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579B1 -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579B1
KR102044579B1 KR1020147031990A KR20147031990A KR102044579B1 KR 102044579 B1 KR102044579 B1 KR 102044579B1 KR 1020147031990 A KR1020147031990 A KR 1020147031990A KR 20147031990 A KR20147031990 A KR 20147031990A KR 102044579 B1 KR102044579 B1 KR 102044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oud
axle
roller
spring
steering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1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2764A (ko
Inventor
니클라스 데이비스
마크 앤소니 윌키스
Original Assignee
티알더블유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알더블유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티알더블유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22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62D1/18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the entire column being tiltable as a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1)에 관한 것으로, 조립체가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1)의 리치조절을 위하여 신축가능하게 이동하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측부(2)와 축방향으로 고정된 하측부(3)를 포함하는 슈라우드, 슈라우드에 의하여 지지되는 스티어링 축(4), 하측부(3)의 일부를 차량의 고정부에 연결하는 피봇트와, 상측부와 하측부를 상대측에 대하여 분리가능하게 고정하고 차량의 다른 고정부에 슈라우드를 고정하는 클램프기구를 포함한다. 스프링탄지형 지지조립체가 차량의 고정부에 고정되고 슈라우드의 상측부(2)의 아래를 통과하는 액슬(15)과 액슬(15)의 일부를 둘러싸고 있으며 슈라우드의 하측에 결합되는 외면과 액슬에 지지되는 내면을 갖는 원통형 롤러(16)를 포함하고, 스프링탄지형 지지조립체는 클램프기구가 해제될 때 슈라우드의 무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며, 원통형 롤러(16)는 슈라우드가 리치의 조절을 위하여 조절될 때 액슬(15)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 {STEERING COLUMN ASSEMBLY}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steering column assembly)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스티어링 축(steering shaft)이 리치(reach)로서 알려진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레이크(rake)로서 알려진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하여 조절가능하게 되어 있는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조립체는 이중조절형 스티어링 컬럼으로 알려져 있다. 스티어링 휠을 지지하는 스티어링 축을 다시 지지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컬럼 슈라우드(steering column shroud)가 제공된다. 이러한 슈라우드는 두 부분, 즉, 상측부와 하측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측부는 슈라우드의 길이, 즉, 스티어링의 리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측부 상에서 이러한 하측부에 대하여 신축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측부는 제1 지점에서 피봇트에 의하여 차량에 고정되고 상측부는 분리가능한 클램프기구에 의하여 스티어일 휠에 근접한 위치에서 차량의 고정부에 고정된다. 클램프기구가 고정될 때 슈라우드의 상측부와 하측부는 함께 결합고정된다. 해제될 때, 슈라우드의 상측부와 하측부는 신축가능하게 이동되어 리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체 슈라우드는 레이크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피봇트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서 차량에 대하여 상하로 경사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스티어링 휠과 스티어링 축 그리고 슈라우드의 무게는 특히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가 대부분의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조립체에 모두 공통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기모터와 기어박스 또는 토크 센서 등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당이 무거울 수 있다. 만약 클램프기구가 해제되고 슈라우드의 일부 부가적인 지지체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 슈라우드는 상당한 힘으로 운전자의 무릎에 떨어질 것이다. 또한, 조립체의 무게는 스티어링 휠을 요구된 위치까지 올려 클램프기구로 고정할 때 운전자를 불편하게 할 수 있다. 운전자는 전형적으로 한 손으로 자유롭게 클램프를 작동시키는 것이 요구되므로 이러한 조절은 부담스러운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는 차량과 슈라우드의 일부분 사이에서 작동되는 스프링 탄지형의 지지기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스프링기구는 클램프조립체가 조절을 위하여 해제되었을 때 슈라우드와 스티어링 축 및 스티어링 핸들의 일부 무게를 감당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는 조립체가 하락하는 것을 경감시켜주고 운전자가 레이크를 조절하고자 할 때 무게의 일부를 부담하여 운전자를 돕는다.
종래기술의 알려진 한 스프링탄지형의 지지기구에 있어서, 스프링기구는 슈라우드의 상측부 아래를 지나고 양단이 각 탄성암에 연결된 지지바를 갖는 슬링(sling)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암이 슈라우드의 양측에 제공되고 통상 슈라우드의 상부에서 암의 단부를 차체의 고정부에 연결한다. 각 암은 코일 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을 포함한다. 조립체의 리치조절을 위하여, 슬링의 베이스는 슈라우드의 상측부가 후측부에 대하여 이동될 때 슈라우드의 상측부의 하부면에서 미끄럼 운동하여야 한다. 이러한 운동은 마찰이 크면 작동이 매우 경직되고 작동시 소음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개선된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를 제공하는바, 본 발명의 조립체는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의 리치조절을 위하여 신축가능하게 이동하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측부와 축방향으로 고정된 하측부를 포함하는 슈라우드, 슈라우드에 의하여 지지되는 스티어링 축, 하측부의 일부를 차량의 고정부에 연결하는 피봇트, 상측부와 하측부를 상대측에 대하여 분리가능하게 고정하고 차량의 다른 고정부에 슈라우드를 고정하는 클램프기구와, 차량의 고정부 사이에서 작동하고 슈라우드의 상측부의 아래를 통과하는 액슬과 액슬의 일부를 둘러싸고 있으며 슈라우드의 하측에 결합되는 외면과 액슬에 지지되는 내면을 갖는 원통형 롤러를 포함하는 스프링탄지형 지지조립체를 포함하고, 스프링탄지형 지지조립체는 클램프기구가 해제될 때 슈라우드의 무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며, 원통형 롤러는 슈라우드가 리치의 조절을 위하여 조절될 때 액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일반적으로 원통형인 롤러는 슈라우드를 따라 구름으로써 슈라우드와 롤러요소의 외면 사이에서 거의 미끄럼 운동이 없이 리치조절을 위하여 조절될 수 있다.
휠(wheel)의 형태일 수도 있는 원통형 롤러는 이러한 원통형 롤러의 내면과 액슬이 플레인 베어링(plain bearing)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롤러가 액슬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슈라우드가 조절되고 롤러가 액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때 액슬 표면에 대하여 미끄럼 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베어링이 액슬과 롤러 사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액슬과 롤러 사이에 부싱(bushing)이 제공될 수 있다. 본원 출원인은 조절이 자주 있는 것이 아니어서 마모는 문제가 되지 않고 마찰은 슈라우드의 리치조절에 저항을 보이는 다른 힘에 비하여 비교적 낮으므로, 간단한 프레인 베어링이 많은 실시형태를 위한 좋은 구조일 수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롤러의 어느 특정지점에서 액슬에 결합하는 롤러의 외면과 내면 사이의 거리는 액슬 외경의 적어도 두배, 좋기로는 적어도 3배, 더욱 좋기로는 직경의 4배 이상 일 수 있다. 본원 출원인은 액슬에 대한 롤러상에서 이러한 거리(원통형 롤러의 반경일 수 있다)가 크면 클수록 마찰이 작아지고 롤러를 회전시키는데 요구되는 힘이 작아지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본원 출원인은 감소된 힘이 슈라우드를 신축가능하게 이동시키는데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키므로 유리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롤러는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두개의 주연방향 세스먼트로 분할구성되고 이들 세그먼트는 롤러를 완성하기 위하여 연결되기 전에 액슬의 둘레에 조립될 수 있다. 이들 두 세그먼트는 탄력적인 스냅결합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냅결합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세그먼트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을 가지는바, 이러한 탄성은 롤러를 플라스틱 물질로 구성함으로서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롤러는 액슬이 통과하는 중앙의 통공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통공은 롤러가 액슬에서 회전할 수만 있다면 중앙에서 약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슈라우드의 하측에 결합되는 롤러의 외면은 그 폭을 가로질러 요입되게 형성되어 중앙부분에 대하여 양측변부를 향해 약간 상승되게 구성되어 롤러의 외면이 관상의 슈라우드의 만곡면에 일치하게 적응될 수 있도록 한다.
탄성지지조립체는 일측단부를 향하여 차량에 고정되고 반대측 단부에서 롤러를 지지하는 액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암(spring arm)을 포함한다. 이 암은 슈라우드의 일측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우선적으로 선호하는 구성에서 탄성지지조립체는 슈라우드의 양측에 하나씩 한쌍의 스프링 암과, 암의 대향된 단부를 연결하고 슈라우드의 하측을 통과하는 연결바(connecting bar)를 포함하며, 연결바가 롤러를 위한 액슬을 형성한다.
수정형태에서, 스프링지지조립체는 슈라우드의 양측에 하나씩 한쌍의 스프링 암과, 암의 대향된 단부를 연결하고 슈라우드의 하측을 통과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며, 롤러를 위한 액슬은 스프링지지조립체의 각 부분에서 롤러의 양측의 간격을 둔 위치에 놓인다.
액슬은 스프링 암에 형성되어 이러한 액슬의 지지부를 형성하는 요입부내에 지지될 수 있다. 요입부는 스프링 암의 일부를 U-형으로 구부려 형성되고 액슬이 U-형 요입부의 바닥면에 안치된다.
액슬이 스프링지지조립체로부터 독립적으로 구성되나 이러한 스프링지지조립체에 의하여 지지될 때, 롤러가 액슬에 고정되어 액슬과 롤러가 함께 회전토록 할 수 있다. 롤러는 액슬 상에 오버몰드(overmould)될 수 있다. 또는 롤러는 하나 이상의 베어링을 통하여 액슬 상에 착설될 수 있다.
롤러가 결합하는 상부 슈라우드 영역은 PTFE와 같은 저마찰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금속광택면을 갖도록 광택처리될 수도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액슬의 지지면과 롤러의 내면은 저마찰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일부의 구성에서 롤러에 접촉하는 슈라우드의 표면은 간단한 금속제 슈라우드의 일부분이고, 제조과정중에 필요한 단계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대응하는 탄성지지조립체의 암은 만곡형의 금속봉으로 구성되고 그 중앙부분이 슈라우드의 하측을 통과하는 액슬을 형성하여 지지부와 토션 코일 스프링(torsion coil spring)부분을 포함하는 암을 형성하기 위하여 만곡된 단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조립체의 단면도.
도 2는 저면측에서 본 도 1의 스티어링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측부암, 액슬 및 롤러를 포함하는 스프링조립체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다른 스프링조립체, 액슬 및 롤러를 보인 사시도.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1)가 첨부도면의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 조립체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측부(2)와 축방향으로 고정된 하측부(3)를 갖는 신축형 슈라우드(2, 3)를 포함한다. 상측부와 하측부는 일반적으로 관상의 형태이고 하측부의 상단부가 상측부의 하단부내에 삽입된다. 하측부는 피봇트에 의하여 차량(도시하지 않았음)에 고정된다. 스티어링 축(4)이 슈라우드 내부에 축설된 베어링에 지지되고, 스티어링 휠이 스티어링 축(4)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선택적인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기어박스(5)가 스티어링 휠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스티어링 축(4)의 단부에 연결된다. 기어박스(5)는 스티어링 축(4)을 운전자에 의하여 가하여지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토크를 가함으로서 운전자가 스티어링 휠을 회전시키고자 할 때 보조력을 제공하는 모터에 연결한다. 또한 기어박스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스티어링 래크(steering rack)와 같은 다른 기계적인 연결수단을 통하여 스티어링 축을 차량바퀴(도시하지 않았음)에 연결한다.
신축형의 슈라우드(2, 3)는 조절형 클램프기구를 통하여 기어박스에 근접하여 피봇트(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일측 지점과 스티어링 휠에 근접한 타측 지점에서 차량에 고정된다. 클램프조립체는 잘 알려진 형태일 수 있으며, 슈라우드 상측부가 클램프로 고정된 상태에 있는 경우 슈라우드 상측부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기능적으로 방지하고, 클램프의 해제상태에서는 스티어링 조립체의 리치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클램프조립체는 차량의 충돌시에 스티어링 휠에 상당한 부하가 가하여지는 경우 슈라우드 상측부가 축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클램프기구는 스티어링 휠의 레이크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슈라우드(2, 3)를 피봇트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은 클램프기구가 해제된 상태에서만 가능하며 클램프기구가 클램핑 상태에 있으면 이러한 운동이 방지된다.
클램프기구는 단면이 역 U-형(슈라우드의 길이를 따라 보았을 때)인 브래킷(6)을 포함한다. 이러한 역 U-형 브레킷(6)의 베이스(7)는 슈라우드(2, 3) 상측의 차체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슈라우드의 양측에 하측으로 연장된 두개의 암을 갖는다. 도 1에서 보이고 있는 단면이 U-형인 클램프 레일(8)이 브래킷(6)의 암에 의하여 둘러싸인 슈라우드의 길이를 따라 슈라우드의 상부에 용접된다. 클램프 레일(8)은 브래킷(6)의 암의 내측에 끼워맞춤으로 삽입되어 클램프 레일의 측벽이 브래킷(6)의 암의 내측에 접촉하여 브래킷(6)에 대하여 슈라우드의 지나친 좌우운동을 방지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8)은 직경이 큰 슈라우드의 제2 부재의 상측에 고정된다.
브래킷(6)의 각 암에는 수직으로 연장된 기다란 슬로트가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슬로트(9)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클램프 레일(8)의 각 측벽에는 도 1에서 보인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수평인 슬로트(10)가 형성되어 있다. 클램프 볼트(11)가 암과 레일 측부의 슬로트를 통하여 관통되며, 이러한 클램프 볼트는 일측 단부에 고정헤드가 구비되어 있으며 핸드 레버(12)에 의하여 조작되는 타측에는 조절가능한 조절헤드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자는 핸드 레버(12)를 회전시켜 고정헤드를 향하여 조절헤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클램프 레일의 측벽에 대하여 브래킷의 암을 파지하고 슈라우드를 고정상태로 고정한다. 또한 운전자는 레버(120)를 움직여 고정헤드와 조절헤드 사이의 거리를 넓혀줌으로써 브래킷 암과 클램프 레일의 파지상태를 풀어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클램프 볼트는 수직 레일을 상하로 미끄럼 이동시켜 레이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수평슬로트를 따라 리치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슈라우드(2, 3), 스티어링 축(4), 스티어링 휠과 클램프기구의 가동부의 무게는 상당히 무거울 것이다. 따라서, 클램프조립체의 파지상태를 해제할 때 이러한 무게의 일부를 감당할 수 있도록 탄성지지기구가 제공된다.
탄성지지기구는 도 2와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절곡가공한 금속제 와이어 또는 롯드로 구성된다. 이러한 탄성지지기구의 하측부는 슈라우드(2, 3)의 하측을 지나고 슈라우드의 양측에 하나씩 두개의 탄성암(13, 14)에 의하여 차량에 연결되는 액슬(15)을 형성한다. 각 암은 하측지지부와 고정브래킷 사이에 직각의 연결부를 형성하는 여러 번 감긴 형태인 토션 코일스프링을 포함한다. 만약 가장 높은 레이크 위치에서 클램프기구가 스티어링 휠과 함께 해제될 때 탄성지지기구는 슈라우드가 하락하는 것을 둔화시킨다. 전형적으로, 암의 스프링 상수는 슈라우드가 그 중간 높이의 위치에서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스프링이 무게의 상당부분을 감당하므로 휠을 요구된 레이크조절위치로 용이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암의 스프링 상수는 슈라우드가 그 최고높이의 위치로 서서히 상승할 수 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3에서 가장 잘 보인 바와 같이, 액슬(15)에는 휠 또는 롤러(16)가 실려 있으며 롤러(16)와 액슬(15) 사이의 경계면이 프레인 베어링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롤러(16)의 외주면은 원통형이며, 폭방향으로 약간 요입된 형태로서 이러한 롤러가 접촉하는 슈라우드 상측부(2)의 외면 형상에 일치하도록 한다.
슈라우드의 가동부분인 상측부(2)가 리치조절중에 이동될 때 이는 롤러(16)가 스프링지지기구의 액슬을 중심으로 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롤러(16)는 슈라우드의 하측에 대하여 미끄럼 운동을 하지 않고 슈라우드의 하측을 따라서 구르게 된다. 미끄럼 운동은 롤러(16)의 내면과 액슬(15)의 표면 사이에서 일어난다. 액슬과 슈라우드 하측부 사에에 직접 접촉하여 미끄럼 운동을 하도록 하는 것에 비하여, 액슬의 둘레에 롤러를 사용함으로서 롤러의 내경대 외경의 비에 의하여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마찰계수는 변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내경대 외경의 비가 1:4 인 경우, 미끄럼 운동하는 스프링지지기구의 마찰은 롤러가 없는 경우의 값의 25%로 감소된다.
수정형태에서,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스프링지지기구는 롤러를 지지하는 액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스프링지지기구는 실질적으로 제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것으로 두개의 지지암(130, 140)이 크로스 바(150)로 연결된다. 크로스 바가 액슬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대신에, 별도의 액슬(160)이 제공되며 이는 양단부가 암에 형성된 요입부(170, 180)에 지지된다. 이들 요입부는 크로스 바(150)에 근접한 부위에서 각 암을 U-형으로 만곡시켜 형성된다. 액슬(160)은 U-형의 베이스에 안치된다. 액슬에는 롤러(190)가 구비되어 있는바, 이 실시형태에서 롤러는 액슬에 오버몰딩되어 있다. 이러한 롤러는 제1 실시형태와 유사한 방식으로 슈라우드의 하측에 결합된다.
1: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 2: 슈라우드의 상측부, 3: 슈라우드의 하측부, 4: 스티어링 축, 5: 스티어링 기어박스, 6: 고정브래킷, 7: 베이스, 8: 클램프 레일, 9: 슬로트, 10: 수평슬로트, 11: 클램프 볼트, 12: 핸드레버, 13, 14: 탄성암, 15: 액슬, 16: 롤러, 130, 140: 지지암, 150: 크로스 바, 160: 액슬, 170, 180: 요입부, 190: 롤러.

Claims (8)

  1.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1)에 있어서,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1)가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1)의 리치조절을 위하여 신축가능하게 이동하는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측부(2)와 축방향으로 고정된 하측부(3)를 포함하는 슈라우드(2, 3), 슈라우드에 의하여 지지되는 스티어링 축(4), 슈라우드의 하측부(3)의 일부를 차량의 고정부에 연결하는 피봇트, 슈라우드의 상측부(2)와 하측부(3)를 상대측에 대하여 분리가능하게 고정하고 차량의 다른 고정부에 슈라우드를 고정하는 클램프기구와, 차량의 고정부에 고정되는 스프링탄지형 지지조립체를 포함하고, 스프링탄지형 지지조립체가 슈라우드의 상측부의 아래를 통과하는 액슬(15)과 액슬(15)의 일부를 둘러싸고 있으며 슈라우드의 하측에 결합되는 외면과 액슬(15)에 지지되는 내면을 갖는 원통형 롤러(16)를 포함함으로써 스프링탄지형 지지조립체는 클램프기구가 해제될 때 슈라우드의 무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며, 원통형 롤러(16)가 슈라우드가 리치의 조절을 위하여 조절될 때 액슬(15)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원통형 롤러(16)의 외경은 액슬(15)의 외경의 2배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롤러(16)가 슈라우드를 따라 구름으로써 슈라우드와 롤러(16)의 외면 사이에서 미끄럼 운동이 없이 리치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롤러(16)가 롤러(16)의 내면과 액슬(15)의 표면이 플레인 베어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롤러(16)가 액슬 표면에 직접 접촉하여 슈라우드가 조절되고 롤러(16)가 액슬(15)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때 액슬 표면에 대하여 미끄럼 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탄지형 지지조립체가 일측단부를 향하여 차량에 고정하고 반대측 단부에서 롤러(16)를 지지하는 액슬(15)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스프링 암(13, 14)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스프링탄지형 지지조립체가 슈라우드의 양측에 하나씩 한쌍의 스프링 암(13, 14)과, 암의 대향된 단부를 연결하고 슈라우드의 하측을 통과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며, 연결바가 롤러(16)를 위한 액슬(15)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스프링탄지형 지지조립체의 각 스프링 암(13, 14)이 만곡형의 금속봉으로 구성되고 그 중앙부분이 슈라우드의 하측을 통과하는 액슬(15)을 형성하여 지지부와 토션 코일 스프링부분을 포함하는 암을 형성하기 위하여 만곡된 단부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탄지형 지지조립체가 슈라우드의 양측에 하나씩 한쌍의 스프링 암(13, 14)과, 이들 스프링 암의 대향된 단부를 연결하고 슈라우드의 하측을 통과하는 연결바를 포함하고, 액슬(15)이 스프링 암에 의하여 롤러(16)의 양측의 간격을 둔 위치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
KR1020147031990A 2012-05-18 2013-05-16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 KR102044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208791.2A GB201208791D0 (en) 2012-05-18 2012-05-18 Steering column assembly
GB1208791.2 2012-05-18
PCT/GB2013/051267 WO2013171497A2 (en) 2012-05-18 2013-05-16 Steering column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764A KR20150022764A (ko) 2015-03-04
KR102044579B1 true KR102044579B1 (ko) 2019-11-13

Family

ID=46546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1990A KR102044579B1 (ko) 2012-05-18 2013-05-16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57832B2 (ko)
EP (1) EP2849987B1 (ko)
KR (1) KR102044579B1 (ko)
CN (1) CN104470790B (ko)
GB (1) GB201208791D0 (ko)
WO (1) WO201317149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66545B1 (en) * 2015-12-03 2020-03-25 NSK Ltd. Vertical position adjustment device for steering wheel
DE102016202465B4 (de) * 2016-02-18 2019-05-29 Thyssenkrupp Ag Motorisch verstellbare Lenksäule für ein Kraftfahrzeug
CN106494491B (zh) * 2016-12-23 2019-09-03 四川绵阳德鑫机械有限公司 汽车方向盘大行程气动转向管柱
GB2612383A (en) * 2021-10-27 2023-05-03 Zf Steering Systems Poland Sp Z O O Steering Column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7355A1 (en) * 2000-08-16 2002-03-07 Jens Bohlen Positional adjustment apparatus for a steering colum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1664A (en) * 1978-10-11 1980-04-15 Nissan Motor Co Ltd Tilt angle adjusting apparatus of tilt handle
US5257813A (en) * 1992-09-23 1993-11-02 Chrysler Corp Steering column tilt assist
JP3728913B2 (ja) * 1998-02-06 2005-12-21 日本精工株式会社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US6419269B1 (en) * 1999-09-20 2002-07-16 Delphi Technologies Locking system for adjustable position steering column
JP4134601B2 (ja) * 2002-06-04 2008-08-20 日本精工株式会社 車両用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4192502B2 (ja) * 2002-06-04 2008-12-10 日本精工株式会社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4390134B2 (ja) * 2003-11-05 2009-12-24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031627B1 (ko) * 2007-10-31 2011-04-27 후지키코 가부시키가이샤 스티어링 칼럼 장치
GB0816353D0 (en) 2008-09-06 2008-10-15 Trw Ltd Steering column assembly
JP5599202B2 (ja) * 2010-03-01 2014-10-0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5620841B2 (ja) * 2011-02-04 2014-11-05 株式会社山田製作所 ステアリ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27355A1 (en) * 2000-08-16 2002-03-07 Jens Bohlen Positional adjustment apparatus for a steering colum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1208791D0 (en) 2012-07-04
WO2013171497A9 (en) 2015-01-29
EP2849987B1 (en) 2016-11-16
WO2013171497A3 (en) 2014-07-10
WO2013171497A2 (en) 2013-11-21
US9457832B2 (en) 2016-10-04
EP2849987A2 (en) 2015-03-25
US20150166094A1 (en) 2015-06-18
CN104470790B (zh) 2017-11-03
CN104470790A (zh) 2015-03-25
KR20150022764A (ko) 201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579B1 (ko) 스티어링 컬럼 조립체
US7770487B2 (en) Vehicle steering column structure
US9452772B2 (en) Steering column assembly
KR950014763B1 (ko) 사무용 의자
US8757580B2 (en) Height-adjustable pedestal
US11945495B2 (en) Steering column assembly
JPH06211138A (ja) 位置調節可能なステアリングコラム組立体
CN112839722A (zh) 滑板
JP4939503B2 (ja) 手術台の患者支持面のための搬送台車
EP3698916A1 (en) Reaction-force mechanical arm for bolt tightener and battery pack replacement system
KR101643445B1 (ko) 측방 이동을 위한 장치
EP2637894B1 (en) Height-adjustable pedestal
KR101637577B1 (ko)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
GB2463138A (en) Steering column assembly
US11524713B2 (en) Steering column for a motor vehicle
EP2336010A1 (en) Industrial truck comprising a pivotal platform with an operating element for pivoting of the platform
CN105578866B (zh) 双向犁限深轮设备
EP2336008B1 (en) Industrial truck comprising a pivotal platform with vertical suspension
JP2009292429A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US7823479B2 (en) Vehicle steering column structure
EP2409883B1 (en) Control pedal for vehicle
CN201305017Y (zh) 一种转向柱的偏转调节装置
KR101305170B1 (ko)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장치
CN201305013Y (zh) 一种转向柱
EP2571748B1 (en) Bi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