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621B1 -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 - Google Patents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4621B1 KR102044621B1 KR1020180014753A KR20180014753A KR102044621B1 KR 102044621 B1 KR102044621 B1 KR 102044621B1 KR 1020180014753 A KR1020180014753 A KR 1020180014753A KR 20180014753 A KR20180014753 A KR 20180014753A KR 102044621 B1 KR102044621 B1 KR 1020446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support
- piece
- worker
- intertidal
- Prior art date
Links
- 206010049565 Muscle fatigue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29 di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NAWXUBYGYWOOIX-SFHVURJKSA-N (2s)-2-[[4-[2-(2,4-diaminoquinazolin-6-yl)ethyl]benzoyl]amino]-4-methylidenepentanedio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2=NC(N)=NC(N)=C2C=C1CCC1=CC=C(C(=O)N[C@@H](CC(=C)C(O)=O)C(O)=O)C=C1 NAWXUBYGYWOOIX-SFHVURJK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424 Crust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413 Octop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0/00—Harvesting oysters, mussels, sponge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9/00—Hand-held gripping too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 B25B7/00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야간에 관계없이 조간대에 서식하는 어패류의 수렵 및 채집이 용이하도록 하는 수렵 및 채집 수단과 사용자의 안전한 수렵 및 채집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안전 수단이 구비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는 중공의 다각형 또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단에 램프모듈과 스마트 디바이스 연동모듈이 구비되는 몸체; 한 쌍의 지지편과 집게편, 다수의 갈퀴로 이루어진 집게부; 생체신호센서가 구비되는 손잡이, 상기 집게부를 동작시키는 레버, 상기 몸체와 연결되고 내부에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제1연결체, 작업자의 근피로를 방지하기 위한 받침판, 상기 받침판과 연결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상기 손잡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체가 구비되는 조작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는 중공의 다각형 또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단에 램프모듈과 스마트 디바이스 연동모듈이 구비되는 몸체; 한 쌍의 지지편과 집게편, 다수의 갈퀴로 이루어진 집게부; 생체신호센서가 구비되는 손잡이, 상기 집게부를 동작시키는 레버, 상기 몸체와 연결되고 내부에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제1연결체, 작업자의 근피로를 방지하기 위한 받침판, 상기 받침판과 연결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상기 손잡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체가 구비되는 조작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야간에 관계없이 조간대에 서식하는 어패류의 수렵 및 채집이 용이하도록 하는 수렵 및 채집 수단과 사용자의 안전한 수렵 및 채집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안전 수단이 구비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간대 저서 생물 중 식량 자원으로써의 가치와 경제성이 있는 어패류 및 갑각류에는 전복, 소라, 조개, 게, 망둥어 및 낙지 등이 있다. 전술한 생물의 수렵 및 채집은 조간대의 지형적 특성 상 작업자가 직접 투입되어 수렵 및 채집 행위의 주체가 되어야하므로 효율적인 포획 장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종래의 포획 장치 구성은 손잡이 레버의 동작에 대응하여 몸체 단부에서 힌지로 연결된 집게편이 동작하는 단순한 구성이 대부분으로 수렵 및 채집 효율을 증대시키기거나 작업자의 근피로(muscle fatigue)를 개선하기 위한 구성이 적용된 장치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작업자 친화적인 포획 장치를 제안하고자 하며, 또한 작업자가 소지한 스마트 디바이스와 포획 장치가 상호 연동되어 GPS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가 이동 중인 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거나 간조와 만조 시간 등의 조간대 환경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과 유사한 선행기술에는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0585호 ‘복합 용도 포획기’가 있다. 상기 유사 선행기술에서는 메인 스틱; 상기 메인 스틱의 선단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집게바디; 상기 한 쌍의 집게바디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집게바디를 다른 하나의 집게바디 쪽으로 좁혀지도록 작동시키는 그립 가동레버; 상기 집게바디의 선단부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좁혀지도록 연장된 한 쌍의 그립 지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합 용도 포획기를 개시하고 있다.
다른 선행기술에는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6493호 ‘다용도 집게’가 있다. 상기 유사 선행기술에서는 중공의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일측 단부에는 결합통공이 관통 형성된 작동봉과,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용수철을 고정 배치할 수 있으며 작동레버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손잡이와,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형성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에 작동봉과 함께 힌지 결합되는 집게편과, 상기 손잡이 일측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작동봉의 단부와 연결되어 작동봉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 동작시키 작동레버와, 상기 손잡이 내측에 수용되며 전진 동작한 작동봉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용수철을 포함하고, 작동레버는 작동봉과 연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다용도 집게를 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에는 3)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0601호 ‘영상을 이용한 어패류 및 수중생물 수집 장치’가 있다. 상기 유사 선행기술에서는 영상 장치를 이용하여 수중 환경을 확인하면서 조정장치로 수집 뭉치를 이동시키며 원하는 위치에서 어패류 및 희귀 광물질 등을 수집하고 강한 스프링의 팽창력을 이용하여 파이프 해머가 충격판을 가격하고 이에 추진력을 얻고 발사된 화살 추가 작살 역할을 함과 동시에 강한 추진력을 갖고 있는 다수의 화살 추가 그물망을 넓게 확산시켰다가 그물망의 꼬리 줄에 구속되어 가운데를 구심점으로 오므라들며 중력에 의해 아래로 가라앉으며 그물망 안의 어류 등을 포획하는 어망장치가 구비되고 카메라가 물속 아래 방향을 향하게 하여 수집 집게의 끝단을 보이게 하며 원하는 물질을 발견하였을 때 원하는 위치로 조정 이동하고 집게가 펼쳐진 채로 원하는 물질을 감싸게 한 후 솔레노이드를 동작하여 집게가 오므라들게 하여 물질을 수집하는 수집 집게로 구성되는 수집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는 포획 장치와 스마트 디바이스가 실시간으로 상호 연동되고; GPS 기반으로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있으며; 간조와 만조 정보를 제공받아서 작업자의 조난을 사전에 방지하며; 수렵 및 채집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집게 갈고리 형상, 광원 모듈 및 사용자 신체 보호 기능 모듈이 더 추가된 기술적 수단이 제안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발명의 배경으로부터 요구되는 기술적 필요성을 충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에서 수렵 및 채집 효율을 증대시키기거나 작업자의 근피로를 개선하여 작업자 친화적인 포획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고, 작업자가 소지한 스마트 디바이스와 포획 장치가 상호 연동되어 GPS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가 이동 중인 경로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거나 간조와 만조 시간 등의 조간대 환경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포획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는 중공의 다각형 또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단에 램프모듈과 스마트 디바이스 연동모듈이 구비되는 몸체; 한 쌍의 지지편과 집게편, 다수의 갈퀴로 이루어진 집게부; 생체신호센서가 구비되는 손잡이, 상기 집게부를 동작시키는 레버, 상기 몸체와 연결되고 내부에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제1연결체, 작업자의 근피로를 방지하기 위한 받침판, 상기 받침판과 연결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상기 손잡이를 연결하는 제2연결체가 구비되는 조작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포획 장치가 작업자 친화적인 형태로 구성되어 작업자의 근피로를 개선하여 수렵 및 채집 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고, 포획 장치와 스마트 디바이스가 실시간으로 상호 연동되어 GPS 기반으로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아 이동경로를 추적하여 조난 시 구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작업자가 실시간으로 간조와 만조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수렵 및 채집 활동의 안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의 집게편이 벌어져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의 집게편이 오므려져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게편이 벌어져 있는 상태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게편이 오므려져 있는 상태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연동모듈의 세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의 집게편이 오므려져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게편이 벌어져 있는 상태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게편이 오므려져 있는 상태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연동모듈의 세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는 중공의 다각형 또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단에 램프모듈(110)과 스마트 디바이스 연동모듈(120)이 구비되며 내부에 작동봉을 수용하는 몸체(100)와 한 쌍의 지지편(210)과 집게편(220), 다수의 갈퀴(230)로 이루어진 집게부(200)와 생체신호센서(310a)가 구비되는 손잡이(310), 상기 집게부(200)를 동작시키는 레버(320), 상기 몸체(100)와 연결되고 내부에 탄성부재(도면 미도시)가 수용되는 제1연결체(330), 작업자의 근피로를 방지하기 위한 받침판(340), 상기 받침판(340)과 연결되는 지지대(350), 상기 지지대(350)와 상기 손잡이(310)를 연결하는 제2연결체(360)가 구비되는 조작부(300)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의 구성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100)는 중공의 다각형 또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장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몸체(100)의 일단에는 집게부(200)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100)의 타단에는 조작부(300)가 구비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램프모듈(110)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스마트 디바이스 연동모듈(120)이 구비된다.
상기 램프모듈(110)은 발광 다이오드 기반의 광원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광원의 조사 방향은 상기 집게부(200) 방향으로 빛이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광원 조사 방향을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램프모듈(110)의 하부측에 회전 가능한 램프모듈용 회전수단을 더 구비하여 광원 조사각 방향을 360도 범위 내에서 작업자가 원하는 조사각 방향을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램프모듈(110)은 자체적으로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후술할 스마트 디바이스 연동모듈(120)에 내장된 전원공급모듈(12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내부에는 작동봉(도면 미도시)을 수용하고 있으며 상기 작동봉은 후술한 탄성부재와 연결되어 있어서 집게부(200)의 벌리고 오므리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기계적 구성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6493호 ‘다용도 집게’의 선행기술에서 제시된 기술적 형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연동모듈(120)은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관제 서버로 송신하기 위한 GPS모듈(121); 작업자의 이동 방향과 가속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3축 가속도계 모듈(122); 작업자가 수렵 및 채집 중인 조간대의 지도 및 지형 정보와 조석주기, 일주조, 반일주조, 간만, 간조, 만조, 밀물, 썰물, 바다날씨, 실시간 연안정보, 항만정보, 바다갈라짐의 조간대 통합 환경 정보 등이 내재된 데이터베이스모듈(123); 상기 관제 서버와 실시간으로 상호 통신하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모듈(123)에 내재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하기 위한 통신모뎀모듈(124); 충전식 배터리 또는 일회용 배터리가 사용되는 전원공급모듈(125); 유사 시 작업자 또는 구조자에게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는 경고음 발생용 스피커모듈(126);과 경고등 점멸모듈(127)이 구비된다.
상기 경고음 발생용 스피커모듈(126)과 경고등 점멸모듈(127)은 작업자가 수렵 및 채집 활동이 위험한 것으로 판단되는 시간, 즉 밀물 시간 도래 또는 안전사고가 예상되는 지역으로 이동하는 등의 유사 상황에 대해서 사전에 고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뎀모듈(124)을 통해서 위험 경보가 발령된 시각과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관제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GPS 모듈(121)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GPS 수신이 불가능한 지역에서는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단점을 극복하고 위치 정보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GPS 모듈(121)은 칼만 필터(Kalman filter)를 적용하여 작업자가 수렵 및 채집 활동을 위하여 불규칙적으로 이동하는 것에 기인한 불규칙적 가속도 정보 노이즈(noise)를 제거한 상기 3축 가속도계 모듈(122)과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작업자의 이동은 도보를 포함한 모든 이동 수단이 고려되는 경우로써 소형 선박류 등을 이용하거나 이륜 또는 사륜 모터사이클 등의 모든 이동수단이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칼만 필터는 효율적인 무한 임펄스 응답 필터로서, 가우시안 노이즈를 갖는 선형 동적 시스템에 대한 최적의 예측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에 동작 예측 분야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기법 중의 하나이다. 상기 칼만 필터는 동적 시스템의 상태를 추정하기 위하여 오차 관측 값을 이용하며 수신 장애나 약한 신호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고 신호와 노이즈의 분리도가 우수하며 컴퓨터로 쉽게 구현 가능한 일반화된 회귀 알고리듬을 제공하므로 가속도계의 노이즈를 제거하는데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의 3축 가속도계 모듈(122)로 수렵 및 채집 중인 작업자의 위치 이동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가속도계의 방향과 무관하게 작업자의 이동 방향 및 가속도 정보를 검출할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3축 가속도계 모듈(122)의 좌표를 진행 및 구심 가속도로 표현되는 동체 좌표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상기 3축 가속계 모듈(122)로부터 입력 받은 X, Y, Z축 가속도의 크기를 각각 , , 라 하고 Y축을 기준으로 회전한 각도를 라 할 때, 중력 가속도 영향을 제외한 X축과 Z축 가속도의 합벡터 크기 는 다음의 수식(1) 및 수식(2)로 정리할 수 있다.
중력 가속도의 영향을 제외하고 작업자 진행 방향에 미치는 가속도의 크기는 다음의 수식(3) 및 수식(4)로 구할 수 있다.
작업자가 소형 보트 또는 이륜 및 사륜 모터사이클 등의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이동 시, 선회 운동을 하는 경우에 구심력이 작용하는데, 상기 구심력은 속도의 방향만을 변화시키고 그 크기는 변화시키지 않으며 직선 운동과 마찬가지로 가속도계에는 진행 방향과 반대되는 힘인 원심력이 작용하는 것처럼 나타난다.
다음의 수식(5)에서 등속 원운동의 회전 주기는 속도 벡터가 a의 가속도 방향을 바꾸어 원래의 방향으로 돌아오는 시간과 같다. 즉, 속도와 구심 가속도를 이용하면 선회 반경 r을 얻을 수 있고, 시간 t 동안 변경된 진행 방향 는 수식(6)으로 계산할 수 있다.
정북 방향을 지시할 때 0도가 되는 진행 방향 h와 속도 v로 작업자가 이동하는 경우 위도 와 경도 의 변화는 수식(7)과 수식(8)로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위도 1도의 거리는 111km이고, 경도 1도의 거리는 위도에 따라 로 가정한다.
상기 GPS 모듈(121)과 상기 3축 가속도계 모듈(122)의 통합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3축 가속도계 모듈(122)로부터 입력되는 값은 가속도계 자체의 노이즈와 작업자의 이동과정에 의한 불규칙한 노이즈가 포함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 칼만 필터를 적용한다. 상기 GPS 모듈(121)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물체가 정지한 것을 감지하였을 때, 순수한 중력 가속도가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가속도계의 3축 값을 동체 좌표로 변환하여 진행 및 구심 방향 가속도를 결정한다. GPS 위치를 토대로 속도 와 가속도 는 참조 값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다음의 수식(9)와 수식(10)으로 미리 계산한다.
칼만 필터에 의한 지연 효과와 지면의 기울기 보정을 위해 k시간 이후의 가속도 입력 시간을 j라 했을 때, GPS를 이용한 가속도와의 차이인 기준값 를 결정하고 진행 방향 속도 및 진행 방향의 각속도 , 위도와 경도의 예측 오차 , 및 예측된 위도 와 경도 를 다음의 수식(11), 수식(12), 수식(13), 수식(14), 수식(15) 및 수식(16)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계산한다.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는 작동봉(도면 미도시)이 수용되어 있으며 평상시에는 상기 집게부(200)가 벌어져 있는 상태로 이는 후술하게 될 조작부(300) 내의 탄성부재(도면 미도시)가 수축된 상태이다. 상기 조작부(300)를 작업자가 조작할 시, 상기 탄성부재(도면 미도시)가 이완되면서 상기 집게부(200)가 오므려지는 상태로 전환되는 것으로 이에 대한 기계적 구성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6493호 ‘다용도 집게’의 선행기술에서 제시된 기술적 형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집게부(200)는 한 쌍의 지지편(210), 집게편(220)이 구비되고 상기 집게편(220)에는 다수의 갈퀴(2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지지편(210)은 제1지지편(211)과 제2지지편(212)로 구성되는데 힌지공(213)과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힌지공(213)을 중심으로 상기 제1지지편(211)과 상기 제2지지편(212)이 벌어지고 오므려지는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한 세부 동작은 전술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6493호 ‘다용도 집게’의 선행기술에서 제시된 기술적 형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기로 한다.
상기 집게편(220)도 제1집게편(221)과 제2집게편(222)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집게편(221)은 상기 제1지지편(211)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집게편(222)은 상기 제2지지편(212)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집게편(221)과 상기 제2집게편(222)의 측면부를 따라서 다수의 갈퀴(230)가 형성되는데 저서 생물의 포획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집게편(221)과 상기 제2집게편(222)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갈퀴(230)의 길이보다 전단부에 형성되는 갈퀴(230)의 길이가 더 긴 형태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집게편(221)에 형성되는 갈퀴(230)와 제2집게편(222)에 형성되는 갈퀴(230)의 배치를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하거나 비대칭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제1지지편(211)과 상기 제2지지편(212)이 오므려지는 동작 시에 상기 갈퀴(230)들이 더욱 잘 맞물리는 형태가 될 수 있도록 상기 갈퀴(230)의 말단부는 각진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조작부(300)는 생체신호센서(310a)가 구비되는 손잡이(310), 상기 집게부(200)를 동작시키는 레버(320), 상기 몸체(100)와 연결되고 내부에 탄성부재(도면 미도시)가 수용되는 제1연결체(330), 작업자의 근피로를 방지하기 위한 받침판(340), 상기 받침판(340)과 연결되는 지지대(350), 상기 지지대(350)와 상기 손잡이(310)를 연결하는 제2연결체(360)가 구비되는 조작부(300)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310)에 구비되는 상기 생체신호센서(310a)는 작업자의 혈압과 체온 등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의 신체 상태를 감지하여 유사 상황 발생 시 경보 신호를 상기 통신모뎀모듈(124)로 전달하여 관제 서버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손이 상기 손잡이(310)와 일정 시간 이상 접촉이 없는 것으로 감지되면 유사 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고음 발생용 스피커모듈(126)과 경고등 점멸모듈(127)을 가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레버(320)는 작업자가 쥐는 동작을 취하면 상기 제1연결체(330)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탄성부재(도면 미도시)가 이완되면서 상기 제1집게편(221)과 상기 제2집게편(222)이 오므려들면서 저서 생물을 수렵 및 채집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한 세부 동작은 전술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16493호 ‘다용도 집게’의 선행기술에서 제시된 기술적 형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기로 한다.
상기 받침판(340)은 작업자가 장시간 수렵 및 채집활동 시 손목, 팔목, 어깨 등에 발생하는 근피로를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310)에 연결된 상기 제2연결체(360)에 상기 지지대(350)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350)에 상기 받침대(340)가 연결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받침판(340), 상기 지지대(350) 및 상기 제2연결체(360)의 외부면에는 작업자의 근피로를 더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력 또는 쿠션감이 있는 표피 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변형 및 개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몸체
110 : 램프모듈
120 : 스마트 디바이스 연동모듈
121 : GPS모듈
122 : 3축 가속도계모듈
123 : 데이터베이스모듈
124 : 통신모뎀모듈
125 : 전원공급모듈
126 : 경고음 발생용 스피커모듈
127 : 경고등 점멸모듈
200 : 집게부
210 : 지지편
220 : 집게편
230 : 갈퀴
300 : 조작부
310 : 손잡이
320 : 레버
330 : 제1연결체
340 : 받침판
350 : 지지대
360 : 제2연결체
110 : 램프모듈
120 : 스마트 디바이스 연동모듈
121 : GPS모듈
122 : 3축 가속도계모듈
123 : 데이터베이스모듈
124 : 통신모뎀모듈
125 : 전원공급모듈
126 : 경고음 발생용 스피커모듈
127 : 경고등 점멸모듈
200 : 집게부
210 : 지지편
220 : 집게편
230 : 갈퀴
300 : 조작부
310 : 손잡이
320 : 레버
330 : 제1연결체
340 : 받침판
350 : 지지대
360 : 제2연결체
Claims (5)
- 중공의 다각형 또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단에 램프모듈(110)과 스마트 디바이스 연동모듈(120)이 구비되며 내부에 작동봉을 수용하는 몸체(100);
한 쌍의 지지편(210)과 집게편(220), 다수의 갈퀴(230)로 이루어진 집게부(200); 및
생체신호센서(310a)가 구비되는 손잡이(310), 상기 집게부(200)를 동작시키는 레버(320), 상기 몸체(100)와 연결되고 내부에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제1연결체(330), 작업자의 근피로를 방지하기 위한 받침판(340), 상기 받침판(340)과 연결되는 지지대(350), 상기 지지대(350)와 상기 손잡이(310)를 연결하는 제2연결체(360)가 구비되는 조작부(300);로 구성되며
상기 스마트 디바이스 연동모듈(120)은,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관제 서버로 송신하기 위한 GPS모듈(121);
상기 GPS모듈(121)과 연결되어 상기 GPS모듈(121)이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없는 경우 또는 상기 GPS모듈(121)이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자가 정지한 것을 감지한 경우에 작업자의 위도 및 경도를 계산하도록 작업자의 이동 방향과 가속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3축 가속도계 모듈(122);
작업자가 수렵 및 채집 중인 조간대의 지도 및 지형 정보와 조석주기, 일주조, 반일주조, 간만, 간조, 만조, 밀물, 썰물, 바다날씨, 실시간 연안정보, 항만정보, 및 바다갈라짐이 포함된 조간대 통합 환경 정보가 내재된 데이터베이스모듈(123);
상기 관제 서버와 실시간으로 상호 통신하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모듈에 내재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갱신하기 위한 통신모뎀모듈(124);
충전식 배터리 또는 일회용 배터리가 사용되는 전원공급모듈(125); 및
유사 시 작업자 또는 구조자에게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는 경고음 발생용 스피커모듈(126)과 경고등 점멸모듈(127)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모듈(110)의 하부에는 램프모듈용 회전수단이 더 구비되어 광원 조사각 방향을 360도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고 자체 내장 배터리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 연동모듈(120)에 내장된 전원공급모듈(125)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210)은 제1지지편(211)과 제2지지편(212)로 구성되되 힌지공(213)과 각각 힌지 결합되어 상기 힌지공(213)을 중심으로 상기 제1지지편(211)과 상기 제2지지편(212)이 벌어지고 오므려지는 동작이 이루어지고,
상기 집게편(220)은 제1집게편(221)과 제2집게편(222)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집게편(221)은 상기 제1지지편(211)과 연결되고 상기 제2집게편(222)은 상기 제2지지편(212)와 연결되며, 상기 제1집게편(221)과 상기 제2집게편(222)의 측면부를 따라서 다수의 갈퀴(23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집게편(221)과 상기 제2집게편(222)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갈퀴(230)의 길이보다 전단부에 형성되는 갈퀴(230)의 길이가 더 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센서(310a)는 작업자의 혈압과 체온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여 유사 상황 발생 시 경보 신호를 상기 통신모뎀모듈(124)로 전달하여 관제 서버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작업자의 손이 상기 손잡이(310)와 일정 시간 이상 접촉이 없는 것으로 감지되면 유사 상황으로 판단하여 상기 경고음 발생용 스피커모듈(126)과 경고등 점멸모듈(127)을 가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4753A KR102044621B1 (ko) | 2018-02-06 | 2018-02-06 |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14753A KR102044621B1 (ko) | 2018-02-06 | 2018-02-06 |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4997A KR20190094997A (ko) | 2019-08-14 |
KR102044621B1 true KR102044621B1 (ko) | 2019-11-13 |
Family
ID=67622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14753A KR102044621B1 (ko) | 2018-02-06 | 2018-02-06 |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4621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25600A (ja) * | 2002-05-16 | 2003-11-18 | Shunkan Rai | ライフモニタ付i.t.スティック(生命監視歩行情報記録補助歩行器) |
KR101781207B1 (ko) * | 2015-06-24 | 2017-09-22 | 장병수 | 복합 용도 포획기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70601Y1 (ko) | 2004-08-30 | 2004-12-17 | 조훈희 | 영상을 이용한 어패류 및 수중생물 수집 장치 |
KR101269269B1 (ko) * | 2011-05-02 | 2013-05-29 | 신명섭 | 수족관 관리용 집게 |
KR101516493B1 (ko) | 2013-11-01 | 2015-05-04 | 설명환 | 다용도 집게 |
KR20160001525U (ko) * | 2014-10-31 | 2016-05-11 | 김이환 | 다기능 지팡이 |
KR20160063705A (ko) * | 2014-11-27 | 2016-06-07 | 김이환 | 위치 추적기능이 구비된 지팡이 |
-
2018
- 2018-02-06 KR KR1020180014753A patent/KR10204462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25600A (ja) * | 2002-05-16 | 2003-11-18 | Shunkan Rai | ライフモニタ付i.t.スティック(生命監視歩行情報記録補助歩行器) |
KR101781207B1 (ko) * | 2015-06-24 | 2017-09-22 | 장병수 | 복합 용도 포획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4997A (ko) | 2019-08-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and et al. | Detection of infrasound and linear acceleration in fishes | |
US7007626B2 (en) | Amphibious robot devices | |
Atema et al. | Aquatic odor dispersal fields: opportunities and limits of detection, communication and navigation | |
Dey et al. | Ninja legs: Amphibious one degree of freedom robotic legs | |
CN111186542A (zh) | 一种水下作业机器人 | |
KR20190090640A (ko) |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 | |
KR102044621B1 (ko) |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 | |
Ohgi et al. | Microcomputer-based acceleration sensor device for swimming stroke monitoring | |
CN113119137B (zh) | 一种水陆两栖多足灵动尾仿生机器人 | |
CN215281946U (zh) | 一种水陆两栖多足灵动尾仿生机器人 | |
US12030180B2 (en) | Maneuvering collaborative devices for a rescue mission | |
CN209757313U (zh) | 一种可攀爬60°斜坡的四足机器人腿部装置 | |
CN212527765U (zh) | 一种叶足动物仿生水下机器人 | |
CN203267694U (zh) | 一种智能仿生多功能机器鳄鱼 | |
CN209615538U (zh) | 适应全地形运动巡查安防的仿蝎机器人 | |
CN106891338A (zh) | 一种深海反无人潜航器侦测的海警抓捕机器人 | |
CN106945051A (zh) | 一种青少年国防科技研究专用的人形哨兵机器人 | |
JP3116975U (ja) | Ledライト付き護身用警報器 | |
Pozniak | Robots… assemble! Although humans and highly trained dogs will always be critical in search-and-rescue operations, robots are being developed—taking inspiration from the natural world—that are helping rescue teams save lives | |
KR200370601Y1 (ko) | 영상을 이용한 어패류 및 수중생물 수집 장치 | |
CN207923720U (zh) | 一种利用实时vr技术的深海探测设备 | |
CN112649620A (zh) | 无人机携带式应急管理用简易洪水泥沙监测设备系统 | |
Chellapurath | Bioinspired underwater legged robot for marine conservation | |
Becker | Zoobots: wild robots inspired by real animals | |
CN110077183A (zh) | 一种三栖机器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