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214B1 -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키트 - Google Patents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214B1
KR102214214B1 KR1020200080388A KR20200080388A KR102214214B1 KR 102214214 B1 KR102214214 B1 KR 102214214B1 KR 1020200080388 A KR1020200080388 A KR 1020200080388A KR 20200080388 A KR20200080388 A KR 20200080388A KR 102214214 B1 KR102214214 B1 KR 102214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ression
adolescent
group
diagnosing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아
김진호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80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2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63Cytokines, i.e. immune system proteins modifying a biological response such as cell growth proliferation or differentiation, e.g. TNF, CNF, GM-CSF, lymphotoxin, MIF or their receptors
    • G01N33/6869Interleuk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52Assays involving cytokines
    • G01N2333/54Interleukins [IL]
    • G01N2333/545IL-1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30Psychoses; Psychiatry
    • G01N2800/304Mood disorders, e.g. bipolar, depress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조성물 및 키트를 통해 IL-17 및 IL-1β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여,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함으로써, 노인성 우울증 질환과 대비하여 청년기 우울증 질환의 원인 및 병리를 분석하고, 청년기 우울증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용도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키트{Composition and kit for diagnosing young adulthood depression}
본 발명은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키트에 관한 것이다.
우울장애, 즉 우울증은 의욕 저하와 우울감을 주요 증상으로 하여 다양한 인지 및 정신 신체적 증상을 일으켜 일상 기능의 저하를 가져오는 질환이다. 우울증은 종종 수면 장애, 낮은 자존감, 죄책감의 감정, 그리고 자살 충동에 사로잡히는 경향과 결부되는 매우 복잡한 장애로서, 근본적인 발병 메커니즘은 여전히 불분명하다.
우울증은 평생 유병율이 15%, 특히 여자에서는 25% 정도에 이른다. 과거 우울증의 주요 발병 연령은 50대 이상이었으나 2011년 보건복지부에서 실행한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에 따르면 18-34세의 우울증 유병률은 55세 이상 인구 유병률의 1.9배에 달하고, 2006년 대비 유병률이 55세 이상 인구에서는 약 20% 증가한 반면 18-34세에서는 73.9%가 증가하는 등 근래 청년기 우울증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노화 또는 만성 질환에 의한 뇌 변화로 야기될 수 있는 노인성 우울증과 달리, 청년기 우울증은 환경적인 요인이 주요 원인일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탄생 후 청년기까지 급격한 뇌 발달과 후성학적 조절이 일어나게 되는데(Thompson & Nelson, 2001; 및 Lister et al., 2013), 이는 어린 시절의 경험이 청년기 뇌 회로의 해부학적, 기능적 변화를 초래할 것이며, 청년기 이전 뇌 발달과정에서 환경요인에 의한 뇌 변화가 청년기의 우울증 발병 위험도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우울증은 최초 발병 시기가 빠를수록 재발이 쉽고, 재발이 거듭될수록 악화되는 특징이 있으며 특히 청년기 우울증은 가면성 우울증이 특징으로, 환자 본인이 우울증을 인지하거나 인정하는 경우가 드물어 정신과 서비스 이용율은 50대 이상 환자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치므로 청년기 우울증의 조기 진단 및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기존에 진행한 대규모 임상 연구에 의하면 우울증 환자의 혈액 내 C-reactive protein (CRP), IL-6 농도가 대조군 대비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이와 같이, 높은 염증 반응에 의해 우울증의 정도 및 증상이 심해질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CRP, IL-6 and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Maggie Fox, 2018). 특히 최근 연구에 의하면 건선환자에게서 우울증을 앓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IL-17 및 Th17 세포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우울증과 건선 환자의 혈액 내 IL-17과 Th17 세포가 대조군 대비 증가하였다고 보고되었다(Elevated IL-17 and TGF-βserum levels :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lper 17 cell-related pro-inflammatory response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Mohammad Hasan Davami, 2016). 그러나 일부 연구에서는 우울증 환자군의 평균 나이가 청년기 나이에 비해 많은 경우 해당 우울증 환자군에서 IL-17의 변화가 없다고 보고되고 있다(Biological differences between melancholic and nonmelancholic depression subtyped by the CORE measure; Lucas Spanemberg, 2014).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 또는 청년기 우울증 환자군에서의 Th17 세포 생성량이 증가하고 IL-17 및 IL-1β(interleukin-1β)의 발현 수준이 증가함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IL-17 및 IL-1β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여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우울증 소견을 보이는 환자 중에서 청년기 우울증 환자를 진단하기 위하여, IL-17 및 IL-1β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우울증 의심 환자 또는 진단 대상에서 분리된 시료에서의 IL-17(interleukin-17) 및 IL-1β(interleukin-1β)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사이토카인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IL-17의 농도가 임계값(cut off value) 5 내지 15pg/ml, 또는 상기 IL-1β의 농도가 임계값 0.3 내지 0.7pg/ml보다 높은 경우 청년기 우울증 질환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된 시료에서의 IL-17(interleukin-17) 및 IL-1β(interleukin-1β)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사이토카인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조성물 및 키트를 통해 IL-17 및 IL-1β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여,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함으로써, 노인성 우울증 질환과 대비하여 청년기 우울증 질환의 원인 및 병리를 분석하고, 청년기 우울증의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용도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개방 장소 탐색 테스트(Open field test)에서 대조군 마우스(CTL), 청년기 우울증 마우스(PMS) 및 항우울제를 투여한 마우스(PMSA) 총 3개 그룹의 행동 분석을 나타낸 도이다.
도 1a는 개방 장소 탐색 테스트에서 30분간 상기 3개 그룹의 움직임 및 적응 정도를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1b는 개방 장소 탐색 테스트에서 상기 3개 그룹의 중앙 구역(center zone)에 머무는 정도를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1c는 개방 장소 탐색 테스트에서 상기 3개 그룹의 전체 움직임 정도를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2는 Y-미로 실험(Y-maze test)에서 대조군 마우스(CTL), 청년기 우울증 마우스(PMS) 및 항우울제를 투여한 마우스(PMSA) 총 3개 그룹 또는 노인성 우울증 그룹(ISO)의 행동 분석을 나타낸 도이다.
도 2a는 Y-미로 실험에서 상기 3개 그룹의 자발적인 변경 속도를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2b는 Y-미로 실험에서 노인성 우울증 그룹의 자발적인 변경 속도를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3은 고가 십자형 미로 실험(Elevated plus maze test)에서 대조군 마우스(CTL), 청년기 우울증 마우스(PMS) 및 항우울제를 투여한 마우스(PMSA) 총 3개 그룹 또는 노인성 우울증 그룹(ISO)의 행동 분석을 나타낸 도이다.
도 3a는 고가 십자형 미로 실험에서 상기 3개 그룹이 폐쇄형 팔에서 머무는 시간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3b는 고가 십자형 미로 실험에서 노인성 우울증 그룹이 폐쇄형 팔에서 머무는 시간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4는 강제 수영 실험(Forced swimming test)에서 대조군 마우스(CTL), 청년기 우울증 마우스(PMS) 및 항우울제를 투여한 마우스(PMSA) 총 3개 그룹 또는 노인성 우울증 그룹(ISO)의 행동 분석을 나타낸 도이다.
도 4a는 강제 수영 실험에서 상기 3개 그룹의 부동 시간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4b는 강제 수영 실험에서 노인성 우울증 그룹의 부동 시간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당 선호 실험(Sucrose preference test)에서 대조군 마우스(CTL), 청년기 우울증 마우스(PMS) 및 항우울제를 투여한 마우스(PMSA) 총 3개 그룹의 당 섭취량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수동 회피 실험(Passive avoidance test)에서 노인성 우울증 그룹(ISO)의 스텝스루(step-through) 지연 시간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PMS)의 성장 기간 동안의 몸무게 변화를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PMS)의 체내 염증 반응을 확인한 도이다.
도 8a는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혈청 내 cortisol 발현량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8b는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혈청 내 IL-17(interleukin-17) 발현량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8c는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혈청 내 IL-6(interleukin-6) 발현량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8d는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혈청 내 TNF-α 발현량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8e는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혈청 내 IL-1β(interleukin-1β) 발현량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9는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해마(hippocampus), 편도체(amygdala) 및 전전두엽(prefrontal cortex) 내 미세아교세포(microglia)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형광 염색한 조직을 형광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도이다.
도 10은 8주령의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해마, 편도체 및 전전두엽에서 IL-17, IL-6, TGF-β, pSTAT3, RORγt 및 IL-1β의 발현량을 확인하기 위해 웨스턴 블랏을 수행한 도이다.
도 10a는 8주령의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해마, 편도체 및 전전두엽에서 IL-17, IL-6, TGF-β, pSTAT3, RORγt 및 IL-1β의 발현량을 확인하기 위해 웨스턴 블랏을 수행한 도이다.
도 10b는 8주령의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해마, 편도체 및 전전두엽에서 IL-17의 발현량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10c는 8주령의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해마, 편도체 및 전전두엽에서 IL-6의 발현량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10d는 8주령의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해마, 편도체 및 전전두엽에서 TGF-β의 발현량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10e는 8주령의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해마, 편도체 및 전전두엽에서 pSTAT3의 발현량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10f는 8주령의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해마, 편도체 및 전전두엽에서 RORγt의 발현량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10g는 8주령의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해마, 편도체 및 전전두엽에서 IL-1β의 발현량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노인성 우울증 동물모델(ISO)의 해마, 편도체 및 전전두엽에서 IL-17, IL-6, TNF-α 및 IL-1β의 발현량을 확인하기 위해 웨스턴 블랏을 수행한 도이다.
도 11a는 노인성 우울증 동물모델의 해마, 편도체 및 전전두엽에서 IL-17, IL-6, TNF-α 및 IL-1β의 발현량을 확인하기 위해 웨스턴 블랏을 수행한 도이다.
도 11b는 노인성 우울증 동물모델의 해마, 편도체 및 전전두엽에서 IL-17의 발현량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11c는 노인성 우울증 동물모델의 해마, 편도체 및 전전두엽에서 IL-6의 발현량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11d는 노인성 우울증 동물모델의 해마, 편도체 및 전전두엽에서 TNF-α의 발현량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11e는 노인성 우울증 동물모델의 해마, 편도체 및 전전두엽에서 IL-1β의 발현량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12는 청년기 우울증 마우스 모델에서의 뇌 내 Th17 세포의 변화를 확인한 도이다.
도 12a는 청년기 우울증 마우스의 뇌에서 CD4 유세포분석을 통해 Th17 세포의 양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2b는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대뇌에서의 Th17 세포의 양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IgG를 투여한 대조군(CTL+IgG), 항-IL-17을 투여한 대조군(CTL+anti-IL-17), IgG를 투여한 청년기 우울증 그룹(PMS+IgG) 및 항-IL-17을 투여한 청년기 우울증 그룹(PMS+anti-IL-17) 등 총 4개 그룹의 행동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3a는 고가 십자형 미로 실험에서 상기 4개 그룹이 폐쇄형 팔에서 머무는 시간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13b는 강제 수영 실험에서 상기 4개 그룹의 부동 시간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13c는 당 선호 실험에서 상기 4개 그룹의 당 섭취량을 수치화한 그래프이다.
도 14는 청년기 우울증 환자군(MDD) 및 대조군(CTL)의 혈액 내 염증 물질(IL-17 및 IL-1β)의 변화를 확인한 도이다.
도 14a는 청년기 우울증 환자군(MDD) 및 대조군(CTL)의 혈장 내 IL-17의 변화를 ELISA를 통해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14b는 청년기 우울증 환자군(MDD) 및 대조군(CTL)의 혈청 내 IL-1β의 변화를 ELISA를 통해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15는 청년기 우울증 환자군의 혈액 내 염증 물질(IL-17 및 IL-1β)과 우울 정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도이다.
도 15a는 청년기 우울증 환자군의 BDI와 혈액 내 IL-17의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b는 청년기 우울증 환자군의 BDI와 혈액 내 IL-1β의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c는 청년기 우울증 환자군의 HAMD-17과 혈액 내 IL-17의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d는 청년기 우울증 환자군의 HAMD-17과 혈액 내 IL-1β의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은 청년기 우울증군 및 대조군의 혈액 지표와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를 통해 해당 검사가 유용한 검사인지 확인한 도이다.
도 16a는 청년기 우울증 진단 기준점을 확인하기 위해 IL-17의 ROC curve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6b는 청년기 우울증 진단 기준점을 확인하기 위해 IL-1β의 ROC curve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7은 동물 모델(마우스)과 인간의 종 특이성 등에 의한 Th17 세포의 분화 차이점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a) 우울증 의심 환자 또는 진단 대상에서 분리된 시료에서의 IL-17(interleukin-17) 및 IL-1β(interleukin-1β)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사이토카인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IL-17의 농도가 임계값(cut off value) 5 내지 15pg/ml, 또는 상기 IL-1β의 농도가 임계값 0.3 내지 0.7pg/ml보다 높은 경우 청년기 우울증 질환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계 (a)는 우울증 의심 환자 또는 진단 대상에서 분리된 시료에서의 IL-17(interleukin-17) 및 IL-1β(interleukin-1β)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사이토카인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IL-17은 Th17(T helper 17) 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Th17 세포는 CD4+ 림프구(lymphocyte)에서 분화 인자(differentiation factor)인 IL-6, TGF-β 및 IL-21, 그리고 전사 인자(transcription factor)인 STAT3 및 RORγt에 의해 분화될 수 있다.
상기 IL-1β는 면역 세포가 분비하는 사이토카인 중 하나로, IL-1β는 T세포가 여러 사이토카인, 예를 들면 IL-2나 이것의 수용체 생성을 증가시키도록 하여 T세포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 B세포를 증식시키고 B세포를 성숙하게 할 수 있으며, NK의 세포 독성을 증가시키는 등 면역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이토카인일 수 있다.
상기 시료는 혈액, 혈청, 혈장, 세포 또는 조직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료는 혈청 또는 혈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사이토카인 농도 측정은 웨스턴 블롯(Western blotting), 효소-면역화학 검출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SDS-PAGE, RT-PCR, 면역조직화학 염색법(immunohistochemical staining), 면역침강(immunoprecipitation) 및 면역형광법(immunofluorescence)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의 사이토카인 농도는 세포 내에서 유전자로부터 단백질로 발현되는 수준을 측정하는 것을 말하며,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관찰함으로써 세포 내의 mRNA 수준과 세포 내에서 발현되는 단백질 수준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못하는 mRNA를 표적으로 하는 연구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우울증 의심 환자 또는 진단 대상의 분리된 시료에서 IL-17 및 IL-1β의 농도, 즉 IL-17 및 IL-1β의 발현 수준을 관찰함으로써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계 (b)는 상기 IL-17의 농도가 임계값(cut off value) 5 내지 15pg/ml, 또는 상기 IL-1β의 농도가 임계값 0.3 내지 0.7pg/ml보다 높은 경우 청년기 우울증 질환으로 판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b)에서 IL-17의 농도의 임계값은 1 내지 30pg/ml, 2 내지 25pg/ml, 3 내지 23pg/ml, 4 내지 20pg/ml 또는 5 내지 15pg/m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b)에서 IL-1β의 농도의 임계값은 0.02 내지 1.0pg/ml, 0.1 내지 0.9pg/ml, 0.2 내지 0.8pg/ml, 0.3 내지 0.7pg/ml, 0.35 내지 0.6pg/ml 또는 0.4 내지 0.5pg/m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b)에서는, 상기 우울증 의심 환자 또는 진단 대상의 분리된 시료에서의 IL-17 및 IL-1β 단백질 발현 수준을 정상군과 대비하여, 상기 IL-17 및 IL-1β 단백질의 발현 수준이 높은 환자를 청년기 우울증 질환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된 시료에서의 IL-17(interleukin-17) 및 IL-1β(interleukin-1β)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사이토카인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IL-17은 통상의 기술분야에 알려진 어떠한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펩티드일 수 있다. 상기 IL-17 단백질은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되는 폴리펩티드일 수 있다.
상기 폴리펩티드는 IL-17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뿐만 아니라, 상기 아미노산 서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 및 이의 단편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폴리펩티드는 본 발명의 폴리펩티드와 80% 이상, 구체적으로는 90% 이상, 더욱 구체적으로 는 95% 이상의 상동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펩티드는 단백질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아미노산 잔기의 결실, 삽입, 치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서 상이한 서열을 가지는 아미노산의 변이체 또는 단편일 수 있다.
IL-17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서열번호 유래 서열
IL-17 단백질 1 마우스 MSPGRASSVSLMLLLLLSLAATVKAAAIIPQSSACPNTEAKDFLQNVKVNLKVFNSLGAKVSSRRPSDYLNRSTSPWTLHRNEDPDRYPSVIWEAQCRHQRCVNAEGKLDHHMNSVLIQQEILVLKREPESCPFTFRVEKMLVGVGCTCVASIVRQAA
2 인간 MTPGKTSLVSLLLLLSLEAIVKAGITIPRNPGCPNSEDKNFPRTVMVNLNIHNRNTNTNPKRSSDYYNRSTSPWNLHRNEDPERYPSVIWEAKCRHLGCINADGNVDYHMNSVPIQQEILVLRREPPHCPNSFRLEKILVSVGCTCVTPIVHHVA
상기 시료는 혈액, 혈청, 혈장, 세포 또는 조직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사이토카인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제"는 타겟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앱타머 등을 포함하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IL-17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제는 IL-17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앱타머 등을 포함하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IL-1β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제는 IL-1β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앱타머 등을 포함하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용어 "항체"란 항원성 부위에 대해서 지시되는 특이적인 단백질 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항체는 IL-17 또는 IL-1β 단백질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의미하며, 다클론 항체, 단클론 항체 및 재조합 항체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타겟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생성하는 것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다클론 항체는 상기 타겟 단백질 항원을 동물에 주사하고 동물로부터 채혈하여 항체를 포함하는 혈청을 수득하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방법에 의해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다클론 항체는 염소, 토끼, 양, 원숭이, 말, 돼지, 소 개 등의 임의의 동물 종 숙주로부터 제조 가능하다.
단일클론 항체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하이브리도마 방법(hybridoma method)(Kohler 및 Milstein (1976) European Jounral of Immunology 6:511-519 참조), 또는 파지 항체 라이브러리(Clackson et al, Nature, 352:624-628, 1991; Marks et al, J. Mol. Biol., 222:58, 1-597, 1991)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항체는 겔 전기영동, 투석, 염 침전,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 정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체는 2개의 전체 길이의 경쇄 및 2개의 전체 길이의 중쇄를 가지는 완전한 형태뿐만 아니라, 항체 분자의 기능적인 단편을 포함한다. 항체 분자의 기능적인 단편이란 적어도 항원 결합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단편을 뜻하며, Fab, F(ab'), F(ab') 2 및 Fv 등이 있다.
상기 항체를 이용하여 이와 결합한 표적 단백질의 양을 확인하기 위한 분석 방법으로는 웨스턴 블롯,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방사선면역분석(RIA: Radioimmunoassay), 방사 면역 확산법(radioimmunodiffusion), 오우크테로니(Ouchterlony) 면역 확산법, 로케트(rocket) 면역전기영동, 조직면역염색, 면역침전 분석법(Immunoprecipitation Assay), 보체 고정 분석법(Complement Fixation Assay), 유세포분석(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er, FACS), 단백질 칩(protein chip) 등이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앱타머”란 특정 물질에 대해 높은 특이성과 친화도를 가지는 단일가닥 DNA(ssDNA) 또는 RNA 를 말한다. 앱타머는 특정 물질에 대한 친화도가 매우 높고 안정하고, 비교적 단순한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으며,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세포, 단백질, 및 작은 유기물질까지도 표적물질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그 특이성 및 안정성이 이미 개발되어 있는 항체에 비해 매우 높은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앱타머는 IL-17 또는 IL-1β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앱타머에 사용되는 염기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A, G, C, U 이들의 deoxy 형태의 염기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앱타머는, 안정성 증진을 위하여, 5' 말단 부위, 중간 부위, 3' 말단 부위, 또는 양 말단 부위에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idT(inverted deoxythymidine), LNA(Locked Nucleic Acid), 2'-메톡시 뉴클레오사이드, 2'-아미노 뉴클레오사이드, 2'F-뉴클레오사이드, 아민 링커, 티올 링커 및 콜레스테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것이 결합되어 변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idT(inverted deoxythymidine)는 일반적으로 뉴클레아제에 대한 내성이 약한 앱타머의 뉴클레아제에 의한 분해를 막기 위하여 사용되는 분자 중 하나로서, 핵산단위체는 앞 단위체의 3’-OH와 다음 단위체의 5’-OH와 결합하여 사슬을 이루지만, idT는 앞 단위체의 3’-OH와 다음 단위체의 3’-OH를 결합하여 3’-OH가 아닌 5’-OH가 노출이 되도록 인위적인 변화를 가함으로써 뉴클레아제의 일종인 3’엑소뉴클레아제(3’exonuclease)에 의한 분해를 억제하는 효과를 일으키는 분자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키트는 시료에서 IL-17 또는 IL-1β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제제뿐만 아니라, 발현 수준 분석에 적합한 한 종류 이상의 조성물, 용액 또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키트는 항체의 면역학적 검출을 위하여 기질, 적당한 완충용액, 검출 라벨로 표지된 2차 항체, 및 발색 기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L-17 또는 IL-1β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제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타겟 단백질과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 앱타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제를 포함하는 단백질 칩의 형태로 상기 키트에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항체 또는 앱타머를 검출할 수 있는 2차 항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는데, 상기 2차 항체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단백질 칩에 결합할 수 있는 IL-17 또는 IL-1β 단백질과 결합할 수 있고 형광물질, 방사선 동위원소 등으로 표지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는데 이용되는 키트는 ELISA 키트, 샌드위치 ELISA 등 다양한 ELISA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ELISA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필수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일 수 있다. ELISA 키트는 상기 단백질들에 대한 특이적인 항체 또는 앱타머를 포함할 수 있다. 항체는 IL-17 또는 IL-1β 단백질에 대해 각각 특이성 및 친화성이 높고 이외 다른 단백질에는 교차 반응성이 거의 없는 항체로, 단일클론항체, 다클론항체 또는 재조합 항체일 수 있다. 그 외 ELISA 키트는 결합된 항체를 검출할 수 있는 시약, 예를 들면, 표지된 2차 항체, 발색단(chromopores), 효소 및 그의 기질 또는 항체와 결합할 수 있는 다른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키트는 웨스턴블롯(Western blot),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면역침전분석법(Immunoprecipitation Assay), 보체 고정 분석법(Complement Fixation Assay), 유세포분석(Fluorecence Activated Cell Sorter, FACS), 또는 단백질 칩(protein chip) 등을 구현하기 위한 키트일 수 있으며, 각 분석 방법에 적합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청년기 및 노인성 우울증 마우스 모델의 행동 분석(도 1 내지 6 참조), 체중 변화(도 7 참조) 및 체 내 염증 변화(도 8 참조)를 통해, 상기 마우스 모델의 우울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해마, 편도체 및 전전두엽에서 미세아교세포의 발현량 및 IL-17, IL-6, TGF-β, pSTAT3 및 RORγt의 발현이 증가한 반면(도 9 및 10 참조), 노인성 우울증 동물 모델의 해마, 편도체 및 전전두엽의 IL-17의 발현은 차이가 없고, IL-6, TNF-α 및 IL-1β 발현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도 11 참조). 아울러,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에서 Th17 세포가 증가하였고(도 12 참조), 항-IL-17 항체를 투여한 결과, 우울 증상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3 참조).
또한, 청년기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에서, 상기 환자의 혈장 내 IL-17 및 혈청 내 IL-1β가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고(도 14 참조), 우울 정도와 IL-17 및 IL-1β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도 15 참조), 청년기 우울증을 진단하기 위한 IL-17의 임계값(cut off value)은 11.55pg/ml이며, IL-1β의 cutoff value는 0.4482pg/ml인 것을 확인하였다(도 16 참조).
본 발명에서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과 청년기 우울증 환자의 IL-17 및 IL-1β의 발현 양상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동물과 인간의 Th17 세포의 분화 차이가 있음에 의해 뒷받침된다(Francesco Annunziato, Eur. J. Immunol. 2009. 39: 634-675., Th17: Mice versus men; 및 Mi Ra Cho, Hanyang Med Rev 2013;33:17-26., Targeting Interleukin-17 and Th17 in Immune Inflammatory Diseases).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만성 스트레스를 통한 청년기 및 노인성 우울증 마우스의 제조
1-1. 청년기 우울증 마우스의 준비
7주령의 수컷과 암컷의 C57BL/6 야생형 마우스를 구입하여 일주일간 적응을 시키고, 적응 후 교배를 진행하여 다음 날 아침에 암컷 마우스의 임신 여부를 vaginal plug을 통해 확인하였다. Plug가 있는 암컷 마우스를 개별 케이지로 이동하여 사육을 시작하였다. TP3일(timed pregnant 3day)이 되는 날부터 16일간 암컷 마우스에게 스트레스(unpredictable mild stress)를 하기 표 2의 스케줄과 같이 진행하였다. 출산 후, P2일(postnatal day 2)부터 마우스 산자를 모체로부터 하루에 3시간 동안 분리하는 모체 분리 스트레스(maternal separation)를 14일간 매일 진행하였고, 산자가 4주령이 되었을 때, 수컷 마우스를 선별하여 사회 결핍 스트레스(social defeat stress)를 10일간 매일 진행하였다. 간략히, 몸무게 35g 이상 나가는 성체 마우스인 ICR과 5분간 같은 장소에서 공격 및 괴롭힘을 당하고, 이후 3분간 냄새가 통하는 투명 아크릴 칸막이로 나누어진 공간에서 3분간 머물게 하였다.
청년기 우울증 마우스 제조 스케줄
Monday Tuesday Wednesday Thursday Friday Saturday Sunday
9 am
10 am Restraint stress (1h) Forced swim (5min) Restrain stress (1h) Cage tilt 30° (6h) Food Restriction (6h)
11 am
12 am
1 pm
2 pm
3 pm
4 pm
5 pm Paired housing
(overnight)
Continuous lightning
(overnight)
Foreign object
in cage
(overnight)
Soiled cage
(overnight)
Paired housing
(overnight)
Continuous lightning
(overnight)
Cage tilt 30°
(overnight)
대조군으로는 위 3가지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정상적으로 자란 야생형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마우스의 사육은 스트레스 기간 이외에 12시간 간격으로 명/암을 조절하고, 실내온도 및 습도는 각각 상온(22±2℃), 50±10% 수준으로 유지하였으며,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먹게 하였다(ad libitum). 모든 동물실험은 가천대학교 이길여 암 당뇨 연구원의 Interna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의 승인 하에 이루어졌다.
1-2. 노인성 우울증 마우스의 준비
정상적으로 성장한 3개월령 수컷 마우스를 구입하여 1주일간 적응 기간을 가졌다. 이후, 노인성 우울증 그룹의 마우스는 사회 고립 스트레스(social isolation stress)를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사회 고립 스트레스는 케이지 당 1마리씩 개별 사육하여 사회적으로 고립을 시켰고, 대조군은 케이지 당 4 내지 5마리씩 사육을 12개월간 진행하였다. 이외의 모든 조건은 상기 실시예 1-1과 동일하게 진행되었다.
<실험예 1> 행동 분석을 통한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 검증
1-1. 개방 장소 탐색 테스트(Open fieid test) 수행
8주령부터 움직임, 불안감, 기억력 및 우울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행동 분석을 진행하였다. 특히, 위 모델이 청년기 우울증 마우스임을 검증하기 위해 항우울제 투여 그룹을 추가하여 대조군 마우스(CTL), 청년기 우울증 마우스(PMS) 및 항우울제(venlafaxine, 10mg/kg, 3주간 매일)를 투여한 마우스(PMSA) 총 3개 그룹에서 행동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인지 기억은 개방 장소 탐색 테스트(Open field test, OFT)을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각 마우스 그룹은 개방형 상자(가로 40cm×세로 40cm×높이 40cm)에서 진행되었다. 실험하는 동안, 30분간 움직임의 시간, 거리 및 center zone에서의 머무는 시간 등의 환경 설정은 EthoVision Maze task system(Noldus Information Technology, Wageningen, the Netherlands)을 사용하여 기록되었다.
그 결과, 대조군, 청년기 우울증 그룹 및 항우울제 그룹 모두 30분간 정상적인 움직임 및 적응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1a). 청년기 우울증 그룹은 대조군 대비 중앙 구역(center zone)에 머무는 시간이 유의적으로 (p<0.05) 감소하였으며(도 1b), 5분간 움직임 또한 유의적으로(p<0.01) 감소하였다(도 1c). 그러나 항우울제 투여 그룹에서 PMS 그룹 대비 중앙 구역에 머무는 시간이 유의적(p<0.01)으로 증가하였으며, 전체 움직임도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다.
1-2. Y-미로 실험(Y-maze test) 수행
상기 실험예 1-1의 3개 그룹으로 Y-미로 실험(Y-maze test)을 수행하였다. Y-미로 실험은 길이 40cm, 폭 5cm 및 높이 10cm인 3개의 가지(A, B, C)로 구성되어 있으며 120°의 각도에서 이루어진다. 각 마우스 그룹을 미로에 8분 동안 놓았고, 꼬리가 각 가지에 들어간 빈도를 가지마다 세었다. 동물이 가지에 들어온 횟수(A, B, C 순서)도 세어 1점(실제 변경, 실제 교대)을 부여했다. 변경 조치 수행 능력(%)의 계산 공식은 하기와 같다.
변경 조치 수행 능력(%) = 실제 변경(실제 교대)/최대 변경(최대 교대)Х100(최대 변경: 총 출입 수-2).
그 결과, 청년기 우울증 그룹의 Y-미로 실험에서 자발적인 변경 속도는 그룹간의 차이가 없어 공간 기억 능력에는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a).
그러나 추가적으로 노인성 우울증 그룹(ISO)을 이용하여 Y-미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노인성 우울증 그룹의 자발적인 변경 속도는 대조군 대비 유의미적으로 감소하여 공간 기억 능력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b).
1-3. 고가 십자형 미로 실험(Elevated plus maze test) 수행
또한, 상기 실험예 1-1의 3개 그룹으로 고가 십자형 미로 실험(Elevated plus maze test, EPM)을 수행하였다. 고가 십자형 미로 실험은 십자형 미로(가로 20cm, 세로 5cm 및 높이 50cm)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십자형 미로는 양쪽으로 개방형 팔(Open arms)과 폐쇄형 팔(closed arm)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위치에서의 머무는 시간은 EthoVision Maze task system(Noldus Information Technology, Wageningen, the Netherlands)을 사용하여 기록되었다.
그 결과, 청년기 우울증 그룹이 대조군 대비 폐쇄형 팔에서 머무는 시간이 유의미적으로 많아 불안감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도 3a), 항우울제 그룹에서 불안감이 완화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노인성 우울증 그룹을 이용하여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였고, 노인성 우울증 그룹은 폐쇄형 팔에서의 머무는 시간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b). 이로써 노인성 우울증 그룹은 대조군 대비 불안감이 증가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4. 강제 수영 실험(Forced swimming test) 수행
또한, 상기 실험예 1-1의 3개 그룹으로 강제 수영 실험(Forced swimming test, FST)을 수행하였다. 강제 수영 실험은 원통형 수조(지름 12cm, 높이 31cm)에서 20cm 높이의 23±1℃ 물을 채워 총 2일간 수행되었다. 첫째날, 원통형 수조에서 8분간 적응을 시키고, 둘째날, 전날과 동일한 조건으로 강제 수영을 시켜 부동 시간(immobility time)을 기록하여 우울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청년기 우울증 그룹이 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부동 시간이 증가하였으며(p<0.001), 항우울제 투여 그룹에서 청년기 우울증 그룹 대비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a). 또한, 노인성 우울증 그룹의 부동 시간이 대조군 대비 유의미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노인성 우울증 그룹을 이용하여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였고, 노인성 우울증 그룹의 부동 시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5, 도 4b).
1-5. 당 선호 실험(Sucrose preference test) 수행
또한, 상기 실험예 1-1의 3개 그룹으로 당 선호 실험(Sucrose preference test, SPT)을 수행하였다. 당 선호 실험을 통해 2% 설탕물 섭취량과 물 섭취량을 측정하여 우울 증상 중 하나인 무쾌감증(anhedonia)를 확인하였다. 2시간 동안 개별 케이지에서 진행되었으며, 설탕물 섭취량 정도의 계산 공식은 아래와 같다.
설탕물 섭취량(%) = 2% 설탕물 섭취량/(2% 설탕물 섭취량+물 섭취량)×100
그 결과, 청년기 우울증 그룹의 섭취량이 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01), 항우울제 그룹에서 청년기 우울증 그룹 대비 유의미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1-6. 수동 회피 실험(Passive avoidance test) 수행
수동 회피 실험(Passive avoidance test)은 회피 학습 박스(Gemini Passive avoidance System; San Diego Instruments, SD, USA)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수동 회피 장치(폭 42.5cm, 길이 35.5cm)는 밝고 어두운 칸막이가 있는 2개의 상자로 구성되어 있고, 조명 부분은 LED house 조명(6W)으로 전기 그리드 바닥이 장착된 어두운 챔버에 연결되었다. 각 마우스 그룹들은 첫날에 두 구획을 탐험하도록 하였고, 다음 날, 동물의 암실 입구는 발에 전기 충격(2초간 2mA)을 가하도록 하였다. 기억 검사(retention test)는 상기 실험 후 24시간 후에 수행되었고 마우스에 충격을 주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절차적으로 상기 실험과 유사하였다. 기억 능력의 척도는 각 마우스 그룹이 밝은 방에 머무른 시간(단계 간 대기 시간)으로 측정하였다. 위 실험은 노인성 우울증 그룹에서만 진행되었다.
그 결과, 노인성 우울증 그룹의 스텝스루(step-through) 지연 시간은 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1, 도 6).
<실험예 2> 청년기 우울증 동물모델에서의 체내 변화 확인
2-1.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성장 기간 동안의 몸무게 변화 확인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PMS)의 우울증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몸무게를 P1부터 1주일 간격으로 P56까지 저울을 통해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 대비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몸무게가 P1(p<0.05), P8(p<0.01), P15(p<0.01), P22(p<0.0001), P29(p<0.01), P36(p<0.0001), P43(p<0.0001) P50(p<0.0001) 및 P56(p<0.0001)에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7).
2-2.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체내 변화 확인
8주령의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PMS)의 체내 염증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하대동맥에서 채취한 혈액을 상온에서 30분간 방치 후, 원심분리(3000rpm, 10분, 4℃)을 통해 얻은 혈청(serum)을 사용하여 Cortisol, IL-17, IL-6, TNF-α 및 IL-1β의 ELISA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 대비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혈청 내 Cortisol (p<0.01, 도 8a), IL-17 (p<0.05, 도 8b), IL-6 (p<0.01, 도 8c) 및 TNF-α(p<0.01, 도 8d) 분비량은 증가하였으나, IL-1β는 차이가 없었다(도 8e). 이를 통해 대뇌에서와 마찬가지로 혈액 내 IL-17 및 관련 단백질들이 증가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청년기 우울증 및 노인성 우울증 마우스의 뇌 내 염증 변화 확인
새로 제작한 8주령의 청년기 우울증 마우스 및 노인성 우울증 마우스를 Rompun 및 Zoletil로 마취(1μg/g, i.p.)하였고, 하대동맥을 통해 혈액을 채취 후, 경심관류(transcardially)로 헤파린을 포함하는 차가운 식염수를 관류시켰다. 뇌는 후술되는 웨스턴 블랏을 위해 반으로 나누고 반쪽 뇌는 4% 포름알데하이드에서(4% PFA) 24시간 고정하여 30% 자당용액에서 48시간 탈수 후 형광 조직 염색하였으며, 나머지 반 뇌는 급속 냉동하여 피질과 해마를 해부하였다. 해부, 급속 냉동된 피질과 해마는 웨스턴 블랏 진행을 위해 무게를 측정한 후 단백질 추출시약을 첨가하여 추출하였다.
3-1. 해마, 편도체 및 전전두엽에서의 미세아교세포 변화 확인
8주령의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해마(hippocampus), 편도체(amygdala) 및 전전두엽(prefrontal cortex) 내 미세아교세포(microglia)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30% 자당용액에서 탈수한 반구를 cryoprotection buffer로 감싸 얼렸으며, 이를 cryotome으로 잘라 형광 염색을 진행하였다. 조직(slices)은 PBST(0.2% tween 20)으로 세척을 하였으며, 1차 항체(ba1, 1:500)를 희석하여 첨가하였다. 여기에 2차 항체로 Alexa fluor 555를 사용하였으며 형광현미경을 통해 조직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 대비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해마, 편도체 및 전전두엽에서 미세아교세포의 발현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9). 위 결과는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뇌내 염증 반응이 증가한 것을 암시한다.
3-2. 해마, 편도체 및 전전두엽에서의 IL-6, IL-1β, TGF-β, pSTAT3 및 RORγt 발현량 변화 확인
8주령의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해마, 편도체 및 전전두엽에서 뇌 내 염증과 관련된 IL-17, IL-6, TGF-β, pSTAT3, RORγt 및 IL-1β의 발현량을 확인하기 위해 웨스턴 블랏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조직을 SDS-PAGE를 이용하여 분리하고, PVDF 막으로 이동시켰다. 상기 막에 IL-17 (1:200), IL-6 (1:500), IL-1β (1:500) TGF-β (1:1000), pSTAT3 (1:1000), tSTATP3 (1:1000) 및 RORγt (1:1000) 단백질에 대한 1차 항체를 각각의 비율로 희석하여 첨가하였다. 여기에 HRP(horseradish peroxidase)가 결합된 2차 항체(Bio-rad, USA)를 첨가하고 반응시킨 뒤, ECL 플러스 용액(Amersham Pharmacia, Sweden)을 이용하여 단백질 밴드를 검출하였다. 검출된 밴드의 강도를 Quantity One 소프트웨어 4.6.5(BioRad, USA)를 사용하여 측정함으로써 단백질의 양을 정량하였다. 평균 발현량은 임의의 단위(arbitrary unit, AU)를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IL-17, IL-6, TGF-β, pSTAT3, tSTAT3, IL-1β는 GAPDH로 RORγt은 lamin B1으로 정량하였으며 pSTAT3와 tSTAT3는 각각 GAPDH로 정량 후, pSTAT3를 tSTAT3로 정량하였다(도 10a).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PMS)의 해마, 편도체 및 전전두엽의 IL-17의 발현이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다(도 10b).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해마, 편도체 및 전전두엽의 IL-6(p<0.05, 도 10c), TGF-β(p<0.001, p<0.001, p<0.05, 도 10d), pSTAT3(p<0.05, p<0.01, p<0.05, 도 10e), RORγt(p=0.0919, p<0.05, p<0.01, 도 10f) 발현은 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IL-1β는 모두 차이가 없었다(도 10g). 이를 통해 청년기 우울증 동물모델에서 IL-17 및 Th17 세포 분화 관련 단백질들의 증가가 우울 증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3. 노인성 우울증 동물모델에서 해마, 편도체 및 전전두엽에서의 IL-6, IL-17 및 IL-1β의 발현량 변화 확인
노인성 우울증 동물모델(ISO)의 해마, 편도체 및 전전두엽에서 뇌 내 염증과 관련된 IL-17, IL-6, TNF-α 및 IL-1β의 발현량을 확인하기 위해 웨스턴 블랏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조직을 SDS-PAGE를 이용하여 분리하고, PVDF 막으로 이동시켰다. 상기 막에 IL-17(1:200), IL-6 (1:500), TNF-α(1:500) 및 IL-1β(1:500) 단백질에 대한 1차 항체를 각각의 비율로 희석하여 첨가하였다. 여기에 HRP(horseradish peroxidase)가 결합된 2차 항체(Bio-rad, USA)를 첨가하고 반응시킨 뒤, ECL 플러스 용액(Amersham Pharmacia, Sweden)을 이용하여 단백질 밴드를 검출하였다. 검출된 밴드의 강도를 Quantity One 소프트웨어 4.6.5(BioRad, USA)를 사용하여 측정함으로써 단백질의 양을 정량하였다. 평균 발현량은 임의의 단위(arbitrary unit, AU)를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IL-17, IL-6, TNF-α 및 IL-1β는 GAPDH로 정량하였다(도 11a).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노인성 우울증 동물모델의 해마, 편도체 및 전전두엽의 IL-17의 발현은 차이가 없었다(도 11b). 그러나, 노인성 우울증 동물 모델의 해마, 편도체 및 전전두엽의 IL-6(p<0.001, p<0.01, p<0.05, 도 11c), TNF-α(p<0.05, p<0.01, p<0.001, 도 11d) 및 IL-1β(p<0.01, p<0.05, p<0.05, 도 11e) 발현이 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노인성 우울증 동물모델에서 IL-17보다 IL-1β와 같은 다른 염증 단백질들의 중요성이 암시된다.
<실험예 4> 청년기 우울증 마우스 모델에서의 뇌 내 Th17 세포 변화 확인
새로 제작한 8주령의 청년기 우울증 마우스를 Rompun 및 Zoletil로 마취(1μg/g, i.p.)하였고, 경심관류(transcardially)로 헤파린을 포함하는 차가운 식염수를 관류시켰다. 유세포분석을 위해 뇌를 분리한 후, 세절(chopping)하여 70um 사이즈의 필터를 통해 단일 세포로 분리하였다. 이후 위 세포를 30/70% percoll을 통해 monocyte을 분리하였다. 이후 CD16/32 항체로 blocking을 하여 세포 외부는 PerCP/Cyanine5.5-결합 항-마우스 CD45 항체와 FITC-결합 항-마우스 CD4 항체로, 세포 내부는 Alexa Fluor® 647-결합 항-마우스 IL-17A로 염색하여 Th17 세포의 양을 측정하였다.
Th17 세포 분화에 필요한 단백질들이 증가함에 따라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PMS)의 뇌 내 Th17 세포의 양을 확인하였다. PerCP/Cyanine5.5-결합 항-마우스 CD45 항체, FITC-결합 항-마우스 CD4 항체 및 Alexa Fluor® 647-결합 항-마우스 IL-17A로 염색한 후, CD4 유세포분석을 통해 위 3가지 염색을 모두 갖는 Th17 세포의 양을 측정하였다(도 12a).
그 결과, 대조군 대비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대뇌 Th17 세포는 유의적(p<0.01)으로 증가하였다(도 12b). 이를 통해 청년기 우울증에 Th17 세포가 중요한 역할을 갖음을 암시한다.
<실험예 5> 항-IL-17 항체 투여를 통한 우울 증상 완화 확인
항 IL-17 항체 투여에 따른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의 불안감 및 우울 증상 완화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청년기 우울증 동물 모델을 제작하여 P41부터 항-IL-17 항체 복강 투여(100ug/mouse, 3일에 1번씩 총 5번)하였다. 이후 8주령이 되었을 때 상기 실험예 1-3 내지 1-5의 행동 분석(EPM, FST 및 SPT)과 동일한 행동 분석을 이용하여 불안감 및 우울 증상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IgG를 투여한 대조군(CTL+IgG), 항-IL-17을 투여한 대조군(CTL+anti-IL-17), IgG를 투여한 청년기 우울증 그룹(PMS+IgG) 및 항-IL-17을 투여한 청년기 우울증 그룹(PMS+anti-IL-17) 등 총 4개 그룹으로 상기 실험을 수행하여 IL-17을 억제한 동물 모델의 불안감 및 우울 정도를 행동학적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고가 십자형 미로 실험에서 CTL+IgG 그룹 대비 PMS+IgG 그룹에서 동일하게 불안감이 유의적으로(p<0.01) 증가하였으며, PMS+anti-IL-17 그룹에서 PMS+IgG 그룹 대비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3a). 또한, 강제 수영 실험에서 CTL+IgG 및 CTL+anti-IL-17 그룹 대비 PMS+IgG 그룹에서 부동 시간이 모두 유의적으로(p<0.0001) 증가하였으며, PMS+anti-IL-17 그룹에서 유의적으로(p<0.001)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3b). 아울러, 당 선호 실험에서 CTL+IgG 및 CTL+anti-IL-17 그룹 대비 PMS+IgG 그룹의 당 섭취량이 유의적으로(p<0.01, p<0.05) 감소하였으며, PMS+anti-IL-17 그룹에서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3c).
<실시예 6> 청년기 우울증 환자 혈액 내 IL-17 및 IL-1β의 변화 확인
6-1. 청년기 우울증 환자군 평가 및 혈액 준비
청년기 (평균 24살) 나이의 우울증 환자군 50명 대조군 50명 총 100명 환자를 모집하여 BDI(우울증-자가), SADS(사회성), STAI-X-1(불안), HAMD-17(우울증-평가자) 4종의 우울증 평가 척도를 통해 우울 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100명의 환자의 우울증 평가 척도 중 BDI 및 HAMD-17의 점수는 하기 표 3과 같았다.
청년기 우울증 환자군 및 대조군의 BDI 및 HAMD-17 점수 확인
인원수(남/녀) 나이 BDI
(우울증-자가)
HAMD-17
(우울증-평가자)
대조군
(CTL)
50(24/26) 24.80±0.48 1.45±0.22 0.00±0.00
청년기 우울증군
(MDD)
50(23/27) 24.18±0.49 26.84±1.29 23.16±1.04
평균나이와 성비율은 대조군과 청년기 우울증군 모두 일정하였으나, BDI 및 HAMD-17의 점수는 청년기 우울증군(26.84±1.29 및 23.16±1.04)에서 유의미적으로 높았다.
6-2. 청년기 우울증 환자군 혈액 내 염증 변화 확인
청년기 우울증 환자군의 혈액 내 염증 물질 분석을 위해 혈액 내 IL-17(interleukin-17) 및 IL-1β(interleukin-1β)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6-1의 환자군으로부터 얻은 혈액을 CPT tube(BD, 8ml vacutainer)와 SST tube(BD, 4ml vacutainer)에 옮겨 담았다. CPT tube(1,600g, 20min, 24℃) 및 SST tube(3,000rpm, 8min, 4℃)에서 혈장(plasma) 및 혈청(serum)을 분리했다. 분리된 샘플은 500ul씩 분주 및 protease inhibitor를 처리하여 분석 전까지 -80℃ 보관하였다. 그 후, 상기 샘플에서의 IL-17 및 IL-1β의 변화를 효소면역측정법(ELISA)를 통해 확인하였다. 각 물질은 구입한 ELISA kit(human IL-17: EliKine, KET6022, human IL-1β: Enzo, ADI-900-130A)를 이용하였으며, 각 kit의 결과 계산법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혈장 내 IL-17는 대조군 대비 청년기 우울증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도 14a, p<0.01), 혈청 내 IL-1β는 대조군 대비 청년기 우울증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도 14b, p<0.01).
6-3. 청년기 환자군의 혈액 지표와 우울 정도의 상관관계 및 진단 마커 가능성 확인
청년기 우울증에서의 특이적 진단 마커를 확인하기 위해 환자의 혈액 지표(IL-17 및 IL-1β)와 평가 지표(BDI, SADS, STAI-X-1 및 HAMD-17)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청년기 우울증 환자군의 혈액 내 IL-17 및 IL-1β와 우울 정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GraphPad Prism 프로그램(GraphPad Software Inc, San Diego, CA,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진단 마커 가능성 확인을 위해 IL-17과 IL-1β의 ROC curve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BDI와 IL-17의 상관관계는 양의 상관관계의 경향을 보였으며(도 15a, r=0.2051, p=0.0613), BDI와 IL-1β는 유의적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도 15b, r=0.2850, p=0.0078). 또한, HAMD-17와 IL-17는 유의적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도 15c, r=0.2304, p=0.0339), HAMD-17와 IL-1β의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15d, r=0.2529, p=0.0203). 이를 통해 우울 정도와 IL-17 및 IL-1β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청년기 우울증군 및 대조군의 혈액 지표와 ROC curve를 통해 해당 검사가 유용한 검사인지 확인하였다. IL-17의 임계값(cut off value)은 11.55pg/ml이며(도 16a, AUC=0.6811, p=0.004686), IL-1β의 cutoff value는 0.4482pg/ml으로(도 16b, AUC=0.6398, p=0.0209), 각 cutoff value 값을 기준으로 청년기 우울증 진단 기준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청년기 우울증 동물모델 및 환자군에서 IL-17이 공통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IL-1β는 청년기 우울증 환자군 내에서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종 특이성 등에 의한 Th17 세포의 다른 분화 차이점으로 여겨진다(도 17). 이를 통해 청년기 우울증 치료제 개발에 있어 IL-17이 중요한 타겟이 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110> Gachon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120> Composition and kit for distinguishing between young adulthood depression and senile depression <130> 2020P-05-002 <160> 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58 <212> PRT <213> Mus musculus <400> 1 Met Ser Pro Gly Arg Ala Ser Ser Val Ser Leu Met Leu Leu Leu Leu 1 5 10 15 Leu Ser Leu Ala Ala Thr Val Lys Ala Ala Ala Ile Ile Pro Gln Ser 20 25 30 Ser Ala Cys Pro Asn Thr Glu Ala Lys Asp Phe Leu Gln Asn Val Lys 35 40 45 Val Asn Leu Lys Val Phe Asn Ser Leu Gly Ala Lys Val Ser Ser Arg 50 55 60 Arg Pro Ser Asp Tyr Leu Asn Arg Ser Thr Ser Pro Trp Thr Leu His 65 70 75 80 Arg Asn Glu Asp Pro Asp Arg Tyr Pro Ser Val Ile Trp Glu Ala Gln 85 90 95 Cys Arg His Gln Arg Cys Val Asn Ala Glu Gly Lys Leu Asp His His 100 105 110 Met Asn Ser Val Leu Ile Gln Gln Glu Ile Leu Val Leu Lys Arg Glu 115 120 125 Pro Glu Ser Cys Pro Phe Thr Phe Arg Val Glu Lys Met Leu Val Gly 130 135 140 Val Gly Cys Thr Cys Val Ala Ser Ile Val Arg Gln Ala Ala 145 150 155 <210> 2 <211> 155 <212> PRT <213> Homo sapiens <400> 2 Met Thr Pro Gly Lys Thr Ser Leu Val Ser Leu Leu Leu Leu Leu Ser 1 5 10 15 Leu Glu Ala Ile Val Lys Ala Gly Ile Thr Ile Pro Arg Asn Pro Gly 20 25 30 Cys Pro Asn Ser Glu Asp Lys Asn Phe Pro Arg Thr Val Met Val Asn 35 40 45 Leu Asn Ile His Asn Arg Asn Thr Asn Thr Asn Pro Lys Arg Ser Ser 50 55 60 Asp Tyr Tyr Asn Arg Ser Thr Ser Pro Trp Asn Leu His Arg Asn Glu 65 70 75 80 Asp Pro Glu Arg Tyr Pro Ser Val Ile Trp Glu Ala Lys Cys Arg His 85 90 95 Leu Gly Cys Ile Asn Ala Asp Gly Asn Val Asp Tyr His Met Asn Ser 100 105 110 Val Pro Ile Gln Gln Glu Ile Leu Val Leu Arg Arg Glu Pro Pro His 115 120 125 Cys Pro Asn Ser Phe Arg Leu Glu Lys Ile Leu Val Ser Val Gly Cys 130 135 140 Thr Cys Val Thr Pro Ile Val His His Val Ala 145 150 155

Claims (10)

  1. (a) 우울증 의심 환자 또는 진단 대상에서 분리된 시료에서의 IL-17(interleukin-17) 및 IL-1β(interleukin-1β)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IL-17의 농도가 임계값(cut off value) 5 내지 15pg/ml, 및 상기 IL-1β의 농도가 임계값 0.3 내지 0.7pg/ml보다 높은 경우 청년기 우울증 질환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계 (b)는 상기 IL-17의 농도가 임계값(cut off value) 11 내지 12pg/ml, 또는 상기 IL-1β의 농도가 임계값 0.4 내지 0.5pg/ml보다 높은 경우 청년기 우울증 질환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L-17은 Th17(T helper 17) 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혈액, 혈청, 혈장, 세포 또는 조직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사이토카인 농도 측정은 ELISA 또는 SDS-PAGE를 통한 웨스턴 블롯(western blot)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6. 분리된 시료에서의 IL-17(interleukin-17) 및 IL-1β(interleukin-1β)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혈액, 혈청, 혈장, 세포 또는 조직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IL-17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제는 IL-17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앱타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IL-1β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제는 IL-1β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앱타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키트.
KR1020200080388A 2020-06-30 2020-06-30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키트 KR102214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388A KR102214214B1 (ko) 2020-06-30 2020-06-30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388A KR102214214B1 (ko) 2020-06-30 2020-06-30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214B1 true KR102214214B1 (ko) 2021-02-08

Family

ID=74560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388A KR102214214B1 (ko) 2020-06-30 2020-06-30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2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2661A (ko) 2021-12-30 2023-07-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우울증환자에 대한 항우울제 치료반응 및 급성기예후 예측용 검사방법 및 상기 검사방법에 사용되는 검사키트
KR20230105844A (ko) 2022-01-05 2023-07-1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우울증환자의 자살행동 예측용 검사방법 및 상기 검사방법에 사용되는 검사키트
KR20230115738A (ko) 2022-01-27 2023-08-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우울증환자에 대한 항우울제 치료반응 및 12개월예후 예측용 검사방법 및 상기 검사방법에 사용되는 검사키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505B1 (ko) * 2016-08-30 2018-10-0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인터루킨 1β를 이용한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발병여부 진단방법 및 진단키트
KR20200049489A (ko) * 2018-10-26 2020-05-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청년기 우울증 동물모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505B1 (ko) * 2016-08-30 2018-10-0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인터루킨 1β를 이용한 급성관상동맥증후군후 우울증발병여부 진단방법 및 진단키트
KR20200049489A (ko) * 2018-10-26 2020-05-0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청년기 우울증 동물모델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namaria C. et al., ‘Candidate Genes Expression Profile Associated with Antidepressants Response in the GENDEP Study: Differentiating between Baseline Predictors and Longitudinal Targets’, Neuropsych* *
F. Brambilla et al., ‘Interleukin-1β and tumor necrosis factor-a in children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or dysthymia’,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04, Vol. 78, pp 273-277. 1부.* *
RAI KHALID FAROOQ et al., ‘Role of inflammatory cytokines in depression: Focus on interleukin-1β’, BIOMEDICAL REPORTS, 2017, Vol. 6, pp 15-20. 1부.* *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2661A (ko) 2021-12-30 2023-07-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우울증환자에 대한 항우울제 치료반응 및 급성기예후 예측용 검사방법 및 상기 검사방법에 사용되는 검사키트
KR20230169059A (ko) 2021-12-30 2023-12-1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우울증환자에 대한 항우울제 치료반응 및 급성기예후 예측용 정보제공방법 및 상기 정보제공방법에 사용되는 진단키트
KR20230105844A (ko) 2022-01-05 2023-07-1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우울증환자의 자살행동 예측용 검사방법 및 상기 검사방법에 사용되는 검사키트
KR20230170632A (ko) 2022-01-05 2023-12-19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증가된 자살심각도 발생가능성에 따른 우울증환자의 자살행동을 예측하는 검사방법 및 상기 검사방법에 사용되는 검사키트
KR20230171414A (ko) 2022-01-05 2023-12-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치명적/비치명적 자살시도 발생가능성에 따른 우울증환자의 자살행동 예측용 검사방법 및 상기 검사방법에 사용되는 검사키트
KR20230115738A (ko) 2022-01-27 2023-08-03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우울증환자에 대한 항우울제 치료반응 및 12개월예후 예측용 검사방법 및 상기 검사방법에 사용되는 검사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4214B1 (ko) 청년기 우울증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조성물 및 키트
Romero et al. A role for the inflammasome in spontaneous labor at term
Hogan et al. A novel T cell-regulated mechanism modulating allergen-induced airways hyperreactivity in BALB/c mice independently of IL-4 and IL-5
Bachert et al. Total and specific IgE in nasal polyps is related to local eosinophilic inflammation
Yokoyama et al. Circulating interleukin-6 levels in patients with bronchial asthma.
Peng et al. Immunologic mechanisms in mosquito allergy: correlation of skin reactions with specific IgE and IgG antibodies and lymphocyte proliferation response to mosquito antigens
Saetta et al. Airway wall remodeling after cessation of exposure to isocyanates in sensitized asthmatic subjects.
Kouzaki et al. Epithelial cell-derived cytokines contribute to the pathophysiology of eosinophilic chronic rhinosinusitis
Polovic et al. Dog saliva–an important source of dog allergens
Schoos et al. Component-resolved diagnostics in pet allergy: current perspectives and future directions
CA2614935A1 (en) Methods of detecting and treating acute kidney injury
Meijer et al. Profiles of cytokines (TNFα and IL-6) and acute phase proteins (CRP and α1AG) related to the disease course in patients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Haselden et al. Late asthmatic reactions provoked by intradermal injection of T-cell peptide epitopes are not associated with bronchial mucosal infiltration of eosinophils or TH2-type cells or with elevated concentrations of histamine or eicosanoids in bronchoalveolar fluid
Ajduković et al. Interleukins IL-33 and IL-17/IL-17A in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WO2013074504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biomarkers of fatigue
Roth et al. Cytokines as genetic modifiers in K5–/–mice and in human epidermolysis bullosa simplex
Hui et al. Loss of Nucleobindin-2/Nesfatin-1 increases lipopolysaccharide-induced murine acute lung inflammation
Ekelund et al. Interleukin-18 and interleukin-12 in maternal serum and spontaneous preterm delivery
Asahina et al. Serum canine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 (TARC/CCL17) concentrations correlate with disease severity and therapeutic responses in dogs with atopic dermatitis
Kovacevic et al. Galectin-3 deficiency enhances type 2 immune cell-mediated myocarditis in mice
Li et al. A novel anti-human IL-1R7 antibody reduces IL-18-mediated inflammatory signaling
Hirooka et al. Foxp3-positive regulatory T cells contribute to antifibrotic effects in renal fibrosis via an Interleukin-18 receptor signaling pathway
US20150153330A1 (en) sAPP-alpha as a Biomarker for Prediction of Inflammatory and Autoimmune-Related Disorders
US20190262425A1 (en) Uses of il-41
Mohamed et al. Evaluation of serum levels of interleukins 1‐beta, 10 and 12 in patients with acne vulgar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