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583B1 -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583B1
KR102044583B1 KR1020150153083A KR20150153083A KR102044583B1 KR 102044583 B1 KR102044583 B1 KR 102044583B1 KR 1020150153083 A KR1020150153083 A KR 1020150153083A KR 20150153083 A KR20150153083 A KR 20150153083A KR 102044583 B1 KR102044583 B1 KR 102044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cell stack
sealing
sealing material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0929A (ko
Inventor
정지훈
박희관
양재춘
강무성
공창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53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583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08Disposal or recycling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86Processes for forming se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 H01M8/0438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of anode reactants at the inlet or inside the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 H01M8/04395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of cathode reactants at the inlet or inside the fuel cel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료전지 스택(stack)에 구비되는 복수의 가스켓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크랙(crack)이 발생될 경우, 연료전지 스택의 내압과 상압 간에 압력 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이러한 압력 차에 의하여 실링(sealing)소재가 크랙으로 유입되며 실링을 보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repair of fuel cell stack}
본 발명은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료전지 스택(stack)에 구비되는 복수의 가스켓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크랙(crack)이 발생될 경우, 연료전지 스택의 내압과 상압 간에 압력 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이러한 압력 차에 의하여 실링(sealing)소재가 크랙으로 유입되며 실링을 보수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수소 등의 연료를 산화시키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전지로, 타 형태의 전지에 비하여 효율이 높고, 전류 밀도 및 출력 밀도가 크며, 부하 변화에 대한 응답특성이 빠르다는 점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무공해 차량의 동력원, 가정용 발전 시스템, 이동통신 장비의 전원, 군사용 장비의 전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연료전지는 충분한 가용 전력을 생산하기 위하여 고분자전해질막, 연료극 및 공기극을 기본으로 하는 단위전지 셀을 다수로 적층한 형태인 연료전지 스택(stack)의 구조로 활용되고 있다.
연료전지 스택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단위전지 셀 상호 간은 전기적으로 접속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분리판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연료가스 및 산화제가스가 외부로 누설되거나,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실링(sealing)하는 가스켓을 사용하기도 하며, 가스켓은 이외에도 연료전지 스택의 각 구성요소에 발생되는 응력분포를 균일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이때, 운전 및 정지를 빈번하게 반복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특성상, 그 피로도에 의하여 가스켓에 균열과 같은 크랙(crack)이 발생되거나, 가스켓이 분리판으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처럼 가스켓에 이상 문제가 발생될 경우, 연료전지 스택의 효율성이 저하됨은 물론이고, 절연 파괴와 같은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고 신속한 보수가 중요하다.
하지만, 종래에서는 연료전지 스택에서 손상된 가스켓만을 탈거하여 보수 또는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였고, 따라서 연료전지 스택 전체를 분리 및 해체하거나, 일부 구성요소의 문제만으로 연료전지 스택을 폐기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1950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전지 스택(stack)의 내압과 상압 간에 압력 차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압력 차에 의하여 크랙(crack)이 발생된 가스켓의 외면 및 내부로 액상의 실링(sealing)소재가 유입 및 경화됨에 따라, 별도로 연료전지 스택을 분리 및 해체하지 않고도 크랙이 발생된 가스켓을 용이하게 실링할 수 있는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크랙이 발생된 가스켓 및 해당 가스켓을 포함하는 단위전지 셀의 교체 없이 실링 보수를 수행함으로써, 재활용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는, 복수의 분리판 및 상기 복수의 분리판 사이를 실링(sealing)하는 복수의 가스켓을 포함하는 단위전지 셀이 다수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연료전지 스택(stack)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스켓의 크랙(crack) 발생 유무를 감지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크랙 발생이 유(有)감지될 경우,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내압을 감압시키는 진공펌프; 및 크랙이 발생된 가스켓의 인접 위치에 실링소재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진공펌프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가스 유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내압과 상압 간에 압력 차가 발생되도록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내압을 진공 상태로 감압시킬 수 있다.
상기 실링소재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내압과 상압 간의 압력 차에 의하여, 상기 크랙이 발생된 가스켓의 인접 위치로부터 가스켓의 외면 및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복수의 가스켓의 크랙 발생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실링소재는, 공기 중에서 자연 경화되는 액상소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는 상기 공급부에 의하여 공급된 실링소재에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는, 상기 실링소재의 성분에 근거하여, 수분, 열 및 자외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공기를 상기 실링소재로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방법은, 복수의 분리판 및 상기 복수의 분리판 사이를 실링하는 복수의 가스켓을 포함하는 단위전지 셀이 다수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연료전지 스택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스켓의 크랙 발생 유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하는 단계에서 크랙 발생이 유감지될 경우,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내압을 감압시키는 단계; 및 크랙이 발생된 가스켓의 인접 위치에 실링소재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압시키는 단계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내압과 상압 간에 압력 차가 발생되도록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내압을 진공 상태로 감압시킬 수 있다.
상기 실링소재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내압과 상압 간의 압력 차에 의하여, 상기 크랙이 발생된 가스켓의 인접 위치로부터 가스켓의 외면 및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복수의 가스켓의 크랙 발생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압시키는 단계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가스 유출구를 차폐시키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가스 유입구에 진공펌프를 연결하여, 상기 진공펌프를 가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내압을 측정하고 상압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소재는, 공기 중에서 자연 경화되는 액상소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방법은 상기 공급하는 단계에서 공급된 실링소재에 공기를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하는 단계는, 상기 실링소재의 성분에 근거하여, 수분, 열 및 자외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공기를 상기 실링소재로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연료전지 스택(stack)의 내압을 상압보다 낮아지도록 감압시켜 내압과 상압 간에 압력 차를 발생시킴으로써, 압력 차에 의하여 크랙(crack)이 발생된 가스켓의 인접 위치로 공급된 액상의 실링(sealing)소재가 가스켓의 외면 및 내부로 유입되어 경화됨에 따라, 별도로 연료전지 스택을 분리 및 해체하지 않고도 크랙이 발생된 가스켓을 용이하게 실링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로써, 연료전지 스택을 분리 및 해체하여 문제가 발생한 단위전지 셀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그에 따른 시간을 절감하여,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연료전지 스택을 운용할 수 있다.
또한, 크랙이 발생된 가스켓 및 해당 가스켓을 포함하는 단위전지 셀을 교체 없이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단위전지 셀의 통상적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단위전지 셀이 적층되어 형성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통상적 형상 및 상기 연료 전지 스택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가 적용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크랙이 발생된 가스켓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에 의하여 보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단위전지 셀(100)의 통상적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단위전지 셀이 다수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연료전지 스택(200)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300)가 적용된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상적으로 단위전지 셀(100)은 복수의 분리판(110), 복수의 가스켓(120) 및 막전극접합체(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분리판(110)은 예컨대 흑연 등의 도전성 소재로 형성되어, 막전극접합체(130)를 물리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단위전지 셀(100)이 스택(stack)을 이룰 경우 인접되는 막전극접합체(130) 상호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이때, 각각의 분리판(110)은 막전극접합체(130)에서 수소와 공기의 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부산물인 물을 수용하기 위한 매니폴드(11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분리판(110), 즉 상측 및 하측 분리판(110) 사이에는 가스켓(120)이 복수로 구비되며, 복수의 가스켓(120)은 막전극접합체(130)로 제공되는 연료가스 및 산화제가스가 외부로 누설되거나,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실링(sealing)한다.
막전극접합체(130)는 상측 및 하측 분리판(110)과 복수의 가스켓(120)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위치하며, 고분자전해질막(132)과 고분자전해질막(132)의 양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전극인 연료극(131) 및 공기극(1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단위전지 셀(100)은 비교적 적은 양의 전력을 생산한다. 때문에, 가용할 수 있을 만큼의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도 2와 같이 단위전지 셀을 다수로 적층한 형태인 연료전지 스택(200)의 구조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한편, 연료전지 스택(200)은 그 운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한 수축과 팽창, 다수로 적층되는 분리판(110)의 하중 등에 의하여, 구비된 가스켓(120)이 분리판(110)으로부터 이탈되거나, 노후로 인한 크랙(crack)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연료전지 스택(200)의 정상적인 운전은 물론, 전체적인 내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또한 구성요소 간의 기밀성이 저하되어 가스 및 물이 누출됨에 따라 부식, 절연 파괴 등의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다.
이처럼, 연료전지 스택(200)에 있어서 가스켓(120)의 실링 작용은 안정적 운전 및 성능 유지를 위한 전제 조건으로, 철저한 점검과 그에 따른 유지보수가 중요하다. 하지만, 종래에서는 가스켓(120)에 이상 문제가 발생할 경우, 손상된 단위전지 셀을 개별적으로 탈거할 수 없어, 연료전지 스택(200) 전체를 분리 및 해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300)는 제어부(310), 진공펌프(320), 공급부(330) 및 분사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3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그 구성요소들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또한,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300)의 구성요소들은 종래의 연료전지 스택(200)과 일체로 결합 형성되거나, 일부 구성요소는 탈착을 통하여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음을 유념한다.
먼저, 제어부(310)는 연료전지 스택(200)에 포함된 복수의 가스켓(120)의 크랙 발생 유무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10)는 연료전지 스택(200) 내부에 기설치된 하나 이상의 센서(미도시)와 전기적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크랙이란 가스켓(120)의 이상 문제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예컨대 균열, 파손, 부식, 일그러짐 등의 현상을 명명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310)의 역할 수행은 연료전지 스택(200)으로 가스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료전지 스택(200)을 운전하기 전, 가스 유입구(210)를 통하여 각각의 단위전지 셀(도 1의 100)의 연료극 및 공기극(도 1의 131, 133)으로 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연료전지 스택(200) 내부의 센서, 예컨대 압력 측정 센서들은 가스 공급이 완료된 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연료전지 스택(200) 내의 가스 압력을 측정하며, 그 측정결과를 제어부(310)로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제공받은 가스 압력 측정결과를 분석하여 가스 압력 변화 여부를 판단하고, 변화가 존재할 경우 복수의 가스켓(1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크랙이 발생되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료전지 스택(200)의 복수의 가스켓(120)들은 소정 개수로 그룹화될 수 있으며, 연료전지 스택(200) 내부에 설치되는 센서는 각각의 그룹에 인접하여 위치함으로써, 제어부(310)에서 가스켓(120)의 크랙 발생 판정 시 해당 가스켓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설명할 진공펌프(320), 공급부(330) 및 분사부(340)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며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크랙이 발생된 가스켓의 실링 보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310)에서 가스켓(120)의 크랙 발생을 유(有)감지하여 해당 가스켓(121)이 확인될 경우, 진공펌프(320)는 연료전지 스택(200)의 내압을 감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연료전지 스택(200)의 가스 유출구(220)를 차폐시킨 후, 가스 유입구(210)에 진공펌프(320)를 연결하고, 제어부(310)를 통해 가동시킴으로써, 연료전지 스택(200)의 내압을 상압보다 낮아지도록 감압시킬 수 있다.
이처럼 연료전지 스택(200)의 내압을 상압보다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은, 연료전지 스택(200)의 내압과 상압 간에 압력 차가 발생되도록 하여, 후술되는 실링소재(332)가 크랙이 발생된 가스켓(121)으로 유입되게 하기 위함일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실링소재(332)의 유입을 위하여 일 실시예에서 진공펌프(320)는 연료전지 스택(200)의 내압을 진공 상태가 되도록 감압시킬 수 있다.
이어서, 연료전지 스택(200)의 내압이 진공 상태가 되면, 공급부(330)는 크랙이 발생된 가스켓(121)의 인접 위치에 실링소재(332)를 충진하여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실링소재는(332)는 가스켓(121)과 동일한 소재로, 예컨대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DM), 불소화고무(FKM), 아크릴고무(ACM), 실리콘고무(VMQ), 클로로프렌고무(CR), 부타디엔고무(BR)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공기 중에서 자연 경화되도록 액상의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급부(330)는 연료전지 스택(200)의 외측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레일(331) 상에 각각 결속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레일(331)은 별도의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가동될 수 있다.
즉, 연료전지 스택(200)의 내압의 감압이 진공 상태로 완료되면, 크랙이 발생된 가스켓(121)이 위치한 방향의 공급부(330)는 레일(331)에 의해 해당 가스켓(121)으로 접근 이동하게 되고, 가스켓(121)의 인접 위치에 실링소재(332)를 충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 도 4(A)와 같이 크랙이 발생된 가스켓(121)의 인접 위치로 공급된 실링소재(332)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연료전지 스택의 내압과 상압 간의 압력 차에 의하여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크랙이 발생된 가스켓(121) 측으로 유입되며, 이내 크랙이 발생된 가스켓(121)의 외면 및 내부로 스며들어 경화가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실링소재(332)의 경화와 함께 가스켓(121)의 크랙이 보수되며 가스켓(121)의 안정적인 실링 작용을 지속시킬 수 있다.
이때, 실링소재(332)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공기 중에서 자연 경화될 수 있지만, 보다 효과적인 경화를 위하여 공급부(330)의 일측에는 실링소재(332)에 공기를 분사해주는 분사부(3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사부(340)는 노즐(미도시)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링소재(332)의 성분에 근거하여 수분, 열 및 자외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공기를 실링소재(332)로 분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 이하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방법이 시작되면, 먼저 연료전지 스택으로의 가스 공급 이후, 센서를 통하여 소정 시간 간격으로 연료전지 스택 내의 가스 압력을 측정하며, 제어부는 측정결과에 근거하여 가스 압력 변화 여부를 판단한다(S510). 만일, 가스 압력에 변화가 존재할 경우 제어부는 연료전지 스택 내의 복수의 가스켓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크랙이 발생되었음을 판정한다(S520). 구비된 가스켓에 크랙이 발생됨에 따라, 사용자는 연료전지 스택의 가스 유출구를 차폐시키고, 동시에 가스 유입구에 진공펌프를 연결한다(S530). 연결된 진공펌프는 연료전지 스택의 내압이 진공 상태가 되도록 감압시키며(S540), 진공 상태로의 감압이 완료되면 공급부가 크랙이 발생된 가스켓 측으로 이동하여 가스켓의 인접 위치에 실링소재를 공급한다(S550). 공급된 실링소재는 연료전지 스택의 내압과 상압 간의 압력 차에 의하여 상기 인접 위치로부터 가스켓의 외면 및 내부로 유입되며, 이후 실링소재는 자연 경화 또는 분사부에 의하여 경화가 수행되어(S560) 가스켓의 크랙을 보수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0: 단위전지 셀
110: 분리판
120: 가스켓
130: 막전극 접합체
200: 연료전지 스택
300: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
310: 제어부
320: 진공펌프
330: 공급부
340: 분사부

Claims (15)

  1. 복수의 분리판 및 상기 복수의 분리판 사이를 실링(sealing)하는 복수의 가스켓을 포함하는 단위전지 셀이 다수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연료전지 스택(stack)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스켓의 크랙(crack) 발생 유무를 감지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크랙 발생이 유(有)감지될 경우,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내압과 상압 간에 압력 차가 발생되도록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내압을 진공 상태로 감압시키는 진공펌프; 및
    크랙이 발생된 가스켓의 인접 위치에 실링소재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소재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내압과 상압 간의 압력 차에 의하여, 상기 크랙이 발생된 가스켓의 인접 위치로부터 가스켓의 외면 및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복수의 가스켓의 크랙 발생 유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소재는,
    공기 중에서 자연 경화되는 액상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에 의하여 공급된 실링소재에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실링소재의 성분에 근거하여, 수분, 열 및 자외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공기를 상기 실링소재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
  8. 복수의 분리판 및 상기 복수의 분리판 사이를 실링하는 복수의 가스켓을 포함하는 단위전지 셀이 다수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연료전지 스택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스켓의 크랙 발생 유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하는 단계에서 크랙 발생이 유감지될 경우,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내압과 상압 간에 압력 차가 발생되도록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내압을 진공상태로 감압시키는 단계; 및
    크랙이 발생된 가스켓의 인접 위치에 실링소재를 공급하고, 상기 실링소재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내압과 상압 간의 압력 차에 의하여, 상기 크랙이 발생된 가스켓의 인접 위치로부터 가스켓의 외면 및 내부로 유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복수의 가스켓의 크랙 발생 유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시키는 단계는,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가스 유출구를 차폐시키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가스 유입구에 진공펌프를 연결하여, 상기 진공펌프를 가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연료전지 스택의 내압을 측정하고 상압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소재는,
    공기 중에서 자연 경화되는 액상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하는 단계에서 공급된 실링소재에 공기를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하는 단계는,
    상기 실링소재의 성분에 근거하여, 수분, 열 및 자외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공기를 상기 실링소재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방법.
KR1020150153083A 2015-11-02 2015-11-02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 및 방법 KR102044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083A KR102044583B1 (ko) 2015-11-02 2015-11-02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083A KR102044583B1 (ko) 2015-11-02 2015-11-02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929A KR20170050929A (ko) 2017-05-11
KR102044583B1 true KR102044583B1 (ko) 2019-11-13

Family

ID=58741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083A KR102044583B1 (ko) 2015-11-02 2015-11-02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5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012B1 (ko) * 2017-12-15 2023-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셀 보수 장치 및 방법
CN110391430B (zh) * 2019-07-24 2021-02-09 中国华能集团清洁能源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熔融碳酸盐燃料电池密封面受损的修复方法
US20230332617A1 (en) * 2022-04-13 2023-10-19 Baker Hughes Oilfield Operations Llc Seam-Sealed Pothead to Motor Conne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4579A (ja) * 2001-06-15 2003-01-08 Sony Corp 密封性検査装置
JP2008535165A (ja) * 2005-04-01 2008-08-28 ハイドロジェニ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電気化学セル・アセンブリにシールを形成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105B1 (ko) 2006-08-28 2008-03-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파괴저항성이 높은 평판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용복합 밀봉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4579A (ja) * 2001-06-15 2003-01-08 Sony Corp 密封性検査装置
JP2008535165A (ja) * 2005-04-01 2008-08-28 ハイドロジェニ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電気化学セル・アセンブリにシールを形成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929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583B1 (ko) 연료전지 스택의 실링 보수 장치 및 방법
US11492711B2 (en) Electrochemical devices, modules, and systems for hydrogen generation and methods of operating thereof
US20190140293A1 (en) Fuel cell module arrangement with leak recovery and methods of use
KR101726337B1 (ko) 밀폐형 전지의 제조 방법
Hamdan PEM Electrolyzer Incorporating an Advanced Low-Cost Membrane
KR101771335B1 (ko) 연료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연료 전지 스택의 제조 방법
CN105655609A (zh) 一种用于燃料电池电堆装配的内定位结构
KR20120064354A (ko) 연료 전지용 분리판의 크랙 검출 겸용 성형 장치
KR102133140B1 (ko) 연료 전지 스택의 재활용 방법 및 장치
WO2015018603A3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rennstoffzelle und eines brennstoffzellensystems
US11549858B2 (en) Apparatus for testing airtightness of separator for fuel cell
KR101966553B1 (ko) 연료전지 전압 모니터링 장치
EP2668689A1 (en) Fuel cell seal
JP6315845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
KR102564012B1 (ko) 연료전지 셀 보수 장치 및 방법
KR101272323B1 (ko) 연료전지 스택
KR100766140B1 (ko) 연료전지 차량의 분리판에 설치되는 가스켓 구조
KR102185295B1 (ko) 사용후핵연료 저장용 금속 캐니스터의 응력부식균열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
EP2741358B1 (e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JP2022150782A (ja) リーク検査方法及びリーク検査装置
JP2013171654A (ja) 燃料電池
US9406964B2 (en) Fuel cell stack
KR20120071570A (ko) 연료전지 가스켓용 사출금형 및 연료전지 가스켓 성형방법
KR20190111499A (ko) 흐름식 에너지 저장장치 셀스택의 누수 검사장치와 누수 검사방법 및 흐름식 에너지 저장장치의 제조방법
KR101491375B1 (ko) 연료전지 스택용 주입 전류 생성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