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8511B1 -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8511B1
KR102048511B1 KR1020190087288A KR20190087288A KR102048511B1 KR 102048511 B1 KR102048511 B1 KR 102048511B1 KR 1020190087288 A KR1020190087288 A KR 1020190087288A KR 20190087288 A KR20190087288 A KR 20190087288A KR 102048511 B1 KR102048511 B1 KR 102048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ank
sewage
sludge
contact a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규
Original Assignee
박정규
대진환경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규, 대진환경건설(주) filed Critical 박정규
Priority to KR1020190087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8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8Plurality of plates inclined in alternating dir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21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comprising treatment of the recirculated slu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의 후단에 침전설비가 설치되되, 침전설비 내에 모듈형 경사부재가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유입되는 오수에서 슬러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의 제거 및 침전이 용이하고, 슬러지 침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특징은,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유입되는 오수를 균일 및 안정화시키고 적정 체류 시간을 유지시키는 유량조정조; 상기 유량조정조의 후단에 연설되어 유량조정조를 통하여 유입되는 오수를 폭기 교반시키고,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흡착산화하여 유기오염물질의 분해가 이루어지는 제1 접촉폭기조; 상기 제1 접촉폭기조의 후단에 연설되어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유기성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잉여슬러지를 분해하는 제2 접촉폭기조; 및 상기 제2 접촉폭기조의 후단에 연설되어 제2 접촉폭기조를 통하여 유입되는 오수를 침전분리시키는 침사조와, 상기 침사조의 일측에 구획형성되어 슬러지를 유량조정조로 반송시키는 반송조와 상기 반송조의 일측에 구획형성되어 상등수를 분리하여 방류하는 방류조, 및 상기 침사조 내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듈형 경사부재를 포함하는 침전설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FRP SEWAGE DISPOSAL PLANT SYSTEM}
본 발명은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형 경사부재를 통해 오수에 포함되는 슬러지 등의 이물질의 침전율을 향상시켜 안정적인 수질의 확보가 용이한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FRP 개인하수처리시설은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유량조정조(11)와 접촉폭기조(13)와 침전조(15) 및 방류조(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FRP 개인하수처리시설(10)의 유량조정조(11)는 유입되는 오수 및 폐수의 유입량을 균등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불규칙적으로 유입되는 오수 및 폐수의 유입량에 관계없이 일정하고 균등한 유량으로 후단의 접촉폭기조(13)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오수 유입성분에 의한 충격 부하를 완화시키고, 수처리공정에서 처리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접촉폭기조(13)는 산기관에 의해 공기를 공급하여 수중에 산소의 용해 및 기포의 부상력에 의한 오염물질을 교반하며,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성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잉여슬러지를 분해한다.
또한, 침전조(15)는 수중의 현탁 물질을 밀도차를 이용하여 침강시킴으로써 고체와 액체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접촉폭기조(13)에서 이송되는 오수를 침전 분리하고, 미처리된 활성슬러지를 침전시키며, 침전된 슬러지를 다시 유량조정조(11)로 반송하여 재처리하며, 상등수를 방류조(16)로 방류 및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침전조(15)는 Air Lift Pump(미도시)를 사용하여 유량조정조(11)로 슬러지를 반송한다.
그리고, 상기 침전조(15)의 상부에는 월류웨어(미도시)가 설치되어 슬러지가 침전 및 제거된 처리수를 방류조(16)로 방류한다.
여기서, 방류조(16)는 침전조(15)를 통하여 유입되는 처리수를 방류하기 전 일정 시간 동안 체류시키고, 이를 통해 처리수의 오니를 침전시키며, 상등수를 분리하여 방류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FRP 개인하수처리시설은 침전조의 높은 표면적 부하로 인해 오수에 포함되는 슬러지 등의 이물질의 침강성이 불량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침전조의 상부에 설치되는 월류웨어가 수조 벽체 일부에만 설치되어 있어 편류가 발생되고, Air Lift Pump를 사용하여 슬러지 반송을 하므로 슬러지 반송량의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들어 지구 온난화, 고농도 폐수의 다량 발생, 총량 규제 등으로 오수를 처리하는 방법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고 판단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이에 대한 대응 기술이 절실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6424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641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의 후단에 침전설비가 설치되되, 침전설비 내에 모듈형 경사부재가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유입되는 오수에서 슬러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의 제거 및 침전이 용이하고, 슬러지 침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듈형 경사부재에 다층으로 적층설치되는 경사판들 사이의 공간으로 오수가 유입 및 유동 시 슬러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이 경사판에 간섭 및 걸리면서 하부로 침전이 용이하고, 경사판을 절곡형성함으로써 오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반복적으로 제거 및 침전시킬 수 있는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듈형 경사부재의 경사판이 다층으로 적층설치되어 개인하수처리시설을 구현하기 위한 소요 부지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일체형 시설물로 이루어져 시공이 간편함과 동시에 별도의 구조물 공사가 필요하지 않아 개인하수처리시설 시공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경사부재가 모듈형태로 적용되어 유지관리가 간편용이하고, 개인하수처리설비의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안정적인 수질의 확보가 가능하여 방류 수질을 개선할 수 있는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유입되는 오수를 균일 및 안정화시키고 적정 체류 시간을 유지시키는 유량조정조; 유량조정조의 후단에 연설되어 유량조정조를 통하여 유입되는 오수를 폭기 교반시키고,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흡착산화하여 유기오염물질의 분해가 이루어지는 제1 접촉폭기조; 제1 접촉폭기조의 후단에 연설되어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유기성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잉여슬러지를 분해하는 제2 접촉폭기조; 및 제2 접촉폭기조의 후단에 연설되어 제2 접촉폭기조를 통하여 유입되는 오수를 침전분리시키는 침사조와, 침사조의 일측에 구획형성되어 슬러지를 유량조정조로 반송시키는 반송조와, 반송조의 일측에 구획형성되어 상등수를 분리하여 방류하는 방류조, 및 침사조 내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듈형 경사부재를 포함하는 침전설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모듈형 경사부재는, 일직선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배열되고, 상호 대향되도록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절곡형성되는 " 〉"자 형태의 상, 하부판을 포함하는 경사판과, 경사판의 상, 하측에 구비되되, 그 내부가 개방되도록 테두리 형태로 형성되는 상, 하부 고정판을 포함하며, 침사조 내의 오수가 모듈형 경사부재의 하부 고정판을 통하여 유입된 후 각 경사판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공간으로 유입되되, 각 경사판의 하부판 및 상부판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오수에 포함되는 슬러지를 제거 및 침전시킨 후 상부 고정판을 통하여 유동하도록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부판은 그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산과 골이 교대로 반복형성되고, 외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며, 하부판은 그 외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산과 골이 교대로 반복형성되고, 내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며, 각 경사판의 하부판 외측면과 내측면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공간으로 유입되는 오수가 하부판에 형성되는 산과 골을 순차적으로 유동하면서 통과하되, 산과 골에 간섭받으면서 오수에서 슬러지가 제거 및 침전되고, 각 경사판의 하부판을 통과한 오수가 상부판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공간으로 유입되어 상부판에 형성되는 산과 골을 순차적으로 유동하면서 통과하되, 산과 골에 간섭받으면서 오수에서 슬러지가 재차 제거 및 침전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부판의 내측면 최하측 및 하부판 외측면 최상측에 골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며, 각 경사판의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공간으로 오수가 유입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할 경우, 각 경사판의 하부판 외측면과 내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오수가 하부판의 최상측에 형성되는 골의 내부면을 따라 근접되게 위치하는 다른 경사판의 상부판 최하측에 형성되는 골로 유도되고, 다른 경사판의 상부판 최하측에 형성되는 골로 유도된 오수는 다시 상부판 최하측에 골의 내부면을 따라 유동방향이 변동되어 각 경사판의 상부판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경사판의 상부판 내측면 및 하부판 외측면에 형성되는 각각의 산에 경사홈이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되, 각 경사홈은 수직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 및 배열되거나, 수직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 및 배열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하부 고정판의 개방된 부분에 유동판이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되, 유동판에 다수의 유동홀이 관통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침전설비가 일체로 적용되고 침전설비 내에 모듈형 경사부재의 경사판이 다층으로 설치되어 시설 구현을 위한 소유 부지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시공이 간편함과 동시에 시설 시공을 간소화할 수 있고, 유지관리가 간편용이하며,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안정적인 수질의 확보가 가능하여 방류 수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슬러지의 침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호기성 미생물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존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의 침전조와 방류조를 접촉폭기조로 변경시공하여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유기성 오염물질 제거의 극대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잉여슬러지의 분해작용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접촉폭기조에서 침전설비로 이송된 오수가 침전설비의 모듈형 경사부재를 통해 효과적인 침전분리가 가능하다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침전설비의 모듈형 경사부재의 표면적 부하를 개선하여 슬러지 침강성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호기성 미생물의 유실을 방지하며, 월류웨어를 침사조의 벽체 전체에 설치하여 편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수중 Vortex Pump를 적용하여 슬러지를 반송함으로써 슬러지 반송량의 조절이 가능함과 동시에 양질의 미생물이 함유된 슬러지를 반송시켜 수질 개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편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슬러지 반송량의 조절이 가능하고, 양질의 미생물이 함유된 슬러지를 반송시킴으로써 수질의 개선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FRP 개인하수처리시설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의 침전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경사부재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경사부재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경사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경사부재의 유동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을 통해 처리된 오수와 종래기술에 따라 처리된 오수의 정화정도를 나타내는 비교표.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한 것이며, 그 기술적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의 침전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경사부재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경사부재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경사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듈형 경사부재의 유동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을 통해 처리된 오수와 종래기술에 따라 처리된 오수의 정화정도를 나타내는 비교표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1)은 유량조정조(100)와 제1 접촉폭기조(300)와 제2 접촉폭기조(500) 및 침전설비(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량조정조(100)는 유입되는 하수의 유량과 수질의 변동을 균등화함으로써 처리시설의 처리효율을 향상시키고, 충격부하를 줄이거나 독성물질의 희석을 통하여 생물학적 처리효율을 증대시키며, 고형물 부하를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주기 때문에 생물학적처리공정의 후속 공정인 최종침전지의 농축기능이 안정되어 처리수질을 안정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접촉폭기조(300)는 상기 유량조정조(100)를 통하여 일정한 유량으로 유입되는 오수에 활성 오니를 혼합하여 수중에 산소의 용해 및 기포의 부상력에 의해 오염물질을 교반하여 오수를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호기조(미도시) 및 혐기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호기조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오수에서 유기성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혐기조는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잉여슬러지를 분해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접촉폭기조(500)는 제1 접촉폭기조(300)를 통하여 유입되는 오수를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유기성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잉여슬러지로 오수의 오염물질을 분해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침전설비(700)는 상기 제2 접촉폭기조(500)의 후단에 설치되어 제2 접촉폭기조(500)에서 유입 및 이송된 오수를 침전분리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접촉폭기조(300)의 후단에는 제2 접촉폭기조(500)가 연설되어 상기 제1 접촉폭기조(300)에서 유입 및 이송되는 오수를 침전분리한 후 미처리된 활성슬러지의 침전, 침전된 슬러지를 유량조정조(100)로 반송하여 재처리하는 침전조(미도시)와 처리수를 방류하기 전 일정 시간동안 오수를 체류시켜 오니를 침전시키고 상등수를 분류하여 방류하는 방류조(미도시)를 대체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접촉폭기조(300)의 후단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침전조 및 방류조를 제2 접촉폭기조(500)로 대체하고, 상기 제2 접촉폭기조(500)의 후단에 침전설비(700)가 설치되되, 침전설비 내에 침사조(710), 반송조(730) 및 방류조(750)가 일체로 설치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제1 접촉폭기조(300)의 후단에 침전조 및 방류조를 설치하고, 상기 침전조 및 방류조의 후단에 침전설비(700)가 설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여기서, 상기 침전설비(700)는 침사조(710)와 반송조(730) 및 방류조(75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침전설비(700) 내에는 침사조(710)와 반송조(730) 및 방류조(750)가 구획되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침사조(710)는 상기 제2 접촉폭기조(500)에서 유입되는 오수를 침전분리시킨다.
여기서, 상기 침사조(710)의 상부 벽체 전체에는 월류웨어(711)가 설치되고, 이로 인해 침사조(710)에서 발생될 수 있는 편류를 억제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반송조(730)는 침사조(7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슬러지를 유량조정조(100)로 반송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반송조(730)는 수중 Vortex Pump(미도시)가 구비되어 반송조(730)의 슬러지를 유량조정조(100)로 반송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수중 Vortex Pump를 통해 반송조(730)에서 유량조정조(100)로 슬러지의 반송 시 슬러지의 반송량을 조절함으로써 효율적인 슬러지의 반송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방류조(750)는 상기 반송조(7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오수에서 상등수를 분리하여 방류한다.
여기서, 상기 침사조(710) 내의 상부에는 모듈형 경사부재(770)가 설치되고, 상기 모듈형 경사부재(770)는 일직선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배열되는 경사판(771)과 상기 경사판(771)의 상, 하측 단부에 구비되는 판체형상의 상, 하부 고정판(777, 77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경사판(771, 771')들의 상, 하부에 구비되는 상, 하부 고정판(777, 778)은 대략 사각판체로 형성되되, 그 내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모듈형 경사부재(770)의 하부로 오수가 유입되어 각 경사판(771, 771')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기 위하여 상기 각 경사판(771, 771')의 상, 하부에 구비되는 상, 하부 고정판(777, 778)은 테두리 형태로만 구성되도록 그 내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 하부 고정판(777, 778)이 그 내부에 개방된 부분을 갖는 테두리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나, 유동하는 오수에서 슬러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 및 침전시키기 용이하도록 상기 상, 하부 고정판(777, 778)의 개방된 부분에 격자형태의 필터체(미도시)가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모듈형 경사부재(770)의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는 오수에서 슬러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 및 침전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경사판(771) 및 상, 하부 고정판(777, 778)은 SUS, PE, FRP, 아크릴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침사조(710) 내의 상부에 모듈형 경사부재(770)가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침사조(710) 내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듈형 경사부재(770)가 수직방향에 적층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경사판(771)은 상부판(773) 및 하부판(774)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 하부판(773, 774)은 상호 대향되도록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절곡형성되어 대략 " 〉"자 형태를 이룬다.
이때, 상기 경사판(771)은 표면부하율이 4 ~ 9m/min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사판(771)의 경사각은 60° 내지 14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판(771)의 경사각은 120°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판(773)의 내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산(773a)과 골(773b)이 교대로 반복형성되고, 상기 상부판(773)의 외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판(774)의 외측면에는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산(774a)과 골(774b)이 교대로 반복형성되고, 상기 하부판(774)의 내측면은 평면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경사판(771)의 상부판(773) 내측면 및 하부판(774) 외측면에 수직방향으로 산(773a, 774a)과 골(773b, 774b)이 교대로 반복형성되어 물결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판(771)의 상부판(773) 외측면 및 하부판(774) 내측면은 플랫형태의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사판(771)은 동일한 형태 및 방향성을 갖도록 일직선상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판(773)의 내측면 및 하부판(774)의 외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산(773a, 774a)과 골(773b, 774b)이 교대로 반복형성되고, 상기 상부판(773)의 외측면 및 하부판(774)의 내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상부판(773)의 외측면 및 하부판(774)의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산(773a, 774a)과 골(773b, 774b)이 교대로 반복형성되고, 상기 상부판(773)의 내측면 및 하부판(774)의 외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상, 하부판(773, 774)의 내, 외측면 모두에 다수개의 산(773a, 774a)과 골(773b, 774b)이 교대로 반복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렇게, 상기 침전설비(700)로 유입된 오수는 상기 침사조(710)를 통하여 그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모듈형 경사부재(770)의 하부로 유입되고, 상기 모듈형 경사부재(770)의 경사판들(771, 771')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공간 내로 유입되되, 상기 경사판들(771, 771')의 하부판(774)으로 유입된 오수는 하부판(774) 외측면에 형성되는 산(774a)과 골(774b)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부로 유동되며, 하부판(774)을 거쳐 상부판(773)으로 유입된 오수는 다시 상부판(773)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산(773a)과 골(773b)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부로 유동하게 되며, 상기 경사판(771)의 상, 하부판(773, 774)의 산(773a, 774a)과 골(773b, 774b)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되, 오수와 함께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는 슬러지는 상, 하부판(773, 774)의 산(773a, 774a)과 골(773b, 774b)에 간섭받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제거 및 침전이 용이해진다.
이때, 상기 모듈형 경사부재(770)의 어느 한 경사판(771)의 하부판(774) 외측면 최상부에 골(774b)이 위치하도록 배열되고, 이에 인접하는 다른 한 경사판(771')의 상부판(773) 내측면 최하부에 골(773b')이 위치하도록 배열된다.
이로 인해, 상기 어느 한 경사판(771)과 다른 한 경사판(771') 사이의 공간 하부로 유입되는 오수가 어느 한 경사판(771)의 하부판(774)에 형성되는 산(774a)과 골(774b)을 통과하면서 상부로 유동되다가 그 최상부에 형성되는 골(774b)의 내부면을 따라 인접하는 다른 한 경사판(771')의 상부판(773') 내측면 최하부에 형성되는 골(773b')로 유도 및 유동되고, 상부판(773')의 최하부에 형성되는 골(773b')의 내부면을 따라 유동방향이 변동된 오수는 다시 다른 한 경사판(771')의 상부판(773') 내측면에 형성되는 산(773a')과 골(773b')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상부로 유동되는 등 오수가 절곡되게 형성되는 하부판(774) 및 상부판(773)을 따라 모듈형 경사부재(770) 내의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경사판(771)의 상부판(773)의 내측면 및 하부판(774)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산(773a, 774a)에 경사홈(775)이 형성된다. 즉, 상기 경사판(771)의 상부판(773)의 내측면 및 하부판(774)의 외측면에 교대로 반복형성되는 다수개의 산(773a, 774a)에 경사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홈(775)은 대략 "V"자 형태로 형성되고, 각 산(773a, 774a)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형성되되, 각 산(773a, 774a)에 형성되는 경사홈(775)은 수직방향으로도 동일 선상에 각각 위치 및 배열되거나, 각 산(773a, 774a)에 형성되는 경사홈(775)은 수직방향으로는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 및 배열된다.
즉, 상기 경사판(771)의 상, 하부판(773, 774) 내, 외측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산(773a, 774a)에 경사홈(775)이 형성되되, 상기 경사홈(775)은 다수개의 산(773a, 774a)에 동일한 위치에 행과 열을 맞추어 다수개로 배열되거나, 상기 경사홈(775)은 다수개의 산(773a, 774a)에 수직방향으로 지그재그형태로 다수개로 배열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다수개의 산(773a, 774a)에 형성되는 경사홈(775)이 행과 열을 맞추어 동일하게 배열되거나, 수직방향으로 지그재그형태로 배열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경사홈(775)의 위치 및 배열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사홈(775)이 "V"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경사홈(775)의 형태는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반원형태, 타원형태 또는 다각형태 등 기타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경사판들(771, 771')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는 오수에서 슬러지의 제거 및 침전이 용이하도록 경사판(771)의 상부판(773) 외측면 및 하부판(774) 내측면에 다수개의 엠보(미도시)가 돌출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경사판(711)의 상부판(773) 외측면 및 하부판(774) 내측면에 다수개의 엠보가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다수개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경사판(771)의 상부판(773) 외측면 및 하부판(774) 내측면에 형성되는 엠보는 반원형태, 다각형태, 타원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엠보의 형태는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다양하게 변경실시가능하다.
또한, 상기 경사판들(771, 771')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는 오수에서 슬러지의 제거 및 침전이 용이하도록 평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사판(771)의 상부판(773) 외측면 및 하부판(774) 내측면에 격자 또는 메쉬형태의 돌출부(미도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격자 또는 메쉬형태의 홈(미도시)이 형성되거나, 거칠게 면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평면으로 형성되는 경사판(771)의 상부판(773) 외측면 및 하부판(774) 내측면에 엠보, 돌출부, 홈 등을 형성하거나, 경사판(771)의 상부판(773) 외측면 및 하부판(774) 내측면을 거칠게 형성함으로써 경사판들(771, 771') 사이의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는 오수에서 슬러지 등의 이물질의 제거 및 침전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경사판(711)의 상부판(773) 외측면 및 하부판(774) 내측면에 엠보가 돌출형성되거나, 격자 또는 메쉬형태의 돌출부(미도시)를 형성하거나, 격자 또는 메쉬형태의 홈(미도시)이 형성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각 경사판(771, 771')의 상부판(773, 773') 및 하부판(774, 774')의 산(773a, 773'a, 774a, 774'a)과 골(773b, 773'b, 774b, 774'b)에 엠보, 돌출부 또는 홈 등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다양하게 변경실시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듈형 경사부재(770)의 하부 고정판(778)이 내부가 개방되는 테두리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하부 고정판(778)의 개방된 부분에 사각판체형상의 유동판(778a)이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유동판(778a)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동홀(778b)이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듈형 경사부재(770)의 하부 고정판(778)에 유동판(778a)이 구비되되, 상기 유동판(778a)에 다수개의 유동홀(778b)이 관통형성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모듈형 경사부재(770)의 상부 고정판(777) 또한 상기 하부 고정판(778)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유동홀(778b)은 원형상, 타원형상 또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여기서, 상기 유동홀(778b)의 내부에 격자형태의 걸름망(미도시)이 일체 또는 탈부착가능하게 형성되어 하부로부터 상부로 유동하는 오수에서 슬러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 및 침전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사판(771)이 상호 대향되게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 〉"자 형태로 절곡형성되는 상, 하부판(773, 774)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경사판(771)이 수직방향으로 다수번 절곡형성되어 지그재그형태 또는 톱니형태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사판(771)에서 상, 하부판(773, 774)을 구분하도록 절곡되는 부위가 라운딩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1)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유량저장조(100)로 오수 및 폐수가 유입되고, 상기 유량저장조(100)는 유입된 오수를 교반하여 배출할 원수를 균일 및 안정화시키고, 적정 체류시간을 유지시킨 다음 균일 및 동일한 양의 오수를 제1 접촉폭기조(300)로 공급한다.
상기 제1 접촉폭기조(300)로 유입된 오수는 제1 접촉폭기조(300)를 통하여 폭기교반되어 여재 표면에 형성된 호기성 미생물 및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오수에 포함되는 유기성 오염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잉여슬러지를 분해한다.
이렇게, 상기 제1 접촉폭기조(300)를 통하여 오염물질이 제거됨과 동시에 잉여슬러지가 분해된 오수는 제2 접촉폭기조(500)로 유입된 후 다시 한번 호기성 미생물 및 혐기성 미생물에 의해 오수에 포함되는 유기성 오염물질이 제거됨과 동시에 잉여슬러지가 분해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기성 오염물질 및 잉여슬러지가 분해된 오수는 그 후단에 연설되는 침전설비(700)로 공급된다.
상기 침전설비(700)로 공급된 오수는 침전설비(700) 내의 측벽을 따라 하부로 유동된 후 계속적으로 공급되는 오수로 인해 침사조(7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게 되고, 상기 침사조(710)의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는 오수가 침사조(710) 내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듈형 경사부재(770)를 통과하면서 오수에 포함되는 슬러지 등의 이물질이 제거 및 침전된다.
이때, 상기 침전설비(700)의 모듈형 경사부재(770) 하부로 유입되는 오수는 상기 모듈형 경사부재(770)의 하부 고정판(778)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각 경사판(771, 771') 사이의 공간 하부로 유입되고, 각 경사판(771, 771')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오수는 각 경사판(771, 771')의 하부판(774, 774') 외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교대로 반복형성되는 산(774a, 774'a)과 골(774b, 774'b)을 통과하면서 오수에 포함되는 슬러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 및 침전시키면서 상부로 유동하며, 상기 각 경사판(771, 771')의 하부판(774, 774')의 산(774a, 774'a)과 골(774b, 774'b)을 통과하면서 상부판(773, 773')으로 유동되는 오수는 다시 각 경사판(771, 771')의 상부판(773, 773')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교대로 반복형성되는 산(773a, 773'a)과 골(773b, 773'b)을 통과하면서 오수에 포함되는 슬러지 등의 이물질을 다시 한번 제거 및 침전시키면서 상부 고정판(777)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침사조(710)의 최상부로 유동된다.
이렇게, 상기 침전설비(700)의 모듈형 경사부재(770)로 유입되는 오수는 각 경사판(771, 771')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경사판(771, 771')의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할 경우, 각 경사판(771, 771')의 하부판(774, 774')에 형성되는 산(774a, 774'a)과 골(774b, 774'b)에 간섭받으면서 1차적으로 슬러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제거 및 침전시키고, 다시 한번 각 경사판(771, 771')의 상부판(773, 773')에 형성되는 산(773a, 773'a)과 골(773b, 773'b)에 간섭받으면서 2차적으로 슬러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을 제거 및 침전시킴으로써 오수에 포함되는 슬러지 등의 이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 및 침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듈형 경사부재(770)의 하부로 유입되어 상부로 유동하는 오수는 경사판(771)의 하부판(774) 외측면 최상부에 라운딩지게 형성되는 골(774b)의 내부면을 따라 유동하면서 이에 인접하는 다른 경사판(771')의 상부판(773') 내측면 최하부에 라운딩지게 형성되는 골(773'b)로 유입된 후 골(773'b)의 내부면을 따라 유동방향이 변동됨으로써 절곡형성되는 경사판(771)과 경사판(771') 사이의 공간으로 유동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오수에 포함되는 슬러지 등의 이물질 제거 및 침전이 보다 용이해진다.
이렇게, 상기 경사판(771, 771') 중 어느 한 경사판(771)의 하부판(774) 외측면 최상부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한 경사판(771')의 상부판(773') 내측면 최하부에 골(774b, 773'b)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산(773a, 773'a, 774a, 774'a)과 골(773b, 773'b, 774b, 774'b)을 통과하면서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는 오수의 유동방향을 변경하기 용이함과 동시에 오수에 포함되는 슬러지 등의 이물질 제거 및 하부로의 침전이 용이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모듈형 경사부재(770)를 통하여 슬러지가 제거되어 정화된 물은 침전설비(700)의 침사조(710) 각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월류웨어(711)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월류웨어(711)를 통해 배출된 물은 방류조(750)를 통해 방출된다.
여기서, 상기 모듈형 경사부재(770)로 유입되는 오수는 경사판(771)의 상부판(773) 내측면 및 하부판(774) 외측면에 교대로 반복형성되는 산(773a, 774a)에 다수개의 경사홈(775)이 형성될 경우, 상기 상, 하부판(773, 774)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하는 오수에 포함되는 슬러지 등의 이물질이 경사홈(775)에 간섭되거나, 걸림으로써 침사조(710) 내의 하부로 침전이 용이해진다.
이때, 상기 경사판(771)의 상부판(773) 내측면 및 하부판(774) 외측면에 교대로 반복형성되는 산(773a, 774a)의 동일한 위치에 행과 열을 맞추어 다수개의 경사홈(775)이 배열되거나, 상기 산(773a, 774a)에 형성되는 경사홈(775)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될 경우, 오수에 포함되는 슬러지 등의 이물질의 제거 및 침전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평면으로 형성되는 경사판(771)의 상부판(773) 외측면 및 하부판(774) 내측면에 다수의 엠보가 돌출형성되거나, 격자 또는 메쉬형태의 돌출부가 돌출형성되거나, 격자 또는 메쉬형태의 홈이 형성되거나, 표면을 거칠게 형성함으로써 오수에 포함되는 슬러지 등의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 및 침전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 상기 모듈형 경사부재(770)의 하부 고정판(778)의 개방된 부분에 유동홀(778b)을 갖는 유동판(778a)을 설치함으로써 모듈형 경사부재(770)의 하부를 통하여 경사판(771)으로 유입 시 오수에서 비교적 큰 크기의 슬러지 등의 이물질을 선제적으로 제거 및 침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유동홀(778b)에 격자형태의 걸름망을 일체로 형성하거나, 탈착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모듈형 경사부재(770)의 하부를 통하여 경사판(771)으로 유입되기 전의 오수에서 비교적 작은 크기의 슬러지 등의 이물질을 선제적으로 제거 및 침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모듈형 경사부재(770)에 의해 오수에서 제거되어 침전되되, 양질의 미생물이 함유된 슬러지를 포함하는 이물질은 반송조(730)를 통하여 다시 유량조정조(100)로 반송한 후 다시 상기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오수를 정화시켜 처리수질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한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을 통하여 처리된 방류수와 기존 FRP 개인하수처리시설을 통하여 처리된 방류수의 수질을 비교할 경우,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BOD가 12.8㎎/ℓ이고, SS가 9.9㎎/ℓ로서, 법정 기준치를 하회하는 수준으로의 안정적인 수질의 확보가 가능함을 알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기존 대비 획기적으로 방류 수질을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 100 : 유량저장조,
300 : 제1 접촉폭기조, 500 : 제2 접촉폭기조,
700 : 침전설비, 710 : 침사조,
711 : 월류웨어, 730 : 반송조,
750 : 방류조, 770 : 모듈형 경사부재,
771, 771' : 경사판, 773, 773' : 상부판,
774, 774' : 하부판,
773a, 773'a, 774a, 774'a : 산,
773b, 773'b, 774b, 774'b : 골,
775 : 경사홈, 777 : 상부 고정판,
778 : 하부 고정판, 778a : 유동판,
778b : 유동홀.

Claims (6)

  1.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유입되는 오수를 균일 및 안정화시키고 적정 체류 시간을 유지시키는 유량조정조;
    상기 유량조정조의 후단에 연설되어 유량조정조를 통하여 유입되는 오수를 폭기 교반시키고,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흡착산화하여 유기오염물질의 분해가 이루어지는 제1 접촉폭기조;
    상기 제1 접촉폭기조의 후단에 연설되어 호기성 미생물에 의한 유기성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혐기성 미생물에 의한 잉여슬러지를 분해하는 제2 접촉폭기조; 및
    상기 제2 접촉폭기조의 후단에 연설되어 제2 접촉폭기조를 통하여 유입되는 오수를 침전분리시키는 침사조와, 상기 침사조의 일측에 구획형성되어 슬러지를 유량조정조로 반송시키는 반송조와, 상기 반송조의 일측에 구획형성되어 상등수를 분리하여 방류하는 방류조, 및 상기 침사조 내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모듈형 경사부재를 포함하는 침전설비;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모듈형 경사부재는,
    일직선상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배열되고, 상호 대향되도록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절곡형성되는 " 〉"자 형태의 상, 하부판을 포함하는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상, 하측에 구비되되, 그 내부가 개방되도록 테두리 형태로 형성되는 상, 하부 고정판을 포함하며,
    상기 침사조 내의 오수가 모듈형 경사부재의 하부 고정판을 통하여 유입된 후 상기 각 경사판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공간으로 유입되되, 각 경사판의 하부판 및 상부판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오수에 포함되는 슬러지를 제거 및 침전시킨 후 상부 고정판을 통하여 유동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판은 그 내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산과 골이 교대로 반복형성되고, 외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판은 그 외측면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산과 골이 교대로 반복형성되고, 내측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경사판의 하부판 외측면과 내측면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공간으로 유입되는 오수가 상기 하부판에 형성되는 산과 골을 순차적으로 유동하면서 통과하되, 산과 골에 간섭받으면서 오수에서 슬러지가 제거 및 침전되고, 상기 각 경사판의 하부판을 통과한 오수가 상기 상부판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상부판에 형성되는 산과 골을 순차적으로 유동하면서 통과하되, 산과 골에 간섭받으면서 오수에서 슬러지가 재차 제거 및 침전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경사판의 상부판 내측면 및 하부판 외측면에 형성되는 각각의 산에 경사홈이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되, 상기 각 경사홈은 수직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 및 배열되거나, 수직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 및 배열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의 내측면 최하측 및 하부판 외측면 최상측에 골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각 경사판의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공간으로 오수가 유입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유동할 경우, 상기 각 경사판의 하부판 외측면과 내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오수가 하부판의 최상측에 형성되는 골의 내부면을 따라 근접되게 위치하는 다른 경사판의 상부판 최하측에 형성되는 골로 유도되고, 상기 다른 경사판의 상부판 최하측에 형성되는 골로 유도된 오수는 다시 상부판 최하측에 골의 내부면을 따라 유동방향이 변동되어 각 경사판의 상부판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판의 개방된 부분에 유동판이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유동판에 다수의 유동홀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
KR1020190087288A 2019-07-19 2019-07-19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 KR102048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288A KR102048511B1 (ko) 2019-07-19 2019-07-19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288A KR102048511B1 (ko) 2019-07-19 2019-07-19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8511B1 true KR102048511B1 (ko) 2019-11-26

Family

ID=68731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288A KR102048511B1 (ko) 2019-07-19 2019-07-19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85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4963A (zh) * 2022-07-20 2022-11-25 苏州市天信建设有限公司 一种户用生活污水处理生物玻璃钢净化槽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263Y1 (ko) * 2001-01-02 2001-06-15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접촉면적을 극대화시킨 경사판침전조
KR100296487B1 (ko) * 1998-10-20 2002-03-02 이경섭 분리가변생물막접촉식정화장치
KR20020043949A (ko) * 2000-12-05 2002-06-12 차호영 탈착식 상향류 경사판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장방형중력식 침전지
KR100420222B1 (ko) * 2003-04-23 2004-02-26 엘지건설 주식회사 강우수 정화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강우수 정화모듈
KR100464244B1 (ko) 2001-08-21 2005-01-05 (주) 상원이엔씨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
KR101216412B1 (ko) 2012-02-29 2012-12-28 주식회사한국지씨엠 고속침전 여과방식의 고도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도처리공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6487B1 (ko) * 1998-10-20 2002-03-02 이경섭 분리가변생물막접촉식정화장치
KR20020043949A (ko) * 2000-12-05 2002-06-12 차호영 탈착식 상향류 경사판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장방형중력식 침전지
KR200227263Y1 (ko) * 2001-01-02 2001-06-15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접촉면적을 극대화시킨 경사판침전조
KR100464244B1 (ko) 2001-08-21 2005-01-05 (주) 상원이엔씨 고농도 하폐수 처리장치
KR100420222B1 (ko) * 2003-04-23 2004-02-26 엘지건설 주식회사 강우수 정화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강우수 정화모듈
KR101216412B1 (ko) 2012-02-29 2012-12-28 주식회사한국지씨엠 고속침전 여과방식의 고도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도처리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4963A (zh) * 2022-07-20 2022-11-25 苏州市天信建设有限公司 一种户用生活污水处理生物玻璃钢净化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346788T3 (en) Sludge, purifier comprising a sludge device and methods for anaerobic or aerobic wastewater treatment
US77318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RU2560427C2 (ru) Анаэробный мембранный биореактор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отока отходов
KR20160077233A (ko) 폐수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20005857A (ko) 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048511B1 (ko) Frp 개인하수처리시스템
US8163174B2 (en) Submerged biofiltration purifying apparatus
KR101541070B1 (ko) 고도처리장치
US3788477A (en) Treatment apparatus
KR102238269B1 (ko) 상향류식 여과기
KR100862367B1 (ko) 플러그 흐름 반응기에 의한 오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
JP2006289153A (ja) 汚水浄化方法及び装置
KR101037888B1 (ko) 침전, 생물학적 분해, 여과, 인제거, 자외선소독 일체형 하이브리드 하폐수 처리장치
KR101025927B1 (ko) 오폐수와 축산폐수 및 분뇨처리수의 재이용을 위한 정화장치
KR0126883Y1 (ko) 대규모 오수 처리 시설
CN110392672B (zh) 具有内部固体分离的曝气反应器
KR101307926B1 (ko) 오폐수처리 시스템
US20230373831A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erobic Granular Sludge With Immersed Membrane Separation
KR101814983B1 (ko) 미생물 슬러지 회수 장치
US20030098277A1 (en) Sweetening of mixed liquor during solid-liquid separation
KR102182069B1 (ko) 식생이 결합된 생물막 수처리 장치
KR101181800B1 (ko) 하.폐수의 처리방법 및 장치
KR102594274B1 (ko) 참숯여과막조를 이용한 오폐수정화처리장치
KR100481821B1 (ko) 기체용해 및 물질분리에 의한 수처리 장치
KR100473710B1 (ko) 오수의 고도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