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601Y1 - 영상을 이용한 어패류 및 수중생물 수집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을 이용한 어패류 및 수중생물 수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601Y1
KR200370601Y1 KR20-2004-0024809U KR20040024809U KR200370601Y1 KR 200370601 Y1 KR200370601 Y1 KR 200370601Y1 KR 20040024809 U KR20040024809 U KR 20040024809U KR 200370601 Y1 KR200370601 Y1 KR 200370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fish
forceps
net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8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훈희
Original Assignee
조훈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훈희 filed Critical 조훈희
Priority to KR20-2004-00248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6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6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영상 장비(모니터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중 경관을 만끽하고 수중생물 및 광물질 등을 수집할 수 있는 수집 장치를 구비함으로 사람이 직접 물 속에 들어가지 않고 모니터를 통하여 수중 영상을 환인하며 조정 장치를 조작하여 필요한 것을 수집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영상을 이용한 어패류 및 수중생물 수집 장치{The capture under the sea with camera aided}
본 고안은 종래의 수중 탐사가 일반인들에게는 불가능한 것으로 특별 교육을 필하지 않고는 입수 할 수가 없었다. 고도의 기술습득과 교육을 필하며 입수 장비(산소통, 방수 안경 및 방수 복, 오리발 등등)를 구비 하여야 하고, 물 속으로 직접 입수하여야 하고 위험을 감수하여야했다. 또한 경관 촬영을 위하여 수중 카메라를 지참하여야 하고 수중생물 및 광물질 수집을 위하여 수집망도 구비하여야 한다. 이러한 복잡한 장비 및 위험을 감수하여야 수중 관찰 및 수집이 가능하였다.
현대의 복잡한 사회활동에서 얻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레저의 한 장르로 수중 경관을 만끽하고 부가적으로 어패류 및 희귀 수중 물질을 수집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육상에서 모니터와 조정 장치 조작만으로 수중 생태계 관찰 및 수집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도1-모니터, 조정장치 및 수집 뭉치 , 도2-카메라를 포함한 수집 뭉치 , 도3-수집뭉치 상세도 , 도4-수집집게 , 도5-조정 장치
본 고안의 구성을 상술하면 첫째 모니터(1)와 조정장치로 육상에서 수중 영상을 모니터를 통해 확인하고 조정 장치의 조작으로 바다 속 수집뭉치(도1)의 위치 선정 및 수집을 가능하게 한다. 수집뭉치는 카메라(7), 어망장치(3), 수집집게(4), 조정부(2)로 구성된다. 모니터를 통하여 수중 영상을 취하고 조정 장치를 통하여 수집뭉치를 원하는 위치로 추진시키고 수집뭉치의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수집뭉치의 이동이 주변영향(파도, 바람, 강우 등)을 받지 않게 하기위해 일정깊이의 물속에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하여 뭉치 케이스(9)는 부력을 크게 받을 수 있는 재질을 이용하고 전체의 비중을 조절(비중이 큰 물질(10)의 탑재 등) 할 수 있게 하여 바다 물 또는 저수지나 강 등의 민물에서 겸용 할 수 있게 하고 그 형상을 물고기 화하여 수중 생물의 경계심을 적게 하도록 한다. 수집뭉치의 동작은 수집 대상이 확인 되었으면 제어장치를 통해 원하는 장치를 동작시켜 대상을 수집한다. 먼저 수집뭉치의 동작은 큰 어류 포획 시 어망장치(3)을 이용하며 이는 강한 스프링(3-3)의 팽창력을 이용하여 파이프 해머(3-2)가 충격판(3-6)을 가격하고 이에 추진력을 얻고 발사된 화살 추(3-1) {형상은 앞부분이 뾰족하며 갈고리식의 빠짐 방지가 되어 있고 일정의 부분에는 고정대(3-1')와 화살추(3-1)를 약한 선 스프링(3-4)으로 연결 시켜줌으로 좀더 강한 추진력을 얻게 한다.}가 어류의 살에 박히며 이때 화살 추에 연결되는 그물망(3-7)이 고정 역할을 하여 포획 된 어류는 도망갈 수가 없게 된다. 동시에 강한 추진력을 갖고 있는 다수의 화살 추(3-1)가 그물망(3-7)을 넓게 확산시켰다가(이때 확산 각도는 화살추 고정대(3-1')의 각도에 따라 정해진다.) 그물망의 꼬리줄(3-8)에 구속되어 가운데를 구심점으로 오므라들며 중력에 의해 아래로 가라앉으며 그물망 안의 어류 등을 포집한다. 다음은 수집 집게(4)의 동작을 보면 카메라(7)가 물속 아래 방향을 향하게 하고 수집 집게의 끝단(4-6)을 보이게 하며 원하는 물질을 발견하였을 때 원하는 위치로 조정 이동하고 집게(4-7)가 펼쳐진 채로 원하는 물질을 감싸게 한 후 솔레노이드(4-1)를 동작하여 집게가 오므라들게 하면 물질은 갇혀 있게 된다. 이때 집게(4-7)의 작동은 원형의 파이프 안으로 상위 좁은 집게(4-2)가 들어가서 좁혀짐과 동시에 하부 넓은 집게(4-3)를 오므라들게 한다. 큰 물질의 포집일 경우는 하부 넓은 집게(4-3)가 완전히 닫혀 지지 않아 상위 좁은 집게(4-2)에 무리가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충장치(4-4)를 장착하여 하부 넓은 집게의 아래 부분이 벌어진 상태에서도 스프링의 힘으로 버틸 수 있게 한다. 수집 뭉치와 모니터, 조정장치의 연결은 스테인레스 와이어와 전깃줄 등의 유선으로 한다.
일반인들도 수중탐사를 쉽게 할 수 있고 부가적으로 어패류 및 희귀광물질 등을 수집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여 스트레스 해소 및 수중 경관을 만끽할 수 있게 하여 일석이조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영상 장치(모니터와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중 환경을 확인하면서 조정장치(2)로 수집 뭉치(3)를 이동시키며 원하는 위치에서 어패류 및 희귀 광물질 등을 수집할 수 있게 한 영상을 이용한 어패류 및 수중생물 수집 장치.
  2. 강한 스프링(3-3)의 팽창력을 이용하여 파이프 해머(3-2)가 충격판(3-6)을 가격하고 이에 추진력을 얻고 발사된 화살 추(3-1)가 작살 역할을 함과 동시에 강한 추진력을 갖고 있는 다수의 화살 추(3-1)가 그물망(3-7)을 넓게 확산시켰다가 그물망의 꼬리 줄(3-8)에 구속되어 가운데를 구심점으로 오므라들며 중력에 의해 아래로 가라앉으며 그물망 안의 어류 등을 포획하는 어망장치(3)을 갖는 어패류 및 수중생물 수집 장치.
  3. 카메라(7)가 물속 아래 방향을 향하게 하여 수집 집게의 끝단(4-6)을 보이게 하며 원하는 물질을 발견하였을 때 원하는 위치로 조정 이동하고 집게(4-7)가 펼쳐진 채로 원하는 물질을 감싸게 한 후 솔레노이드(4-1)를 동작하여 집게가 오므라들게 하여 물질을 수집하는 수집 집게를 갖고 있는 어패류 및 수중생물 수집 장치.
KR20-2004-0024809U 2004-08-30 2004-08-30 영상을 이용한 어패류 및 수중생물 수집 장치 KR2003706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809U KR200370601Y1 (ko) 2004-08-30 2004-08-30 영상을 이용한 어패류 및 수중생물 수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809U KR200370601Y1 (ko) 2004-08-30 2004-08-30 영상을 이용한 어패류 및 수중생물 수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601Y1 true KR200370601Y1 (ko) 2004-12-17

Family

ID=49442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809U KR200370601Y1 (ko) 2004-08-30 2004-08-30 영상을 이용한 어패류 및 수중생물 수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60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585A (ko) 2015-06-24 2017-01-03 장병수 복합 용도 포획기
KR20170019118A (ko) 2015-08-11 2017-02-21 장병수 수중생물 잡이용 수차
KR20190090640A (ko) 2018-01-25 2019-08-02 최영화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
KR20190094997A (ko) 2018-02-06 2019-08-14 최정영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585A (ko) 2015-06-24 2017-01-03 장병수 복합 용도 포획기
KR20170019118A (ko) 2015-08-11 2017-02-21 장병수 수중생물 잡이용 수차
KR20190090640A (ko) 2018-01-25 2019-08-02 최영화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
KR20190094997A (ko) 2018-02-06 2019-08-14 최정영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urasz et al. Feeding modes of the humpback whale, Megaptera novaeangliae, in southeast Alaska
CN105409894B (zh) 一种深海底栖生物防逃逸诱捕器
Wickham et al. The efficacy of midwater artificial structures for attracting pelagic sport fish
Béarez et al. Billfish foraging along the northern coast of Chile during the Middle Holocene (7400–5900 cal BP)
Doherty et al. Monitoring larval fluxes through the surf zones of Australian coral reefs
CN101226043A (zh) 交叉立体鱼雷拦截网
KR200370601Y1 (ko) 영상을 이용한 어패류 및 수중생물 수집 장치
Linton et al.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on the swimming and climbing behaviour of glass eels, Anguilla spp.
Ronconi et al. Modified hoop-net techniques for capturing birds at sea and comparison with other capture methods
Franco et al. Appendix A: Study Methods: Field Equipment, Sampling and Methods
Montesanto et al. New records of rare species in the Mediterranean Sea (December 2022)
Marouchos et al. Development of a stereo deepwater baited remote underwater video system (DeepBRUVS)
Robison Light in the ocean’s midwaters
Andaloro et al. Evaluating fish assemblages associated with gas platforms: evidence from a visual census technique and experimental fishing surveys
CN103271008A (zh) 自动收钩器
Colin et al. Upstream foraging by medusae
Knaepkens et al. Performance of a pool-and-weir fish pass for small bottom-dwelling freshwater fish species in a regulated lowland river
Smith et al. A mist‐net method for capturing harlequin ducks on rivers
Liu Brief Communication: Freaque wave occurrences in 2013
CN107637581A (zh) 利用曼氏无针乌贼钻洞穴习性的底沉式集中捕收器
JP2017184706A (ja) 玉網の浮力調整器
Liu et al. The application of stereo-video technology for the assessment on population change of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in a vessel reef area in Haizhou Bay, China
Dorofeev et al. A modified pull-net for catching Great Knot at roost sites
KR20100006394A (ko) 다기능 수중 탐지도구
Boopendranath Basic principles of design of fishing gears and their class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