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9766A - 무선통신용 링형 플렉시블 안테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용 링형 플렉시블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9766A
KR20070109766A KR1020060090989A KR20060090989A KR20070109766A KR 20070109766 A KR20070109766 A KR 20070109766A KR 1020060090989 A KR1020060090989 A KR 1020060090989A KR 20060090989 A KR20060090989 A KR 20060090989A KR 20070109766 A KR20070109766 A KR 20070109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ring
wireless communication
flexible antenna
embe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0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천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씨티
Priority to KR1020060090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9766A/ko
Publication of KR20070109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7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01Q7/02Collapsible antennas; Retractab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9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in bluetooth or WI-FI devices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73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6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on the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용 링형 플렉시블 안테나에 관한것으로서,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휴대용 통신모듈에 있어서, 근거리통신모듈가 상단에 결합되고, 인장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팔찌, 발찌 또는 목걸이의 링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접이형 안테나가 내장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용 링형 플렉시블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있다.
안테나, 링형, 플렉시블, 근거리무선, 팔찌

Description

무선통신용 링형 플렉시블 안테나{Ring Model Flexible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링형 플렉시블 안테나의 구성도,
도 2는 링형 플렉시블 안테나의 확장도,
도 3은 안테나가 일부만 형성된 구성도,
도 4는 안테나를 분말형태로 형성하여 링과 혼합하여 형성한 구성도,
도 5는 상부가 비인장력 재질이며 하부가 인장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근거리통신모듈 20 : 링
30 : 안테나 31 : 분말안테나
40 : 비인장력 재질부
본 발명은 무선통신용 링형 플렉시블 안테나에 관한것으로서,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휴대용 통신모듈에 있어서, 근거리통신모듈가 상단에 결합되고, 인장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팔찌, 발찌 또는 목걸이의 링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접이형 안테나가 내장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용 링형 플렉시블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인터넷 및 이동 통신으로 대표되는 정보 통신 기술은 현대인의 생활 패턴을 바꾸어 놓고 있다. 거의 모든 가정, 학교 및 사무실에 인터넷이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되어 웹 사이트를 이용한 정보 습득, 전자 상거래를 통한 상품 구매, E-mail을 통한 소식의 교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사람들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음성 통화 위주의 이동 통신 서비스만 이용할 수 있었지만, 최근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 한 대로 금융 결제, 홈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동영상 촬영, 사진 촬영, MP3 음악 감상, 무선 인터넷 이용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렇듯,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정보 통신 기술은 실생활의 여러 부분에 적용되고 있으며, '유비쿼터스(Ubiquitous)'라는 신조어를 등장시키게 되었다. 유비쿼터스는 '어느 곳에나 존재한다'라는 의미를 갖는 라틴어 단어이며,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라는 표현은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고 편리하게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한다.
즉, 무선 데이터 통신으로 데이터를 상호 전송하는 초소형의 컴퓨터 디바이스를 실생활 주변의 사물, 공간에 각각 내재(內在)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의 유비쿼터스 기술은 RFID 기술을 중심으로 구현되고 있다. 흔히 스마트 라벨링(Smart Labeling)이라고도 불리는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은 마이크로칩에 저장된 정보를 전파를 이용하여 원격에서 감지 및 인식하는 기술로 대중 교통 요금 징수 시스템, 물류 추적 모듈 등에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 무선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무선 기기들의 보급으로 사람들의 생활 방식에 많은 변화를 주고 있는데, 특히, 별도의 주파수 자원의 확보없이 기존의 무선통신 서비스와 공존하며 고속 광대역의 무선통신을 할 수 있는 UWB 통신이 최근에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UWB 무선 기술은 넓은 의미에서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 기술을 말하는데 1950년대부터 미국에서 주로 군사적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1994년 이후 군사보안이 해제되었고 일부 벤처 회사 및 연구소에서 상업적인 목적으로 UWB 무선 기술을 개발하기 시작했다. 그러다가 2002년 2월 14일에 미국연방통신위원회(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이하, FCC라 함)에서 상업적 이용을 허용하였다. 현재 UWB 기술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5 WG(Working Group)에서 표준화 작업이 진행중이다. FCC가 정의하는 UWB란 사용할 주파수 대역폭이 중심 주파수에 대해서 20% 이상, 또는 500MHz 이상의 대역폭을 차지하는 무선 전송 기술을 의미한다.
여기서 대역폭은 -3dB 지점을 기준으로 결정하는 다른 통신과는 달리 -10dB 지점을 기준으로 결정한다. 특히 단일 대역의 UWB는 기저대역 신호를 반송파에 실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존의 협대역 통신과는 달리 수 나노 초에 이르는 극히 짧은 기저대역 펄스를 사용하여 반송파의 사용 없이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시 간축 영역에서 수 나노 초에 해당하는 UWB 펄스는 주파수 스펙트럼 상에서는 수 기가 대역에 이르는 광대역을 가지기 때문에 기존의 협대역 무선통신 기술에 비교한다면 현저히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가지는 무선통신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수 나노 초에 이르는 극히 짧은 펄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UWB 무선 기술은 기존의 협대역 통신과는 다른 여러특징을 가진다. UWB는 기본적으로 펄스를 이용한 신호의 전송이기 때문에 주파수 대역에서 대역폭이 매우 넓어지고 반대로 주파수 축 위에서의 송신 전력 밀도는 작아진다. 즉 잡음대역 이하에서도 통신이 가능하다.
UWB 무선 통신 기술이 초고속 전송이 가능한 이유는 섀논의 채널 용량 식(Shannon's Capacity)으로 설명할 수 있다. 섀논 한계에서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 모두 데이터를 오류 없이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전송률은 제공된 물리적인 통신 채널마다 고유 통신 채널 용량 C로 정의할 수 있다. 특히 전송할 수 있는 주파수의 대역폭 B는 일정하게 제한되어 잡음으로 인해 오류가 생기는 채널에서의 최대 전송 용량 C는 수학식 1과 같이 주어진다.
수학식 1
Figure 112006067804667-PAT00001
(여기서, C는 최대 채널 용량을 의미하고 B는 채널 대역폭을 의미하고, S는 신호의 전력을 의미하며, N은 노이즈의 전력을 의미한다)
수학식 1을 살펴보면 C는 B에 대해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S/N에 의해 로그함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대역폭이 증가한다는 것은 채널로 전송할 수 있는 최대 채널 용량이 이에 비례할 수 있다는 것이다. UWB는 짧은 펄스(wavelet)를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주파수 영역에서 UWB 신호를 관찰하면 대역폭이 수 GHz 정도로 넓을 수가 있다. 즉, UWB 통신을 할 경우에 엄청나게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이외에도 UWB는 넓은 대역폭을 사용하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전력으로 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다중접속이 가능하며 다중 경로에 의한 간섭 영향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UWB가 응용될 수 있는 분야는 다양한데, 많은 주목을 받는 분야 중 하나는 대략 수~수십m 정도 영역에서의 고속 근거리 통신이다. 고속 근거리 통신을 위하여 UWB 신호를 변조하는 방법은 UWB 펄스(UWB Wavelet)의 시간적 위치의 변화를 이용하는 펄스 위치 변조(Pulse Position Modulation: PPM), 펄스의 크기를 이용하는 펄스 진폭 변조(Pulse Amplitude Modulation: PAM), BPSK나 QPSK와 같은 위상 천이 방식 변조(Phase Shift Keying: PSK), 및 직교 주파수분할다중변조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OFDM)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보통 근거리통신모듈는 카드형태 또는 휴대폰에 내장되어 사용되어진다.
이러한, 경우 항상 카드를 손에 소지를 하거나 지갑이나 주머니에 소지를 하게되는데, 이때 분실위험과 항상 주머니나 지갑에서 꺼내야 하는 불편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근거리통신모듈를 링형태로 제작하고, 상기 링내부에 안테나를 내장하여 팔찌, 발찌 또는 목걸이의 형태로 제작하여 이용자가 항시 휴대가 가능 하도록 하는 무선통신용 링형 플렉시블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휴대용 통신모듈에 있어서, 근거리통신모듈가 상단에 결합되고, 인장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팔찌, 발찌 또는 목걸이의 링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접이형 안테나가 내장되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링형 플렉시블 안테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링형 플렉시블 안테나의 확장도이며, 도 3은 안테나가 일부만 형성된 구성도이고, 도 4는 안테나를 분말형태로 형성하여 인장력을 가진 재질과 혼합하여 형성한 구성도이며, 도 5는 상부가 비인장력 재질부이며 하부가 인장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근거리통신모듈(10)이 상측에 결합된 팔찌, 발찌 또는 목걸이 형태로 제작된 인장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링(20)의 내부에 안테나(30)를 내장시켜 신호를 송수신 하도록 한다.
상기 링(20)의 상측에 근거리통신모듈(10)이 설치되고, 상기 근거리통신모듈(10)의 링(20)의 원주를 따라 내부에 접이식 안테나(30)가 내장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링(20)에 안테나(30)의 형상은 여러가지 종류가 있는데, 그 종류는 다음과 같다.
상기 링(20)은 인장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에 링(20)의 원주를 따라 내장된 접이식 안테나(30)를 갖도록 제작되거나, 상기 안테나(30)가 링(20)의 원주 방향으로 일부만 형성되어 제작되거나, 안테나(30)가 분말로 형성되어 링(20)의 재질과 혼합되어 제작되어진 형태로 제작되어진다.
즉, 인장력을 가진 재질의 내부에 링(20)의 원주 전체를 감싸는 접이식 안테나(30)를 내장하여 안테나(30)의 범위를 크게 하는것과, 링(20)의 상측에서 연장된 안테나(30)가 일부만 연결되어 형성된 것과, 안테나(30)를 분말의 형태로 만들어 링(20)의 재질과 혼합아여 제작한 형태로 내부에 분말안테나(31)가 혼합된 형태로 제작되어진다.
그리고, 링(20)의 상부의 일부분이 비인장력을 가진 재질인 비인장력 재질부(40)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인장력 재질부(40)의 내부에 안테나(30)가 내장되어지며, 상기 링(20)의 하부 일부분이 인장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링(20)은 팔찌나 발찌 또는 목걸이의 형태로 제작되며 인장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러져 팔찌나 발찌 또는 목걸이의 경우 재질이 늘어나 손목이나 발목 또는 목에 착용할 수 있으며, 안테나(30)는 팔찌나 발찌 또는 목걸이의 내부에 원주를 따라 내장되어지며, 재질을 늘였을때 안테나(30)의 접혀졌던 부위가 펴지면서 끊어지거나 하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근거리통신모듈를 링형태를 갖는 소지품으로 제작하고, 상기 링내부에 안테나를 내장하여 팔찌, 발찌 또는 목걸이의 형태로 제작하여 이용자가 항시 휴대가 가능 하다.

Claims (3)

  1.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휴대용 통신모듈에 있어서,
    근거리통신모듈(10)이 상단에 결합되고, 인장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팔찌, 발찌 또는 목걸이의 링(20)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접이형 안테나(30)가 내장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용 링형 플렉시블 안테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20)에 내장된 안테나(30)는 링(20)의 원주를 따라 내장된 형태, 상기 링(20)의 일부분만 내장된 형태 또는 안테나(30)가 분말로 제조되어 링(20)의 재질과 혼합되어 형성된 분말안테나(31)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용 링형 플렉시블 안테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20)에 내장된 안테나(30)는 링(20)의 상측 일부분은 비인장력 재질로 이루어진 비인장력 재질부(40)이고, 상기 비인장력 재질부(40)의 원주 일부분에 안테나(30)가 내장되며, 상기 링(20)의 하측 일부분이 인장력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용 링형 플렉시블 안테나.
KR1020060090989A 2006-09-20 2006-09-20 무선통신용 링형 플렉시블 안테나 KR200701097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989A KR20070109766A (ko) 2006-09-20 2006-09-20 무선통신용 링형 플렉시블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0989A KR20070109766A (ko) 2006-09-20 2006-09-20 무선통신용 링형 플렉시블 안테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636U Division KR200423160Y1 (ko) 2006-05-11 2006-05-11 무선통신용 링형 플렉시블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766A true KR20070109766A (ko) 2007-11-15

Family

ID=39064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0989A KR20070109766A (ko) 2006-09-20 2006-09-20 무선통신용 링형 플렉시블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976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2217A1 (ko) * 2016-06-22 2017-12-28 주식회사 아모텍 링형 안테나 모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지그
KR20180000221A (ko) 2016-06-22 2018-01-02 주식회사 아모텍 링형 안테나 모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지그
KR20180049669A (ko) * 2016-11-03 2018-05-11 주식회사 아모텍 링형 안테나 모듈
WO2018182091A1 (ko) * 2017-03-31 2018-10-04 주식회사 아모텍 링형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이어 모듈
KR20180111124A (ko) * 2017-03-31 2018-10-11 주식회사 아모텍 링형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이어 모듈
CN109216878A (zh) * 2017-06-29 2019-01-15 株式会社Mtg 环型可穿戴终端及可挠性基板
KR20190039904A (ko) 2019-04-05 2019-04-16 주식회사 아모텍 링형 안테나 모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지그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8619B2 (en) 2016-06-22 2021-05-04 Amotech Co., Ltd. Ring type antenna module and jig for manufacturing same
KR20180000221A (ko) 2016-06-22 2018-01-02 주식회사 아모텍 링형 안테나 모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지그
CN109417218A (zh) * 2016-06-22 2019-03-01 阿莫技术有限公司 环形天线模块及用于制造该环形天线模块的夹具
WO2017222217A1 (ko) * 2016-06-22 2017-12-28 주식회사 아모텍 링형 안테나 모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지그
KR20180049669A (ko) * 2016-11-03 2018-05-11 주식회사 아모텍 링형 안테나 모듈
WO2018182091A1 (ko) * 2017-03-31 2018-10-04 주식회사 아모텍 링형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이어 모듈
KR20180111124A (ko) * 2017-03-31 2018-10-11 주식회사 아모텍 링형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이어 모듈
CN110574231A (zh) * 2017-03-31 2019-12-13 阿莫技术有限公司 环形天线及具有该环形天线的耳机模块
US11005164B2 (en) 2017-03-31 2021-05-11 Amotech Co., Ltd. Ring-shaped antenna and earphone module having same
CN110574231B (zh) * 2017-03-31 2021-08-17 阿莫技术有限公司 环形天线及具有该环形天线的耳机模块
CN109216878A (zh) * 2017-06-29 2019-01-15 株式会社Mtg 环型可穿戴终端及可挠性基板
CN109216878B (zh) * 2017-06-29 2022-05-10 株式会社Mtg 环型可穿戴终端及可挠性基板
KR20190039904A (ko) 2019-04-05 2019-04-16 주식회사 아모텍 링형 안테나 모듈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yer et al. Inter-technology backscatter: Towards internet connectivity for implanted devices
EP3408681B1 (en) Backscatter devices including examples of single sideband operation
US1049856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ackscatter communication
KR20070109766A (ko) 무선통신용 링형 플렉시블 안테나
US9002263B2 (en) Switching between multiple coupling modes
An et al. Cross-frequency communication: Near-field identification of UHF RFIDs with WiFi!
CN102544709B (zh) 一种移动支付转接桥的通信距离均衡的转接桥天线
Catherwood et al. Ultrawideband communications—An idea whose time has still yet to come?[wireless corner]
Wang et al. A low-power backscatter modulation system communicating across tens of meters with standards-compliant Wi-Fi transceivers
Rostami et al. Redefining passive in backscattering with commodity devices
Nagashree et al. Near field communication
CN103597750A (zh) 唤醒电路和用于形成该电路的方法
KR200423160Y1 (ko) 무선통신용 링형 플렉시블 안테나
Thomas Modulated backscatter for low-power high-bandwidth communication
Finkenzeller et al. Range extension of an ISO/IEC 14443 type a RFID system with actively emulating load modulation
KR100774362B1 (ko) Rfid와 uwb통신을 이용한 data 제어 장치와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CN104660536A (zh) 一种有源标签直接发送副载波的调制系统
An et al. Identifying UHF RFIDs in range of readers with WiFi
Chang et al. Development in ambient backscatter communications
Rosenthal et al. An All-Digital 1 Mbps, 57 pJ/bit Bluetooth Low Energy (BLE) Backscatter ASIC in 65 nm CMOS
KR20070102140A (ko) Rfid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과이를 이용한 방법.
Wang Study on several promi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Chinaei et al. A novel algorithm for secret key generation in passive backscatter communication systems
CN204316753U (zh) 无线接收及发送系统
EP437651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