 면에 고정벨크로테잎이 고정되는 연결부; 및
    상기 마스크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양 면에 상부벨크로테잎이 마련되어, 애완동물의 입부분에 배치되어 미세먼지를 필터링 할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의 고정벨크로테잎과 부착가능하고, 애완동물이 물 또는 음식물을 섭취할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시트의 고정벨크로테잎과 부착 가능한 고정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본체에는 테두리에 상부지퍼띠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시트 및 상기 연결시트들에는 하부지퍼띠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퍼띠와 상기 하부지퍼띠는 막음쇠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상부지퍼띠와 상기 하부지퍼띠를 연결하며 슬라이드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마스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본체는 한쌍의 메쉬망과 상기 메쉬망들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마스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시트들에는 측부벨트로테잎이 더 마련되어, 상기 연결시트들이 상호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마스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시트에는 애완동물이 대상자를 무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애완동물의 입부분을 막는 교체형입마개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교체형입마개수단은 상기 베이스시트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고정홀과,
    상기 고정홀에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탄성밴드와,
    상기 연결탄성밴드의 타단이 연결되도록 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애완동물의 입부분에 끼움되는 체결링본체와,
    상기 체결링본체에 테두리 부분이 고정되며 상기 애완동물의 입부분에 끼움되도록 만곡지게 형성되는 보호망과,
    상기 체결링본체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체결시트와,
    상기 체결시트의 양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 또는 상기 베이스시트에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벨크로테잎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마스크.



KR1020190118092A 2019-09-25 2019-09-25 애완동물용 마스크 KR102407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092A KR102407258B1 (ko) 2019-09-25 2019-09-25 애완동물용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8092A KR102407258B1 (ko) 2019-09-25 2019-09-25 애완동물용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089A KR20210036089A (ko) 2021-04-02
KR102407258B1 true KR102407258B1 (ko) 2022-06-10

Family

ID=75466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8092A KR102407258B1 (ko) 2019-09-25 2019-09-25 애완동물용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72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538Y1 (ko) 2003-04-17 2003-06-28 안종준 짖음방지용 입마개
KR200479900Y1 (ko) 2015-06-16 2016-03-25 안도규 애완 동물 황사 마스크
KR101653608B1 (ko) 2016-04-15 2016-09-09 주식회사 고스디자인 반려동물용 황사 방지 마스크
KR101928962B1 (ko) 2017-08-18 2018-12-13 조규리 애완동물용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699U (ko) * 2016-08-31 2018-03-08 한성만 애완동물용 마스크
KR101975176B1 (ko) 2018-04-30 2019-05-07 유효정 반려동물용 마스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538Y1 (ko) 2003-04-17 2003-06-28 안종준 짖음방지용 입마개
KR200479900Y1 (ko) 2015-06-16 2016-03-25 안도규 애완 동물 황사 마스크
KR101653608B1 (ko) 2016-04-15 2016-09-09 주식회사 고스디자인 반려동물용 황사 방지 마스크
KR101928962B1 (ko) 2017-08-18 2018-12-13 조규리 애완동물용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6089A (ko) 202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1609B2 (en) Protective collar for an animal
KR101653608B1 (ko) 반려동물용 황사 방지 마스크
KR102159200B1 (ko) 길이조절 가능한 귀걸이 끈을 갖는 마스크
KR100927336B1 (ko) 잠금용 지지대를 갖는 위생 마스크
KR100731785B1 (ko) 방진용 코 마스크
US20120023875A1 (en) Protective muzzle shield
US4233942A (en) Animal ear protectors
KR101928962B1 (ko) 애완동물용 마스크
US4726174A (en) Canine filtration mask
WO2008085014A1 (en) Mask
US20020108586A1 (en) Fly mask
KR200491129Y1 (ko)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애완동물 마스크
KR101975176B1 (ko) 반려동물용 마스크
KR102407258B1 (ko) 애완동물용 마스크
US6832581B1 (en) Inhalation net for dogs
KR200426249Y1 (ko) 휴대용 건강 마스크
KR200436378Y1 (ko) 애완동물용 기능성의류
WO2006020371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air entering an animal's nostrils
US20060150586A1 (en) Equine eye protector
KR200493196Y1 (ko) 반려동물용 미세먼지 마스크
US20220134141A1 (en) Sealable face mask
KR20080004323U (ko) 안면 보호 마스크
KR102050075B1 (ko) 반려견 입마개
KR200483245Y1 (ko) 애완견 귀 개방용 고정띠
KR102287110B1 (ko) 반려동물용 필터 교체형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