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358B1 - 적응적 광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적응적 광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358B1
KR102046358B1 KR1020110116037A KR20110116037A KR102046358B1 KR 102046358 B1 KR102046358 B1 KR 102046358B1 KR 1020110116037 A KR1020110116037 A KR 1020110116037A KR 20110116037 A KR20110116037 A KR 20110116037A KR 102046358 B1 KR102046358 B1 KR 102046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wireless
wireless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6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9158A (ko
Inventor
배태한
권혁춘
손재승
김도영
원은태
조영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49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토다이오드를 감광 수단으로 구비한 광무선 통신 장치가 특정 광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안내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특정 광무선 통신 장치의 지원 가능한 서로 다른 광무선 통신 방식들 중 하나의 광무선 통신 방식을 콘텐츠 전송시 적용될 콘텐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전송 방식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전송 방식에 따라 전송되는 상기 콘텐츠를 수신한다.

Description

적응적 광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ATIONALLY PERFORMING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광 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광 통신 방식을 이용해 적응적으로 통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RF(Radio Frequency) 대역 주파수 고갈, 여러 무선 통신 기술 간의 혼선 가능성, 통신의 보안성 요구 증대, 4G 무선 기술의 초고속 유비쿼터스 통신 환경 도래 등으로 인하여 RF 기술과 상호 보완적인 광무선 기술을 이용하는 광무선 통신에 관한 활발한 연구 및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광무선 통신은 저전력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빛을 이용한 통신이기 때문에 RF(Radio Frequency) 사용이 제한된 병원, 비행기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광무선 통신의 예로, 가시광 통신(VLC: Visible Light Communication), 적외선 통신, 이미지 센서 통신(Image Sensor communication) 등이 있다.
가시광 통신은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을 이용해서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으로, 전송 대역으로 가시광 대역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가시광 대역의 광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며, 기본적으로 1대1통신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적외선 통신은 적외선을 이용해서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으로, 적외선 대역의 빛을 통신의 매개로 사용하는데, 적외선 대역은 비 가시광 대역이므로, 통신 링크 자체가 눈에 보이지 않는다. 적외선 통신은 기본적으로 1대1통신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현재 상용화된 기술이다.
이미지 센서 통신은 가시광 대역 또는 적외선 대역을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며, 광신호의 수신 수단으로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미지 센서의 특성 때문에 이미지 센서 통신은 저속 통신에 유용하며, 여러 개의 신호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M대1의 통신이 가능하다.
각각의 광무선 통신들은 통신 매개체로 빛을 사용하며, 이에 따라 광원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다만 각 통신 방식에 따라 사용되는 LED의 통신 대역은 상이하다.
이러한 광무선 통신이 가능한 광무선 통신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1에 도시하였다. 도1을 참조하면, 가시광 통신 장치는 메모리(11), 제어부(12), 인코더(13), 변조부(14), 송신드라이버(15), LED(Light Emitting Diode)(16), 디코더(18), 복조부(19), 수신드라이버(20), 포토다이오드(photodiode:PD)(17)를 포함한다.
제어부(12)는 가시광 통신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데이터를 처리하고, 인코더(13)와 디코더(18)를 제어하며, 가시광 통신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인코더(13)는 제어부(12)에서 입력되는 송신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변조부(14)로 출력한다. 변조부(14)는 입력되는 송신 데이터를 변조하여 송신 드라이버(15)로 출력한다.
출력 드라이버(15)는 LED(16) 드라이버로서, 변조부(14)에서 입력되는 송신 데이터를 광변조하고 LED(16)를 구동한다.
LED(16)는 광신호를 이용해 송신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달하기 위해 구비되는 발광 소자로서, 출력 드라이버(15)에 의해 구동된다.
포토다이오드(17)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광신호를 감지하는 감광 소자로서, 광원으로부터 수신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수신 드라이버(20)로 출력한다.
수신드라이버(20)는 포토다이오드(21)에 대한 드라이버로서, 포토다이오드(17)의 파장 검출 대역을 조정한다. 그리고 수신드라이버(20)는 포토다이오드(17)에서 입력되는 전기 신호를 복조부(19)로 출력한다.
복조부(19)는 수신드라이버(20)에서 입력되는 전기 신호를 광무선 통신 방식에 따른 데이터로 복조함으로써, 수신 데이터를 디코더(18)로 출력한다.
디코더(18)는 입력되는 수신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제어부(12)로 출력하고, 제어부(12)는 디코더(18)로부터 입력되는 수신 데이터를 적정 처리한다.
메모리(11)는 제어부(1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참조 데이터,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 등을 저장하며, 제어부(12)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시광 통신 장치에서 인코더(13), 변조부(14), 송신 드라이버(15), LED(16)는 송신부에 포함되며, 디코더(18), 복조부(19), 수신 드라이버(20), 포토다이오드(17)는 수신부에 포함된다.
광무선 통신 장치는 기본적으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그 통신 방식에 따라 지원 대역폭이 상이한 LED(16)를 구비하며, 제어부(12)에 의한 데이터 처리 과정이 각 통신 방식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한편, 광신호에 대한 감광 수단으로 사용되는 포토다이오드의 경우 가시광뿐만 아니라 적외선까지 포함하는 넓은 대역폭을 지원한다는 특징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여러 광무선 통신 방식은 빛을 공통적인 통신 매개체로 사용하지만, 통신 방식에 따라 사용 대역폭 또는 데이터에 대한 처리 프로토콜이 상이하기 때문에, 동일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광무선 통신 장치 간에만 통신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이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광무선 통신 장치 간에도 서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하다.
그리고 다양한 방식의 광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장치가 상용화되어 공존함에 따라, 데이터를 서비스하는 입장에서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장치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에 구애되지 않고, 데이터를 서비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비스 환경에 따라 수신측 통신 장치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이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광무선 통신 장치 간에도 서로 통신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데이터를 수신하는 광무선 통신 장치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무선 통신 장치에 최적화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제1광 무선 통신 장치의 광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광 무선 통신들 각각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응답 특성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광 무선 통신들 각각에 이용되는 상기 주파수 대역이 파장 검출 대역으로 설정된 감광 수단을 통해 패킷을 제2 광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패킷의 파장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패킷의 파장이 적외선 파장 대역에 속하면, 적외선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패킷을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패킷의 파장이 가시광 파장 대역에 속하면, 상기 수신된 패킷을 가시광 파장 대역을 이용하는 제1 통신 프로토콜로 처리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패킷을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로 처리할 수 없으면, 상기 수신된 패킷을 가시광 파장 대역을 이용하는 제2 통신 프로토콜로 처리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및 제2 통신 프로토콜들 중 하나가 확인되면, 확인된 통신 프로토콜로 상기 수신된 패킷을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및 제2 통신 프로토콜들 중 하나가 확인되지 않으면, 다음 패킷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광통신 방식을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광 무선 통신 방식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을 상기 데이터 패킷에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에 적용된 통신 프로토콜과 일치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또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광통신 방식을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는 광 신호 수신시, 상기 광 신호의 신호 파장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신호 파장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특정 광 무선 통신 방식을 상기 데이터 패킷에 대응하는 광 통신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특정 광무선 통신 방식이 복수개인 경우, 복수개의 상기 특정 광무선 통신 방식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을 상기 데이터 패킷에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에 적용된 통신 프로토콜과 일치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이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광무선 통신 장치 간에도 서로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광무선 통신 장치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며, 광무선 통신 장치에 최적화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일반적인 광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2는 포토다이오드의 응답 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무선 통신 계층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6 및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응 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응 처리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9 내지 도11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광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방식의 광무선 통신들이 공통적으로 빛을 통신 매개체로 사용한다는 특징과, 감광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포토다이오드가 가시광뿐만 아니라 적외선까지 포함하는 넓은 대역폭을 지원한다는 특징을 이용하여, 상이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광무선 통신 장치 간에도 서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포토다이오드의 응답 특성은 도2와 같다. 도2를 참조하면, 각 파장마다 반응 정도는 상이하지만, 넓은 파장 대역에서 응답 특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때문에 하나의 포토다이오드가 통신 방식이 상이한 여려 광무선 통신들 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적외선 통신, 이미지 센서 통신 등에 의해 전송되는 각각의 광 신호들을 모두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광무선 통신 장치는 감광 수단으로 포토다이오드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광무선 통신 장치는 포토다이오드에 의해 감지된 여러 광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생성된 광 신호들을 구분하고,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가지는 광무선 통신 방식 간에 데이터 처리가 가능할 수 있도록 데이터 메시지의 변환 및 매칭을 담당하는 적응 계층(Adaptation layer) 및 적응 계층 관리/제어 계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새롭게 정의되는 광무선 통신 계층의 예를 도3에 도시하였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시광 통신 프로토콜, 적외선 통신 프로토콜, 이미지센서 통신 프로토콜 간에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계층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무선 통신 계층 구조는 가시광 통신 애플리케이션 계층(101), 이미지 센서 통신 애플리케이션 계층(102), 적외선 통신 애플리케이션 계층(103), 적응 계층(104), 적응 계층 관리/제어 계층(105), 가시광 통신 MAC 계층(106), 이미지 통신 MAC 계층(107), 적외선 통신 MAC 계층(108), 가시광 통신 물리 계층(109), 이미지 통신 물리 계층(110), 적외선 통신 물리 계층(111)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적응 계층 (104)은 서로 다른 광무선 통신, 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적외선 통신, 이미지 센서 통신 등을 하나의 장치에서 가능하도록 위해 필요한 것으로 MAC 계층(106, 107, 108)의 상위에 위치한다. 이 계층에선 필요에 따라 패킷 신호를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맞게 변경 (translation, adaptation) 하여 전달하거나,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받아들여진 패킷 (packet) 신호를 전달하고자 하는 계층의 통신 프로토콜에 맞게 변형 (packet adaptation)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적응 계층 관리/제어 계층(105)의 제어에 따라 적응 계층(104)은 각 통신 방식의 MAC 계층(106,107,108)에서 전달된 데이터 메시지에 대응하는 통신 방식을 확인하고, 해당 통신 방식에 따라 관련 애플리케이션 계층(101,102,103)으로 전달한다. 또는 각 통신 방식의 MAC 계층(106,107,108)에서 전달된 데이터를 다른 방식의 통신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그 포맷을 적정 변경한다. 예를 들어, 적외선 통신 방식에 따른 데이터의 메시지 포맷을 가시광 통신 애플리케이션(101)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변경하고, 가시광 통신 애플리케이션(101)으로 전달하거나, 가시광 통신 방식에 따른 데이터의 메시지 포맷을 이미지센서 통신 애플리케이션(102)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변경한 후 이미지센서 통신 애플리케이션(102)으로 전달한다. 이러한 메시지 포맷의 변경은 데이터의 송신 측에 의한 요청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고, 광무선 통신 장치에 관련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탑재되지 않은 경우에도 이루어질 수 있다.
적응 계층(104)의 제어를 위해 적응 계층 관리/제어 계층(105)이 필요하다. 적응 계층 관리/제어 계층(105)은 적응 계층(104)과 각기 다른 통신 방식의 물리 계층과 MAC 계층을 관리 및 제어하는 계층으로 각기 다른 통신 프로토콜 사용이 가능한지 확인하거나 QoS 등을 확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적응 계층(104)과 적응 계층 관리/제어 계층(105)을 제안함으로써, 하나의 통신 장치가 다양한 광무선 통신 방식 각각에 대응하는 7 계층에 대한 모든 통신 프로토콜을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한 메시지 포맷 변경과 관련된 프로토콜 정보만을 구비한 상태에서도, 하나의 통신 장치에서 다양한 광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가 처리될 수 있게 한다.
다시 말해, 각 광 통신 방식마다 각기 다른 전체 프로토콜을 통신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할 필요 없이 적응 계층(104) 및 적응 계층 관리/제어 계층(105)에서 간단히 각각의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명령어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복수의 프로토콜을 가진 효과를 가지면서도 저장부의 저장 공간의 절약 할 수 있게 된다.
광무선 통신 장치는 그 특성상 송신부의 발광 수단과, 수신부의 감광 수단이 별도의 소자로 구성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송신 방식과 수신 방식이 각기 다른 광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종래에는 두 광무선 통신 방식 각각에 대한 프로토콜 전체가 광무선 통신 장치에 구비돼야 하는 것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광무선 통신 장치가 적응 계층(104) 및 적응 계층 관리/제어 계층(105)을 구비함으로써, 어느 한 광통신 방식의 프로토콜은 그 일부만 구비해도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통신 계층 구조가 적용된 광무선 통신 장치의 예를 도4 및 도5에 도시하였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여러 방식의 광무선 통신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제1광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데이터 수신은 가능하지만, 데이터 송신시에는 단일 방식의 광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제2광무선 통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를 참조하면,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는 제1제어부(210), 제1송신부(220), 제1수신부(230), 제1적응 처리부(240), 제1 메모리(250)를 포함한다.
제1제어부(210)는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제1송신부(220), 제1수신부(230), 제1적응 처리부(240)를 제어하며, 제1메모리(250)를 액세스한다.
제1송신부(220)는 제1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제1제어부(21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인코딩 및 변조하여 송신하며,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가 지원하는 각종 통신 방식에 따른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광무선 통신은 그 종류에 따라 사용하는 파장 대역이 상이하기 때문에, 발광 수단으로 사용하는 LED의 종류도 상이하다. 때문에, 복수의 광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광무선 통신 장치는 각각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LED 및 LED의 구동 소자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제1광무선 장치(200)가 세 가지 종류의 광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것으로 가정하며, 이에 따라, 제1송신부(220)는 제1송신모듈(221), 제2송신모듈(222), 제3송신모듈(223)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송신모듈(221)은 가시광 통신을 지원하는 송신 모듈이고, 제2송신모듈(222)은 적외선 통신을 지원하는 송신 모듈이고, 제3송신모듈(223)은 이미지센서 통신을 지원하는 송신 모듈일 수 있다.
제1제어부(210)는 여러 통신 조건 또는 통신 환경에 따라 상기한 송신 모듈(221,222,223) 중 적정한 통신 모듈을 선택하고, 구동하여 광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수신부(230)는 제1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감광 수단을 통해 광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광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수신 데이터를 제1적응처리부(240)로 출력한다. 제1수신부(230)는 감광 수단으로 예를 들어, 적외선 대역 및 가시광 대역을 커버하는 응답 특성을 가지는 포토다이오드를 구비한다. 그리고 감광 수단, 즉, 포토다이오드의 파장 검출 대역은 각 종 광 무선 통신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제1적응 처리부(240)는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저장하며, 이를 이용하여, 제1수신부(230)에서 입력되는 수신 데이터가 어떤 종류의 광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구성된 것인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제1제어부(210)로 통보한다. 그리고 제1적응 처리부(240)는 수신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여 제1제어부(210)로 전달한다. 또는, 제1적응 처리부(240)는 수신 데이터 패킷에 적용된 통신 방식이 제1광 무선 통신 장치(2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이 아닌 경우, 수신 데이터 패킷의 포맷을 제1광 무선 통신 장치(2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포맷으로 변경하여 제1제어부(210)로 전달한다.
제1제어부(210)는 제1적응처리부(240)에서 통보된 판단 결과에 따라 해당 광무선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입력되는 수신 데이터를 처리하며, 해당 송신 모듈을 구동시킨다.
제1메모리(250)는 제1제어부(2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참조 데이터,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 하드웨어 성능, 소프트웨어 성능 혹은 사양들의 기록, 각종 광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 및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을 저장하며, 제1제어부(21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는 여러 방식의 광무선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시 수신측 광무선 통신 장치가 어떤 방식의 통신을 지원하는지 확인하여, 해당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수신측 광무선 통신 장치가 원하는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5에 도시된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는 데이터 송신시에는 단일 광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장치이지만, 본 발명에 따라, 적응 계층(104) 및 적응 계층 관리/제어 계층(105)의 기능을 담당하는 제2적응 처리부(340)와 제2제어부(310)를 포함하기 때문에, 다양한 방식의 광무선 통신에 따른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는 단일 광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장치에 대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제2제어부(310), 제2송신부(320), 제2수신부(330), 제2적응 처리부(340), 제2메모리(350)를 포함한다.
제2제어부(310)는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제2송신부(320), 제2수신부(330), 제2적응 처리부(340)를 제어하며, 제2메모리(350)를 액세스한다.
제2송신부(320)는 제2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제2제어부(31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인코딩 및 변조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가 지원하는 광무선 통신 방식에 이용하는 파장 대역을 커버하는 LED 및 LED의 구동 소자를 구비한다.
제2수신부(330)는 제2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감광 수단을 통해 광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광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수신 데이터를 제2적응처리부(340)로 출력한다. 제2수신부(330)는 감광 수단으로, 예를 들어, 적외선 대역 및 가시광 대역을 커버하는 응답 특성을 가지는 포토다이오드를 구비한다. 그리고 감광 수단, 즉, 포토다이오드의 파장 검출 대역은 각 종 광 무선 통신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포함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제2적응 처리부(340)는 각종 통신 방식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저장하며, 이를 이용하여, 제2수신부(330)에서 입력되는 수신 데이터가 어떤 종류의 광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구성된 것인지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결과에 따른 통신 방식이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가 지원하는 광무선 통신 방식이면, 수신 데이터를 제2제어부(310)로 출력한다. 만약, 판단결과에 따른 통신 방식이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이 아니면, 수신 데이터의 메시지 포맷을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에서 지원하는 광무선 통신 방식에 따른 메시지 포맷으로 변경한 후에 제2제어부(310)로 출력한다.
제2제어부(310)는 제2적응처리부(340)에서 입력되는 수신 데이터를 처리한다.
제2메모리(350)는 제2제어부(3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참조 데이터,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 하드웨어 성능, 소프트웨어 성능 혹은 사양들의 기록, 각종 광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 및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을 저장하며, 제2제어부(31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제공된다.
상기한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와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는 적응 처리부(240,340)와 제어부(210,310)가 별도의 구성부로 이루어져 있지만, 적응 처리부는 제어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적응 처리부(240,3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수신 데이터 패킷에 대한 처리 과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도6과 도7은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제2광 무선 통신 장치(300)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제1적응 처리부(240)는 패킷 확인부(241)와 패킷 처리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킷 확인부(241)는 제1수신부(230)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 데이터 패킷을 확인하여, 수신 데이터 패킷에 적용된 통신 방식을 확인하고, 패킷 처리부(242)는 패킷 확인부(241)에 의해 확인된 통신 방식에 따라 수신 데이터 패킷을 처리한다.
제1메모리에(250) 세가지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 예를 들어 제1프로토콜, 제2프로토콜, 제3프로토콜이 저장되어 있고, 제1프로토콜은 가시광 통신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이고, 제2프로토콜은 적외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이고, 제3프로토콜은 이미지센서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 가정한다. 이때의 패킷 확인부(241)의 동작 과정을 도8에 도시하였다.
도8을 참조하면,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가 701단계에서 광신호 패킷을 수신하면, 제1적응 처리부(240)는 패킷 확인부(241)를 통해 수신된 패킷에 적용된 통신 방식이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가 지원하는 단수개 혹은 복수개의 광무선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방식인지를 확인 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즉, 패킷 확인부(241)는 제1메모리(250)에 저장된 제1프로토콜 내지 제3프로토콜 각각을 순차적으로 수신 패킷에 적용하여, 해당 수신 패킷을 처리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확인한다.
도8로 돌아가서, 705단계에서, 패킷 확인부(241)는 수신한 신호 패킷을 확인하여 가시광 통신 패킷인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수신 패킷에 적용된 통신 프로토콜이 가시광 통신 프로토콜과 일치하면 패킷 확인부(241)는 707단계에서 가시광 통신 프로토콜을 선택하고, 패킷 처리부(242)를 통해 가시광 프로토콜을 이용해 수신 패킷이 처리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패킷 처리부(242)는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가 가시광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으면 포맷 변경 없이 수신 패킷을 제1제어부(210)로 전달하고, 그렇지 않다면 수신 패킷의 포맷을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에 따른 포맷으로 변경하여 제1제어부(210)로 전달한다.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가 가시광 통신을 지원하는 송신 모듈을 구비한다면, 이후의 통신은 가시광 통신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다.
한편, 패킷 확인부(241)는 가시광 통신 프로토콜로 확인되지 않으면 709단계로 진행하여, 수신한 신호 패킷을 확인하여 적외선 통신 패킷인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수신 패킷에 적용된 통신 프로토콜이 적외선 통신 프로토콜과 일치하면 패킷 확인부(241)는 711단계에서 적외선 통신 프로토콜을 선택하고, 패킷 처리부(242)를 통해 적외선 프로토콜을 이용해 수신 패킷이 처리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패킷 처리부(242)는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가 적외선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으면 포맷 변경 없이 수신 패킷을 제1제어부(210)로 전달하고, 그렇지 않다면 수신 패킷의 포맷을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에 따른 포맷으로 변경하여 제1제어부(210)로 전달한다.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가 적외선 통신을 지원하는 송신 모듈을 구비한다면, 이후의 통신은 적외선 통신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다.
만약, 709 단계에서, 패킷 확인부(241)는 적외선 통신 프로토콜로 확인되지 않으면 713단계로 진행하여, 수신한 신호 패킷을 확인하여 이미지 통신 패킷인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수신 패킷에 적용된 통신 프로토콜이 이미지 통신 프로토콜과 일치하면 패킷 확인부(241)는 711단계에서 이미지 통신 프로토콜을 선택하고, 패킷 처리부(242)를 통해 이미지 프로토콜을 이용해 수신 패킷이 처리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패킷 처리부(242)는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가 이미지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있으면 포맷 변경 없이 수신 패킷을 제1제어부(210)로 전달하고, 그렇지 않다면, 수신 패킷의 포맷을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에 따른 포맷으로 변경하여 제1제어부(210)로 전달한다.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가 이미지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면, 이후의 통신은 이미지 통신을 통해 이루어질 것이다.
만약 상기한 단계에서 통신 프로토콜을 확인하지 못하게 되면, 다시 광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프로토콜을 확인하는 작업을 일정 횟수이상 반복(717단계)한다.
도7은 광무선 통신 장치(200,300)가 광 신호의 수신된 신호의 파장을 확인하여, 어떤 통신 방식에 따른 수신 패킷인지 판별하는 경우의 적응 처리부(240,34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7을 참조하면, 제1적응 처리부(240)는 파장 판별부(245)와 패킷 처리부(246)를 포함한다. 패킷 처리부(246)의 동작은 패킷 처리부(242)와 유사하다.
제1수신부(230)는 광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를 파장 판별부(245)로 보낸다. 파장 판별부(245)는 입력된 광신호의 파장을 확인하여, 가시광 대역의 신호와 적외선 대역의 신호를 구분해 결과를 패킷 처리부(246)로 보낸다. 가시광 대역의 파장은 약 380nm에서 약 780nm로, 적외선 대역은 약 800nm에서 약 900nm 정도이며 파장 판별부(Wavelength detector)(245)에서 구분 가능하다. 파장 판별부(245)부터의 결과를 이용하여 적외선 대역의 신호인지 아닌지 바로 판단한 패킷 처리부(246)는 적외선 통신 프로토콜을 선택하여 수신 패킷을 처리한다.
파장 판별부(245)는 판단 결과, 수신 신호가 가시광 대역의 신호인 경우 가시광 통신일 수도 있고 이미지 센서 통신일 수도 있으므로 도8과 같이, 통신 패킷을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1무선 통신 장치(200)에 이미지 센서통신이 가능한 하드웨어와 통신 프로토콜 기능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가시광 통신과 적외선 통신을 지원한다고 할 때 파장 판별부(1002)를 통해 빠른 통신 방식 선택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광무선 통신 장치는 주변의 광무선 통신 장치와 광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 시작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해당 광무선 통신 장치에서 지원하는 통신 방식 또는 해당 광무선 통신 장치가 원하는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광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상기한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와 종래의 광무선 통신 장치 간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와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 간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 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도9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이렇게 다양한 경우에 이루어지는 광통신 과정을 설명한다. 도9 내지 도11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와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가 종래의 광무선 통신 장치와 통신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종래의 광무선 통신 장치란 적응 처리부를 구비하지 않은 통신 장치로서, 자신이 지원하지 않는 통신 방식의 데이터 처리는 불가능한 장치를 의미한다.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는 다양한 광무선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송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각의 통신 방식에 따라 안내 메시지를 구성하여 브로드캐스팅한다. 이에 따라 주변에 위치한 광무선 통신 장치가 종래의 통신 장치라 하여도, 즉, 적응 처리부를 구비하지 않은 통신 장치라 하여도,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가 지원하는 복수의 광무선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장치라면, 해당 광무선 통신 장치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안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안내 메시지를 수신한 광무선 통신 장치는, 자신이 지원하는 통신 방식에 따라 응답 메시지를 구성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는 해당 통신 방식에 따라 전송하고자 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처리하여 송신함으로써, 광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도9에 도시하였다.
도9를 참조하면, 401과정에서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는 제1송신 모듈(221)을 이용해 안내 메시지를 가시광 통신 패킷으로 구성하여 송신한다. 이때, 주변에 가시광 통신을 지원하는 광무선 통신 장치가 위치한다면, 상기 안내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것이다.
응답 메시지는 제1수신부(230)를 통해 제1적응 처리부(240)로 전달되고, 제1적응 처리부(240)는 403단계에서 응답 메시지의 메시지 포맷을 확인하여 가시광 통신임을 판단한다. 제1적응 처리부(240)의 응답 메시지 확인 과정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에 따라,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는 제1적응 처리부(240)를 통해 수신된 응답이 가시광 통신 응답이라는 것을 확인하게 되고, 405단계로 진행하여 가시광 통신을 수행한다. 즉, 405단계에서 제1송신 모듈(221)을 통해 이후의 광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만약, 일정 기간 동안 가시광 통신 응답이 없으면,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는 407단계로 진행하여 안내 메시지를 적외선 통신 패킷으로 구성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409단계에서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는 상기한 403단계와 유사하게 일정 시간 내에 적외선 통신 응답이 있는지 확인하여, 적외선 통신 응답이 있으면, 411단계로 진행한다.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는 411단계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적외선 통신 방식에 따라 구성하여 송신함으로써, 적외선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409단계에서 적외선 통신 응답이 일정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는 413단계로 진행하여 안내 메시지를 이미지 센서 통신 패킷으로 구성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415단계에서 일정 시간 내에 이미지 센서 통신 응답이 있는지 확인하여, 이미지 센서 통신 응답이 있으면,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는 417단계로 진행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이미지 센서 통신 방식에 따라 구성하여 송신함으로써, 이미지 센서 통신을 수행한다. 만약, 415단계에서 이미지 센서 통신 응답이 일정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는 419단계로 진행하여 전체 대기 시간이 만료했는지 확인하고, 전체 대기 시간이 만료했으면 통신 시도를 중단한다. 전체 대기 시간이 만료하지 않았으면,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는 상기 40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한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도10과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와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 간의 광통신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도10은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것이고, 도11은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가 송신측 장치이고,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가 수신측 장치로 가정한다.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는 제2적응 처리부(340)를 구비하기 때문에, 수신된 안내 메시지의 메시지 포맷이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가 데이터 송신시 지원하는 통신 방식이 아니라 할지라도, 안내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10 및 도11의 실시예에서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의 데이터 송신 방식은 적외선 통신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10을 참조하면,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는 501단계에서 안내 메시지에 지원 통신 방식 정보 및 전송할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안내 메시지를 구성하여 브로드캐스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지원 통신 방식 정보에는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의 지원 가능한 여러 통신 방식의 종류, 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적외선 통신, 이미지센서 통신이 포함되고, 전송할 콘텐츠에 대한 정보에는 콘텐츠의 크기, 종류, 중요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안내 메시지의 메시지 포맷은 지원 가능한 통신 방식들, 예를 들어, 가시광 통신, 적외선 통신, 이미지 센서 통신 중 하나가 된다.
이에 따라,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는 도11의 601단계에서 제2수신부(330)를 통해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제2수신부(330)는 안내 메시지를 제2적응 처리부(340)로 출력한다.
제2적응처리부(340)는 603단계에서 안내 메시지의 메시지 포맷이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가 데이터 송신시 이용하는 통신 방식에 따른 것인지 확인한다. 이는 본 실시예에서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가 한 가지 광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고, 이럴 경우 데이터 송신시 이용하는 통신 방식이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의 주요 통신 방식이기 때문이다. 만약,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기 지원하는 송신 광무선 통신 방식이 복수개라면, 그 중 어느 한 가지가 주요 통신 방식으로 지정될 수 있고, 이 경우, 603단계에서는 안내 메시지 포맷이 지정된 주요 통신 방식인지가 확인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외선 통신 방식에 따른 것인지 확인한다.
605단계에서 확인 결과 적외선 통신 방식에 의한 메시지 포맷을 가진다면, 제2적응처리부(340)는 609단계로 진행하여, 안내 메시지를 그대로 제2제어부(310)로 출력한다. 만약, 적외선 통신 방식에 의한 메시지 포맷이 아니라면, 607단계에서 적외선 통신 방식 프로토콜에 맞게 메시지 포맷을 변경한 후에, 609단계로 진행하여, 안내 메시지가 제2제어부(310)로 전달되게 한다.
제2제어부(310)는 609단계에서 송신측 장치, 즉,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에서 지원 가능한 통신 방식 및 전송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611단계에서 제2제어부(310)는 콘텐츠에 대한 전송 방식을 결정한다. 콘텐츠에 대한 전송 방식은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의 주요 통신 방식, 즉, 적외선 통신으로 결정될 수도 있고, 다른 통신 방식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이는, 제2수신부(330)에 감광 수단으로 구비된 포토다이오드가 어떤 파장 대역의 신호도 수신할 수 있으며, 제2적응 처리부(340)가 적외선 통신 이외의 다른 통신 방식에 따른 메시지 포맷의 데이터를 적정 처리하여 제2제어부(310)에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콘텐츠의 전송 방식을 결정하는 기준은 콘텐츠의 종류, 크기, 중요도, 현재의 통신 환경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할 콘텐츠의 크기가 크다면, 가시광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시광 통신 또는 이미지 통신에 영향을 미치는 간섭 신호가 주변에서 감지된다면 적외선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2제어부(310)는 이러한 현재 여건들을 고려하여 적절한 전송 방식을 결정한다. 당 실시예에서는 콘텐츠의 전송 방식을 가시광 통신으로 결정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후, 613단계에서 제2제어부(310)는 콘텐츠 전송 방식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적외선 통신에 따라 메시지 포맷으로 구성하여 송신한다.
도10으로 돌아와서,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는 상기 613단계에서 송신된 응답 메시지를 503단계에서 수신할 수 있다. 만약, 503단계에서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는 505단계로 진행하여 안내 메시지의 메시지 포맷을 변경하고, 501단계로 진행하여 재전송한다.
한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는 507단계에서 응답 메시지의 메시지 포맷을 확인하고,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콘텐츠 전송 방식을 확인한다.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는 응답 메시지의 메시지 포맷을 확인함으로써, 수신측 통신 장치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이 무엇인지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509단계에서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는 수신측 통신 장치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 및 요청된 콘텐츠 전송 방식에 따른 통신 환경을 설정한다. 당 실시예에서는,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에서의 데이터 수신은 적외선 통신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전송 콘텐츠는 가시광 통신에 따라 송신되도록 통신 환경이 설정될 것이다.
이후, 511단계에서 제1광무선 통신 장치(200)는 콘텐츠를 가시광 통신 방식에 따라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로 송신하고, 이에 따라,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는 615단계에서 콘텐츠를 수신한다.
615단계에서 수신된 콘텐츠의 메시지 포맷은 제2적응처리부(340)에 의해 적외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변경되어 제2제어부(310)에 전달됨에 따라, 콘텐츠는 정상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와 같이 구성되는 광무선 통신 장치 간에 광통신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데이터 송신을 지원하는 통신 방식은 단일 통신 방식이지만, 적응 처리부를 구비하여, 수신 데이터의 메시지 포맷에는 제한을 받지 않는 장치 간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이때, 두 무선 통신 장치의 데이터 송신 방식이 서로 상이하더라도 광통신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송신측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의 안내 메시지에 포함되는 지원 통신 방식 정보에는 송신측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가 지원하는 단일 광무선 통신 방식만이 존재한다. 그리고 수신측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가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에는 콘텐츠 전송 방식으로 송신측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가 지원하는 단일 광무선 통신 방식이 포함된다. 그리고 두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가 통신 환경은 해당 메시지의 정보에 따라 적정하게 설정된다. 다시 말해, 상대 장치에서 송신할 데이터에 대한 통신 방식을 미리 파악하고, 인지함으로써, 실제 콘텐츠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송신측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가 데이터 송신시 가시광 통신방식만을 지원하고, 수신측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는 데이터 송신시 적외선 통신 방식만을 지원한다고 가정하자. 두 장치는 안내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를 교환함으로써, 상대의 데이터 송신 방식을 파악할 수 있고, 그에 따른 통신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측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는 가시광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고, 적외선 통신 방식에 따라 수신측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적응 처리부(34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유효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는 수신측 제2광무선 통신 장치(300)에서도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이한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광무선 통신 장치 간에도 서로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데이터를 수신하는 광무선 통신 장치가 지원하는 통신 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며, 광무선 통신 장치에 최적화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Claims (20)

  1. 제1광 무선 통신 장치의 광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광 무선 통신들 각각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응답 특성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광 무선 통신들 각각에 이용되는 상기 주파수 대역이 파장 검출 대역으로 설정된 감광 수단을 통해 패킷을 제2 광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패킷의 파장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패킷의 파장이 적외선 파장 대역에 속하면, 적외선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패킷을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패킷의 파장이 가시광 파장 대역에 속하면, 상기 수신된 패킷을 가시광 파장 대역을 이용하는 제1 통신 프로토콜로 처리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패킷을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로 처리할 수 없으면, 상기 수신된 패킷을 가시광 파장 대역을 이용하는 제2 통신 프로토콜로 처리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및 제2 통신 프로토콜들 중 하나가 확인되면, 확인된 통신 프로토콜로 상기 수신된 패킷을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및 제2 통신 프로토콜들 중 하나가 확인되지 않으면, 다음 패킷을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광무선 통신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안내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광 무선 통신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하나 이상의 광 무선 통신 중 어느 하나의 광 무선 통신을 콘텐츠 수신 시 이용할 콘텐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 전송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광 무선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콘텐츠 전송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광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광무선 통신 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전송 방식은, 주변에 존재하는 간섭 신호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광무선 통신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메시지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전송 방식은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광무선 통신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제3 광 무선 통신 장치로 전송할 콘텐츠가 존재하면, 상기 제1광무선 통신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광 무선 통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안내 메시지를 구성하여 브로드캐스팅하는 과정과,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안내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콘텐츠 전송 방식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광무선 통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안내 메시지에 대응하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안내 메시지의 메시지 포맷을 변경하여 재전송하는 광무선 통신 방법.
  11. 제1광 무선 통신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광 무선 통신들 각각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응답 특성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광 무선 통신들 각각에 이용되는 상기 주파수 대역이 파장 검출 대역으로 설정되며, 제2 광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는 감광 수단과,
    상기 복수의 광 무선 통신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수신된 패킷의 파장을 확인하고, 상기 수신된 패킷의 파장이 적외선 파장 대역에 속하면, 적외선 통신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상기 수신된 패킷을 처리하고, 상기 수신된 패킷의 파장이 가시광 파장 대역에 속하면, 상기 수신된 패킷을 가시광 파장 대역을 이용하는 제1 통신 프로토콜로 처리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수신된 패킷을 상기 제1 통신 프로토콜로 처리할 수 없으면, 상기 수신된 패킷을 가시광 파장 대역을 이용하는 제2 통신 프로토콜로 처리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제1 및 제2 통신 프로토콜들 중 하나가 확인되면, 확인된 통신 프로토콜로 상기 수신된 패킷을 처리하고, 상기 제1 및 제2 통신 프로토콜들 중 하나가 확인되지 않으면, 다음 패킷을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무선 통신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광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안내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안내 메시지에 기반하여 상기 제2 광무선 통신 장치의 지원 가능한 하나 이상의 광 무선 통신 중 어느 하나의 광 무선 통신을 콘텐츠 수신 시 이용할 콘텐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하고, 상기 콘텐츠 전송 방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2 광 무선 통신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전송 방식에 기반하여 상기 제2광 무선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콘텐츠를 처리하는 광무선 통신 장치.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전송 방식은, 주변에 존재하는 간섭 신호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 광무선 통신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메시지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전송 방식은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광무선 통신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3 광 무선 통신 장치로 전송할 콘텐츠가 존재하면, 상기 제1광무선 통신 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광 무선 통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안내 메시지를 구성하여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안내 메시지에 대응하여 수신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콘텐츠 전송 방식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전송하는 광무선 통신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복수의 서로 다른 광 무선 통신들을 지원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안내 메시지에 대응하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브로드캐스팅된 안내 메시지의 메시지 포맷을 변경하여 재전송하는 광무선 통신 장치.
KR1020110116037A 2010-11-08 2011-11-08 적응적 광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0463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0676 2010-11-08
KR20100110676 2010-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158A KR20120049158A (ko) 2012-05-16
KR102046358B1 true KR102046358B1 (ko) 2019-12-06

Family

ID=46019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6037A KR102046358B1 (ko) 2010-11-08 2011-11-08 적응적 광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114327A1 (ko)
KR (1) KR1020463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20917B (zh) * 2012-08-07 2015-05-27 成都九洲迪飞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适用于各种载波频率的红外传输协议分析方法
GB2568659A (en) 2017-10-16 2019-05-29 Purelifi Ltd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WO2019107578A1 (ko) * 2017-11-28 2019-06-06 조민환 중계 장치, 단말 장치 및 이들의 원격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36232A1 (en) * 2005-08-25 2009-05-28 Ntt Docomo, Inc. Infrare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infrared communication method
US20090208221A1 (en) * 2006-10-23 2009-08-20 Hiroyuki Sasai Optical space transmission system using visible light and infrared ligh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1910B2 (ja) * 1994-07-26 2001-04-25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36232A1 (en) * 2005-08-25 2009-05-28 Ntt Docomo, Inc. Infrared communication apparatus and infrared communication method
US20090208221A1 (en) * 2006-10-23 2009-08-20 Hiroyuki Sasai Optical space transmission system using visible light and infrared l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158A (ko) 2012-05-16
US20120114327A1 (en)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89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obility of a mobile terminal that performs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20100209105A1 (e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20080131140A1 (en) Method for communication link connection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8019230B2 (en) Method for provid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in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JP2003198464A (ja) 光送受信器
US20200195343A1 (en)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daptive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3589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visible signal for data transmission frame in visible-light communication system
US8942254B2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while supporting scalability in communication system
JP201017806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端末、受信端末及びデータの再送方法
US2011031759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program
US20140079397A1 (en) Serially-distributed devic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2046358B1 (ko) 적응적 광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220393767A1 (en)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trans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mode of such a transceiver
EP4179646A1 (en) Trigger-based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957059B2 (ja) 光通信システム用端末装置および基地局
US20050157699A1 (en) Data communications device, data communications system, data communications method, data communications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ontaining computer program
KR20080104663A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무선 랜 시스템에서 통신 링크 연결방법
JPH08340302A (ja) 赤外線空間通信システム
KR20150005693A (ko) 무선 주파수 중계 시스템 및 방법
US87807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op-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248960B2 (en) Data transmission with dynamic modulation scheme and/or transfer rate
CN112751617B (zh) 电子设置及其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JP4653167B2 (ja) 光通信装置および光モジュール
KR101769619B1 (ko) 가시광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2917402A (zh) 一种改进客户端的WiFi控制应用系统及其通讯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