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537B1 - 링형 안테나 모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지그 - Google Patents

링형 안테나 모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537B1
KR102044537B1 KR1020190040342A KR20190040342A KR102044537B1 KR 102044537 B1 KR102044537 B1 KR 102044537B1 KR 1020190040342 A KR1020190040342 A KR 1020190040342A KR 20190040342 A KR20190040342 A KR 20190040342A KR 102044537 B1 KR102044537 B1 KR 102044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base substrate
terminal portion
antenna modu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9904A (ko
Inventor
김범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to KR1020190040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5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39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73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44C9/0053Finger-rings having special f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01Q1/221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used in interrogator/reader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Landscapes

  • Waveguide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링형 웨어러블 기기에 장착시 방향성에 관계없이 통신이 가능하면서 사이즈 가공이 용이하도록 한 링형 안테나 모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지그를 제시한다. 제시된 링형 안테나 모듈은 베이스 기재를 링 형상으로 변형시 단자부의 단자 라인이 다른 단자부의 단자 라인과 임의의 위치에서 결합 고정되어 링 형상의 반경을 고정하고, 베이스 기재는 링 형상의 반경이 고정된 상태로 링형 웨어러블 기기의 하우징에 삽입 실장된다.

Description

링형 안테나 모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지그{RING TYPE ANTENNA MODULE AND JIG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안테나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착용되는 링형 웨어러블 기기에 내장되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링형 안테나 모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전과 함께 스마트폰, 태블릿과 연동하여 특정 기능을 제어하거나, 착용자의 상태 감시, 전자결제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최근 들어, 웨어러블 기기는 시계, 고글(안경), 의류, 신발 등과 같이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상점의 포스(POS) 단말 등과 기기들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교환한다. 웨어러블 기기는 다른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해당 단말의 제어, 전자결제, 도어 개폐, 출석 체크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최근 보급이 증가하고 있는 웨어러블 기기로는 스마트 워치가 있다. 스마트 워치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동하여 휴대 단말의 기능 일부를 제어 또는 실행하거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전자결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소니의 스마트 워치, 삼성전자의 기어, 애플의 애플 워치, LG의 G 워치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 스마트 워치는 기본적인 시계의 기능 이외에도 문자 메시지 확인 및 발송, 전화, 전자 결제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링(반지)형 웨어러블 기기는 근거리 통신(NFC) 안테나 모듈을 내장하며 다른 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링형 웨어러블 기기는 스마트 워치에 비해 제공되는 기능은 적지만 낮은 전력소모와 소형으로 소지가 간편한 장점으로 인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어, 다양한 디자인 및 기능을 갖는 링형 웨어러블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링형 웨어러블 기기는 금속 재질의 반지 본체(10)에 실장 홈(12)을 형성하고, 실장 홈에 NFC 안테나 모듈(20)을 내장하는 구조로 제작된다.
하지만, 종래의 링형 웨어러블 기기는 반지 본체(10)의 실장 홈(12)에 NFC 안테나 모듈(20)을 내장한 후 커버로 덮는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특정 위치(즉, NFC 안테나 모듈(20)이 내장된 위치)를 대상 단말기와 근접시켜야만 대상 단말기와의 통신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링형 웨어러블 기기는 실장 홈(12)의 커버가 반지 본체(1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 경우, 실장 홈(12)에 실장된 NFC 안테나 모듈(20)이 외부로 노출되어 부식되거나, 파손되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상 단말기와 근접하는 위치(방향)와 관계없이 통신할 수 있는 링형 웨어러블 기기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109766호(명칭: 무선통신용 링형 플렉시블 안테나)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링형 웨어러블 기기에 장착시 방향성에 관계없이 통신이 가능하면서 사이즈 가공이 용이하도록 한 링형 안테나 모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형 안테나 모듈은 방사 패턴이 형성된 연성의 베이스 기재, 베이스 기재의 일단에 형성되어 방사 패턴의 일단에 연결되는 단자부 및 단자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베이스 기재의 타단에 형성되어 방사 패턴의 타단에 연결되는 다른 단자부를 포함하고, 단자부는 방사 패턴에서 연장되어 베이스 기재의 일단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 라인을 포함하고, 다른 단자부는 방사 패턴에서 연장되어 베이스 기재의 타단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 라인을 포함하고, 다른 단자부의 단자 라인의 길이는 단자부의 단자 라인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베이스 기재를 링 형상으로 변형시 단자부의 단자 라인이 다른 단자부의 단자 라인과 임의의 위치에서 결합 고정되어 링 형상의 반경을 고정하고, 베이스 기재는 링 형상의 반경이 고정된 상태로 링형 웨어러블 기기의 하우징에 삽입 실장된다. 이때, 단자부의 단자 라인 및 다른 단자부의 단자 라인의 접촉 위치를 변경하여 링 형상의 반경을 가변할 수 있다.
단자부는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고, 다른 단자부는 베이스 기재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단자부는 베이스 기재의 일면 제1 단변에 형성되고, 다른 단자부는 베이스 기재의 타면에 제2 단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베이스 기재는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방사 패턴 및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방사 패턴을 포함하고, 단자부는 베이스 기재의 일면 제1 단변에 형성되고, 일단이 제1 방사 패턴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 단자부 및 베이스 기재의 타면 제1 단변에 형성되고, 일단이 제2 방사 패턴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3 단자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다른 단자부는 베이스 기재의 일면 제2 단변에 형성되고, 일단이 제1 방사 패턴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2 단자부 및 베이스 기재의 타면 제2 단변에 형성되고, 일단이 제2 방사 패턴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4 단자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형 안테나 모듈은 하나의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베이스 기재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복수의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베이스 기재의 타측부에 형성되는 다른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는 하나의 제1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베이스 기재의 제1 장변 일단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 및 하나의 제2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베이스 기재의 제2 장변 일단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다른 가이드부는 복수의 제3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베이스 기재의 제1 장변 타단에 형성되는 제3 가이드부 및 복수의 제4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베이스 기재의 제2 장변 타단에 형성되는 제4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 및 다른 가이드부는 베이스 기재와 연결되는 부분에 제거용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의 가이드 홀과 접촉되는 다른 가이드부의 가이드 홀을 가변하여 단자부와 다른 단자부의 접촉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형 안테나 모듈은 베이스 기재에 형성된 방사 패턴과 연결되는 통신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링형 안테나 모듈은 양단에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단자부를 형성하고, 링형으로 변형시 단자부 간의 결합 위치를 가변함으로써, 링형 안테나 모듈의 사이즈(반경)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링형 안테나 모듈은 양단에 형성된 단자부 간의 결합 위치 가변을 통해 사이즈 변경을 수행함으로써, 단일 규격으로 형성된 평면 형상의 안테나 모듈을 이용하여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링 형상의 안테나 모듈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링형 안테나 모듈은 양단에 형성된 단자부 간의 결합 위치 가변을 통해 사이즈 변경을 수행함으로써,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켜 경제성을 확보함으로써 링형 안테나 모듈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링형 안테나 모듈은 일단에 형성된 단자부에 상호 이격된 복수의 가이드 홀이 형성된 가이드부를 연결함으로써, 가이드 홀을 가변하여 링형 안테나 모듈의 사이즈(반경)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링형 안테나 모듈은 가이드부와 베이스 기재가 연결되는 부분에 제거용 홀을 형성함으로써, 링형 웨어러블 기기에 장착시 불필요한 가이드부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링형 안테나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지그는 링형 안테나 모듈의 가이드부에 형성된 가이드 홀이 삽입되는 고정 핀을 상부 고정판과 고정 핀에 삽입된 링형 안테나 모듈을 지지하는 분리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평면 형상의 베이스 기재를 링 형상으로 손쉽게 변형할 수 있고, 고정 핀에 삽입되는 가이드 홀을 조정하여 링형 안테나 모듈을 사이즈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링형 안테나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지그는 링형 안테나 모듈의 가이드부에 형성된 가이드 홀이 삽입되는 고정 핀을 상부 고정판과 고정 핀에 삽입된 링형 안테나 모듈을 지지하는 분리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링형 안테나 모듈의 사이즈(반경)를 손쉽게 변경하면서 정확한 사이즈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링형 웨어러블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형 안테나 모듈이 적용되는 링형 웨어러블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형 안테나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형 안테나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링형 웨어러블 기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링형 웨어러블 기기(100)는 하부 하우징(120), 링형 안테나 모듈(200) 및 상부 하우징(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 하우징(120)은 링형 안테나 모듈(200)의 내측에 삽입되는 돌출부(122)가 형성된다. 즉, 하부 하우징(120)은 소정 직경을 갖는 링형 안테나 모듈(200)의 내주에 삽입되어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22)가 형성된다.
링형 안테나 모듈(200)은 링형 웨어러블 기기(100)에 실장되어 근거리 통신(즉, NFC)을 수행하는 안테나 모듈이다. 링형 안테나 모듈(200)은 연성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어 링형으로 형성되고, 하부 하우징(120)의 돌출부(122)가 내주부로 삽입되도록 하부 하우징(120)에 실장된다.
상부 하우징(140)은 소정 두께, 폭 및 직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부 하우징(140)은 일면(즉, 하면)에 하부 하우징(120)의 돌출부(122)와 링형 안테나 모듈(200)이 삽입되는 삽입 홈(142)에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 홈(142)은 상부 하우징(140)의 두께 및 폭 보다 얇은 두께 및 좁은 폭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링형 웨어러블 기기(100)는 하부 하우징(120)에 형성된 돌출부(122)에 링형 안테나 모듈(200)을 삽입 실장한 후, 하부 하우징(120)을 상부 하우징(140)과 결합하여 제작된다.
링형 웨어러블 기기(100)는 반지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예를 들면, 반지의 호수)로 제작되어야 한다.
따라서, 링형 웨어러블 기기(100)에 실장되는 링형 안테나 모듈(200)도 다양한 크기(예를 들면, 반지의 호수)로 제작되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연성회로기판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생산성이 저하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형 안테나 모듈(200)은 링형 웨어러블 기기(100)의 사이즈에 따라 사이즈(직경) 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이 제1실시예에 따른 링형 안테나 모듈(200)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링형 안테나 모듈(200)은 베이스 기재(210), 제1 방사 패턴(220), 제1 단자부(230), 제2 단자부(240), 제2 방사 패턴(250), 제3 단자부(260), 제4 단자부(270), 통신 소자(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기재(210)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로 구성된다. 즉, 링형 안테나 모듈(200)은 링(반지)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베이스 기재(210)는 링 형상으로의 가공이 용이해야 하므로 연성을 갖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로 구성된다. 이때, 베이스 기재(21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1 단변(212) 및 제2 단변(214)과 제1 장변(216) 및 제2 장변(218)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방사 패턴(220)은 베이스 기재(210)의 일면(즉, 상면)에 형성된다. 제1 방사 패턴(220)은 베이스 기재(210)의 일면에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방사 라인으로 구성된다. 이때, 복수의 방사 라인은 증착, 인쇄, 도금 등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사 패턴(220)은 일단이 제1 단자부(230)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2 단자부(240)와 연결된다. 즉, 제1 방사 패턴(220)을 구성하는 복수의 방사 라인은 일단이 제1 단자부(230)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2 단자부(240)와 연결된다.
제1 단자부(230)는 베이스 기재(210)의 일면에 형성된다. 제1 단자부(230)는 제1 방사 패턴(220)과 동일한 베이스 기재(210)의 일면에 형성되고, 베이스 기재(210)의 제1 단변(212)에서 제2 단변(214)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단자 라인으로 구성된다.
이때, 복수의 단자 라인은 베이스 기재(210)의 제1 단변(212)에서 제2 단변(214)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호 간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복수의 단자 라인은 제1 방사 패턴(220)을 구성하는 복수의 방사 라인의 일단과 일 대 일로 연결된다.
제2 단자부(240)는 베이스 기재(210)의 일면에 형성된다. 제2 단자부(240)는 제1 방사 패턴(220) 및 제1 단자부(230)와 동일한 베이스 기재(210)의 일면에 형성되고, 베이스 기재(210)의 제2 단변(214)에서 제1 단변(212)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단자 라인으로 구성된다.
이때, 복수의 단자 라인은 베이스 기재(210)의 제2 단변(214)에서 제1 단변(212)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호 간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복수의 단자 라인은 제1 방사 패턴(220)을 구성하는 복수의 방사 라인의 타단과 일 대 일로 연결된다.
제2 방사 패턴(250)은 베이스 기재(210)의 타면(즉, 하면)에 형성된다. 제2방사 패턴은 베이스 기재(210)의 타면에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방사 라인으로 구성된다. 이때, 복수의 방사 라인은 증착, 인쇄, 도금 등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방사 패턴(250)을 구성하는 복수의 방사 라인 중 적어도 하나는 비아홀 등의 연결 부재(미도시)를 통해 제1 방사 패턴(220)을 구성하는 복수의 방사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방사 패턴(250)은 일단이 제3 단자부(260)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4 단자부(270)와 연결된다. 즉, 제2 방사 패턴(250)을 구성하는 복수의 방사 라인은 일단이 제3 단자부(260)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4 단자부(270)와 연결된다.
제3 단자부(260)는 베이스 기재(210)의 타면에 형성된다. 제3 단자부(260)는 제2 방사 패턴(250)과 동일한 베이스 기재(210)의 타면에 형성되고, 베이스 기재(210)의 제1 단변(212)에서 제2 단변(214)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단자 라인으로 구성된다.
이때, 복수의 단자 라인은 베이스 기재(210)의 제1 단변(212)에서 제2 단변(214)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호 간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복수의 단자 라인은 제2 방사 패턴(250)을 구성하는 복수의 방사 라인의 일단과 일 대 일로 연결된다.
제4 단자부(270)는 베이스 기재(210)의 타면에 형성된다. 제4 단자부(270)는 제2 방사 패턴(250) 및 제3 단자부(260)와 동일한 베이스 기재(210)의 일면에 형성되고, 베이스 기재(210)의 제2 단변(214)에서 제1 단변(212)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단자 라인으로 구성된다.
이때, 복수의 단자 라인은 베이스 기재(210)의 제2 단변(214)에서 제1 단변(212) 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호 간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복수의 단자 라인은 제2 방사 패턴(250)을 구성하는 복수의 방사 라인의 타단과 일 대 일로 연결된다.
통신 소자(280)는 제1 방사 패턴(220) 및 제2 방사 패턴(250)과 연결되어 신호를 처리하는 소자이다. 이때, 통신 소자(280)는 보호층(282)로 코팅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성의 링형 안테나 모듈(200)은 평면 상태에서 링형으로 변형됨에 따라 제1 단자부(230) 및 제4 단자부(270; 또는, 제2 단자부(240) 및 제3 단자부(260))가 결합된다.
이때, 링형 안테나 모듈(200)은 링형 웨어러블 기기(100)의 사이즈(예를 들면, 반지 호수, 반경)에 따라 서로 다른 사이즈로 제작되어야 하므로, 제1 단자부(230; 또는, 제3 단자부(260))가 제4 단자부(270; 또는, 제2 단자부(240))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정하여 링형 안테나 모듈(200)의 사이즈를 조정한다.
이를 위해, 링형 안테나 모듈(200)은 제2 단자부(240) 및 제4 단자부(270)를 구성하는 단자 라인의 길이를 제1 단자부(230) 및 제3 단자부(260)를 구성한 단자 라인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링형 안테나 모듈(200)은 제1 단자부(230) 내지 제4 단자부(270)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단자부(230) 제4 단자부(270)만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제2 단자부(240) 및 제3 단자부(260) 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링형 안테나 모듈(200)은 베이스 기재(210)의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단자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형 안테나 모듈(200)은 제1 단자부(230; 또는, 제3 단자부(260))가 제4 단자부(270; 또는, 제2 단자부(240))와 결합된 상태에서 솔더링에 의해 해당 부분이 연결되어 링 형상의 방사 패턴을 갖는 링형 안테나 모듈(200)로 제작된다.
본 발명이 제2실시예에 따른 링형 안테나 모듈(200)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 안테나 모듈(200)은 베이스 기재(210), 제1 방사 패턴(220), 제1 단자부(230), 제2 단자부(240), 제2 방사 패턴(250), 제3 단자부(260), 제4 단자부(270), 통신 소자(280), 제1 가이드부(320), 제2 가이드부(340), 제3 가이드부(360), 제4 가이드부(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베이스 기재(210), 제1 방사 패턴(220), 제1 단자부(230), 제2 단자부(240), 제2 방사 패턴(250), 제3 단자부(260), 제4 단자부(270) 및 통신 소자(280)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가이드부(320)는 베이스 기재(210)의 제1 장변(216) 일측부에 형성된다. 제1 가이드부(320)는 베이스 기재(210)와 동일 재질로 형성되며, 베이스 기재(210)의 제1 장변(216) 일측부(즉, 제1 단변(212) 방향)에서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1 가이드부(320)는 링형 안테나 모듈(200)을 링 형상으로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조용 지그(400)에 결합하기 위한 제1 가이드 홀(322)이 형성된다.
제1 가이드부(320)는 링형 안테나 모듈(200)을 링 형상으로 결합한 후에 제거되며, 이를 위해 베이스 기재(210)와 연결되는 부분에 제1 가이드부(320)의 절취를 위한 복수의 제1 제거용 홀(32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가이드부(320)를 베이스 기재(210)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제거용 홀 이외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제2 가이드부(340)는 베이스 기재(210)의 제2 장변(218) 일측부에 형성된다. 제2 가이드부(340)는 베이스 기재(210)와 동일 재질로 형성되며, 베이스 기재(210)의 제2 장변(218) 일측부(즉, 제1 단변(212) 방향)에서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2 가이드부(340)는 링형 안테나 모듈(200)을 링 형상으로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조용 지그(400)에 결합하기 위한 제2 가이드 홀(342)이 형성된다.
제2 가이드부(340)는 링형 안테나 모듈(200)을 링 형상으로 결합한 후에 제거되며, 이를 위해 베이스 기재(210)와 연결되는 부분에 제2 가이드부(340)의 절취를 위한 복수의 제2 제거용 홀(34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가이드부(340)를 베이스 기재(210)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제거용 홀 이외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제3 가이드부(360)는 베이스 기재(210)의 제1 장변(216) 타측부에 형성된다. 제3 가이드부(360)는 베이스 기재(210)와 동일 재질로 형성되며, 베이스 기재(210)의 제1 장변(216) 타측부(즉, 제2 단변(214) 방향)에서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3 가이드부(360)는 링형 안테나 모듈(200)을 링 형상으로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조용 지그(400)에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제3 가이드 홀(362)이 형성된다.
제3 가이드부(360)는 링형 안테나 모듈(200)을 링 형상으로 결합한 후에 제거되며, 이를 위해 베이스 기재(210)와 연결되는 부분에 제3 가이드부(360)의 절취를 위한 복수의 제3 제거용 홀(36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가이드부(360)를 베이스 기재(210)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제거용 홀 이외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제4 가이드부(380)는 베이스 기재(210)의 제2 장변(218) 타측부에 형성된다. 제4 가이드부(380)는 베이스 기재(210)와 동일 재질로 형성되며, 베이스 기재(210)의 제2 장변(218) 타측부(즉, 제2 단변(214) 방향)에서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4 가이드부(380)는 링형 안테나 모듈(200)을 링 형상으로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조용 지그(400)에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제4 가이드 홀(382)이 형성된다.
제4 가이드부(380)는 링형 안테나 모듈(200)을 링 형상으로 결합한 후에 제거되며, 이를 위해 베이스 기재(210)와 연결되는 부분에 제4 가이드부(380)의 절취를 위한 복수의 제4 제거용 홀(38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4 가이드부(380)를 베이스 기재(210)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제거용 홀 이외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구성의 링형 안테나 모듈(200)은 평면 형상에서 제1 단자부(230) 및 제4 단자부(270; 또는 제2 단자부(240) 및 제3 단자부(260))가 결합됨에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링형 안테나 모듈(200)은 링형 웨어러블 기기(100)의 사이즈(예를 들면, 반지 호수)에 따라 서로 다른 사이즈로 제작되어야 하므로, 제1 단자부(230; 또는 제3 단자부(260))가 제4 단자부(270; 또는, 제2 단자부(240))에 결합되는 위치를 조정하여 링형 안테나 모듈(200)의 사이즈를 조정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 안테나 모듈(200)은 링형 안테나 모듈(200)의 사이즈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제조용 지그(400)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링형 안테나 모듈(200)은 제1 가이드 홀(322) 및 제2 가이드 홀(342)이 제조용 지그(400)의 고정 핀(420, 440)에 삽입되어 고정된 후, 사이즈에 따라 선택되는 복수의 제3 가이드 홀(362) 중 하나와 복수의 제4 가이드 홀(382) 중 하나가 고정 핀(420, 440)에 삽입된다. 여기서, 링형 안테나 모듈(200)은 제조용 지그(400)의 고정 핀(420, 440)에 삽입되는 제3 가이드 홀(362) 및 제4 가이드 홀(382)을 변경함에 따라 사이즈가 변경된다.
그에 따라, 링형 안테나 모듈(200)은 제1 단자부(230; 또는, 제3 단자부(260))가 제4 단자부(270; 또는, 제2 단자부(24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솔더링을 통해 해당 부분을 연결하여 링 형상으로 제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링형 안테나 모듈은 양단에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단자부를 형성하고, 링형으로 변형시 단자부 간의 결합 위치를 가변함으로써, 링형 안테나 모듈의 사이즈(직경)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링형 안테나 모듈은 양단에 형성된 단자부 간의 결합 위치 가변을 통해 사이즈 변경을 수행함으로써, 단일 규격으로 형성된 평면 형상의 안테나 모듈을 이용하여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링 형상의 안테나 모듈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링형 안테나 모듈은 양단에 형성된 단자부 간의 결합 위치 가변을 통해 사이즈 변경을 수행함으로써,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켜 경제성을 확보함으로써 링형 안테나 모듈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링형 안테나 모듈은 일단에 형성된 단자부에 상호 이격된 복수의 가이드 홀이 형성된 가이드부를 연결함으로써, 가이드 홀을 가변하여 링형 안테나 모듈의 사이즈(직경)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링형 안테나 모듈은 가이드부와 베이스 기재가 연결되는 부분에 제거용 홀을 형성함으로써, 링형 웨어러블 기기에 장착시 불필요한 가이드부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링형 안테나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지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링형 안테나 모듈(200)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지그(400)는 하부 고정판(500), 상부 고정판(600), 분리 고정판(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 고정판(500)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배치되는 링형 안테나 모듈(200)의 일면을 고정한다. 하부 고정판(500)은 상부 고정판(600)의 일단과 결합되어 상부 고정판(600)이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 결합 부재(520)가 형성된다.
일례로, 하부 고정판(500)은 하부 본체(510)의 일면에 핀 삽입 홀(522)에 형성된 힌지 결합 부재(520)가 형성된다. 상부 고정판(600)의 핀 삽입 홀(650)이 힌지 결합 부재(520)의 핀 삽입 홀(522)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한 후, 결합 핀(800)을 힌지 결합 부재(520) 및 상부 고정판(600)의 핀 삽입 홀(650)을 관통하도록 삽입한다. 상부 고정판(600)의 핀 삽입 홀(650)은 힌지 결합 부재(520)의 핀 삽입 홀(522)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부 고정판(600)이 결합 핀(800)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부 고정판(500)과 결합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고정판(500)은 링형 안테나 모듈(200)의 고정 및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삽입 홈(5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 홈(540)은 하부 고정판(500)의 일측부에서 타측부까지 형성된다. 삽입 홈(540)은 링형 안테나 모듈(200)의 폭(즉, 단변 폭)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링형 안테나 모듈(200)의 두께이상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 홈(540)은 상부 고정판(600)과 접하는 하부 고정판(500)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 고정판(600)은 일측이 하부 고정판(500)에 형성된 힌지 결합 부재(520)에 결합된다. 상부 고정판(600)은 하부 고정판(500)에 결합된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상부 고정판(600)은 하부 고정판(500)에 링형 안테나 모듈(200)이 배치된 상태에서 하부 고정판(500) 방향으로 회동하여 링형 안테나 모듈(200)의 타면을 고정한다.
이를 위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고정판(600)은 상부 본체(610), 상부 본체(610)의 일단에서 소정 높이(예를 들면, 분리 고정판(700)의 두께)의 단차를 형성하여 분리 고정판(700)이 결합되는 단차 결합부(620), 단차 결합부(620) 상에 형성되고 링형 안테나 모듈(200)의 제1 가이드 홀(322) 내지 제4 가이드 홀(382)에 삽입되어 링형 안테나 모듈(200)을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 핀(630), 분리 고정판(700)과의 결합을 위한 제1 결합 부재(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 결합 부재(640)는 요철(凹凸), 자석 등과 같이 분리 고정판(700)과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부재라면 편의에 따라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분리 고정판(700)은 상부 고정판(600)의 단차 결합부(620)에 결합된 링형 안테나 모듈(200)을 고정한다. 즉, 분리 고정판(700)은 링형 안테나 모듈(200)의 가이드 홀들이 상부 고정판(600)의 고정 핀(6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부 고정판(600)의 단차 결합부(620)에 결합되어 링형 안테나 모듈(200)을 고정한다.
이를 위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고정판(700)은 분리 본체(710) 상에 단차 결합부(620)와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제2 결합 부재(720)가 형성되고, 링형 안테나 모듈(200)의 단자부를 노출시키는 노출 홀(730)이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홀들이 고정 핀(630)에 삽입됨에 따라 링형 안테나 모듈(200)의 단자부들이 결합되어 링(반지) 형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단자부들을 솔더링해야 링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노출 홀(730)은 링형 안테나 모듈(200)의 단자부를 솔더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링형 안테나 모듈(200)의 일부(즉, 단자부들이 결합된 부분)를 노출시킨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제조용 지그(400)를 이용하여 링형 안테나 모듈(200)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고정판(700)이 분리된 상부 고정판(600)을 상부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평면 형태의 링형 안테나 모듈(200)을 삽입 홈(540)에 삽입 배치한다. 이후, 상부 고정판(600)을 하부 방향으로 회동시켜 링형 안테나 모듈(200)을 고정시킨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 안테나 모듈(200)의 제1 가이드 홀(322) 및 제2 가이드 홀(342)을 고정 핀(630)에 삽입한 후, 제3 가이드 홀(362) 및 제 4 가이드 홀을 고정 핀(630)에 삽입한다.
물론, 링형 안테나 모듈(200)의 제3 가이드 홀(362) 및 제 4 가이드 홀을 고정 핀(630)에 삽입한 후, 제1 가이드 홀(322) 및 제2 가이드 홀(342)을 고정 핀(630)에 삽입할 수도 있다.
이때, 링형 안테나 모듈(200)의 가이드 홀들이 고정 핀(63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링형 안테나 모듈(200)의 탄성에 의해 링형 안테나 모듈(200)이 고정 핀(63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고정판(700)을 상부 고정판(600)에 결합시켜 링형 안테나 모듈(200)의 결합 부분을 상부에서 고정함으로써, 링형 안테나 모듈(200)의 분리를 방지한다.
이후, 분리 고정판(700)의 노출 홀(730)을 통해 노출된 링형 안테나 모듈(200)의 단자부들을 솔더링하여 링 형상의 방사 패턴을 구성하고, 상술한 단계를 역순으로 수행하여 링형 안테나 모듈(200)을 제조용 지그(400)에서 분리한다.
마지막으로, 제조용 지그(400)에서 분리한 링형 안테나 모듈(200)의 가이드부를 제거하여 최종 상태의 링형 안테나 모듈(200)을 제작한다(도 11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링형 안테나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지그는 링형 안테나 모듈의 가이드부에 형성된 가이드 홀이 삽입되는 고정 핀을 상부 고정판과 고정 핀에 삽입된 링형 안테나 모듈을 지지하는 분리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평면 형상의 베이스 기재를 링 형상으로 손쉽게 변형할 수 있고, 고정 핀에 삽입되는 가이드 홀을 조정하여 링형 안테나 모듈을 사이즈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링형 안테나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지그는 링형 안테나 모듈의 가이드부에 형성된 가이드 홀이 삽입되는 고정 핀을 상부 고정판과 고정 핀에 삽입된 링형 안테나 모듈을 지지하는 분리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링형 안테나 모듈의 사이즈(반경)를 손쉽게 변경하면서 정확한 사이즈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링형 웨어러블 기기 120: 하부 하우징
122: 돌출부 140: 상부 하우징
142: 삽입 홈 200: 링형 안테나 모듈
210: 베이스 기재 212: 제1 단변
214: 제2 단변 216: 제1 장변
218: 제2 장변 220: 제1 방사 패턴
230: 제1 단자부 240: 제2 단자부
250: 제2 방사 패턴 260: 제3 단자부
270: 제4 단자부 280: 통신 소자
282: 보호층 320: 제1 가이드부
322: 제1 가이드 홀 324: 제1 제거용 홀
340: 제2 가이드부 342: 제2 가이드 홀
344: 제2 제거용 홀 360: 제3 가이드부
362: 제3 가이드 홀 364: 제3 제거용 홀
380: 제4 가이드부 382: 제4 가이드 홀
384: 제4 제거용 홀 400: 제조용 지그
420: 제1 고정 핀 440: 제2 고정 핀
500: 하부 고정판 510: 하부 본체
520: 힌지 결합 부재 522: 핀 삽입 홀
540: 삽입 홈 600: 상부 고정판
610: 상부 본체 620: 단차 결합부
630: 고정 핀 640: 제1 결합 부재
650: 핀 삽입 홀 700: 분리 고정판
710: 분리 본체 720: 제2 결합 부재
730: 노출 홀 800: 결합 핀

Claims (13)

  1. 방사 패턴이 형성된 연성의 베이스 기재;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방사 패턴의 일단에 연결되는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기재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방사 패턴의 타단에 연결되는 다른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방사 패턴에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단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다른 단자부는 상기 방사 패턴에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기재의 타단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다른 단자부의 단자 라인의 길이는 상기 단자부의 단자 라인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기재를 링 형상으로 변형시 상기 단자부의 단자 라인이 상기 다른 단자부의 단자 라인과 임의의 위치에서 결합 고정되어 상기 링 형상의 반경을 고정하고, 상기 단자부에 연결된 방사 라인은 상기 다른 단자부에 연결된 다른 방사 라인 상에 결합 고정되고, 링형 웨어러블 기기의 하부 하우징에 형성된 링 형상의 돌출부가 상기 링형 웨어러블 기기의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링 형상의 삽입 홈에 삽임됨에 따라 상기 돌출부의 외주와 상기 삽입 홈의 내주 사이에 하나의 링형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기재는 링 형상의 반경이 고정된 상태로 상기 링형 웨어러블 기기의 하우징에 형성된 하나의 상기 링형 공간에 삽입 실장된 링형 안테나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의 단자 라인 및 상기 다른 단자부의 단자 라인의 접촉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링 형상의 반경을 가변하는 링형 안테나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다른 단자부는 상기 베이스 기재의 타면에 형성되는 링형 안테나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의 제1 단변에 형성되고,
    상기 다른 단자부는 상기 베이스 기재의 타면의 제2 단변에 형성되는 링형 안테나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재는,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방사 패턴; 및
    상기 베이스 기재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방사 패턴을 포함하는 링형 안테나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의 제1 단변에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1 방사 패턴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1 단자부; 및
    상기 베이스 기재의 타면의 제1 단변에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2 방사 패턴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3 단자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링형 안테나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단자부는,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의 제2 단변에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1 방사 패턴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2 단자부; 및
    상기 베이스 기재의 타면의 제2 단변에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2 방사 패턴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4 단자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링형 안테나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복수의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기재의 타측부에 형성되는 다른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링형 안테나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하나의 제1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1 장변 일단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부; 및
    하나의 제2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2 장변 일단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링형 안테나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가이드부는,
    복수의 제3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1 장변 타단에 형성되는 제3 가이드부; 및
    복수의 제4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제2 장변 타단에 형성되는 제4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링형 안테나 모듈.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다른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 기재와 연결되는 부분에 제거용 홀이 형성되는 링형 안테나 모듈.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 홀과 접촉되는 상기 다른 가이드부의 가이드 홀을 가변하여 상기 단자부와 다른 단자부의 접촉 위치를 가변하는 링형 안테나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재에 형성된 방사 패턴과 연결되는 통신 소자를 더 포함하는 링형 안테나 모듈.
KR1020190040342A 2019-04-05 2019-04-05 링형 안테나 모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지그 KR102044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342A KR102044537B1 (ko) 2019-04-05 2019-04-05 링형 안테나 모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342A KR102044537B1 (ko) 2019-04-05 2019-04-05 링형 안테나 모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지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167A Division KR101968629B1 (ko) 2016-06-22 2016-06-22 링형 안테나 모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904A KR20190039904A (ko) 2019-04-16
KR102044537B1 true KR102044537B1 (ko) 2019-11-13

Family

ID=66281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342A KR102044537B1 (ko) 2019-04-05 2019-04-05 링형 안테나 모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5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78853A1 (en) * 2011-10-20 2014-12-25 George Anthony McKinney Universal wearable limb band mounting, powering and providing an antenna for, diverse physiological sensors and monitor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5544B2 (ja) * 1995-07-20 2005-04-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無線機器用アンテナ
US8073548B2 (en) * 2004-08-24 2011-12-06 Sensors For Medicine And Science, Inc. Wristband or other type of band having an adjustable antenna for use with a sensor reader
KR20070109766A (ko) 2006-09-20 2007-11-15 주식회사 에스씨티 무선통신용 링형 플렉시블 안테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78853A1 (en) * 2011-10-20 2014-12-25 George Anthony McKinney Universal wearable limb band mounting, powering and providing an antenna for, diverse physiological sensors and moni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904A (ko) 201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98619B2 (en) Ring type antenna module and jig for manufacturing same
US11005164B2 (en) Ring-shaped antenna and earphone module having same
US9450294B2 (en) Antenna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US20140184461A1 (en) Antenna Assembly
CN106663873B (zh) Nfc天线模块和具有其的便携式终端
JP2015510303A (ja) アンテナ接地面延長部のための方法
US20200335856A1 (en) Ring-shaped antenna and ear module comprising same
EP3082198A1 (en) Connecting member for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US20100099275A1 (en) Electrical flex connector for mounting on a printed circuit board
CN204462670U (zh) 穿戴式电子装置
US20070035455A1 (en) Display frame having antenna
US10152084B2 (en) Electronic device
KR102044537B1 (ko) 링형 안테나 모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지그
US9178298B2 (en) Subscriber identity module connector
KR101968629B1 (ko) 링형 안테나 모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지그
KR101926574B1 (ko) 링형 안테나 모듈
US20170154201A1 (en) Fingerprint sensing device
CN110602881A (zh) 电路板及显示装置
CN112956177A (zh) 包括基板的基板连接构件以及包括该基板连接构件的电子设备,该基板具有围绕其中形成直通导线的区域的开口部分和形成在开口部分的侧表面上的导电构件
US10201088B2 (en) Contact element and contact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CN109638434A (zh) 一种智能手环的nfc天线及智能手环
KR101926575B1 (ko) 링형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이어 모듈
JP2005158657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20230076064A1 (en) Antenna module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reception
CN107395798B (zh) 指纹识别装饰圈固定组件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