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269B1 - 수족관 관리용 집게 - Google Patents

수족관 관리용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269B1
KR101269269B1 KR1020110041500A KR20110041500A KR101269269B1 KR 101269269 B1 KR101269269 B1 KR 101269269B1 KR 1020110041500 A KR1020110041500 A KR 1020110041500A KR 20110041500 A KR20110041500 A KR 20110041500A KR 101269269 B1 KR101269269 B1 KR 101269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ube
tongs
elastic support
aquarium
tweez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1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3890A (ko
Inventor
신명섭
Original Assignee
신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명섭 filed Critical 신명섭
Priority to KR1020110041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269B1/ko
Publication of KR20120123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02Jaw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족관 관리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후측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가이드관과, 물건을 집을 수 있도록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가 구비되고 후단부가 일체로 결합된 핀셋부재와, 상기 가이드관의 가이드공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가이드되며 후단에는 버튼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관의 후단으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가이드관의 전단으로 노출되는 이동부재의 전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핀셋부재의 후측부가 끼워져 상기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부의 누름동작만으로 전단부에 구비되는 핀셋부재를 작동할 수 있어 수족관 내의 생태 환경을 자연환경과 유사하게 하기 위해 장식물 또는 수초, 산호초와 모래 및 자갈 등의 레이아웃 작업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족관 관리용 집게 { tongs for aquarium management }
본 발명은 수족관 관리용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수족관 내의 생태 환경을 자연환경과 유사하게 하기 위해 장식물 또는 수초, 산호초와 모래 및 자갈 등의 레이아웃 작업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수족관 관리용 집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항을 포함하여 수족관은 사람들이 살아있는 물고기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여 정서에 많은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수족관의 물이 건물의 내부로 증발하여 건물에 습기를 공급하여 실내를 쾌적하게 해주는 역할도 한다.
이러한 수족관은 형상뿐만 아니라 거치형식에 따라 그 형태가 다양하다.
한편, 수족관은 물고기 등에 서식 환경을 제공하기 하기 위해 수족관 내부에는 수초 등의 수서생물(水棲生物)은 물론, 다양한 생태 환경을 자연환경과 유사하게 하기 위해 장식물 또는 수초, 산호초와 모래 및 자갈 등의 레이아웃을 설치한다.
이 경우 수족관 관리시 물속의 장식물 또는 수초, 산호초 등의 레이아웃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수족관에 직접 손을 넣어서 작업해야 하므로 수족관이 깊이 또는 폭에 따라 이와 같은 레이아웃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다.
물론, 이와 같은 불편함으로 해소하기 위해 통상의 집게를 이용할 수 있지만, 투박할 뿐만 아니라 정밀한 레이아웃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족관 내의 생태 환경을 자연환경과 유사하게 하기 위해 장식물 또는 수초, 산호초와 모래 및 자갈 등의 레이아웃 작업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족관 내 구석의 물이끼 또는 각종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데에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수족관 관리용 집게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며 후측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가이드관과, 물건을 집을 수 있도록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가 구비되고 후단부가 일체로 결합된 핀셋부재와, 상기 가이드관의 가이드공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가이드되며 후단에는 버튼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관의 후단으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가이드관의 전단으로 노출되는 이동부재의 전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핀셋부재의 후측부가 끼워져 상기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되는 가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관리용 집게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핀셋부재는 물건을 잡을 수 있도록 전단부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와, 상기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의 후단부가 일체로 결합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가압부재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는 관통공 내주면에 카본재질의 림부재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의 후단에는 스페이서가 더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는 전단에 물건을 잡을 수 있도록 제1 및 제2접촉단부가 각각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접촉단부에는, 실리콘 재질의 제1 및 제2패킹, 제1 및 제2이빨이 각각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제1 및 제2지지부재, 라운드형상의 제1 및 제2안착홈이 각각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제3 및 제4지지부재 중에 어느 하나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관의 일측에는 하우징의 내부에 밧데리가 내장되며 일측에는 전원스위치가 구비되는 전원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관의 전방에는 발광램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부의 누름동작만으로 전단부에 구비되는 핀셋부재를 작동할 수 있어 수족관 내의 생태 환경을 자연환경과 유사하게 하기 위해 장식물 또는 수초, 산호초와 모래 및 자갈 등의 레이아웃 작업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 핀셋부재의 단부에 물건의 성질 또는 형상 등에 따라 적합한 패킹이나 지지부재를 끼워줌으로서 안정적으로 물건을 집을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발광램프를 점등시킬 수 있어 수족관 내부가 어두운 경우도 육안으로 용이하게 레이아웃 작업 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족관 관리용 집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족관 관리용 집게의 작동 전후 상태를 도시한 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족관 관리용 집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족관 관리용 집게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족관 관리용 집게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족관 관리용 집게(100)는 수족관 내부에 다양한 생태 환경을 자연환경과 유사하게 하기 위해 수초와 같은 수서생물(水棲生物), 장식물 또는 수초, 산호초와 모래 및 자갈 등(이하, '물건'이라 한다.)의 레이아웃 작업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공(112)이 형성되며 후측에는 손잡이부(114)가 형성되는 가이드관(110)과, 물건을 집을 수 있도록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122,126)가 구비되고 후단부가 일체로 결합된 핀셋부재(120)와, 상기 가이드관(110)의 가이드공(112)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가이드되며 후단에는 버튼부(132)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관(110)의 후단으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130)와, 상기 가이드관(110)의 전단으로 노출되는 이동부재(130)의 전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핀셋부재(120)의 후측부가 끼워져 상기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122,126)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관통공(142)이 형성되는 가압부재(140)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수족관 관리용 집게(100)는 40㎝ 정도의 길이로 제작함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제작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 본 발명의 수족관 관리용 집게의 각부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가이드관(110)은 파이프 형상으로 중앙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공(112)이 형성되는 제1몸체(111)의 후단 외측에 손잡이부(11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관(110)은 다양한 길이로 제작될 수 있는 것으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무게나 강도 등을 고려하여 낚시대 재질로 주로 사용되는 카본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가이드관(110)은 전후방향으로 가이드공(112)이 형성되어 이동부재(130)가 관통되어 자유롭게 전후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130)는 전후방향으로 가이드관(1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상기 가이드관(110)에 비해 길게 형성하여 상기 이동부재(130)는 전단부와 후단부가 가이드관(110)의 전단부와 후단부로 각각 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130) 역시 다양한 길이로 제작될 수 있는 것으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 역시 가이드관(110)과 마찬가지로 무게나 강도 등을 고려하여 낚시대 재질로 주로 사용되는 카본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130)는 파이프 또는 원기둥 형상 또는 다양한 형태의 직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제2몸체(131)의 후단에는 버튼부(13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는 검지손가락과 중지손가락으로 가이드관(110)의 후측에 형성된 손잡이부(114)를 쥔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이동부재(130)의 후단에 구비되는 버튼부(132)를 눌러줌으로서 가이드관(110)의 가이드공(112)을 따라 이동부재(1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관(110)의 전단 일측에는 물건을 집을 수 있는 핀셋부재(120)가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핀셋부재(120)는 물건을 잡을 수 있도록 전단부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122,126)와, 상기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122,126)의 후단부가 일체로 결합되는 결합부(125)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핀셋부재(120)는 금속 특히 스테인레스스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마주보도록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122,126)는 전단에 물건을 잡을 수 있도록 제1 및 제2접촉단부(123,127)가 각각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122,126)의 후측에는 후단으로 갈수록 근접하며 일체로 결합되어 결합부(125)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핀셋부재(120)는 평상시에는 제1 및 제2접촉단부(123,127)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122,126)의 후단 양측부에 물리력이 가해지면 탄성에 의해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122,126)가 서로 근접하면서 제1 및 제2접촉단부(123,127)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122,126)의 후단 양측부에 가해지는 물리력을 해제하면 복원력에 의해 다시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122,126)가 벌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130)의 제2몸체(131) 전단부는 가이드관(110)의 전단으로 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부재(130)의 전단에는 상기 핀셋부재(120)의 결합부(125)가 끼워지는 관통공(142)이 형성되는 가압부재(140)가 일체로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상기 핀셋부재(120)의 결합부(125)가 상기 가압부재(140)의 관통공(142)에 위치하므로 이동부재(130)는 후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가이드관(110)의 손잡이부(114)를 쥔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이동부재(130)의 후단에 구비되는 버튼부(132)를 눌러주면 이동부재(130)가 가이드관(110)의 가이드공(112)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가압부재(140) 역시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122,126)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압부재(14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가압부재(140)의 관통공(142)에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122,126)의 양측면을 가압하면서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122,126)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122,126)에 절곡형성된 제1 및 제2접촉단부(123,127)가 서로 근접하여 물건을 잡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140)는 관통공(142) 내주면에 마모에 강한 카본재질로 이루어지는 림부재(144)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서 가압부재(140) 이동시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122,126)와의 접촉으로 인한 가압부재(140)의 마모를 상당기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130)의 후단에는 스페이서(150)가 끼워진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150)의 일단부는 상기 가이드관(110)의 가이드공(112) 가장자리에 지지 가능하게 구비되고, 스페이서(150)의 타단부는 이동부재(130)의 버튼부(132)에 지지된다.
이 경우 상기 스페이서(150)는 버튼부(132)가 눌려지는 경우 더 이상 이동부재(130)가 전진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하며, 특히 상기 스페이서(150)를 탄성을 갖는 스프링이나 고무로 이루어지면 버튼부(132)에 가해진 악력이 제거되는 경우 신속하게 이동부재(130)가 후진시키는 기능도 하게 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족관 관리용 집게(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셋부재(120)의 제1 및 제2접촉단부(123,127)에는 물건을 집는 경우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실리콘 재질의 제1 및 제2패킹(160,161)이 끼워진다. 이와 같은 제1 및 제2패킹(160,161)을 핀셋부재(120)의 제1 및 제2접촉단부(123,127)에 끼워 표면이 매끄러운 물건을 잡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셋부재(120)의 제1 및 제2접촉단부(123,127)에 제1 및 제2이빨(162a,163a)이 각각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제1 및 제2지지부재(162,163)가 끼워진다. 이 제1 및 제2이빨(162a,163a)에 의해 미끄러운 물건을 좀 더 견고하게 집을 수 있다.
아울러,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셋부재(120)의 제1 및 제2접촉단부(123,127)에 라운드형상의 제1 및 제2안착홈(164a,165a)이 각각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제3 및 제4지지부재(164,165)가 끼워진다. 이 제1 및 제2안착홈(164a,165a)에 의해 구슬과 같이 둥근 물건을 안정적으로 집을 수 있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족관 관리용 집게(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의하면 가이드관(110)의 일측에는 하우징(172)의 내부에 밧데리(174)가 내장되며 일측에는 전원스위치(176)가 구비되는 전원본체(170)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관(110)의 전방에는 발광램프(18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72)에는 밧데리(174)가 방전된 경우 교체가 용이하도록 커버(173)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수족관 내부가 어두운 경우 전원스위치(176)를 조작함으로서 발광램프(180)를 점등시킴으로서 육안으로 용이하게 작업공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발광램프(180)의 조사방향은 핀셋부재(120)를 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00: 수족관 관리용 집게 110: 가이드관
114: 손잡이부 120: 핀셋부재
130: 이동부재 132: 버튼부
140: 가압부재

Claims (7)

  1.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공(112)이 형성되며 후측에는 손잡이부(114)가 형성되는 가이드관(110)과, 물건을 집을 수 있도록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122,126)가 구비되고 후단부가 일체로 결합된 핀셋부재(120)와, 상기 가이드관(110)의 가이드공(112)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가이드되며 후단에는 버튼부(132)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관(110)의 후단으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130)와, 상기 가이드관(110)의 전단으로 노출되는 이동부재(130)의 전단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핀셋부재(120)의 후측부가 끼워져 상기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122,126)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관통공(142)이 형성되는 가압부재(1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관리용 집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셋부재(120)는 물건을 잡을 수 있도록 전단부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는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122,126)와, 상기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122,126)의 후단부가 일체로 결합되는 결합부(125)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125)는 상기 가압부재(140)의 관통공(142)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관리용 집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140)는 관통공(142) 내주면에 카본재질의 림부재(144)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관리용 집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130)의 후단에는 스페이서(150)가 더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관리용 집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탄성지지부(122,126)는 전단에 물건을 잡을 수 있도록 제1 및 제2접촉단부(123,127)가 각각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관리용 집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접촉단부(123,127)에는, 실리콘 재질의 제1 및 제2패킹(160,161), 제1 및 제2이빨(162a,163a)이 각각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제1 및 제2지지부재(162,163), 라운드형상의 제1 및 제2안착홈(164a,165a)이 각각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제3 및 제4지지부재(164,165) 중에 어느 하나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관리용 집게.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관(110)의 일측에는 하우징(172)의 내부에 밧데리(174)가 내장되며 일측에는 전원스위치(176)가 구비되는 전원본체(170)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관(110)의 전방에는 발광램프(1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관리용 집게.
KR1020110041500A 2011-05-02 2011-05-02 수족관 관리용 집게 KR101269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500A KR101269269B1 (ko) 2011-05-02 2011-05-02 수족관 관리용 집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1500A KR101269269B1 (ko) 2011-05-02 2011-05-02 수족관 관리용 집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890A KR20120123890A (ko) 2012-11-12
KR101269269B1 true KR101269269B1 (ko) 2013-05-29

Family

ID=4750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1500A KR101269269B1 (ko) 2011-05-02 2011-05-02 수족관 관리용 집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2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207B1 (ko) * 2015-06-24 2017-09-22 장병수 복합 용도 포획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493B1 (ko) * 2013-11-01 2015-05-04 설명환 다용도 집게
KR101672968B1 (ko) * 2014-10-08 2016-11-04 이인호 낙과 및 낙엽 수거장치
KR102044621B1 (ko) * 2018-02-06 2019-11-13 최정영 조간대 저서 생물 포획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883Y1 (ko) 2006-08-02 2006-10-16 서만덕 다용도 집게
KR101017993B1 (ko) 2010-12-02 2011-03-02 송강용 낚시용 미끼 체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8883Y1 (ko) 2006-08-02 2006-10-16 서만덕 다용도 집게
KR101017993B1 (ko) 2010-12-02 2011-03-02 송강용 낚시용 미끼 체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207B1 (ko) * 2015-06-24 2017-09-22 장병수 복합 용도 포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890A (ko) 2012-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83104S1 (en) Video gaming glove
KR101269269B1 (ko) 수족관 관리용 집게
USD794390S1 (en) Thermos bottle
USD596476S1 (en) Handle bar grip
USD584513S1 (en) Triangular paint brush
USD711054S1 (en) Retractable leash housing
CA121895S (en) Hose
USD940464S1 (en) Cosmetics brush head with reservoirs
ATE318530T1 (de) Zahnbürste
KR200405913Y1 (ko) 손톱 소제구
USD564230S1 (en) Snow tool with telescoping handle
USD600773S1 (en) Fishing rod flotation handle
USD730986S1 (en) Lanyard slider with dual pen holders
USD611562S1 (en) Pentagon handle for a fishing rod
USD623492S1 (en) Gripping end of a hand held gripping extension device
US20090142121A1 (en) Handle sanitizer
USD780881S1 (en) Fishing rod handle
GB2417887A (en) Cleaning device for handle
US9572333B1 (en) Trigger happy comfort grip
MX2008014318A (es) Empuñadura flexible de hacer la misma.
CN202288624U (zh) 伸缩式耳勺
KR20110009771U (ko) 낚시대 걸이장치
USD536414S1 (en) Roller guide for use with fishing rods
KR200393092Y1 (ko) 낚싯대손잡이용 피복관
WO2006046086A1 (en) Chopsticks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