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1785B1 - 방진용 코 마스크 - Google Patents

방진용 코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785B1
KR100731785B1 KR1020060045738A KR20060045738A KR100731785B1 KR 100731785 B1 KR100731785 B1 KR 100731785B1 KR 1020060045738 A KR1020060045738 A KR 1020060045738A KR 20060045738 A KR20060045738 A KR 20060045738A KR 100731785 B1 KR100731785 B1 KR 100731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filter
mask
magne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1699A (ko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호 filed Critical 김영호
Priority to KR1020060045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1785B1/ko
Publication of KR20060121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tolaryng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진용 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착용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필터를 코에 착용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코 내부에 음이온을 제공함과 아울러 필터를 더욱 견실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진용 코 마스크는, 외부 공기를 여과하는 한 겹 이상의 필터(10)와; 그리고, 가로부(11a), 상기 가로부의 상하 양측에 각각 상하로 연장된 다수의 세로부(11b,11e) 및 상기 가로부의 양 끝에 각각 형성되어 콧방울에 밀착되는 콧방울 밀착부(11c,11d)를 구비하여 연결된 테두리가 없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외력에 의해 굴신 변형되고 상기 필터 내부와 결합되어 상기 필터를 코에 착용토록 하는 필터 지지대(11)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가 더욱 견실하게 착용되도록 착용자의 코에 삽입되는 착용구(20)와; 상기 착용구에 끼워지는 음이온발산 볼(30)과; 그리고, 상기 착용구에 자석홀더(41)를 매개로 하여 설치되어 상기 필터 지지대를 통해 상기 필터가 상기 착용구에 부착되도록 하는 자석(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코 마스크, 방진, 음이온, 착용구, 필터, 은

Description

방진용 코 마스크{A dustproof nose mas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방진용 코 마스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방진용 코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방진용 코 마스크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방진용 코 마스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방진용 코 마스크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방진용 코 마스크에 적용된 착용구의 다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방진용 코 마스크에 적용된 자석홀더의 다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방진용 코 마스크의 착용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용 코 마스크에 적용된 필터 지지대의 다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필터, 11 : 필터 지지대
11a : 가로부, 11b : 중앙 세로부
11c,11d : 콧방울 밀착부, 11e : 보강 세로부
11f : 접속봉, 20 : 착용구
21 : 홀더수용부, 22 : 주벽 밀착부
23 : 볼끼움부, 30 : 음이온발산 볼
40 : 자석, 41 : 자석홀더
본 발명은 방진용 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 내부에 삽입되는 착용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필터지지대를 이용하여 필터를 착용자의 코에 견고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필터의 형상을 콧방울의 굴곡에 맞게 변형하여 거르지 않은 공기가 코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더불어, 필터를 더욱 견고하게 착용하기 위하여 코 내부에 삽입되는 착용구를 사용할 수 있되, 착용구에 음이온발산 볼을 장착하기 위한 작업이 용이하도록 착용구의 구조를 개선한 방진용 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꽃가루, 황사, 세균 등 인체에 유해한 먼지가 입이나 코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여러 가지 형태와 구조를 가진 마스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스크는 외관을 무시한 형태와 크기로 제작되어 착용시 주위 사람으로부터 이목이 집중되어 마스크의 착용을 기피하는 현상이 있었고, 마스크 체결수단으로 머리밴드나 귀걸이식 끈이나 반창고등을 이용하여 착용상 불편하였으며, 마스크의 주변틈 사이로 정화되지 않은 공기가 유입되었고, 또한 입을 가리고 있어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말을 통한 의사 전달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해 제2004-35798호로 실용신안등록출원된 코 건강기구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코 건강기구는 양측의 자유단부가 동방향으로 벤딩되어 좌우 양측 콧구멍 사이의 전벽 부위를 사이에 두고 콧구멍에 삽입되는 고리부와; 상기 고리부의 양측 자유단부에서 각각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콧구멍의 바닥부 오목부분에 걸려 상기 고리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와; 그리고, 상기 걸림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토루말린, 게르마늄, 프로폴리스, 의약품을 포함하는 건강물질을 수용하는 건강물질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건강물질 수용부는 수용홈, 수용함, 끼움테 등이 가능하다.
선출원된 코 건강기구에 따르면, 코 건강기구가 와이어형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코 내벽에 마찰되는 부분이 넓어서 착용시 불쾌감을 주며, 볼형태의 건강물질을 끼우기 위한 끼움테가 굵고 유연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건강물질 볼을 끼우는 작업이 어렵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 제2003-21244호로 실용신안등록출원된 음이온 방출 및 방진용 코 마스크에 의하면, 필터가 지지틀을 통해 체결구에 체결되는데, 상기지지틀이 테두리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코의 굴곡에 꼭맞게 필터의 형 상을 자유롭게 변형할 수 없기 때문에 필터와 코 사이의 틈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착용구의 볼끼움테 구조가 복선구조로 되어 있어서 볼끼우기 공정의 자동화를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필터에 미용기능을 첨가하는 방안, 필터와 코 사이의 공기유실 틈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방법, 필터가 코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필터지지대와 콧방울의 결속력을 높이는 방법, 필터착용구에 음이온 볼을 끼우는 작업공정을 자동화 가능하도록 개선하는 방법, 착용구를 코에 삽입할 때 느끼는 불편함을 개선하는 방법 등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한 방진용 코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방진용 코 마스크는, 외부 공기를 여과할 수 있는 부직포 등을 재질로 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가 착용자의 콧구멍을 막아 외부 공기를 여과할 수 있도록 적절한 형태를 유지시켜 주는 유연성을 갖는 필터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진용 코 마스크는, 콧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필터가 부착되는 착용구, 상기 착용구에 끼워지며 음이온을 발산하는 음이온발산 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 실시예 1 >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방진용 코 마스크(1)는, 콧 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10)와, 필터(10)를 착용자의 코에 착용토록 하는 필터 지지대(11)로 구성된다.
필터(10)는 방진, 항균, 소취기능이 있는 나노부직포로서 양측 콧구멍과 양측 콧방울을 감싸는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진다. 코 마스크(1)의 착용시 필터(10)의 둘레부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필터의 착용자에 대한 접착력을 높일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착용자의 콧방울에 발생되는 코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필터(10)의 양측에는 팩제가 도포될 수도 있다. 상기 접착제와 팩제는 통상 사용되는 제품으로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필터 지지대(11)는 코의 형태에 맞도록 형상 변형이 가능한 유연성과 탄력을 갖는다. 이러한 기능을 위한 필터 지지대(11)는 가로부(11a), 가로부(11a)의 중앙에서 상하로 각각 연장 형성된 중앙 세로부(11b) 및 가로부(11a)의 양 끝에 각각 상하를 향해 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콧방울에 밀착됨으로써 필터(10)가 코에 견고하게 착용되도록 하는 콧방울 밀착부(11c,11d)로 이루어진다.
필터 지지대(11)는 테두리가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형상을 자유롭게 변형하여 코의 굴곡을 따라 코를 감싸면서 밀착되어 착용력을 증대할 수 있고, 여기서, 상부의 콧방울 밀착부(11c)는 하부의 콧방울 밀착부(11d)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콧방울의 상부 골을 감싸고 하부의 콧방울 밀착부(11d)는 콧방울의 하부를 감싸기 때문에 방진용 코 마스크(1)가 코(N)에 견고하게 착용된다.
여기에 필터 지지대(11)의 틈새 차단 기능을 보강하기 위하여 중앙 세로부(11b)와 콧방울 밀착부(11c,11d)의 사이에는 가로부(11a)의 상하부에 일직선형으로 형성되는 보강 세로부(11e)가 형성된다. 보강 세로부(11e)의 갯수는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다.
필터(10)는 필터 지지대(11)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서 결합되는 두 겹 이상의 필터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에서 보이는 것처럼, 필터 지지대(11)의 상하부 콧방울 밀착부(11c,11d) 중 상부 콧방울 밀착부(11c) 및/또는 하부 콧방울 밀착부(11d)는 가로부(11a)에 힌지(h)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신체조건(콧방울의 형상)에 상관없이 콧방울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 상부 콧방울 밀착부(11c)가 탄력적으로 콧방울에 밀착되도록 상부 콧방울 밀착부(11c)는 비틀림코일스프링(S)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방진용 코 마스크(1)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보이는 것처럼 코 마스크(1)를 제작하여 콧방울 크기에 맞게 가로부(11a)를 구부리고, 코 마스크(1)가 틈이 없고 이탈되지 않도록 콧방울 밀착 부(11c,11d)의 끝을 코굴곡에 맞게 구부린 후, 콧방울에 씌워 밀착시키면 코 마스크(1)가 코(N)에서 이탈되지 않고 외부 공기가 필터(10)를 통해서만 콧구멍에 유입된다. 이때, 상부측 콧방울 밀착부(11c)는 콧방울의 상부 골을 감싸고 하부의 콧방울 밀착부(11d)는 콧방울의 하부를 감싸기 때문에 방진용 코 마스크(1)가 코(N)에 견고하게 착용된다.
< 실시예 2 >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방진용 코 마스크(1)는, 실시예 1의 필터(10)가 더욱 견실하게 착용되고 음이온을 코 내부에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필터(10)를 코에 착용하기 위한 착용구(20)와, 그리고, 착용구(20)에 장착되는 음이온발산 볼(30)로 구성된다.
필터(10)와 필터 지지대(11)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며, 필터(10)의 중앙 하단이 코와 입술의 중간(인중)에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하고, 필터(10)가 경사지더라도 콧구멍 입구측에 근접되는 후술하는 자석(40)에 부착되어 필터 지지대(11)를 콧구멍측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착용이 견고하도록 중앙 세로부(11b)에는 자석(40)에 접속되는 접속봉(11f)이 형성된다. 접속봉(11f)은 중앙 세로부(11b)의 일부분으로서 상부 연결부(11g)를 통해 상부만 중앙 세로부(11b)에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이 중앙 세로부(11b)에서 절개되어 상부 연결부(11g)를 중심으로 하여 뒤(자석(40)측)로 젖혀져 자석(40)에 부착된다. 이때, 필터(10)에는 접속봉(11f)이 필터(10)를 통과하여 젖혀질 수 있도록 절개부(10a)가 형성된다.
필터(10)는 자석(40)을 매개로 하여 착용구(20)에 부착되며, 자석(40)의 설 치구조는 하기의 착용구(20)의 설명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필터(10)는 자석(40)에 부착될 수 없는 재질이기 때문에 필터(10)를 자석(40)에 부착하기 위하여 필터 지지대(11)는 자석(40)에 부착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착용구(20)는 필터(10)와 음이온발산 볼(30)의 착용을 위한 것으로서, 코 내부에 삽입됨에 따라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발산하는 은, 금 등을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터(10)와 음이온발산 볼(30)의 착용을 위한 구조가 매우 단순한 특징을 갖고 있으며, 그 구조는 다음과 같다.
착용구(20)는 역(逆) "U"자형으로 벤딩되는 홀더수용부(21), 홀더수용부(21)의 좌우 양측에 각각 곡선형으로 벤딩되어 양측 콧구멍 사이의 주벽에 밀착되는 주벽 밀착부(22) 및 주벽 밀착부(22)에서 연장되어 음이온발산 볼(30)의 통공(31)을 관통하는 볼끼움부(23)로 구성된다.
주벽 밀착부(22)는 홀더수용부(21)의 좌우 양측 하단부에서 각각 상부를 향한 수직부(22a)와 후방을 향한 수평부(22b)를 갖도록 곡선형으로 벤딩된다.
볼끼움부(23)는 도 5에서와 같이, 음이온발산 볼(30)의 통공(31)을 관통한 후 음이온발산 볼(30)을 감싸도록 상부를 향해 벤딩되어 음이온발산 볼(30)이 빠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도 있고, 도 6에서와 같이, 음이온발산 볼(30)의 통공(31)을 관통한 후 통공(31)의 입구측에 통공(31)의 직경보다 큰 폭의 이탈방지부(23a)가 형성되어 음이온발산 볼(30)의 이탈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음이온발산 볼(30)은 음이온석, 세라믹, 은, 숯 등 음이온을 발산하는 재질 로 하며 콧구멍에 삽입되는 것이므로 콧구멍 내벽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볼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석(40)은 자석홀더(41)를 통해 착용구(20)에 장착된다. 자석홀더(41)는 전방을 향해 개구된 자석삽입홈(41a) 및 자석삽입홈(41a)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착용구(20)의 홀더수용부(21)에 각각 연결되는 착용구 연결부(41b)로 구성된다.
착용구 연결부(41b)는 상하만 연통되어 홀더수용부(21)가 관통되거나 도 7에서와 같이, 안쪽으로 개구되어 홀더수용부(21)에 끼워지는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실시예에 따른 코 마스크(1)의 제조방법은, 단선구조의 착용구(20)를 형상에 맞도록 벤딩하면서 자석홀더(41)와 음이온발산 볼(30)을 끼운다. 이때, 착용구(20)가 유연성있는 단선이기 때문에 자석홀더(41)와 음이온발산 볼(30)을 끼우는 작업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코 마스크(1)를 코(N)에 착용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착용구(20)의 자석홀더(41)에 자석(40)을 삽입 고정한 후, 필터 지지대(11)의 접속봉(11f)을 후방(자석(40)측)으로 젖혀 필터 지지대(11)를 자석(40)에 부착시킨다.
착용구(20)의 좌우 양측 주벽밀착부(22)를 양측 콧구멍에 각각 삽입하여 음이온발산 볼(30)이 콧구멍의 밑면에 안착되도록 하고, 필터(10)가 착용자의 콧방울에 밀착되도록 지지대(41)를 구부려서 착용구(20)의 자석(40)에 부착한다.
이렇게 되면, 도 6에서와 같이, 주벽밀착부(21)가 콧구멍 사이의 주벽에 밀착됨과 아울러, 음이온발산 볼(30)이 콧구멍 밑면의 홈부에 안착되고, 상부측 콧방 울 밀착부(11c)는 콧방울의 상부 골을 감싸고 하부의 콧방울 밀착부(11d)는 콧방울의 하부를 감싸기 때문에 방진용 코 마스크(1)가 코(N)에서 이탈되거나 움직이지 않으며, 필터(10)와 코(N)의 접합부분에 틈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외부 공기가 필터(10)를 통해서만 코에 유입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필터(10)는 필터 지지대(11)를 통해 코와 입술의 중간 위치에 경사지게 배치되고, 자석(40)은 콧구멍 입구측에 배치되어 자석(40)의 자력에 의해 필터(10)의 접속봉(11f)을 잡아당기게 되므로 심한 움직임에도 필터(10)가 코(N)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방진용 코 마스크에 의하면, 필터 지지대가 콧방울의 굴곡에 적합한 구조와 유연성 및 굴신력을 구비하여 착용구없이 필터를 착용자의 코에 견고하게 착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착용구 사용에 따른 번잡성을 피할 수 있다.
그리고, 필터의 건강기능 향상을 위한 착용구가 단선구조로 이루어져 음이온발산 볼의 끼움작업이 용이하므로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착용시 마찰에 의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필터 지지대가 가로부, 세로부 및 콧방울밀착부로만 이루어져 테두리가 없기 때문에 필터 가장자리의 변형이 자유롭고 공기유실 틈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어서 공기가 필터를 통해서만 콧구멍에 유입되어 방진용 코 마스크로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필터 양끝부위에 도포된 팩제를 통해 콧 방울에 존재하는 코지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외부 공기를 여과하는 한 겹 이상의 필터(10)와; 그리고,
    가로부(11a), 상기 가로부의 상하 양측에 각각 상하로 연장된 중앙 세로부(11b), 상기 가로부의 좌우 양 끝에 상하부로 각각 형성되어 콧방울에 밀착되는 호형상의 콧방울 밀착부(11c,11d) 및 상기 중앙 세로부와 콧방울 밀착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보강 세로부(11e)를 구비하여 연결된 테두리가 없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외력에 의해 굴신 변형되고, 상기 필터와 결합되어 상기 필터를 착용자의 콧방울에 착용토록 하는 필터 지지대(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용 코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콧방울 밀착부 중 하나 이상은 힌지를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용 코 마스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은 또는 금을 포함한 재질로 된 단일 와이어가 벤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중앙의 홀더수용부(21), 상기 홀더수용부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후방을 향해 수직부(22a)와 수평부(22b)가 연속되도록 벤딩되어 콧구멍 사이의 주벽에 밀착되는 주벽밀착부(22) 및 상기 주벽밀착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음이온발산 볼이 끼워지는 볼끼움부(23)로 이루어지는 착용구(20)와; 상기 착용구의 볼끼움부에 끼워지는 음이온발산 볼(30)과; 그리고, 상기 착용구의 홀더수용부에 설치되는 자석홀더(41)에 삽입되어 상기 필터 지지대와 결합된 상기 필터가 상기 착용구에 부착되도록 하는 자석(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용 코 마스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지지대의 중앙 세로부의 내부에 상측 연결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절개되어 상기 상측 연결부를 중심하여 젖혀져 상기 자석에 부착되는 접속봉(11f)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용 코 마스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홀더는 자석삽입홈(41a) 및 상기 자석삽입홈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착용구의 홀더수용부가 각각 끼워지는 착용구 연결부(41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용 코 마스크.
KR1020060045738A 2005-05-24 2006-05-22 방진용 코 마스크 KR100731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738A KR100731785B1 (ko) 2005-05-24 2006-05-22 방진용 코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43648 2005-05-24
KR1020050043648 2005-05-24
KR1020060045738A KR100731785B1 (ko) 2005-05-24 2006-05-22 방진용 코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699A KR20060121699A (ko) 2006-11-29
KR100731785B1 true KR100731785B1 (ko) 2007-06-25

Family

ID=37707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738A KR100731785B1 (ko) 2005-05-24 2006-05-22 방진용 코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178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820B1 (ko) 2007-07-09 2009-02-20 김영호 코 마스크
KR101078594B1 (ko) 2008-10-09 2011-11-01 윤영환 통기구가 형성된 마스크 및 머플러
KR101776943B1 (ko) * 2015-04-30 2017-09-19 주식회사 에이플렉스 휴대용 필터장치
WO2019050095A1 (ko) * 2017-09-06 2019-03-14 이성민 마스크
WO2021214577A1 (en) * 2020-04-22 2021-10-28 BeNosey Ltd Nasal filtr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971B1 (ko) 2015-02-27 2023-09-04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단부 출구를 갖는 가요성 필터 요소
USD786443S1 (en) 2015-02-27 2017-05-0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ter element
USD779674S1 (en) 2015-02-27 2017-02-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ter element having a connector
USD792959S1 (en) 2015-02-27 2017-07-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ter element having a pattern
CN106174799A (zh) * 2015-05-06 2016-12-07 胡衍荣 多层高透气口罩
WO2022124805A1 (ko) * 2020-12-09 2022-06-16 이청호 코 마스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251Y1 (ko) * 1983-08-22 1985-06-19 김찬문 다목적 축정기
KR960004083U (ko) * 1994-07-06 1996-02-14 김덕성 콧구멍용 마스크
US5636629A (en) * 1995-11-14 1997-06-10 Patterson, Jr.; Willie Nasal glove
KR200329002Y1 (ko) * 2003-07-02 2003-10-04 김영호 음이온 방출 및 방진용 코 마스크
KR20050069893A (ko) * 2003-12-31 2005-07-05 케이 씨 치암 삽입된 스페이서를 갖는 호흡용 마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251Y1 (ko) * 1983-08-22 1985-06-19 김찬문 다목적 축정기
KR960004083U (ko) * 1994-07-06 1996-02-14 김덕성 콧구멍용 마스크
US5636629A (en) * 1995-11-14 1997-06-10 Patterson, Jr.; Willie Nasal glove
KR200329002Y1 (ko) * 2003-07-02 2003-10-04 김영호 음이온 방출 및 방진용 코 마스크
KR20050069893A (ko) * 2003-12-31 2005-07-05 케이 씨 치암 삽입된 스페이서를 갖는 호흡용 마스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820B1 (ko) 2007-07-09 2009-02-20 김영호 코 마스크
KR101078594B1 (ko) 2008-10-09 2011-11-01 윤영환 통기구가 형성된 마스크 및 머플러
KR101776943B1 (ko) * 2015-04-30 2017-09-19 주식회사 에이플렉스 휴대용 필터장치
WO2019050095A1 (ko) * 2017-09-06 2019-03-14 이성민 마스크
WO2021214577A1 (en) * 2020-04-22 2021-10-28 BeNosey Ltd Nasal filtr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699A (ko)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785B1 (ko) 방진용 코 마스크
US7263996B2 (en) Anion emission and anti-dust nose mask
KR102159200B1 (ko) 길이조절 가능한 귀걸이 끈을 갖는 마스크
KR102079518B1 (ko) 날숨용 필터 조립체가 구비된 마스크
KR101777866B1 (ko) 마스크
KR20170084480A (ko) 공기 정화 기능을 구비하는 마스크
KR20080088708A (ko) 필터 삽입식 마스크
KR200447006Y1 (ko) 마스크
KR102079515B1 (ko) 방진 마스크
WO2000029066A1 (en) Disposable nose filter
JP5700278B2 (ja) マスク
KR20160125733A (ko) 마스크
KR200434575Y1 (ko) 코 마스크
KR20200000536U (ko) 미세먼지 차단용 여과지를 수납하는 안경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한 습기배출장치가 포함되어 있는 3중 구조의 마스크
KR200290424Y1 (ko) 방진용 코 마스크
US20220134141A1 (en) Sealable face mask
KR102102165B1 (ko) 교체형 콧구멍 마스크
KR200485587Y1 (ko) 비강 삽입형 마스크
KR20090005626A (ko) 코 마스크
US20220192290A1 (en) Mask with face contact function
EP4014775A1 (en) Mask with face contact function
KR102669936B1 (ko) 사용자 사이즈 맞춤형 기능성 마스크
KR102407258B1 (ko) 애완동물용 마스크
KR20220085268A (ko) 사용자 사이즈 맞춤형 기능성 마스크 및 이에 장착되는 마스크 스트랩
KR102403203B1 (ko) 모듈형 조립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