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3505B1 - 인터루킨 1β를 이용한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발병여부 진단방법 및 진단키트 - Google Patents

인터루킨 1β를 이용한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발병여부 진단방법 및 진단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3505B1
KR101903505B1 KR1020160110894A KR20160110894A KR101903505B1 KR 101903505 B1 KR101903505 B1 KR 101903505B1 KR 1020160110894 A KR1020160110894 A KR 1020160110894A KR 20160110894 A KR20160110894 A KR 20160110894A KR 101903505 B1 KR101903505 B1 KR 101903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ression
acute coronary
genotype
coronary syndrome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527A (ko
Inventor
김재민
강희주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0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3505B1/ko
Priority to PCT/KR2016/013327 priority patent/WO2018043822A1/ko
Publication of KR20180024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3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3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3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iseases caused by alterations of genetic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6Polymorphic or mutational mark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52Assays involving cytokines
    • G01N2333/54Interleukins [IL]
    • G01N2333/545IL-1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울증발병여부진단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이 발생한 환자의 혈액내 특정 바이오마커의 농도 및 유전자형을 분석하여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발병여부를 예측하는 진단방법 및 진단키트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터루킨 1β를 이용한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발병여부 진단방법 및 진단키트{Assessment of Interleukin-1β to diagnose depression after acute coronary syndrome and diagnostic kits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우울증발병여부진단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이 발생한 환자의 혈액내 특정 바이오마커의 농도 및 유전자형을 분석하여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발병여부를 예측하는 진단방법 및 진단키트에 대한 것이다.
우울증은 흔히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과 함께 동반된다. 또한, ACS에 동반된 우울증은 불량한 예후가 예측된다(Lichtman 등. 2014). 우울증과 ACS 사이의 연결에 대한 해당 메커니즘이 조사되었으며, 염증 가설이 강조되었다. 염증은 세로토닌 장애 및 시상 하부-뇌하수체-부신 축 과잉 행동과 연관되고, 염증과정은 우울증의 병태 생리에 관여한다(Maes 등, 2011A, Lee 등, 2013). 또한, ACS의 병인 및 발병 위험 예측에서 염증의 역할은 잘 입증되었으며, ACS 동안 염증 반응의 크기는 심장질환의 예후를 예측한다(BERTON 등, 2009). 즉, 염증은 우울증 및 ACS와 별도로 연관(Maes 등 2011B) 될 뿐 아니라 ACS의 불량한 예후와 관련된다(Poole 등, 2011). 이러한 맥락에서, 이전의 연구는 ACS에서 우울증과 C-반응성 단백질 및 사이토카인을 포함하는 염증성 마커 사이에 상당한 연관성을 제안했다(Wilkowska 등, 2015).
다른 사이토카인의 생산을 유도하는 중요 호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 (IL)-1β는 동맥경화 발생에 기여함으로써 ACS의 불량한 예후와 연관된다. ACS에서 우울증/소진 환자가 더 높은 IL-1β 농도인 것이 밝혀져 있고(Appels 등, 2000), 에스시탈로프람은 ACS 모델 쥐에서 IL-1β 농도를 낮추는 것도 밝혀져 있다(Bah 등, 2011). 최근 체외 연구에서는 IL-1β 신호가 ACS 환자의 우울증 발병에서 염증 캐스케이드에 관여된 것으로 나타났고, 스타틴은 IL-1β를 하향 조절하여 소염제로 작용했음이 나타났다(Ma 등, 2016). 그러나, 소수의 피험자, 횡단 설계, 적은 수의 임상 연구등의 한계로 인해 이러한 연관성에 관한 결론을 도출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IL-1β 분비는 IL-1β 유전자 다형성에 의해 조절된다: -511T 또는 + 3953T를 가진 개인들은 -511C 또는 + 3953C 다형성을 가진 개인보다 더 높은 농도의 IL-1β를 분비하였다.
따라서, 두개의 IL-1β 다형성 즉 -511T 또는 + 3953T를 고려하여 ACS후 우울증에 대한 혈청 IL-1β 농도가 ACS후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IL-1β의 혈중농도 및 유전자다형성이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발병여부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이 발생한 환자의 혈액 중 IL-1β 농도와 IL-1β 유전자 다형성 분석을 통해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환자의 급성기우울증발병여부를 예측하여 진단할 수 있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진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이 발생한 환자의 혈액 중 IL-1β농도 및 IL-1β 유전자다형성을 측정하는 것만으로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급성기 우울증의 발병여부를 예측하여 진단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우울증을 선제적으로 예방할 수 있어 임상적 유용성을 갖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 진단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이 발생된 환자의 혈액 중 IL-1β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단계; 상기 환자의 IL-1β -511C/T 유전자다형성을 조사하는 유전자형분석단계; 및 상기 측정된 IL-1β 농도 및 상기 분석된 IL-1β -511C/T유전자형에 따라 급성기우울증의 발병여부를 판단하는 진단단계;를 포함하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발병여부 진단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단단계에서 상기 측정된 IL-1β 농도가 기준농도 이상인 제1조건 및 상기 분석된 환자의 IL-1β -511C/T 유전자형이 ??511T/T유전자형인 제2조건이 모두 충족된 경우에만 상기 급성기우울증이 발병된 것으로 판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조건 및 제2조건 충족시 급성기우울증의 발병가능성은 58%이상인 것으로 진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조건 및 제2조건 미충족시 급성기우울증이 발병되지 않을 가능성은 56%인 것으로 진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준농도는 혈청 1ml당 3.5pg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형분석단계는 상기 환자로부터 분리된 IL-1β 유전자의 511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DNA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DNA를 센스 프라이머와 안티센스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증폭시키는 단계; 511C→T 변이를 인식할 수 있는 제한 효소를 이용하여 상기 증폭된 DNA를 검사하여 IL-1β -511TT 유전자형의 존재 여부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혈액 중 혈청 IL-1β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수단; 및 상기 환자의 IL-1β -511C/T유전자다형성을 조사하여 -511TT유전자형을 보유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유전자형분석수단;을 포함하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발병여부 진단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먼저, 본 발명의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 진단방법에 의하면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이 발생한 환자의 혈액 중 IL-1β 농도와 IL-1β 유전자다형성 분석을 통해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의 급성기 우울증발병여부를 예측하여 진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 진단키트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이 발생한 환자의 혈액 중 IL-1β 농도 및 IL-1β 유전자다형성을 측정하는 것만으로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급성기 우울증의 발병여부를 예측하여 진단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우울증을 선제적으로 예방할 수 있어 임상적 유용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이러한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범위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후술되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 내용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발명의 효과 역시 당연히 포함된다.
도 1은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후 기준시점 및 추적관찰시점에서 2개의 유전자 다형성 및 우울 장애 상태에 의한 인터루킨-1β(IL-1β)의 혈청 농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 적 선후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들 각각의 특징적인 부분들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구현예들은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IL-1β의 혈중농도 및 IL-1β -511C/T 유전자다형성이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 발병에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을 밝히고, 이에 착안하여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의 급성기 발병여부를 예측 및/또는 진단하기 위해 IL-1β의 혈중농도 및 IL-1β -511C/T 유전자다형성을 바이오마커로 사용하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 발병여부 진단방법 및 진단키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발병여부 진단방법은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이 발생된 환자의 혈액 중 IL-1β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단계; 상기 환자의 IL-1β -511C/T 유전자다형성을 조사하는 유전자형분석단계; 및 상기 측정된 IL-1β 농도 및 상기 분석된 IL-1β -511C/T유전자형에 따라 급성기우울증의 발병여부를 판단하는 진단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준농도는 혈청 1ml 당 3.5pg의 농도로 정의될 수 있고, 급성기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이 발생된 시점에서 2 주 이내의 기간을 의미하므로, 급성기우울증은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이 발생된 시점에서 2주 이내의 기간 내에 발병되어 존재하는 우울증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진단단계에서 측정된 IL-1β 농도가 기준농도 이상인 제1조건 및 분석된 환자의 IL-1β -511C/T 유전자형이 -511T/T유전자형인 제2조건이 모두 충족된 경우에만 급성기우울증이 발병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데, 제1조건 및 제2조건 충족시 급성기우울증의 발병가능성은 58%이상이었다. 반면, 제1조건 및 제2조건 미충족시 급성기우울증이 발병되지 않을 가능성은 56%이상 이었다.
이 때, 유전자형분석단계는 환자로부터 분리된 IL-1β 유전자의 511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DNA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DNA를 센스 프라이머와 안티센스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증폭시키는 단계; 511C→T 변이를 인식할 수 있는 제한 효소를 이용하여 상기 증폭된 DNA를 검사하여 IL-1β -511TT 유전자형의 존재 여부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발명여부 진단키트는 환자의 혈액 중 혈청 IL-1β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수단; 및 환자의 IL-1β -511C/T유전자다형성을 조사하여 -511TT유전자형을 보유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유전자형분석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후 환자의 IL-1β농도와 IL-1β -511C/T 유전자다형성 중 하나 이상이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기준농도 이상의 혈중 IL-1β농도와 IL-1β -511T/T 유전자형의 상호작용이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급성기우울증 발병에 유의적 연관성이 있음을 밝혀냄으로써 급성관상동맥증후군에 동반되는 급성기우울증의 발병을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환자를 관찰하여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예후를 불량하게 하는 우울증을 치료할 수 있는 진단방법 및 진단키트를 제공하는 중대한 임상적 이점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을 이용하면 질병부담이 큰 급성관상동맥증후군에 동반된 우울증이 발생하기 쉬운 환자를 선별하여 예방과 치료를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예
1.연구대상
본 연구의 데이터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S)에서 한국 우울증(K-DEPACS)연구라고 명명된 더 큰 연구로부터 분석을 위해 이끌어내졌다. K-DEPACS 연구는 관찰적인 예측 설계를 사용하여 ACS에서 우울증의 역학을 조사하기 위해 2006년 실시 하였다. 참가자들은 전남 대학교 병원 순환기내과에 ACS로 입원한 환자(N = 4,809)로부터, 자격 기준을 충족하고 참여와 혈액채취에 모두 동의 한 969명 환자를 기준시점에서 샘플로 구성하였다. 기준시점에서 평가는 ACS의 급성기를 평가하기 위해 ACS후 2 주 이내에 이루어졌다. 총 711명의 기준시점 환자를 외래 진료소에서 일 년 후까지 추적 관찰하였다. 연구 정신과 의사가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MINI, Sheehan 외, 1998)를 이용하여 참가자들의 메이저 또는 마이너 우울 장애를 식별하기 위해 평가하였다. 모든 참가자는 전남대학교병원 생명의학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윤리 승인을 받은 K-DEPACS에 대한 동의서를 작성 제공했다.
2. 우울상태에 대한 평가
우울 장애의 진단은 MINI라는, 메이저 또는 마이너 우울 장애를 정의하는 구조화된 DSM-IV정신과 진단 인터뷰를 이용하였다. 인터뷰는 한국어로 번역되었고 표준화되었다(Yoo 등, 2006). ACS 환자는 일반적으로 집중적인 치료 후 2주 이내에 퇴원하고 있기 때문에, 우울장애에 대한 진단기준으로 기준시점에서 2주 이상 증상의 지속 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았다. 그러나 표준 2주 증상 지속 시간은 추적관찰시 진단을 위해 필요했다. 개별적으로 분석이 가능할 만큼 메이저 우울증을 가진 환자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메이저 우울증을 가진 환자 및 마이너 우울증을 가진 환자를 동일 범주로 연구에 포함하였다. 기준시점평가 및 1년 추적관찰시점 평가가 ACS의 급성기 및 만성기에서 우울증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3. 혈청 IL-1β 농도측정
혈청 IL-1β 농도는 고체상 샌드위치 효소 면역 분석 키트를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Invitrogen사, 카마릴로, CA, USA).
4. IL-1β 유전자 다형성분석
IL-1β 유전자형은 -511C/T 또는 +3953C/T를 고려하여 중합 효소 연쇄 반응 (PCR) 및 PCR 기반 제한단편 길이 다형성 분석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조사 하였다. + 3953T/T 유전자형의 빈도가 낮음(infrequency)을 고려하여, 그들은 두 그룹(C/C 또는 C/T)으로 분류하였다.
DNA 분리는 DNA 추출키트 (extraction column, QIAmp blood kit, Qiagen)를 사용하여 제조자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환자의 혈액에서 추출한 백혈구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한 DNA 표본은 프라이머 세트 (primer set)인 센스 프라이머 (5'-TGAAGGAGAAGGTGTCTGCGGGA-3')와 안티센스 프라이머(5'-AGGACGGTGCGGTGAGAGTG- 3')를 사용하여 GeneAmp PCR machine (Perkin Elmer 9600)으로 증폭시켰다. 상기와 같은 PCR 증폭에 의하여 생성된 198bp 생성물을 증폭시키기 위해 95℃에서 60초 동안 변성시킨 후, 62℃ 에서 90초 동안 프라이머를 어닐링(annealing)시킨 다음, 72℃에서 60초 동안 프라이머 연장 반응을 시행하는 과정을 35 사이클 반복하였다. 증폭된 단편들에서 511C→T 변이를 인식할 수 있는 제한효소 Hin f1 (10 unit/reaction mixture, MBI Fermentas사로부터 구입)로 37 ℃에서 4 시간동안 분해하였다. 이후 Hin f1으로 처리한 단편들은 폴리아크릴아미드겔로 전기영동한 후 EtBr(ethidium bromide)로 염색하여 변이상태를 관찰하였다.
5. 인구 통계학적 및 임상적 공변량
우울 장애와 ACS 사이의 연관성을 혼란 또는 매개하는 인자로서 역할을 하는 특성들이 기준시점에서 평가되었다. 연령, 성별, 교육 기간, 거주상태(독거 인지 아닌지 여부), 숙박시설 보유(소유 또는 임대), 현재 직업(고용되었는지 아닌지 여부), 및 우울증의 이전 및 가족 이력에 대한 자료를 얻었다. 다음과 같은 심혈관 위험 인자를 확인 하였다: ACS의 이전 및 가족 이력, 진단된 고혈압 및 당뇨병, 금식 혈청 총 콜레스테롤 농도(200 ㎎/dL)의한 고 콜레스테롤 혈증, 체질량 지수 (BMI)로 측정된 비만, 및 보고된 현재의 흡연 상태. 현재의 심장상태를 측정하기 위해서, ACS의 정도가 Killip 분류에 의해 추정되었고, 좌심실 분출 분(LVEF)이 초음파를 이용하여 추정되었고, 트로포닌 I 및 크레아틴 키나제-MB (CK-MB)에 대한 혈청 심장 바이오 마커가 측정되었다.
6. 통계분석
인구통계학적 데이터, 우울증 특성, 심혈관 위험 인자 및 현재 심장 상태를 포함하는 기준시점 변수들을 t-테스트 또는 χ2 테스트를 사용하여, 기준시점에서 우울상태에 따라 비교 하였다. 그런 다음, 유의한 관련성(P <0.05)을 가진 특성들이 다변량 분석에서 공변인으로 고려되었다. 기준시점 및 기준시점에서 1년 이후인 추적관찰시점에서 우울증의 존재에 따라, IL-1β 농도 및 두 개의 유전자형이 t - 테스트와 χ2 테스트를 사용하여 비교되었다. 잠재적인 상호 작용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우울증 상태와 IL-1β 농도의 연관성을 처음에는 두 유전자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다음, IL-1β 농도와 각 유전자형 사이의 상호 작용이 적절한 공변량 조정 후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또한, 민감도 분석으로 우울증 이력을 가진 참가자를 제외하여동일한 통계방법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모든 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7. 결과
(1) 전체 참가자의 인구 통계학적 및 임상적 특성
총 K-DEPACS 샘플 (N = 1,152)의 969(84.1 %)명이 혈액샘플에 동의하였다. 혈액샘플에 동의 또는 동의하지 않은 사람들의 기준시점에서 특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모두에 대해 P> 0.15). 우울 장애(메이저 + 마이너)는 기준시점에서 378명(39.8 %)의 환자에서 진단되었고, 183(25.7%)의 환자에서 추적관찰되었다. 추적관찰시점 평가는 초기 969 참가자중 711 (73 %)에서 1 년 후에 수행되었다. 추적이 되지 않은 군(N = 258)은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나이 및 더 높은 Killip 클래스와 상관관계를 보였다(양자에 대해 P <0.05).
급성기우울증에 영향을 주는 인구 통계학적 및 임상적 특성을 기준시점에서 조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여성 성별, 낮은 교육 수준, 독거, 임대 주택, 현재 실업상태, 고혈압과 당뇨병의 존재 및 현재 흡연상태가 급성기우울증과 유의적으로 연관성이 있었다(모두에 대해 P <0.05).
No depressive disorder
(N=591)
Depressive disorder
(N=378)
Statistical coefficient P-value *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mean (SD) years 57.7(11.3) 59.0(10.8) t=-1.860 0.063
Gender, N (%) female 118(20.0) 151(39.9) χ2=45.90 <0.001
Education, mean (SD) years 10.2(4.8) 9.3(4.4) t=+3.013 0.003
Living alone, N (%) 47(8.0) 45(11.9) χ2=4.191 0.041
Housing, N (%) rented 73(12.4) 77(20.4) χ2=11.33 0.001
Currently unemployed, N (%) 192 (32.5) 176(46.6) χ2=19.39 <0.001
Depression characteristics
Previous depression, N (%) 17(2.9) 17 (4.5) χ2=1.789 0.181
Family history of depression, N (%) 11(1.9) 12 (3.2) χ2=1.716 0.190
HAMD, mean (SD) score 3.6(2.7) 14.2 (5.0) t=-38.09 <0.001
Cardiac risk factors, N (%)
Previous ACS 20 (3.4) 19 (5.0) χ2=1.610 0.205
Family history of ACS 15 (2.5) 16 (4.2) χ2=2.138 0.144
Hypertension 252 (42.6) 206 (54.5) χ2=13.01 <0.001
Diabetes mellitus 93(15.7) 98(25.9) χ2=15.13 <0.001
Hypercholesterolemia 296(50.1) 190(50.3) χ2=0.003 0.956
Obesity 259(43.8) 156(41.3) χ2=0.614 0.433
Current smoker 249(42.1) 117(31.0) χ2=12.26 <0.001
Current cardiac status
Killip class >1, N (%) 97(16.4) 71(18.8) χ2=0.904 0.342
LVEF, mean (SD) % 61.4(11.2) 60.8(11.4) t=+0.772 0.440
Troponin I, mean (SD) mg/dL 9.9(16.6) 9.9(11.8) t=+0.063 0.949
CK-MB, mean (SD) mg/dL 17.6(41.1) 17.1(30.4) t=+0.178 0.858
Other factors
Creatinine, mean (SD) mg/dl 0.9 (0.3) 0.9 (0.3) t=+1.013 0.462
Vitamin supplement, N (%) 13(2.2) 10(2.6) χ2=0.198 0.657
*p-values using t-tests or χ2testsasappropriate.
HAMD,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ACS, acute coronary syndrome; LVEF,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CK-MB, Creatine kinase-MB.
(2) 기준시점 및 추적관찰시점의 관찰결과에 따른 IL-1β 농도 및 IL-1β 유전자다형성과 우울장애 상태의 연관성 분석
IL-1β 농도 및 IL-1β유전자 다형성과 급성기우울증 상태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준시점에서만 ACS환자의 혈액으로부터 혈청 IL-1β 및 IL-1β 유전자 다형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기준시점에서 진단된 우울증인 급성기우울증과 추적관찰시점에서 진단된 우울증인 만성기우울증으로 분류하고 각 우울장애 상태에 따라 분석된 IL-1β 유전자형 및 측정된 혈청 IL-1β 농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Depressive disorder at 2 weeks after ACS Depressive disorder at 1 year after ACS
Absent
(N=591)
Present
(N=378)
p-value Absent
(N=528)
Present
(N=183)
p-value
Plasma concentrations
, mean (SD) pg/ml
3.5
(1.4)
3.8 (2.0) 0.028 3.6 (1.4) 3.8
(2.1)
0.138
IL-1β -511C/T
C/C 205
(34.7)
105 (27.8) <0.001 157
(29.7)
41 (22.4)
genotype,N (%) C/T 289
(48.9)
161 (42.6) 248
(47.0)
90 (49.2) 0.122
T/T 97
(16.4)
112 (29.6) 123
(23.3)
52 (28.4)
IL-1β +3953C/T C/C 528
(89.3)
332 (87.8) 0.468 459
(86.9)
158 (86.3) 0.838
genotype, N (%) C/T 63 (10.7) 46 (12.2) 69 (13.1) 25 (13.7)
p-value using t-tests or χ2tests.
표 2로부터, 급성기우울증 즉 기준시점에서 우울증을 가진 ACS 환자는 상당히 높은 IL-1β 농도와 보다 많은 -511T 대립 유전자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 3953T/T 유전자형과의 연관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추적관찰시점에서 우울증은 IL-1β 농도 또는 유전자형과 관련되지 않았다. 모든 유전자형은 하디-와인버그 평형(모든 P> 0.05)에 있었다.
(3) 우울장애 상태에 따라 IL-1β 농도 및 IL-1β 유전자다형성의 상호작용 이 미치는 영향력 분석
우울상태에 따른 IL-1β 농도 및 IL-1β 유전자형의 상호작용에 대해 살펴보면, IL-1β 농도가 각 유전자형에서 우울증 상태에 따라 비교된 도 1과 같이, C/C, C/T 및 T/T 유전자형 각각에 대한 혈청 IL-1β 농도는 3.3, 3.6, 3.9 pg/ml의 평균 값으로 -511C/T 유전자형과 유의하게 연관되었다(F=9.344, P <0.001). 하지만 +3953C/T 유전자형과는 관련성이 없었는데 (F=0.943, P =0.332), C/C 및 C/T 유전자형 각각에 대해 3.6 및 3.7pg/ml의 평균값을 보였다. 특히, 급성기우울증을 가진 ACS환자는 -511T 대립 유전자의 존재 하에서 상당히 높은 농도의 IL-1β가 있었다. 이러한 연관성은 추적관찰시점에서 진단된 만성기우울증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기준시점 공변량을 보정한 후 로지스틱 회귀 모델에서 상호작용 효과의 측면을 보면, 혈청 IL-1β 농도와 -511C/T 유전자형 사이에 상당한 양방향 상호작용이 급성기우울증(기준시점에서 진단된 우울증)에서는 발견되었으나, 만성기우울증(추적관찰시점에서 진단된 우울증)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실험결과들은 ACS 급성기에서 발병되는 우울증이 IL-1β 농도 및 -511T대립 유전자와 유의하게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511T 대립 유전자의 존재하에서는 급성기우울증과 IL-1β농도의 상호작용도 유의하였다. 하지만 ACS 만성기에서 우울증과는 어떤 연관성도 찾을 수 없었다. +3953C/T 유전자형에 대해서는 급성기 또는 만성기 어디에서도 우울증과 연관성이 없었다.
따라서, 혈청 IL-1β농도 및 IL-1β -511C/T 유전자형 분석은 ACS의 급성기에서 우울장애의 위험에 처한 그룹을 식별하는 스크리닝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적절한 치료적 개입이 가능하므로 임상적 유용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ACS에 동반된 우울증이 매우 높은 질병 부담을 이끌어 내고, 치료를 어렵게 하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기준시점에서 IL-1β농도 및 IL-1β -511C/T 유전자형을 분석하는 것만으로, ACS의 급성기에서 ACS에 동반된 우울증의 예방 및/또는 관리에 더 집중적인 개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높은 IL-1β농도의 유전적 소인을 가진 취약 환자가 ACS 동반된 우울증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용성은 의사가 ACS후 급성기우울증에 대한 IL-1β농도 및 -511C/T 유전자형의 효과를 인지하고 있는 경우, ACS의 급성기 동안 우울증에 더 초점을 맞출 수 있으므로 ACS후 급성기우울증 발병을 예방하거나 발병초기에 선제적으로 치료행위가 가능한 것에 있다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발병여부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이 발생된 환자의 분리된 혈액 중 IL-1β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단계;
    상기 환자의 분리된 혈액으로부터 IL-1β -511C/T 유전자다형성을 조사하는 유전자형분석단계; 및
    상기 측정된 IL-1β 농도 및 상기 분석된 IL-1β -511C/T유전자형에 따라 급성기우울증의 발병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IL-1β 농도가 기준농도 이상인 제1조건 및 상기 분석된 환자의 IL-1β -511C/T 유전자형이 -511T/T유전자형인 제2조건이 모두 충족된 경우에만 상기 급성기우울증이 발병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기준농도는 혈청 1ml당 3.5p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발병여부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건 및 제2조건 충족시 급성기우울증의 발병가능성은 58%이상인 것으로 진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발병여부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건 및 제2조건 미충족시 급성기우울증이 발병되지 않을 가능성은 56%인 것으로 진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발병여부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5. 삭제
  6.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형분석단계는 상기 환자로부터 분리된 IL-1β 유전자의 511번째 염기를 포함하는 DNA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DNA를 센스 프라이머와 안티센스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증폭시키는 단계; 511C→T 변이를 인식할 수 있는 제한 효소를 이용하여 상기 증폭된 DNA를 검사하여 IL-1β -511TT 유전자형의 존재 여부를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발병여부의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7. 환자의 혈액 중 혈청 IL-1β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수단; 및 상기 환자의 IL-1β -511C/T유전자다형성을 조사하여 -511TT유전자형을 보유하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유전자형분석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IL-1β 농도가 기준농도 이상인 제1조건 및 상기 유전자형분석수단에 의해 분석된 환자의 IL-1β -511C/T 유전자형이 -511T/T유전자형인 제2조건이 모두 충족된 경우에만 급성기우울증이 발병된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기준농도는 혈청 1ml당 3.5p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발병여부 진단키트.
KR1020160110894A 2016-08-30 2016-08-30 인터루킨 1β를 이용한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발병여부 진단방법 및 진단키트 KR101903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894A KR101903505B1 (ko) 2016-08-30 2016-08-30 인터루킨 1β를 이용한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발병여부 진단방법 및 진단키트
PCT/KR2016/013327 WO2018043822A1 (ko) 2016-08-30 2016-11-18 인터루킨 1β를 이용한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발병여부 진단방법 및 진단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894A KR101903505B1 (ko) 2016-08-30 2016-08-30 인터루킨 1β를 이용한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발병여부 진단방법 및 진단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527A KR20180024527A (ko) 2018-03-08
KR101903505B1 true KR101903505B1 (ko) 2018-10-02

Family

ID=61301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894A KR101903505B1 (ko) 2016-08-30 2016-08-30 인터루킨 1β를 이용한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발병여부 진단방법 및 진단키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3505B1 (ko)
WO (1) WO20180438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214B1 (ko) * 2020-06-30 2021-02-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021B1 (ko) 2018-07-26 2020-06-16 재단법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계열 항우울제에 대한 반응성 조절용 펩티드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5426A2 (en) * 2005-06-29 2007-01-11 Rules-Based Medicine, Inc. Methods and kits for the diagnosis of acute coronary syndrom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onnam Med. J., Vol. 51, No. 1, pp. 8-18 (2015.04.14.)*
Eur. Cytokine Netw., Vol. 19, No. 1, pp. 42-48 (2008.02.26.)*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214B1 (ko) * 2020-06-30 2021-02-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527A (ko) 2018-03-08
WO2018043822A1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urki et al. APOE ε4 associates with increased risk of severe COVID-19, cerebral microhaemorrhages and post-COVID mental fatigue: A Finnish biobank, autopsy and clinical study
Ertekin-Taner et al. Plasma amyloid β protein is elevated in late-onset Alzheimer disease families
Martiskainen et al. Decreased plasma β‐amyloid in the Alzheimer's disease APP A 673 T variant carriers
WO2014127290A2 (en) Methods for predicting risk of interstitial pneumonia
Enyedi et al. Combined applicatio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chitotriosidase analysis improves the laboratory diagnosis of sarcoidosis
Shi et al. The coagulation factor V Leiden, MTHFRC677T variant and eNOS 4ab polymorphism in young Chinese population with ischemic stroke
Jiao et al. Performance of Plasma Amyloid β, Total Tau, and Neurofilament Light Chain in the Identification of Probable Alzheimer's Disease in South China
KR102047479B1 (ko) 노년기우울증 검출방법 및 진단키트
Rajkumar et al. Next-generation RNA-sequencing of serum small extracellular vesicles discovers potential diagnostic biomarkers for dementia with Lewy bodies
Shahim et al. Cerebrospinal fluid stanniocalcin-1 as a biomarker for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neurodegenerative disorders
KR101903505B1 (ko) 인터루킨 1β를 이용한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발병여부 진단방법 및 진단키트
Schwartzenburg et al. Increased ISGylation in cases of TBI-exposed ALS veterans
Sun et al. Depression and plasma amyloid β peptides in the elderly with and without the apolipoprotein E4 allele
Simonsen et al. Protein markers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vascular dementia and Alzheimer’s disease
KR102570461B1 (ko) MYO15B 유전자의 rs820182부위를 이용한 여성의 우울증 위험도 예측용 바이오마커, 상기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여성의 우울증 위험도 진단에 대한 정보제공방법 및 진단키트
WO2021037027A1 (en) Genetic variants for diagnosis of alzheimer&#39;s disease
Bae et al. Serum Ceruloplasmin as a Potential Clinical Biomarker in Atopic Dermatitis
KR101862638B1 (ko) 호모시스테인을 이용한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발병여부 진단방법 및 진단키트
Naman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predictive model of the impact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in the ICAM-1 gene on the risk of ischemic cardiomyopathy
Shigemizu et al. Identification of potential blood biomarkers for early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through immune landscape analysis
KR102658118B1 (ko) Fyb 유전자를 이용한 조기발병연령을 가진 우울증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이를 이용한 조기발병연령을 가진 우울증진단에 대한 정보제공방법 및 진단키트
Nasreen et al. Paraoxonase gene polymorphisms: Understanding the biochemical and genetic basis of coronary artery disease
Trindade et al. Aging Brain
Jiao et al. Performance of Plasma Amyloid β
Hao et al. Associations Between Levels of Peripheral NCAPH2 Promoter Methylation and Different Stages of Alzheimer’s Disease: A Cross-Sectional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