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516B1 -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 - Google Patents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516B1
KR102048516B1 KR1020180129544A KR20180129544A KR102048516B1 KR 102048516 B1 KR102048516 B1 KR 102048516B1 KR 1020180129544 A KR1020180129544 A KR 1020180129544A KR 20180129544 A KR20180129544 A KR 20180129544A KR 102048516 B1 KR102048516 B1 KR 102048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smoke
tube
length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선
Original Assignee
김기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선 filed Critical 김기선
Priority to KR1020180129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5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92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extendable or pivo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가정에서 음식을 요리하거나 혹은 흡연할 때, 혹은 식당(음식점) 등에 설치되어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각 가정의 주거용 하우스나 식당 내에 배치된 각각의 테이블로 간편하게 이동 설치하여 흡연 또는 테이블에서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를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EXHAUST APPARATUS FOR RESIDENTIAL HOUSE AND RESTAURANTS}
본 발명은 각 가정에서 음식을 요리하거나 혹은 흡연할 때, 혹은 식당(음식점) 등에 설치되어 흡연 또는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각 가정의 주거용 하우스나 식당 내에 배치된 각각의 테이블로 간편하게 이동 설치하여 테이블에서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를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에 들어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육류의 섭취율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육류 중 삽결살은 맛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육류를 취급하는 대부분의 식당에서 구이용으로 판매하는 대중적인 음식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삽결살은 주로 불판에 구워 섭취하는데, 다른 육류에 비해 많은 기름을 함유하고 있어 구이과정에서 다량의 연기와 냄새를 유발한다. 삽결삽 구이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연기에는 이산화탄소는 물론 다량의 발암성 유해물질을 포함하고 있고 있기 때문에 이를 집연하여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식당에는 천장에 배기덕트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덕트에 연결되고 내부에는 배기팬을 설치하여 주름관에 의하여 승강이 가능한 배기장치를 설치하여 삼겹살 등의 고기가 구워지는 불판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후드를 승강시켜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식당에 설치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배기장치는 고기를 굽는 테이블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집연 효과를 향상시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기 집연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후드를 불판에 근접시켜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불판에 올려진 고기가 후드에 가려 보이지 않아 육류를 굽는데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식당은 임대료 등을 감안하여 효율적으로 식당을 운영하기 위해 한정된 공간 내에 보다 많은 테이블을 배치하기 때문에 테이블 간의 간격이 비교적 좁다. 이로 인해 각 테이블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가 그대로 인접한 테이블로 퍼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기술에 따른 배기장치를 통해서는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테이블에서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나 냄새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없다. 또한, 주변의 소음이 그대로 유입되거나 자신의 소리가 인접 테이블로 퍼져 프라이버시를 침해받거나, 손님들 간의 마찰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른 배기장치는 각 테이블의 위치에 정렬된 상태로 배기덕트에 고정 설치됨에 따라 식당 내에 배치된 테이블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경우 배기장치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한 무리의 일행이 왔을 때 일행이 함께 식사를 하기 위해 테이블을 이동시키는 경우 옮긴 테이블에서는 배기장치를 사용하지 못하거나, 혹은 고기를 굽지 못하는 등 비효율적인 면이 있었다.
한편, 고층건물이 늘어나고, 금연 장소가 많아짐에 따라 흡연자들은 흡연 장소에 큰 구애를 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아파트 등의 공공주택에서 창문을 열고 흡연할 경우 윗집이나 주변 세대에 담배연기로 인한 불쾌감을 야기할 수 있고, 복도나 비상계단에서의 흡연도 타인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어 흡연자들이 고층에서 1층으로 내려와 흡연하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KR 20-0352979 Y1, 2001. 06. 01. KR 10-1518570 B1, 2015. 04. 30. KR 10-1606849 B1, 2016. 03. 22.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집연 효과를 향상시키면서, 아파트의 발코니나 식당 내에 배치된 각각의 테이블로 간편하게 이동 설치할 수 있는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인접하게 배치된 테이블에서 유입되는 연기와 냄새를 차단하는 한편, 독립적인 공간을 제공하여 프라이버시 침해를 방지하는 한편, 흡연이나 연기로 인한 불편, 마찰을 방지할 수 있는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주대; 파라솔 또는 우산 구조로 이루어져 접철 가능하게 상기 지주대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흡연이나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를 중심부로 모아 집연하는 집연 루프; 상기 집연 루프의 둘레단에 설치된 비닐 커튼; 상기 집연 루프의 중심부 상부에 상기 집연 루프와 연통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배기팬을 구비하여 연기와 냄새를 상기 집연 루프를 통해 흡입하여 배출하는 후드; 및 연장가능하도록 길이가 가변되고, 상기 후드와 연통하도록 상기 후드의 일측부에 연결되어 상기 후드를 통해 배출되는 연기와 냄새를 후단으로 배출하는 후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집연 루프는 상기 지주대의 상단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드 연결관; 파라솔 또는 우산과 같이 상기 후드 연결관의 측부에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살대; 및 상기 살대의 외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상기 살대에 의해 지지되는 보호 외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살대는 각각 내부가 빈 관 구조로 상기 후드 연결관과 연통하도록 결합되고,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배기팬 동작시 상기 복수 개의 홀을 통해 연기와 냄새가 흡입되어 상기 후드 연결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살대는 각각 내부가 빈 관 구조로 상기 후드 연결관과 연통하도록 결합되고,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드 연결관은 내부에 연기와 냄새를 배출하는 연기 배출로와, 외부의 시원하고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로로 구획하는 분할 격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 유입로에는 송풍팬이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의 구동시 상기 공기 유입로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살대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을 통해 상기 집연 루푸의 하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드관은 고가 사다리차의 골격이나, 혹은 크레인 붐대 구조와 같이, 길이가 가변되도록 다단 구조로 이루어진 길이 가변체; 및 상기 길이 가변체의 외측을 덮도록 설치되어 상기 길이 가변체의 길이 가변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외피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파라솔 또는 우산과 같은 구조를 갖는 집연 루프를 구비함으로써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연기와 냄새의 집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파라솔 또는 우산과 같은 구조를 갖는 집연 루프가 접철 가능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이동시나 혹은 비사용시(보관시)에는 접어 부피를 줄임으로써 이동과 보관이 편리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집연 루프의 둘레부에 설치된 비닐 커튼을 구비함으로써 각각의 테이블마다 독립적인 공간을 제공하여 인접하게 배치된 다른 테이블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한편, 프라이버시 침해를 방지하고, 다른 손님과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후드의 일측부에 연결되어 길이 연장이 가능한 연장관과 주름관을 구비함으로써 식당 내에 배치된 각각의 테이블로 간편하게 이동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닐 커튼이 접혀 올라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집연 루프와 지주대의 결합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후드관을 설명하기 위해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관의 길이가 가변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집연 루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닐 커튼이 접혀 올라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10)는 파라솔이나 우산과 같이 비사용시 보관이 용이하도록 접철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10)는 바닥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세우기 위해 받침대(11)를 포함한다.
받침대(11)는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10)가 바닥에 세워진 상태에서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10)가 외력에 의해 쉽게 쓰러지지 않도록 일정 이상의 중량을 갖는 중량체 블럭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바닥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부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전체적인 외형은 원형, 타원형, 혹은 다각형(사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10)는 받침대(11)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주대(12)를 포함한다.
지주대(12)의 길이(높이)는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지주대(12)는 봉 또는 관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10)의 이동 편의성을 위해 받침대(11)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주대(12)는 길이가 가변되도록 낚시대나 안테나와 같이 다단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10)는 파라솔이나 우산 구조로, 지주대(12) 상단에 결합되어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나 냄새를 집연하는 집연 루프(13)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집연 루프와 지주대의 결합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집연 루프(13)는 지주대(12)의 상단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후드 연결관(131)과, 후드 연결관(131)의 외주연에 일정 간격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파라솔이나 우산과 같이 접철되는 복수 개의 살대(132)와, 살대(132)의 외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살대(132)에 의해 지지되는 보호 외피(133)를 포함한다.
후드 연결관(131)은 일례로 지주대(12)의 상단부가 하부 개구부를 통해 내부로 인입된 후 별도의 결합부재(18)를 통해 후드 연결관(131)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후드 연결관(131)은 지주대(12)의 상단부가 후드 연결관(131)의 하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도번 미도시)에 연결되도록 플랜지 형태의 결합부재(18)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18)는 상부에 후드 연결관(131)의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후드 결합부(181)와 상기 후드 결합부(181)의 하부면 중심부에서 연장되어 돌출형성되되, 후드 결합부(18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지주대 결합부(183)를 포함하고, 상기 후드 결합부(181)와 지지대 결합부(183)의 중심부에는 지주대(12)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지주대(12)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지주대 결합공(18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18)의 후드 결합부(181)에 방사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수의 배출공(187)이 수직되게 관통형성되어 링 구조를 이루어질 수 있다.
살대(132)는 후드 연결관(131)의 외주연에 복수 개가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되, 접철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살대(132)는 각각 후드 연결관(131)의 측부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시에는 도 2와 같이, 전개시켜 사용하고, 비사용시에는 도 4와 같이, 접어 보관한다.
살대(132)와 후드 연결관(131) 간의 결합부위에는 살대(132)가 전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파라솔이나 우산과 같이 잠금부재(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살대(132)가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부재를 조작하여 잠금을 해제한 후 살대(132)를 접을 수 있다.
한편, 살대(132)는 내부가 빈 관 구조로 이루지고, 이들이 각각 후드 연결관(131)가 연통하도록 후드 연결관(131)과 결합될 수도 있있다. 여기서, 상기 후드 연결관(131)의 외주연에는 후드 연결관(131)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중공에 연통되되, 상기 살대(132)가 연결되기 위한 배출홀(미도시)이 살대에 대응되는 갯수로 형성된다. 그리고, 살대(132)에는 하부 각각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홀(132a)이 형성되어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나 냄새를 복수 개의 홀(132a)을 통해 후드 연결관(131)으로 배출할 수도 있다.
보호 외피(133)는 살대(132)의 외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살대(132)의 접철 동작과 연동하여 접철된다. 이러한 보호 외피(133)는 뜨꺼운 열기에 쉽게 녹아 내리지 않도록 열에 강한 내열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합성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집연 루프(13)는 파라솔이나 우산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는 보호 외피(133)의 내측면을 따라 중앙부에 설치된 외부의 흡입력에 의해 후드 연결관(131)으로 유입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도 1과 같이,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10)는 집연 루프(13)의 둘레단에 설치된 비닐 커튼(14)을 포함한다.
비닐 커튼(14)은 내부에 투시되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불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열에 강하도록 내열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거나, 비닐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면에 내열성이 우수한 소재의 코팅막이 더 코팅될 수도 있다.
이러한 비닐 커튼(14)은 도 1과 같이, 선택적으로 바닥까지 전개시켜 사용하거나, 혹은 도 2와 같이 둘둘말아 집연 루프(13)의 둘레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과 같이,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10)는 집연 루프(13)의 후드 연결관(131)과 연결되어 후드 연결관(131)을 통해 연기와 냄새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후드(15)를 포함한다.
후드(15)는 내부에 후드 연결관(131)과 연통하는 관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관의 내부에는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동작하여 후드 연결관(131)을 통해 유입되는 연기와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팬(151, 도 9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후드(15)의 구조는 제한을 두지 않고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또한,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1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후드(15)와 연통하도록 후드(15)의 일측부에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연장시키는 후드관(16)을 포함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후드관을 설명하기 위해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관의 길이가 가변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와 같이, 후드관(16)은 실외, 즉 외벽면으로부터 최소 1.5m 이상 외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주변 주거지에 연기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후드관(16)은 후드(15)와 연통하도록 관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고가 사다리차의 골격이나, 혹은 크레인 붐대 구조와 같이, 길이가 가변되도록 다단 구조로 이루어진 길이 가변체(161)와, 길이 가변체(161)의 외측을 덮도록 설치되어 길이 가변체(161)의 길이 가변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외피관(162)을 포함한다.
길이 가변체(161)는 별도의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길이가 신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장치는 전동식, 유압식 또는 공압식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피관(162)은 배기덕트(미도시)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길이 가변체(161)의 신축에 따라 신축되는 주름관이나 단위 길이로 접히는 구조의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피관(162)은 내열성을 갖도록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6은 집연 루프가 비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집연 루프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다.
도 6과 같이, 길이 가변체(161)의 길이를 가변시켜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10)를 테이블(1)이 위치해 있는 곳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집연 루프(13)가 비전개된 상태(접혀진 상태)로 이동시키거나, 도 7과 같이, 집연 루프(13)가 전개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비닐 커튼(14)의 일측에 마련된 출입구를 통해 테이블(1)과 의자(2)를 인입시켜 비닐 커튼(14)의 내부, 즉 집연 루프(13)의 하부에 테이블(1)과 의자(2)를 설치한다. 이때, 테이블(1)에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지주대(12)를 중심으로 테이블(1)을 중앙에 배치하기 위해 중앙에 지주대(12)가 관통 결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10)의 설치가 완료되면, 테이블(1)에 올려진 구이장치(미도시)를 작동시키거나, 혹은 숯불 등에 불을 지핀 후 고기를 굽는다. 이때,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연기와 냄새를 흡입 배출하기 위해 후드(15)의 배기팬(151)을 가동시켜 비닐 커튼(14)의 내부에 존재하는 연기와 냄새를 집연 루프(13)의 후드 연결관(131)을 통해 길이 가변체(161)와 외피관(162)을 통해 배기덕트로 배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집연 루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집연 루프(23)는 후드 연결관(231)의 내부가 연기와 냄새를 배출하는 연기 배출로와, 송풍팬(19)으로부터 외부의 시원하고 신선한 공기와 바람이 유입되는 공기 유입로로 구획하는 분할 격벽(231a)이 형성되되, 상기 분할 격벽(231a)은 후드 연결관(131) 내부의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직경이 감소하도록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분할 격벽(231a)에 의해 구획된 연기 배출로는 후드 연결관(231)의 중앙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공기 유입로는 상기 연기 배출로를 감싸도록 후드 연결관(231)의 내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로는 송풍팬(19)이 설치되고, 집연 루프(23)의 살대(132)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송풍팬(19)을 통해 상기 유입로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는 살대(132)의 홀(132a)을 통해 비닐 커튼(14)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테이블 2 : 의자
10 :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 11 : 받침대
12 : 지주대 13 : 집연 루프
14 : 비닐 커튼 15 : 후드
16 : 후드관 18 : 결합부재
19 : 송풍팬 131, 231 : 후드 연결관
132 : 살대 132a : 홀
133 : 보호 외피 151 : 배기팬
231a : 분할 격벽 161 : 길이 가변체
162 : 외피관 181 : 후드 결합부
183 : 지주대 결합부 185 : 지주대 결합공
187 : 배출공

Claims (5)

  1. 일정 이상의 중량을 갖는 중량체 블럭으로 이루어지되, 바닥면은 평평하게 형성되고, 전체 외형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봉 또는 관 구조로 이루어지되, 받침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주대;
    파라솔 또는 우산 구조로 이루어져 접철 가능하게 상기 지주대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연기와 냄새를 중심부로 모아 집연하는 집연 루프;
    상기 집연 루프의 둘레단에 설치된 비닐 커튼;
    상기 집연 루프의 중심부 상부에 상기 집연 루프와 연통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배기팬을 구비하여 흡연이나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를 상기 집연 루프를 통해 흡입하여 배출하는 후드; 및
    상기 후드에 연통하도록 후드의 일측부에 연결되되, 길이방향으로 길이가 연장가능하도록 가변되고, 상기 후드를 통해 배출되는 연기와 냄새를 후단으로 배출하는 후드관;
    을 포함하고,
    상기 집연 루프는,
    상기 지주대의 상단부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후드 연결관;
    파라솔 또는 우산과 같이 상기 후드 연결관의 외주연 방사상에 일정 간격으로 상, 하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되, 후드 연결관을 중심으로 접철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 개의 살대; 및
    상기 살대의 외면을 덮도록 설치되어 상기 살대에 의해 지지되되, 살대의 절첩 동작에 연동되어 절첩되는 보호 외피;
    를 포함하며,
    상기 후드 연결관은,
    상기 지주대의 상단부가 후드 연결관의 하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연결되도록 플랜지 형태의 결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부에 후드 연결관의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후드 결합부와 상기 후드 결합부의 하부면 중심부에서 연장되어 돌출형성되되, 후드 결합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지주대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드 결합부와 지지대 결합부의 중심부에는 지주대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지주대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 지주대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후드 결합부에 방사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수직되게 관통형성되어 링 구조를 이루되, 상기 배출공은 상기 지주대 결합공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외피는 열에 강한 내열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합성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닐 커튼은 투명재질 또는 불투명재질로 이루어지되, 열에 강한 내열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거나, 비닐로 이루어지되, 그 내측면에 내열성 코팅막이 코팅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대는 각각 내부가 빈 관 구조로 상기 후드 연결관과 연통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후드 연결관의 외주연에는 그 중심부에 형성되는 중공에 연통되되, 상기 살대가 연결되기 위한 배출홀이 살대에 대응되는 갯수로 형성되며, 상기 살대의 하부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홀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배기팬 동작시 상기 복수 개의 홀을 통해 연기와 냄새가 흡입되어 상기 배출홀을 통해 후드 연결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대는 각각 내부가 빈 관 구조로 상기 후드 연결관과 연통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후드 연결관의 외주연에는 그 중심부에 형성되는 중공에 연통되되, 상기 살대가 연결되기 위한 배출홀이 살대에 대응되는 갯수로 형성되며, 상기 살대의 하부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홀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드 연결관은 내부에 연기와 냄새를 배출하는 연기 배출로와, 외부의 시원하고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로로 구획하는 분할 격벽이 형성되되, 상기 분할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연기 배출로는 후드 연결관 내부의 중앙에 마련되고, 상기 공기 유입로는 상기 연기 배출로를 감싸도록 후드 연결관의 내측면에 마련되되, 상기 분할 격벽은 후드 연결관 내부의 하방에서 상방을 향하여 직경이 감소하도록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로에는 송풍팬이 설치되며,
    상기 배기팬 동작시 상기 살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홀을 통해 연기와 냄새가 흡입되어 상기 집연 루프의 연기 배출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송풍팬의 구동시 상기 공기 유입로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살대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을 통해 상기 집연 루프의 하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관은,
    고가 사다리차의 골격이나, 혹은 크레인 붐대 구조와 같이, 길이가 가변되도록 다단 구조로 이루어진 길이 가변체; 및
    상기 길이 가변체의 외측을 덮도록 설치되어 상기 길이 가변체의 길이 가변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외피관;
    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 가변체는 전동식, 유압식 또는 공압식 실린더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길이가 신장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외피관은 길이 가변체의 신축에 따라 신축되는 주름관이나, 단위 길이로 접히는 구조의 관 형태로 이루어지되, 내열성을 갖는 알루미늄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
KR1020180129544A 2018-10-29 2018-10-29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 KR102048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544A KR102048516B1 (ko) 2018-10-29 2018-10-29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544A KR102048516B1 (ko) 2018-10-29 2018-10-29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516B1 true KR102048516B1 (ko) 2019-11-25

Family

ID=68730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544A KR102048516B1 (ko) 2018-10-29 2018-10-29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51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752U (ja) * 1993-07-16 1995-09-12 ミナト産業株式会社 空気清浄装置
KR200352979Y1 (ko) 2004-03-25 2004-06-09 송근성 천막용 배기장치
KR200353956Y1 (ko) * 2004-03-30 2004-06-23 손복영 천정 매입형 후드 구조
KR200369062Y1 (ko) * 2004-08-26 2004-12-04 주식회사 이콜스 후드 장치
JP2006141959A (ja) * 2004-11-23 2006-06-08 Takashi Suzuki 福祉・育児用簡易排気器
JP2011088127A (ja) * 2009-10-23 2011-05-06 Koichi Asakawa 煙用フード空気清浄スタンド
KR20140020101A (ko) * 2012-08-08 2014-02-18 권영억 냉,난방 수단을 구비하는 우산
KR101518570B1 (ko) 2013-08-20 2015-05-07 정지연 음식점 설비용 배기 후드장치
KR101606849B1 (ko) 2014-02-21 2016-03-29 임진욱 로스터용 배기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752U (ja) * 1993-07-16 1995-09-12 ミナト産業株式会社 空気清浄装置
KR200352979Y1 (ko) 2004-03-25 2004-06-09 송근성 천막용 배기장치
KR200353956Y1 (ko) * 2004-03-30 2004-06-23 손복영 천정 매입형 후드 구조
KR200369062Y1 (ko) * 2004-08-26 2004-12-04 주식회사 이콜스 후드 장치
JP2006141959A (ja) * 2004-11-23 2006-06-08 Takashi Suzuki 福祉・育児用簡易排気器
JP2011088127A (ja) * 2009-10-23 2011-05-06 Koichi Asakawa 煙用フード空気清浄スタンド
KR20140020101A (ko) * 2012-08-08 2014-02-18 권영억 냉,난방 수단을 구비하는 우산
KR101518570B1 (ko) 2013-08-20 2015-05-07 정지연 음식점 설비용 배기 후드장치
KR101606849B1 (ko) 2014-02-21 2016-03-29 임진욱 로스터용 배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2164B1 (en) Room tent
US10292538B2 (en) Partition technologies
US9955825B2 (en) Partition technologies
US11529025B2 (en) Technologies for computing
KR102048516B1 (ko) 주거 및 식당용 배기장치
KR101075694B1 (ko) 드라이접이식빨래건조대
US10294691B1 (en) Portable shelter with rooftop opening
CN105952353A (zh) 一种防盗网可拆卸的推拉窗
JP2004003828A (ja) 組込形吸気フード
KR100908695B1 (ko) 로스터 후드
JP6566777B2 (ja) ロッジ型テント
CN211395062U (zh) 一种室内用高度可调折叠晾衣架
JPS6330912Y2 (ko)
JPH1157046A (ja) 伸縮自在な避難用組立てスベリ台
CN205744587U (zh) 花朵式吊扇
US20240164984A1 (en) Insulated sauna tent for therapeutic use
KR101846261B1 (ko) 클램핑용 텐트구조
CN205711479U (zh) 一种两折式壁挂干衣机及其骨架
CN205558463U (zh) 一种一体收折帐篷主体篷布及其与帐篷架杆的连接结构
CN209194200U (zh) 一种壁挂式晾衣架
KR200265732Y1 (ko) 음식점 설비용 배기 후드장치
KR102524052B1 (ko) 이동식 주방용 환기장치
CN114593450B (zh) 一种吸油烟机幕帘装置、吸油烟机及其控制方法
CN215369053U (zh) 一种户外防水帐篷
KR200259894Y1 (ko) 모기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