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479B1 -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 및 진단키트 - Google Patents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 및 진단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479B1
KR102047479B1 KR1020180008935A KR20180008935A KR102047479B1 KR 102047479 B1 KR102047479 B1 KR 102047479B1 KR 1020180008935 A KR1020180008935 A KR 1020180008935A KR 20180008935 A KR20180008935 A KR 20180008935A KR 102047479 B1 KR102047479 B1 KR 102047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ression
methylation
age
old age
cpg2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0269A (ko
Inventor
김재민
강희주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남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전남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8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479B1/ko
Publication of KR20190090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4Methylation mark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울증진단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체액 또는 조직내 특정 바이오마커의 농도를 분석하여 노년기우울증의 존재 및/또는 장래 발병위험을 검출할 수 있는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 및 진단키트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 및 진단키트{Assessment method for diagnosing and predicting late-life depression and diagnostic kits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우울증진단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의 체액 또는 조직내 특정 바이오마커의 농도를 분석하여 노년기우울증의 존재 및/또는 장래 발병위험을 검출할 수 있는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 및 진단키트에 대한 것이다.
우울증은 공중 보건에 대한 주요 관심사이며 일반 인구의 17 %가 일생 동안 이 상태를 적어도 한 번 이상 경험한다(Flint and Kendler, 2014). 우울증은 또한 우울 장애의 가장 심각한 결과인 자살 위험이 있다. 또한, 우울증은 2030년에 질병 부담의 주요 기여자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WHO, 2008). 따라서 이 장애의 병리 생리학을 이해하고 진단 및 치료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바이오마커를 확인하는데 상당한 노력이 기울여왔다(Lopresti et al., 2014; Pae et al., 2008). 이러한 노력은 우울증 발병에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관련되어 있음을 입증했다. 특히 유전적 요인이 우울 위험의 40%까지 기여하며, 조기 인생역경을 포함한 환경 요인이 나머지 부분에 기여한다(Kendler et al., 2006).
이러한 맥락에서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hypothalamus-pituitary-adrenal, HPA)축 조절 장애는 스트레스 반응을 조절하는 주된 역할 때문에 주요 연구 중심이었다(Zunszain et al., 2011). HPA 축 조절 불균형은 변형된 스트레스 반응을 통해 우울증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과 일관되게 연관되어왔다 (Nemeroff, 2004; Parinate and Lightman, 2008, Radke et al., 2011). HPA축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glucocorticoid)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glucocorticoid receptors, GR)의 상호 작용을 통한 네거티브 피드백 루프에 의해 조절 된다 (Alt 등, 2010). 따라서 우울증의 원인이 될 수 있는 HPA 축 조절 장애를 조사한 이전의 연구들은 GR의 비정상적인 기능을 탐구하였고, 감소된 말초 GR 수준과 감소된 GR mRNA가 이 상태에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Yehuda et al., 1993; Webster et al., 2002; O'Keane et al., 2012). GR의 발현은 GR유전자의 다양한 유전다형성(Spijker and van Rossum 2012) 및 후성 유전 변이 (de Kloet et al., 2005)에 의해 조절된다. 후성유전변이는 일반적으로 환경 스트레스 요인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발생하는 DNA의 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영향을 주지 않는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지칭하며, GR 유전자에서 DNA 메틸화를 포함하는 후성 변화가 우울증과 같은 정신 병리학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제안되어 왔다(Champagne, 2010).
핵 수용체 서브 패밀리 3, 그룹 C, 멤버 1 (nuclear receptor subfamily 3, group C, member 1; NR3C1)로 알려진 GR 유전자 영역의 CpG 사이트에서의 메틸화가 가장 연구가 많이 된 후성유전변이 중 하나이다. NR3C1 유전자의 메틸화가 많을수록 GR 유전자의 발현의 감소와 연관되는데, 이는 다른 유전자의 전형적인 DNA 메틸화와 유사하다(Moore et al., 2013; Weber et al., 2007). NR3C1의 과메틸화는 우울증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는 조기인생역경과 관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Oberlander et al., 2008; Perroud et al., 2011; Tyrka et al., 2015) Hill et al., 2001). 이에 근거하여 조기인생역경과 연관되어있는 NR3C1의 메틸화의 변화가 개인으로 하여금 우울증의 발병에 취약하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우울증과 NR3C1 메틸화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었으며 그 결과도 일치하지 않았다. 우울증/내면화 문제가 있는 소아와 청소년에서 NR3C1 메틸화가 더 많이 발견되었다 (Dadd et al., 2015; van der Knapp et al., 2015). 하지만, 성인에서는, 일부에서는 NR3C1 메틸화증가가 우울증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가 있는 한편, 다른 연구에서는 NR3C1 메틸화감소가 우울증과 연관된다고 보고하였다.
게다가 이전의 연구들중 van der Knapp 등(2015)에 의한 연구를 제외하고, 환자-대조군 연구디자인을 사용했다(Dadd et al., 2015; Nantharat et al., 2016; Roy et al., 2017; Na et al. ., 2016; Bustamante et al., 2016; Tyrka et al., 2016). 이는 우울증과 NR3C1 메틸화 사이의 황단적 연관성이 광범위하게 연구되어져왔음을 의미한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하나의 연구만이 NR3C1 메틸화와 내재화 장애의 관련성을 3년 추적을 통한 종적연구를 통해 조사했는데, 16세의 NR3C1 메틸화가 3년후 내면화 장애의 발병을 예측하였다 (van der Knapp et al., 2015). 그러나 일관된 연구결과의 부족과 종적 연구결과가 부족한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연구결과를 노년기 우울증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이는 대부분의 연구가 유년기 외상과 관련된 NR3C1 메틸화에 외상발병으로부터 비교적 짧은 시간이 경과되어 가장 강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청소년에서 시행되었다는 점에서 그 한계는 명백하다.
본 발명자들은 다수의 연구결과 NR3C1 메틸화의 증가가 노년기우울증의 존재 및/또는 발병위험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NR3C1 유전자의 특정부위의 메틸화가 노년기우울증의 바이오마커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노년기우울증의 조기진단 및/또는 발병위험의 예측이 가능하여 치료약물 또는 치료방법에 대한 의사 결정 과정에 기여할 수 있는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년기 환자의 혈액 중 NR3C1의 특정부위의 메틸화 정도를 측정하는 것만으로 노년기우울증의 존재는 물론 발병위험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노년기 환자의 우울증을 선제적으로 예방할 수 있어 임상적 유용성을 갖는 노년기우울증검출용 진단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환자의 생물학적 시료에 포함된 노년기우울증 바이오마커의 레벨 또는 양을 측정하는 측정단계; 및 상기 노년기우울증바이오마커의 레벨 또는 양을 기준으로 노년기우울증의 존재 또는 발병 위험을 결정하는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년기우울증바이오마커는 NR3C1 유전자의 5′말단 -3187에서 -3132 위치 뉴클레오티드 영역에 포함된 CpG 영역의 메틸화이고, 상기 CpG 영역의 메틸화 정도의 증가가 노년기우울증의 존재 또는 발병 위험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시료 중 노년기우울증바이오마커의 레벨 또는 양을 상기 노년기우울증바이오마커의 기준 레벨 또는 양과 비교하여 수행되는데, 상기 기준 레벨은 노년기우울증을 앓고 있지 않는 집단으로부터 얻어진 메틸화수치와 노년기우울증 환자를 포함하는 개체의 군으로부터 얻어진 메틸화수치를 바탕으로 우울증 환자군을 감별하는 민감도와 특이도의 균형이 맞춰진 레벨이고, 상기 노년기우울증바이오마커의 레벨 또는 양이 각각 소정의 상대 또는 절대 컷오프 레벨 또는 양 이상에서 노년기우울증의 존재 또는 발병위험을 나타내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pG 영역은 CpG1, CpG2 및 CpG3 중 1개 이상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에서 상기 CpG2의 메틸화가 10.5% 이상이면, 노년기우울증의 존재를 결정하는 민감도가 69%이상이고, 특이성은 55%이상인 정확성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에서 상기 CpG3의 메틸화가 6.5% 이상이면, 노년기우울증의 존재를 결정하는 민감도가 62%이상이고 특이성은 56%이상인 정확성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에서 상기 CpG1, CpG2 및 CpG3의 메틸화 평균값이 7.8% 이상이면, 노년기우울증의 존재를 결정하는 민감도가 70%이상이고 특이성은 54%이상인 정확성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pG2의 메틸화가 1% 증가할수록 노년기우울증이 존재할 가능성이 8%증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pG3의 메틸화가 1% 증가할수록 노년기우울증이 존재할 가능성이 7%증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pG1, CpG2 및 CpG3의 메틸화 평균값이 1%증가할수록 노년기우울증이 존재할 가능성이 9%증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에서 상기 CpG2의 메틸화가 10.5% 이상이면, 노년기우울증이 2년 내에 발병할 가능성을 결정하는 민감도가 73%이상이고, 특이성은 57%이상인 정확성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에서 상기 CpG2의 메틸화가 1% 증가할수록 노년기우울증 발병가능성이 8%증가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혈액을 포함하는 체액 또는 조직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은 노년기우울증의 존재 또는 발병위험을 결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NR3C1 유전자의 5′말단 -3187에서 -3132 위치 뉴클레오티드 영역에 포함된 CpG 영역의 메틸화를 측정하는 노년기우울증바이오마커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노년기우울증검출용 진단키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이 아황산수소나트륨(sodium bisulfite)과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이용하거나, 5-methylcytosine에 대한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를 이용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pG 영역은 CpG1, CpG2 및 CpG3 중 1개 이상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단키트는 마이크로어레이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먼저, 본 발명은 NR3C1 유전자의 특정부위의 메틸화가 노년기우울증의 바이오마커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노년기우울증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에 의하면 노년기우울증을 조기에 진단 및/또는 발병위험의 예측이 가능하여 치료약물 또는 치료방법에 대한 의사 결정 과정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노년기우울증검출용 진단키트에 의하면 노년기 환자의 혈액 중 NR3C1의 특정부위의 메틸화 정도를 측정하는 것만으로 노년기우울증의 존재는 물론 발병위험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노년기 환자의 우울증을 선제적으로 예방할 수 있어 임상적 유용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이러한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범위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후술되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 내용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발명의 효과 역시 당연히 포함된다.
도 1은 NR3C1 유전자의 메틸화 상태 분석을 위한 모식도 및 서열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진단"은 병리학적 상태의 존재 또는 특징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과 관련하여, "진단"은 체액의 생체외 분석에 기초하여 노년기우울증의 존재 및 발병 위험도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바이오마커"는 질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노년기우울증의 진단에 관한 본 발명의 문맥에서, "바이오마커"는 NR3C1유전자의 특정부위의 메틸화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바이오마커"의 레벨 또는 양은 노년기우울증을 앓고 있거나 또는 정상의 건강한 상태에 비하여 노년기우울증에 걸리기 쉬운 환자에서 증가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혈액"은 전혈, 혈청 및 혈장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체"는 생체분자의 항원영역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면역 글로불린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과 관련하여, 항체는 바이오마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며, 또한 폴리클로날 항체, 모노클로날 항체, 및 재조합 항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컷 오프 레벨"은 노년기우울증을 앓고 있거나 또는 노년기우울증 발병 위험에 있는 개체들을 구별할 수 있도록 결정된 상대 레벨 또는 절대 레벨을 의미한다. 컷 오프 레벨은 상대 레벨의 경우에 배수 차이(fold difference)로서 또는 절대값의 경우에 예를 들어 %로서 표시되는 특성값으로 주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컷 오프 레벨 이상인 값은 노년기우울증의 존재 및/또는 노년기우울증의 발병 위험의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측하는"은 개체가 생물학적 질환을 발병할 가능성이 현저하게 높다고 발견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생물학적 시료"는 개체로부터 얻어진 다양한 시료 유형을 포함하며 또한 진단 또는 모니터링 분석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생물학적 유체 시료는 혈액, 뇌척수액(CSF), 뇨 및 생물 유래의 다른 액체 시료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시료는 예를 들면 농축 및 분리를 위해 미리 처리할 수 있다.
"개체"는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이고, 용어 개체 또는 대상체는 본 명세서에서 서로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기준값"은 기준 레벨 또는 양으로서 절대값, 상대값, 상한 및/또는 하한을 갖는 값, 수치의 범위, 평균치(average value), 중간값, 평균값(mean value), 또는 특정의 대조군 또는 기준선 값에 비교한 수치일 수 있다.
기준값은 개개의 시료값, 예를 들면 더욱 조기 시점에서 얻어진 검사하려는 개체로부터의 시료에서 얻어진 수치, 또는 검사하는 개체 이외의 노년기우울증 환자의 시료로부터 얻어진 수치, 또는 "정상" 개체, 즉 노년기우울증으로 진단되지 않는 개체로부터의 시료에서 얻어진 수치에 기초할 수 있다. 기준값은 다수의 시료, 예를 들면 복수의 노년기우울증 환자 또는 정상 개체로부터 얻어진 시료에 기초할 수 있고, 시험하려는 시료를 포함하는 시료 군에 기초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노년기우울증의 조기진단 및/또는 발병위험의 예측이 가능한 노년기우울증의 바이오마커로서 NR3C1 유전자의 특정부위의 메틸화가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에 착안하여 노년기우울증의 존재 및/또는 발병위험을 예측 및/또는 진단하기 위해 NR3C1 유전자의 특정부위의 메틸화정도를 측정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노년기우울증검출방법 및 진단키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은 환자의 생물학적 시료에 포함된 노년기우울증 바이오마커의 레벨 또는 양을 측정하는 측정단계; 및 상기 노년기우울증바이오마커의 레벨 또는 양을 기준으로 노년기우울증의 존재 또는 발병 위험을 결정하는 결정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측정단계에서 측정되는 노년기우울증바이오마커는 NR3C1 유전자의 5′말단 -3187에서 -3132 위치 뉴클레오티드 영역에 포함된 CpG 영역의 메틸화이고, 상기 CpG 영역의 메틸화 정도의 증가가 노년기우울증의 존재 또는 발병 위험을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CpG 영역은 CpG1, CpG2 및 CpG3 중 1개 이상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NR3C1 유전자의 5′말단 1F 엑손 영역 중 5′말단 -3187에서 -3132 위치 뉴클레오티드 영역 특히, (-3187 ~ -3167) ~ (-3146 ~-3132)일 수 있다. 측정단계에서 사용되는 측정방법은 노년기우울증바이오마커의 레벨 또는 양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 레벨 또는 양을 이용하여 결정하거나 진단하는데 유용한 공지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검출방법은 시험관내 및/또는 생체내에서 모두 수행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검출방법은 개체로부터 얻어지고 시험관내에서 제공된 시료를 기반으로 하는 시험관내 방법일 수 있다.
또한, 결정단계는 시료 중 노년기우울증바이오마커의 레벨 또는 양을 노년기우울증바이오마커의 기준 레벨 또는 양과 비교하여 수행되는데, 기준 레벨은 노년기우울증을 앓고 있지 않는 집단으로부터 얻어진 메틸화수치와 노년기우울증 환자를 포함하는 개체의 군으로부터 얻어진 메틸화수치를 바탕으로 우울증 환자군을 감별하는 민감도와 특이도의 균형이 맞춰진 레벨이고, 노년기우울증바이오마커의 레벨 또는 양이 각각 소정의 상대 또는 절대 컷오프 레벨 또는 양 이상에서 노년기우울증의 존재 또는 발병위험을 나타낼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된 현재 시점에서 노년기우울증을 앓고 있는 노년기우울증의 존재 및 장래 적어도 2년 내에 노년기우울증이 발병할 위험도를 노년기우울증바이오마커를 측정하여 통계적으로 진단 또는 예측할 수 있었다.
즉, 측정된 CpG2의 메틸화가 컷 오프 레벨 10.5% 이상이면, 노년기우울증의 존재를 결정하는 민감도가 69%이상이고, 특이성은 55%이상인 정확성을 갖고 있었다. 또한 CpG3의 메틸화가 컷 오프 레벨 6.5% 이상이면, 노년기우울증의 존재를 결정하는 민감도가 62%이상이고 특이성은 56%이상인 정확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CpG1, CpG2 및 CpG3 메틸화를 각각 측정한 후 이들의 평균값을 계산한 값도 유의미했는데, CpG1, CpG2 및 CpG3의 메틸화 평균값이 컷 오프 레벨 7.8% 이상이면, 노년기우울증의 존재를 결정하는 민감도가 70%이상이고 특이성은 54%이상인 정확성을 갖고 있었다. 또한, CpG2의 메틸화가 1% 증가할수록 노년기우울증이 존재할 가능성이 8%증가하였고, CpG3의 메틸화가 1% 증가할수록 노년기우울증이 존재할 가능성이 7%증가하였으며, CpG1, CpG2 및 CpG3의 메틸화 평균값이 1%증가할수록 노년기우울증이 존재할 가능성이 9%증가하는 것이 예측되었다.
한편, 장래 적어도 2년 내에 노년기우울증이 발병할 위험도는 CpG1, CpG2 및 CpG3 중 CpG2만이 유의미한 관련성을 나타내었는데, CpG2의 메틸화가 컷 오프 레벨10.5% 이상이면, 노년기우울증이 2년 내에 발병할 가능성을 결정하는 민감도가 73%이상이고, 특이성은 57%이상인 정확성을 갖고 있었다. 또한, CpG2의 메틸화가 1% 증가할수록 노년기우울증 발병가능성이 8%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노년기우울증검출용 진단키트는 노년기우울증의 존재 또는 발병위험을 결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혈액을 포함하는 체액 또는 조직으로부터 선택되는 생물학적 시료 중 NR3C1 유전자의 5′말단 -3187 에서 -3132 위치 뉴클레오티드 영역에 포함된 CpG 영역의 메틸화를 측정하는 노년기우울증바이오마커 측정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측정수단은 DNA의 메틸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공지된 모든 기술적 구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일 예로 아황산수소나트륨(sodium bisulfite)과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이용하거나, 5-methylcytosine에 대한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진단키트는 마이크로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물론이다.
실시예
1. 연구대상
자료는 한국의 노년기(late-life) 정신과적 이환률에 대한 지역사회 기반의 전향 적 연구에서 가져온 것이다 (Kim et al., 2013). 국가 등록 목록에서 확인된 두 개의 지리적인 유역 지역 (도시 하나, 농촌 하나)에 살고 참여하기로 동의한 65 세 이상의 지역 주민들은 기준 샘플을 구성했다. 모든 기준시점 참가자와의 추적 관찰은 2 년 후 (평균 (표준 편차 (SD)) 간격, 2.4 (0.3) 년 후에 발생했다. 우울증은 기준시점과 추적관찰시점 모두에서 평가되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모든 데이터는 기준시점에서 얻어졌다. 모든 참가자는 각 시험에서 서면 동의서를 제공했다. 이 연구는 전남 대학교 병원 기관 심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2. 우울증 평가
우울증은 진단알고리즘인 Automated Geriatric Examination for Computer Assisted Taxonomy (AGECAT)과 함께 사용하는 노인정신상태검사를 통해 평가하였다. 이들은 기분 장애 평가를 위한 완전히 구조화된 진단 도구이며, 국제 노인 역학 조사에 널리 적용된다. 우울증의 가능성은 컴퓨터 알고리즘 (AGECAT)에 따라 0에서 5까지의 범위에서 측정되었다. 이전 연구들 (Prina et al., 2011) 에서처럼 우울증의 경우 임상적 개입이 필요한 우울 수준에 상응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AGECAT 점수가 3 이상으로 정의되었다. GMS AGECAT 우울증 기준은 중등도 및 중증의 증상을 모두 포함하므로 정신 장애의 진단 및 통계 매뉴얼, 4판 (주요 우울증)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에서 정의된 것보다 광범위한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GMS B3은 공식적인 표준화 과정 (Kim et al., 2003)에 따라 한국어로 번역되었으며 훈련된 조사관이 관리했다. 평가된 기준시점에서 우울증이 이미 존재하는(prevalent depression: 기준시점우울증) 참가자와 기준시점에서는 우울증이 없었는데 추적관찰시점에서 우울증이 발견된(incident depression: 추적관찰시점발병우울증) 참가자로 분류되었다.
3. NR3C1 메틸화
혈액채취에 동의한 참가자로부터 얻은 혈액 샘플을 이용하여 NR3C1 유전자의 DNA 메틸화 상태를 조사하였다. 표준 절차를 사용하여 정맥혈에서 DNA를 추출했다. 대부분의 이전연구는 신경성장인자-유도성단백질 A (nerve growth factor- inducible protein A , NGFI-A)에 대한 결합 부위를 포함하는 쥐의 엑손 17의 동질체인 엑손 1F에 초점을 두었는데(터너 앤 뮬러, 2005; 파렐과 오케이 네, 2016), 이것은 엄마가 돌보는 자손의 해마에서 고도로 발현되는 것으로 보고된 단백질이다(McCormick et al., 2000). 따라서 지금까지 수행된 인간 연구는 이 부위에 초점을 맞추어 왔으며, 이는 조기 인생역경과 관련될 수 있다 (Oberlander et al., 2008; Perroud et al., 2011; Tyrka et al., 2015). 이전 연구에 이어, 본 발명에서는 NR3C1 (GeneBank #AY 436590) 엑손 1F 부위의 메틸화 패턴을 조사하였다. 특히, Perroud 등이 기술한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CpG 사이트(2011) 및 Oberlander et al.이 기술한 6 ~ 8 번째 CpG 사이트 (2008)에 해당하는 엑손 1F (도 1)에서 3 개의 CpG 사이트를 조사하였다. 엑손 2의 시작부터 13개 뉴클레오타이드에 위치한 번역시작부위(1+)에서 -3187과 -3132사이에 위치한 NR3C1 엑손 1F 서열의 CpG풍부 영역을 분석하였으며, 이 부위에 포함된 3개 CpG가 분석되었다. 이 세부위는 경계성 인격장애, 우울증, 외상후스트레스 장애환자에서 조기인생사건이나 이들 질환과 관련하여 이부위의 메틸화 변화가 광범위하게 연구되었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또한 최근의 리뷰논문에서 이 부분은 메틸화와 조기인생역경과 연관성이 비교적 일관적이라고 보고되었다.(Daskalakis and Yehuda, 2014).
QIAamp DNA Blood Mini Kit (Qiagen, Valencia, CA, USA)을 사용하여 제조업체의 제안된 프로토콜에 따라 백혈구에서 게놈 DNA (1 μg)를 추출했다. 그런 다음 DNA를 EpiTech Bisulfite Kit(Qiagen)을 사용하여 제조업체의 프로토콜에 따라 bisulfite처리했다. NR3C1 유전자의 421b단편은 도 1에서 지정된 순방향 및 역방향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bisulfite로 처리된 DNA로부터 중합 효소 연쇄 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에 의해 증폭되었다. PCR 조건은 94 ℃에서 15 분간, 이어서 94 ℃에서 30 초, 58℃ 30 초, 72℃ 40 초, 72℃에서 10 분의 최종 연장이었다. PCR 생성물은 도 1에 나타낸 시퀀싱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제조자의 프로토콜에 따라 PSQ 96M 파이로 시퀀싱 시스템 (Biotage)을 사용하여 시퀀싱하였다. 각 CpG 영역의 메틸화 백분율은 Pyro Q-CpG 소프트웨어 버전 1.0.9 (Biotage)을 이용하여 정량되었다. 3개의 CpG 사이트인 CpG1, CpG2 및 CpG3에서의 개별적인 메틸화 백분율 및 그 평균값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4. 인구 통계학적 및 임상적 공변량
잠재적으로 우울증과 관련된 요인을 고려했다. 연령, 성별, 교육 기간, 만성적인 신체장애의 수, 스트레스가 많은 삶의 사건(SLEs)의 수, 인지 기능 및 장애를 포함한 인구 통계학적 및 임상적 특성에 관한 데이터는 참가자 또는 그들의 보호자로부터 적절하게 얻어졌다. 다음과 같은 11 가지의 공통적이고 만성적인 건강 문제 (Lindesay, 1990)의 존재를 조사하였다 : 관절염 또는 류마티즘; 시력 문제; 난청 또는 청각 장애; 지속적인 기침; 무호흡, 호흡 곤란, 천식; 고혈압; 심장 질환 또는 협심증; 위 또는 장문제; 실신 또는 의식상실; 한쪽 다리 또는 팔의 마비, 약해짐 또는 힘의 상실; 피부 염증, 다리 궤양 또는 심한 화상과 같은 피부 질환이 있다. 이러한 각 조건의 존재를 반영하는 합산점수를 도출하였다. 우울증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장기후유증을 유발하는 사건을 확인하기 위해 고안된 위협 사건 목록 (Brugha et al., 1985)을 사용하여 SLE의 수를 계산했다. 참가자는 심각한 질병(자신), 심각한 질병(가까운 친척), 사별(직계 가족), 사별(친척 또는 친한 친구), 결혼 관계의 이혼, 관계의 종결 등 9 건의 SLE 경험에 대해 질문을 받았다. 절친한 친구 또는 친척과의 문제, 절도 또는 분실. 양성 반응을 합산하여 총 SLE 수를 얻었다. 인지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Mini-Mental State Examination을 사용했다 (Folstein et al., 1975). 장애를 평가하기 위해 세계 보건기구 장애 평가 일정 II (Kim et al., 2005)의 한국어판을 사용했다.
5. 통계분석
결과 변수는 기준시점우울증유병율(prevalence of depression : 기준시점에서 우울증이 존재하는 상태) 및 추적관찰시점우울증발병율(incidence of depression: 기준시점에서는 우울증이 없었으나 추적관찰시점에서는 우울증이 발병된 상태)이었다. 우울증이 있거나 없는 노인의 사회 인구학적 및 임상적 특성을 t- 테스트 또는 χ2 테스트를 통해 적절하게 비교했다. 결과와 유의한 관련이 있는 인자 (p<0.05)는 보정된 분석에서 공변수로 취급되었다. 또한 나이는 노화와 메틸화 사이의 알려진 연관성을 고려하여 공변량으로 입력되었다 (Florath et al., 2014). 3 개의 CpG 사이트(CpG1, CpG2 및 CpG3)의 NR3C1 메틸화 백분율 및 평균치와 우울증의 관련성을 t- 테스트를 사용하여 비교했다. NR3C1 메틸화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모델을 적용했다. Bonferroni 교정은 NR3C1 메틸화 백분율 분석에서 다중 비교, 즉 네 번의 비교[세 개의 CpG 사이트(CpG1, CpG2 및 CpG3)와 평균치; 0.05 / 4 = 0.0125]에 대해 0.05의 전체 유형 I 에러율을 교정하는데 사용되었다. 통계 분석은 SPSS 18.0 소프트웨어 (SPSS, Inc., Chicago, IL, USA)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6. 결과
(1) 전체 참가자의 인구 통계학적 및 임상적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의 기본 특성이 하기 표 1에 제시되어있다.
Participants at baseline Analyzed participants at follow-up
(N=521)
Total
(N=732)
No depression (N=631) Depression (N=101) Statistical coefficients P-value*
Age, mean (SD) years 72.8 (5.8) 72.7 (5.8) 73.7 (6.3) t=-1.672 0.095 72.5 (5.5)
Gender, N (%) women 432 (59.0) 359 (56.9) 73 (72.3) χ2=8.518 0.004 287 (55.1)
Education, mean (SD) years 3.4 (4.2) 3.5 (4.3) 3.1 (4.0) t=+0.864 0.388 3.5 (4.3)
Chronic physical disorders, mean (SD) number 1.7(1.0) 1.6 (1.0) 2.2 (0.9) t=-5.875 <0.001 1.6 (1.0)
Stressful life events, mean (SD) scores 1.2 (0.9) 1.1 (0.9) 1.6 (0.9) t=-4.887 <0.001 1.1 (0.9)
MMSE, mean (SD) scores 23.3 (5.0) 23.5 (4.9) 22.1 (5.5) t=+2.770 0.006 23.8 (4.7)
WHODAS II, mean (SD) scores 7.1 (11.1) 5.8 (9.3) 15.1 (17.2) t=-8.017 <0.001 5.3 (8.6)
MMS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WHODAS II: World Health Organization Disability Assessment Scale II.
* t-test or χ2testasappropriate.
표 1로부터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732명의 참가자 중 101 명 (13.8 %)이 기준시점에서 우울증을 앓았다. 만성 우울증을 앓고 있는 응답자는 여성인 경향이 많았고, 만성적인 신체장애와 SLE가 더 많았으며, 인지기능이 낮았고, 중증 장애가 보고되었다 (p<0.05). 연령과 함께, 이러한 중요한 요소는 DNA 메틸화와 연관되기 때문에 나중의 보정된 분석을 위한 공변량으로 선택되었다. 2년 추적 관찰시점에서, 우울증이 없는 631명의 참가자 중 521명 (82.6 %)이 평가되었다. 후속 평가에서 86 명 (16.5 %)의 응답자가 우울증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나머지 110 명은 추적하지 않았다; 다음과 같은 이유로 연락될 수 없었기 때문이다. 58 명 (52 %), 23 명 (21 %)이 사망했고 21 명 (19 %)이 참여를 거부했으며 8 명 (7 %)은 지속적인 참여로 건강이 좋지 않았다. 어떤 특성에 관해서도 추적 관찰된 참여자들과 추적 관찰되지 않은 참여자들 사이에서 발견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0.05).
(2) NR3C1 메틸화 백분율과 우울증 간의 횡단면 연관성 분석
기준시점에서 NR3C1 메틸화와 기준시점우울증사이의 횡단면 연관성은 표 2의 왼쪽 칼럼에 표시되었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CpG1, CpG2 및 CpG3의 모든 메틸화 뿐 아니라 3부위의 평균메틸화가 기준시점의 우울증과 관련이 있었다. 더욱이, Bonferroni 보정을 적용한 후에도 기준시점우울증유병율은 CpG2에서의 높은 메틸화 및 높은 평균 메틸화 비율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독립적인 횡단면 연관성이 표 3의 왼쪽 칼럼에 표시되었다. 공변인보정후, 기준시점우울증비율은 모든 CpG 사이트(CpG1, CpG2 및 CpG3)에서의 높은 NR3C1 메틸화 및 높은 평균 메틸화 백분율과 유의하게 관련된다. Bonferroni 보정을 적용한 후, 기준시점우울증과 조사된 CpG영역 중 CpG2 및 CpG3에서의 높은 메틸화 비율 및 높은 평균 메틸화 비율의 연관성이 유의미하게 유지되었다.
Methylation site Prevalent depression at baseline Incident depression at 2-year follow-up
No depression
(N=631)
Depression
(N=101)
Statistical coefficients P-valuea No depression (N=458) Depression
(N=63)
Statistical coefficients P-valuea
CpG 1 7.4 (3.8) 8.7 (5.2) t=-2.262 0.026 7.3 (3.8) 7.8 (3.4) t=-1.033 0.302
CpG 2 11.4 (4.2) 13.2 (5.1) t=-3.695 <0.001 11.2 (4.1) 13.0 (4.3) t=-3.216 0.001
CpG 3 7.5 (3.8) 8.8 (5.4) t=-2.312 0.023 7.4 (3.6) 8.2 (4.5) t=-1.342 0.184
CpG average 8.8 (3.5) 10.2 (4.8) t=-2.834 0.005 8.6 (3.4) 9.7 (3.8) t=-2.253 0.025
NR3C1: nuclear receptor subfamily 3, group C, member 1.
a p-value using t-tests.
Values in bold type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Bonferroni correction.
(3) NR3C1 메틸화 백분율과 우울증 간의 종단 연관성
NR3C1 메틸화와 2년 추적관찰시점에서의 추적관찰시점발병우울증 사이의 종단 연관성은 표 2의 오른쪽 열에 표시되었다. 2년간 추적조사에서 조사된 추적관찰시점우울증발병율은 CpG영역 중 특히 CpG2에서 NR3C1의 메틸화의 증가 및 더 높은 평균 메틸화 비율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다. Bonferroni 보정 후, 추적관찰시점발병우울증과 CpG2에서의 높은 NR3C1 메틸화정도 사이의 관계는 여전히 유의미했다. 공변량이 보정된 NR3C1 메틸화와 우울증 사이의 독립적인 종단연관성이 표 3의 오른쪽 칼럼에 표시되어 있다. Bonferroni 보정 후에도 2년 추적조사에서 조사된 추적관찰시점발병우울증은 특히, CpG2에서 더 높은 NR3C1의 메틸화와 독립적으로 연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Methylation site Prevalent depression at baseline Incident depression at 2-year follow-up
Wald OR (95% CI) Wald OR (95% CI)
CpG1 5.187 1.06 (1.01-1.11)* 0.867 1.03 (0.97-1.09)
CpG2 9.852 1.08 (1.03-1.14) 7.623 1.08 (1.02-1.13)
CpG3 7.242 1.07 (1.02-1.13) 0.178 1.01 (0.96-1.07)
CpG average 8.972 1.09 (1.03-1.15) 2.464 1.05 (0.99-1.11)
All analyses are adjusted for age, gender, number of chronic medical illness, cognitive function, disability, number of stressful life events.
NR3C1: nuclear receptor subfamily 3, group C, member 1.
* p-value<0.05; p-value<0.01;p-value<0.001.
Values in bold type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after Bonferroni correction.
(4) 노년기우울증과 NR3C1 메틸화의 연관성
이상의 실험결과는 지역사회 노인인구에 대한 종단적 연구를 보여주는데, 주요 발견은 기준시점에서의 기준시점우울증유병율 및 2년 추적조사 후의 추적관찰시점우울증발병율과 높은 NR3C1 메틸화의 중요한 연관성이었다. 이 연관성은 나이, 성별, 만성적인 신체장애의 수, SLE의 수, 인지 기능 및 장애를 포함한 잠재적 공변량과 무관하였다.
이러한 연관성을 통해 도 1에 도시된 NR3C1 유전자의 5′말단 -3187에서 -3132위치 뉴클레오티드 영역에 포함된 CpG 영역의 메틸화가 노년기우울증 바이오마커임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CpG 영역의 메틸화 정도의 증가가 노년기우울증의 존재 또는 발병 위험을 나타내었다.
측정된 생체시료 중 노년기우울증 바이오마커의 레벨 또는 양을 비교하기 위한 노년기 우울증바이오마커의 기준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c(ROC)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는 노년기 우울증이 있는 군과 없는 군의 메틸화수치를 통하여 우울증이 있는 군을 있다고 감별하는 민감도와 우울증이 없는 군은 없다고 구별하는 특이도의 균형이 적합한 메틸화 컷오프레벨을 계산하였다.
또한, 측정된 CpG2의 메틸화 컷 오프 레벨을 ROC 분석을 통해 계산하였다. 그 결과 CpG2의 메틸화 컷 오프 레벨은 10.5%였다. 대상체로부터 얻어진 생체시료에 포함된 CpG2 메틸화 측정값이 컷 오프 레벨 이상이면 노년기우울증의 존재를 결정하는 민감도가 69%이상이고, 특이성은 55%이상인 정확성을 갖고 있었다. 여기서, 민감도는 노년기 우울증이 있는 환자가 있다고 진단할 가능성이 69%임을 의미하고, 특이성은 노년기 우울증이 없는 군을 없다고 진단할 가능성이 55%임을 의미한다.
또한 CpG3의 메틸화 컷 오프 레벨을 CpG2와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하면 6.5%였으며, 측정된 CpG3 메틸화값이 컷 오프 레벨 이상이면 노년기우울증의 존재를 결정하는 민감도가 62%이상이고 특이성은 56%이상인 정확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CpG1, CpG 2 및 CpG 3의 메틸화를 각각 측정하여 이들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이를 ROC 분석을 통해 CpG1, CpG 2 및 CpG 3의메틸화 평균값의 컷오프레벨을 결정하였다. 계산된 평균값의 컷 오프 레벨이 7.8% 이상이면, 노년기우울증의 존재를 결정하는 민감도가 70%이상이고 특이성은 54%이상인 정확성을 갖고 있었다.
또한, NR3C1 메틸화에 따라 노년기 우울증의 존재여부를 예측하기 위한 확률을 계산하기 위하여 methylation 및 우울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인자를 보정한 다변량분석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CpG2의 메틸화가 1% 증가할수록 노년기우울증이 존재할 가능성이 8%증가하였고, CpG3의 메틸화가 1% 증가할수록 노년기우울증이 존재할 가능성이 7%증가하였으며, CpG1, CpG2 및 CpG3의 메틸화 평균값이 1%증가할수록 노년기우울증이 존재할 가능성이 9%증가하는 것이 예측되었다.
한편, 장래 적어도 2년 내에 노년기우울증이 발병할 위험도는 CpG1, CpG2 및 CpG3 중 CpG2만이 유의미한 관련성을 나타내었는데, CpG2의 메틸화 컷 오프 레벨이10.5% 이상이면, ROC 분석 결과 노년기우울증이 2년 내에 발병할 가능성을 결정하는 민감도가 73%이상이고, 특이성은 57%이상인 정확성을 갖고 있었다. 또한, 다변량분석 방식으로 계산한 결과 CpG2의 메틸화가 1% 증가할수록 노년기우울증 발병가능성이 8%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노년기 생활 우울증에서 HPA 축과 관련된 후성적 요인의 역할을 뒷받침할 수 있으며, 특히 NR3C1 유전자의 메틸화의 노년기우울증의 바이오마커로서의 용도를 제공할 수 있다. 임상적 함의 측면에서 NR3C1 유전자의 메틸화를 노년기우울증바이오마커로 사용하는 것은 비 침습성과 편리성의 이점을 제공하므로 본 발명은 현재 및 미래의 우울증에 걸릴 위험이 있는 노령자를 식별 할 수 있는 잠재적 도구로서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7)

  1. 환자의 생물학적 시료에 포함된 노년기우울증 바이오마커의 레벨 또는 양을 측정하는 측정단계; 및
    상기 노년기우울증바이오마커의 레벨 또는 양을 기준으로 노년기우울증의 존재 또는 발병 위험을 결정하는 결정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노년기우울증바이오마커는 NR3C1 유전자의 엑손 2의 시작으로부터 13개 뉴클레오타이드에 위치한 번역시작부위(1+)에서 -3187과 -3132 사이에 위치한 뉴클레오티드 영역에 포함된 CpG 영역의 메틸화이고, 상기 CpG 영역의 메틸화 정도의 증가가 노년기우울증의 존재 또는 발병 위험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시료 중 노년기우울증바이오마커의 레벨 또는 양을 상기 노년기우울증바이오마커의 기준 레벨 또는 양과 비교하여 수행되는데,
    상기 기준 레벨은 노년기우울증을 앓고 있지 않는 집단으로부터 얻어진 메틸화수치와 노년기우울증 환자를 포함하는 개체의 군으로부터 얻어진 메틸화수치를 바탕으로 우울증 환자군을 감별하는 민감도와 특이도의 균형이 맞춰진 레벨이고,
    상기 노년기우울증바이오마커의 레벨 또는 양이 각각 소정의 상대 또는 절대 컷오프 레벨 또는 양 이상에서 노년기우울증의 존재 또는 발병위험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pG 영역은 CpG1, CpG2 및 CpG3 중 1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에서 상기 CpG2의 메틸화가 10.5% 이상이면, 노년기우울증의 존재를 결정하는 민감도가 69%이상이고, 특이성은 55%이상인 정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에서 상기 CpG3의 메틸화가 6.5% 이상이면, 노년기우울증의 존재를 결정하는 민감도가 62%이상이고 특이성은 56%이상인 정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에서 상기 CpG1, CpG2 및 CpG3의 메틸화 평균값이 7.8% 이상이면, 노년기우울증의 존재를 결정하는 민감도가 70%이상이고 특이성은 54%이상인 정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pG2의 메틸화가 1% 증가할수록 노년기우울증이 존재할 가능성이 8%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
  9.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pG3의 메틸화가 1% 증가할수록 노년기우울증이 존재할 가능성이 7%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
  10.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pG1, CpG2 및 CpG3의 메틸화 평균값이 1%증가할수록 노년기우울증이 존재할 가능성이 9%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에서 상기 CpG2의 메틸화가 10.5% 이상이면, 노년기우울증이 2년 내에 발병할 가능성을 결정하는 민감도가 73%이상이고, 특이성은 57%이상인 정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에서 상기 CpG2의 메틸화가 1% 증가할수록 노년기우울증 발병가능성이 8%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
  13.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7 항, 제 11 항, 및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학적 시료는 혈액을 포함하는 체액 또는 조직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
  14. 노년기우울증의 존재 또는 발병위험을 결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NR3C1 유전자의 엑손 2의 시작으로부터 13개 뉴클레오타이드에 위치한 번역시작부위(1+)에서 -3187과 -3132 사이에 위치한 뉴클레오티드 영역에 포함된 CpG 영역의 메틸화를 측정하는 노년기우울증바이오마커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노년기우울증검출용 진단키트.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이 아황산수소나트륨(sodium bisulfite)과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이용하거나, 5-methylcytosine에 대한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기우울증검출용 진단키트.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CpG 영역은 CpG1, CpG2 및 CpG3 중 1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기우울증검출용 진단키트.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키트는 마이크로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년기우울증검출용 진단키트.
KR1020180008935A 2018-01-24 2018-01-24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 및 진단키트 KR102047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935A KR102047479B1 (ko) 2018-01-24 2018-01-24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 및 진단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935A KR102047479B1 (ko) 2018-01-24 2018-01-24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 및 진단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269A KR20190090269A (ko) 2019-08-01
KR102047479B1 true KR102047479B1 (ko) 2019-11-21

Family

ID=67615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935A KR102047479B1 (ko) 2018-01-24 2018-01-24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 및 진단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4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960A (ko) 2021-01-21 2022-07-2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여성의 우울증 위험도 예측용 바이오마커, 상기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여성의 우울증 위험도 진단에 대한 정보제공방법 및 진단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24685B (zh) * 2019-12-05 2022-09-13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抑郁症生物标志物和包括其的诊断试剂盒
KR102347561B1 (ko) * 2020-06-10 2022-01-0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우울증과 연관된 급성관상동맥증후군 장기예후 검사방법 및 진단키트
CN114410773B (zh) * 2022-01-27 2024-05-03 宁波大学 用于预测或诊断抑郁症复发的标志物组合及其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9936A1 (en) 2003-09-26 2005-03-31 Cornelius Diamond Diagnostic markers of depression treatment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110064655A1 (en) 2008-05-15 2011-03-17 Peter Hanson Biomarkers for depression
US20140274764A1 (en) 2013-03-15 2014-09-18 Pathway Genomic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to predict response to treatments for mental disord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69936A1 (en) 2003-09-26 2005-03-31 Cornelius Diamond Diagnostic markers of depression treatment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110064655A1 (en) 2008-05-15 2011-03-17 Peter Hanson Biomarkers for depression
US20140274764A1 (en) 2013-03-15 2014-09-18 Pathway Genomic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to predict response to treatments for mental disorders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rnational Journal of Neuropsychopharmacology (2013) 16:1513-1528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2017.11.20.) 104:55-60
Neuropsychopharmacology (2000) 23(5):587-590
Progress in Neuropsychopharmacology & Biological Psychiatry (2018.02.09.) 84:56-62
Translational Psychiatry (2015) 5:e619*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960A (ko) 2021-01-21 2022-07-2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여성의 우울증 위험도 예측용 바이오마커, 상기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여성의 우울증 위험도 진단에 대한 정보제공방법 및 진단키트
KR20230101771A (ko) 2021-01-21 2023-07-0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MYO15B 유전자의 rs820148 부위를 이용한 여성의 우울증 위험도 예측용 바이오마커, 상기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여성의 우울증 위험도 진단에 대한 정보제공방법 및 진단키트
KR20230101770A (ko) 2021-01-21 2023-07-0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MYO15B 유전자의 rs820182부위를 이용한 여성의 우울증 위험도 예측용 바이오마커, 상기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여성의 우울증 위험도 진단에 대한 정보제공방법 및 진단키트
KR20230101769A (ko) 2021-01-21 2023-07-0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DX1L 유전자의 rs79442975 부위를 이용한 여성의 우울증 위험도 예측용 바이오마커, 상기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여성의 우울증 위험도 진단에 대한 정보제공방법 및 진단키트
KR20230101768A (ko) 2021-01-21 2023-07-0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DX1L 유전자의 rs62640397부위를 이용한 여성의 우울증 위험도 예측용 바이오마커, 상기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여성의 우울증 위험도 진단에 대한 정보제공방법 및 진단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269A (ko)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479B1 (ko)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 및 진단키트
JP6371367B2 (ja) 心的外傷後ストレス障害(ptsd)のための診断用バイオマーカーを検出及び監視するため、並びに同障害の自殺型と非自殺型とを識別するためのプロセス及びキット
Olivieri et al. Leukocyte telomere shortening in elderly Type2DM patients with previous myocardial infarction
Tvarijonaviciute et al. Salivary biomarkers in Alzheimer’s disease
Dukic et al. The role of human kallikrein 6, clusterin and adiponectin as potential blood biomarkers of dementia
Henchcliffe et al. Biomarkers of Parkinson's disease and Dementia with Lewy bodies
Wang et al. Plasma α-synuclein and cognitive impairment in the Parkinson's Associated Risk Syndrome: A pilot study
Kang et al. Longitudinal associations between glucocorticoid receptor methylation and late-life depression
Choi et al. Homozygous C677T mutation in the MTHFR gene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multiple small-artery occlusions
Sohma et al. Evaluation of annexin A5 as a biomarker for Alzheimer's disease and dementia with lewy bodies
Mirzaii-Dizgah et al. Serum and saliva total tau protein as a marker for relapsing-remitting multiple sclerosis
Li et al. UCHL1 from serum and CSF is a candidate biomarker for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Shin et al. Increased plasma complement factor H is associated with geriatric depression
JP2018132526A (ja) 大うつ病性障害及び双極性障害のマーカー、検査方法、検査キット、及び治療薬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Chen et al. Changes in serum cystatin C levels and the associations with cognitive function in Alzheimer's disease patients
JP2023525859A (ja) アルツハイマー病を判定するためのタンパク質マーカー
Siuda et al. From mild cognitive impairment to Alzheimer's disease-influence of homocysteine, vitamin B12 and folate on cognition over time: results from one-year follow-up
Cascalheira et al. Serum homocysteine: interplay with other circulating and genetic factors in association to Alzheimer's type dementia
Liu et al. Periphery biomarkers for objective diagnosis of cognitive decline in type 2 diabetes patients
Winkler et al. Long-term effects of enzyme replacement therapy in an elderly cohort of late-onset Pompe disease
Hwang et al. Plasma neurofilament light-chain and phosphorylated tau as biomarkers of disease severity in Huntington's disease: Korean cohort data
KR101903505B1 (ko) 인터루킨 1β를 이용한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발병여부 진단방법 및 진단키트
Ababneh et al. Identification of APTX disease-causing mutation in two unrelated Jordanian families with cerebellar ataxia and sensitivity to DNA damaging agents
Sun et al. Blood BMP6 associated with cognitive performance and Alzheimer’s disease diagnosis: a longitudinal study of elders
US2014027303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iagnosis of schizophren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