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284B1 -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설치되는 공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설치되는 공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284B1
KR102045284B1 KR1020180054266A KR20180054266A KR102045284B1 KR 102045284 B1 KR102045284 B1 KR 102045284B1 KR 1020180054266 A KR1020180054266 A KR 1020180054266A KR 20180054266 A KR20180054266 A KR 20180054266A KR 102045284 B1 KR102045284 B1 KR 102045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vane
tube
shaft fan
support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도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4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72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설치되는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공조시스템의 관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관 내부의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프로펠러와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축팬, 공조시스템의 관 내부에서 이동하는 관 내부의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베인, 모터의 둘레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가이드베인을 지지하기 위한 모터디쉬 및 축팬 및 가이드베인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축팬 및 가이드베인을 관 내부에서 관 외부로 이동시키거나 유지보수가 끝난 후 축팬 및 가이드베인을 관 외부에서 관 내부로 이동시키는 개폐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공조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설치되는 공조시스템 {HVAC SYSTEM INSTALLED IN A SHIP AND/OR OFFSHORE STRUCTURE}
본 발명은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공조시스템으로 관 내부에 설치되는 축팬 등의 장비를 유지보수하기 위하여 축팬 등의 장비를 관 외부로 이동시키거나 관 외부로 이동된 축팬 등의 장비를 관 내부로 원위치시키는 공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간 2014년 이후 급격한 국제유가의 하락이 있었으나, 중동정세의 불안정과 기 채굴된 셰일유전의 고갈 가능성, 오펙(OPEC)의 감산 등으로 2016년 초부터 지속적으로 국제유가가 오르고 있다.
세계의 인구는 꾸준히 늘고 있고, 또한 생활수준이 전 세계적으로 높아짐에 따라 석유 수요도 또한 늘고 있어서, 세일오일혁명으로 인한 일시적 유가하락에도 장기적인 유가상승은 불가피하다. 육상유전 중 경제성을 확보하여 채굴되는 유전이 고갈되어가면, 해양에서 유전을 개발하는 수 밖에 없는데, 이에 따라 해양구조물 즉 해양플랜트와 이를 지원하기 위한 각종 장비와 관련된 선박의 발주가 차츰 늘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은 대형화될수록, 단위 원유 배럴당 경제성이 커지고 거친 파도나 바다의 급격한 기후변화에도 보다 안전해지기 때문에,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의 대형화는 원유채굴사업을 하는 회사들 에게는 피할 수 없는 선택이 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점점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이 대형화 되어가는 추세에 따라서, 이러한 대형선박이나 대형해양구조물은 크기도 매우 크고 내부도 상당히 복잡하여 작업자들이 여기 저기 흩어져서 일할 때 공조시스템을 통해서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하는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또한, 대형선박이나 대형해양구조물에는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복잡하고 큰 규모의 공조시스템이 설치되는데, 길이가 길고 그 직경이 큰 관이 수평으로도 설치되지만, 수직으로 보다 많이 설치되기 때문에 그 내부의 공기 등 유체의 흐름이 필요한 양만큼 이동하지 않는 경우 그 목적달성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해결하기 위하여 관의 내부에 프로펠러와 모터로 이루어진 축팬을 설치해서 내부의 공기 등 유체를 강제로 이동시켜 선박 전체 또는 해양구조물 전체의 환기를 제어하고 필요한 곳에 필요한 산소농도를 가진 적정한 온도와 습도의 공기를 공급해 줄 수 있다.
이렇게 관내에 설치되는 축팬은 그 수가 매우 많은데, 프로펠러와 모터로 이루어져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하다 보니 축팬을 청소하고, 소모품을 교체하는 등의 유지보수작업이 정기적으로 필요하다.
축팬이 대형이고 관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사람이 관내로 들어가서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경우도 있는데, 위험하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성도 떨어져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요구를 필요로 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공조시스템 및 유지보수를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안전하게 축팬 등의 장비를 외부로 이동시키고 다시 원위치시키는 장치가 요구된다.
또한, 축팬으로 유체를 이동시키면 관 내부의 유체 흐름이 불안정해질 수 있는데, 이를 안정화시키는 장치도 필요하고, 이러한 장치의 유지보수도 함께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공조시스템의 축팬 등 관 내부에 설치되는 장비의 유지보수를 위한 공조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설치되는 공조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공조시스템의 관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관 내부의 유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프로펠러와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축팬과 공조시스템의 관 내부에서 이동하는 관 내부의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베인과 모터의 둘레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가이드베인을 지지하기 위한 모터디쉬 및 축팬 및 가이드베인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축팬 및 가이드베인을 관 내부에서 관 외부로 이동시키거나 유지보수가 끝난 후 축팬 및 가이드베인을 관 외부에서 관 내부로 이동시키는 개폐이동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개폐이동수단은 관의 일부가 포함된 구조체로서 축팬 및 가이드베인과 함께 관 외부로 이동하는 개폐구조체와 결합되어 축팬 및 가이드베인을 지지하기 위한 하중지지수단과 개폐구조체가 관 내부에서 관 외부로 이동될 때, 관 내부에서 관과 하중지지수단에 연결되어 하중지지수단을 지지하는 개폐연결수단 및 개폐구조체를 관 외부로 또는 관 내부로 이동시키는 개폐구동모터를 추가로 제공한다.
또한, 하중지지수단은 지지부와 축팬 및 가이드베인의 하중을 외부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이동부재를 추가로 제공한다.
또한, 개폐연결수단은 내부에 홈을 구비한 외부레일을 추가로 제공하고, 지지부는 축팬이 관 내부에 위치해 있을 때에는 외부레일의 홈 내부에 수용 되어있고, 축팬이 관 외부로 이동할 때에는 축팬의 이동방향으로 함께 이동되는 외부레일의 홈 외부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내부레일을 추가로 제공한다.
또한, 내부레일은 축팬의 모터디쉬에 결합되어 축팬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지지이동부재는 가이드베인의 하부에 연결되어 축팬과 가이드베인의 하중을 외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지지이동부재는 가이드베인의 하부에 연결되어 바닥면에 접촉하여 회전 이동하는 바퀴 및 가이드베인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바퀴로 전달하는 접힘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를 추가로 제공한다.
또한, 내부레일이 외부레일에서 나오거나 외부레일로 들어가는 것을 감지하는 축팬외부이동감지센서와 축팬외부이동감지센서가 감지한 신호에 따라 로드가 가이드베인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펴지거나 또는 다시 접히도록 명령을 내리는 콘트롤러 및 콘트롤러의 명령에 따라 로드가 펴지거나 접히도록 하는 로드구동수단을 추가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설치되는 공조시스템에 의하면, 유지보수를 위하여 축팬에 의하여 관 내부의 유체가 이동할 때 가이드베인에 의하여 유체의 흐름이 원활해질뿐만 아니라, 가이드베인이 고정되는 모터디쉬가 축팬을 지지하여 유지보수작업이 필요할 때 외부로 이동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확고하게 할 수 있고, 가이드베인에 바퀴와 로드로 이루어진 지지이동부재를 설치하여 지지이동부재의 부재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공조시스템의 축팬이 관 내부에 있는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공조시스템의 축팬이 관 내부에 있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공조시스템의 축팬이 관 내부에 있는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공조시스템의 축팬이 관 외부로 이동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공조시스템의 축팬이 관 외부로 이동한 상태의 좌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공조시스템의 축팬의 모터 주위에 결합된 모터디쉬에 가이드베인이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공조시스템의 축팬외부이동감지센서가 축팬이 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여 콘트롤러가 로드구동수단을 구동시켜 로드가 펴지거나 접히도록 작동시키는 구성요소간 관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공조시스템의 축팬(4)이 관 내부에 있는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공조시스템은 프로펠러(2)와 모터(3)를 포함하는 축팬(4), 개폐구조체(8), 지지부(12)와 지지이동부재(13)를 포함하는 하중지지수단(9), 개폐구동모터(11), 개폐연결수단(10) 및 가이드베인(5)을 포함할 수 있다.
관 내부에서 관 내부의 공기 등 유체의 흐름을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공기를 이동시키는 프로펠러(2)와 프로펠러를 구동하는 모터(3)로 이루어진 장치를 축팬(4)이라 한다.
축팬은 점차 대형화되고 있는 선박 또는 해양플랜트에서는 공조시스템을 구성하는 관내에 다수가 설치된다.
특히 공조시스템의 관이 수직인 경우이며, 위쪽으로 유체가 이동하게 하기 위해서는 축팬(4)이 필요할 수 있다.
관 내부의 축팬(4)은 자주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내부 부품이 망가지는 경우에는 수리를 하기 위하여 부품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며, 소모품을 보충해주어야 한다.
특히, 관내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을 때는 축팬(4)을 먼저 점검해야 한다. 이러한 축팬(4)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관의 일부를 열어서 축팬을 외부로 꺼내서 유지보수를 하게 되는데, 이는 작업자가 관 내부로 들어가는 경우 불편해서 업무가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관의 내부에서 추락할 위험도 있기 때문이다.
가이드베인(5)은 축팬(4)에 의하여 관 내부에서 이동되는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고정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관 내부에서 방사형으로 다수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베인(5)은 모터디쉬에 설치되는데, 모터디쉬는 모터의 둘레에 설치될 수 있는 구조물이다.
또한, 지지이동부재(13)는 가이드베인(5)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안테나방식의 접힘 가능하게 설치되어 축팬(4)이 관 내부에 있을 때에는 접혀 있고, 축팬(4)이 관 외부로 이동될 때에는 로드가 펴져서 끝의 바퀴 부분이 유지보수작업데크에 접촉하여 축팬(4)의 하중을 유지보수작업데크로 전달할 수 있다.
이는 지지부(12)가 지지하는 축팬(4)의 하중의 일부를 경감시킴으로써, 지지부가 구조적으로 단면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막고, 축팬의 이동과정에서 하중을 받는 부재들의 변형을 방지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개폐구동모터(11)는 지지부(12)와 개폐연결수단(10) 사이에서 지지부(12)를 축팬(4)과 함께 관 외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공조시스템의 축팬이 관(1) 내부에 있는 상태의 평면도로서, 도1에서 표시하는 A-A단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의 내부에서 축팬은 내부레일(15)의 위에서 지지될 수 있다. 내부레일(15)은 외부레일(14)의 홈 안에 수용되어 있고, 외부레일(15)은 관에 연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내부레일(15)과 외부레일(14)은 관(1)과 개폐구조체(8)에 연결되어 있고, 축팬의 모터의 둘레에는 링 모양의 모터디쉬(6)가 결합될 수 있다.
모터디쉬(6)의 둘레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가이드베인(5)이 결합될 수 있는데, 가이드베인(5)은 판 형태의 구조물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판의 일 측면이 모터디쉬(6)의 둘레에 결합되어 있고, 내부레일(15)과 외부레일(15)이 지나가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판은 수직으로 일정한 반지름을 가진 호를 이루는데, 이는 도6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공조시스템의 축팬이 관 내부에 있는 상태의 평면도로서, 도1에서 표시하는 B-B단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내부레일(15)은 외부레일(14)의 홈에 수용되어 있고, 내부레일(15)과 외부레일(16)사이에는 개폐구동모터(11)가 구비될 수 있다.
개폐구동모터(11)는 유지보수를 위하여 축팬과 가이드베인을 관(1)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전기를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켜, 내부레일(15)을 외부레일(14)로부터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내부레일(15)은 축팬과 가이드베인과 함께 관(1) 외부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공조시스템의 축팬이 관 외부로 이동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내부레일(15)이 외부레일(14)의 홈에서 벗어나서 관 외부로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내부레일(15)위에 결합되어 있는 모터디쉬(6)가 축팬과 가이드베인을 지지해서 관 외부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수평이동되면, 작업자는 유지보수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공조시스템의 축팬이 관 외부로 이동한 상태의 좌측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공조시스템을 좌측에서 바라본 단면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내부레일(15)이 모터디쉬의 하단에서 결합되어, 축팬 및 개폐구조체, 가이드베인을 지지하며 관 외부로 이동시키는 모습이다.
이때 내부레일만으로 지지하면, 축팬과 개폐구조체 등의 하중으로 인하여 내부레일(15)이나 외부레일(14)에 변형이나 파손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막기위하여 지지이동부재(13)가 축팬과 개폐구조체의 하중의 일부를 지지하여 유지보수작업데크(20)로 전달함으로써 변형이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지지이동부재(13)는 로드(17)와 바퀴(16)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로드(17)는 길이가 가변적인 형태가 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길이를 가변적인 형태로 구성하기 위하여 안테나방식의 접힘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지지이동부재(13)는 관 내부에서는 가이드베인 내부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는데, 축팬과 가이드베인이 관 외부로 개폐구동모터(11)에 의하여 이동할 때는 축팬외부이동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공조시스템의 축팬의 모터 주위에 결합된 모터디쉬에 가이드베인이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모터디쉬는 원형의 구조체로 모터의 둘레에 결합된다.
가이드베인은 판 형상으로 관의 길이방향으로 판이 수직으로 배열되며 다수의가이드베인이 모터디쉬에 방사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된다.
또한, 가이드베인은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기 위하여 일 측면은 모터디쉬에 고정결합되고, 다른 일 측면은 관 내부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추가적인 구조적 안정성을 더하기 위하여 가이드베인 상호간에 로드를 연결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각각의 가이드베인은 관 내부를 이동하는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유체역학적 계산을 통하여 가장 최적화된 곡면을 계산하여 그 곡률을 정할 수 있다.
가이드베인은 내부레일 및 외부레일과 겹치는 부분은 그 구조를 생략하여 축팬 및 가이드베인이 관 외부로 또는 관 내부로 이동할 때의 간섭을 제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공조시스템의 축팬외부이동감지센서가 축팬이 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여 콘트롤러가 로드구동수단을 구동시켜 로드가 펴지거나 접히도록 작동시키는 구성요소간 관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축팬외부이동감지센서(18)는 축팬이 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는 축팬과 가이드베인이 관으로부터 상대적 거리를 감지하는 방식일 수도 있고, 내부레일과 외부레일사이에 가압센서를 설치하여 내부레일이 외부레일의 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압력이 사라지면 이에 따라서 축팬이 이동되는 것으로 인식하는 감지방식일 수도 있다.
축팬외부이동감지센서(18)가 축팬이 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감지하면, 이를 콘트롤러에 알린다. 콘트롤러는 축팬외부이동감지센서(18)로부터 축팬이 외부로 이동된다는 신호를 받으면 지지이동부재(13)에 로드를 펼칠 것을 명령한다.
이러한 명령을 받은 지지이동부재(13)의 로드(17)는 펼쳐지면서 바퀴(16)가 유지보수작업데크에 닿을 때까지 길이를 늘린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관 2: 프로펠러
3: 모터 4: 축팬
5: 가이드베인 6: 모터디쉬
7: 개폐이동수단 8: 개폐구조체
9: 하중지지수단 10: 개폐연결수단
11: 개폐구동모터 12: 지지부
13: 지지이동부재 14: 외부레일
15: 내부레일 16: 바퀴
17: 로드 18: 축팬외부이동감지센서
19: 콘트롤러 20: 유지보수작업데크

Claims (8)

  1.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설치되는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조시스템의 관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관 내부의 유체를 이동시키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축팬;
    상기 관 내부의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가이드베인; 및
    상기 축팬 및 상기 가이드베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관 내부에서 상기 관 외부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관 외부에서 상기 관 내부로 이동시키는 개폐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이동수단은
    상기 축팬 및 상기 가이드베인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상기 관 외부로 이동하는 개폐구조체;
    상기 개폐구조체와 결합되어 상기 축팬 및 상기 가이드베인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하중지지수단; 및
    상기 축팬 및 상기 가이드베인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관 내부에 있을 때 또는 상기 관 외부로 이동될 때, 상기 관 내부에서 상기 관과 상기 하중지지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중지지수단을 지지하는 개폐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하중지지수단은 지지부와 상기 축팬 및 상기 가이드베인 중 적어도 하나의 하중을 외부로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이동수단은
    상기 축팬 및 상기 가이드베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관 외부로 또는 상기 관 내부로 이동하는 개폐구동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조시스템은,
    상기 모터의 둘레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베인을 지지하는 모터디쉬를 더 포함하는 공조시스템.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연결수단은 내부에 홈을 구비한 외부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축팬이 상기 관 내부에 위치한 때에는 상기 외부레일의 상기 홈 내부에 수용 되고, 상기 축팬이 상기 관 외부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외부레일의 상기 홈 외부로 이동되는 내부레일을 포함하는 공조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레일은 상기 축팬의 상기 모터디쉬에 결합되어 상기 축팬을 지지하는 공조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베인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축팬과 상기 가이드베인의 하중을 외부로 전달하는 공조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이동부재는 바닥면에 접촉하여 회전 이동하는 바퀴; 및
    상기 가이드베인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바퀴로 전달하며, 접힘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드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축팬 및 상기 가이드베인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관 외부로의 이동여부를 감지하는 축팬외부이동감지센서;
    상기 축팬외부이동감지센서가 감지한 신호에 따라, 상기 로드가 상기 가이드베인으로부터 접힘여부를 결정하는 콘트롤러; 및
    상기 콘트롤러의 결정에 따라 상기 로드를 접거나 펴는 로드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공조시스템.
KR1020180054266A 2018-05-11 2018-05-11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설치되는 공조시스템 KR102045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266A KR102045284B1 (ko) 2018-05-11 2018-05-11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설치되는 공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266A KR102045284B1 (ko) 2018-05-11 2018-05-11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설치되는 공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284B1 true KR102045284B1 (ko) 2019-11-15

Family

ID=68578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266A KR102045284B1 (ko) 2018-05-11 2018-05-11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설치되는 공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2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28U (ja) * 1991-03-01 1993-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20110138053A (ko) * 2010-06-18 2011-1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통풍팬
KR20140054655A (ko) * 2012-10-29 2014-05-09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KR20180005376A (ko) * 2016-07-06 2018-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내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28U (ja) * 1991-03-01 1993-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20110138053A (ko) * 2010-06-18 2011-1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통풍팬
KR20140054655A (ko) * 2012-10-29 2014-05-09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KR20180005376A (ko) * 2016-07-06 2018-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내기 및 그것을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2477B2 (en) BWR inspection manipulator
RU252911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ема и переработки жидкостей, включая плавучий объект, снабженное одноточечной системой постановки на мертвый якорь
KR102045284B1 (ko)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설치되는 공조시스템
US89847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rotating a turbine shell
JP7348938B2 (ja) 炉心シュラウドを検査するための遠隔操作ビークル、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910659B1 (ko) 자동화된 선미 반류 계측 시스템
CN207248259U (zh) 一种浮子流量计
TWI518705B (zh) 爐心側板焊接檢驗系統及方法
JP2017512293A (ja) ウォータパイプを構成するモジュール式セクションおよびそのようなセクションを備えたウォータパイプならびにそのようなウォータパイプを備えた海洋熱エネルギーシステム
CN104963638A (zh) 一种气体钻井排砂管线的新型支撑装置
KR20150038571A (ko) 탱크 등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 시스템
CN207417078U (zh) 一种卷筒式舷外海水提升塔
JP5705105B2 (ja) 水力発電装置
KR102008610B1 (ko)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 설치되는 공조시스템 및 이의 유지보수방법
US4221504A (en) Stabilization of subsea riser pipes having free lower ends
CN203728485U (zh) 一种核反应堆压力容器检查升降定位平台
CN106089109A (zh) 一种管束式立管结构组件
CN102072107A (zh) 机舱和仪表的布置
US2336140A (en) Shipping dock for variable waterlevel usage
RU265389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текучих сред между судном и турелью, установленной на этом судне
CN102829274A (zh) 多通道流体旋转接头
GB2482676A (en) System intended to generate power from sea, lakes etc.
JP6382567B2 (ja) 太陽熱集熱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CN206503785U (zh) 柜式离心风机
US5640918A (en) Device for spherical ship's tan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