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290B1 -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290B1
KR102043290B1 KR1020170150752A KR20170150752A KR102043290B1 KR 102043290 B1 KR102043290 B1 KR 102043290B1 KR 1020170150752 A KR1020170150752 A KR 1020170150752A KR 20170150752 A KR20170150752 A KR 20170150752A KR 102043290 B1 KR102043290 B1 KR 102043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strip
roller
edge
ed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4473A (ko
Inventor
김재근
김사욱
손병근
김정곤
정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50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290B1/ko
Publication of KR20190054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2Process control or re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25D7/0671Selective plating
    • C25D7/0678Selective plating using mas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는, 강판 스트립의 에지부를 따라 배치되는 에지 마스크, 스트립 에지부에 발생된 수지상 결정을 탈락시키기 위한 롤러, 및 롤러를 상기 스트립 에지부에 밀착시켜 주기 위한 롤러 밀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DEVICE FOR REMOVING DENDRITE OF PLATED STRIP}
본 발명은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 공정 중의 하나인 전기 도금 공정은 도금 용액을 전기, 화학적으로 분해, 결합시켜 강판의 표면에 금속, 예컨대 아연의 도막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전기 도금 공정은 대량의 도금 강판을 생산하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수평 셀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수평 셀은 전기전도도가 낮은 황산 베이스(Base)의 도금 용액을 사용하기 때문에 강판(-)과 애노드(Anode) 전극(+)과의 극간 거리를 짧게 하여 과전압을 방지한다.
그러나, 짧은 극간거리에서 강판의 에지(Edge)부의 과도금 및 수지상 결정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에지 마스크(Edge Mask)의 근접의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에지부의 일부분에는 과도금 및 수지상 결정이 발생되며 여러 개의 도금욕조를 거치면서 수지상 결정은 나무 모양으로 성장하며, 도금량이 많은 고급강을 생산할수록 수지상 결정의 크기도 크게 성장한다.
전기 도금 과정에서 도금 용액은 하부에서 상부로 흐르게 되며, 부반응(2H+ + 2e- →H2↑)에 의해 기포가 발생되고 하부의 수소 기포는 강판의 양측면으로 빠져 나오면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금 용액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현상과 수소 기포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불완전하게 융착된 수지상 결정이 강판의 에지(Edge)부로부터 탈락하게 된다.
그러나, 도금 셀(Cell) 내부는 강판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에지 마스크(Edge Mask)가 강판에 근접하여 있기 때문에 도금 셀 내부에서 도금 용액이 측면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도금 셀의 전, 후로만 빠져나간다.
또한, 도금 셀의 후단으로 빠져나간 도금 용액은 통전롤(Conductor Roll)을 따라 회전되며, 이에 따라 탈락한 수지상 결정이 강판과 통전롤 사이에 삽입되어 덴트(Dent)로 인한 제품 불량이 발생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강판의 에지부를 따라 유동적으로 움직이는 에지 마스크에 고정된 롤러가 강판의 도금 욕조 진입 전에 강판 에지부와 접촉하여 수지상 결정을 탈락시킬 수 있는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는, 강판 스트립의 에지부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에지 마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는, 에지 마스크에 임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트립 에지부에 발생된 수지상 결정을 탈락시키기 위한 롤러, 및 롤러에 설치되어 롤러를 상기 스트립 에지부에 밀착시켜 주기 위한 롤러 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는, 에지 마스크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에지 마스크와 강판 스트립 에지부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강판 스트립의 상, 하부에는 강판 스트립이 순차적으로 통과되기 위한 복수개의 통전롤과 백업롤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통전롤과 이웃하는 통전롤의 사이에는 도금 욕조가 설치되고, 롤러 밀착부는 통전롤과 도금 욕조 사이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롤러 밀착부는, 에지 마스크의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 플레이트, 연장 플레이트에 고정 결합되는 프레임, 프레임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롤러가 임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무빙 프레임, 및 프레임과 무빙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롤러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무빙 프레임의 일단부에는 롤러를 힌지핀에 의하여 임의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2개의 힌지 플레이트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프레임에는 무빙 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로드가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탄성부재는 가이드 로드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가이드 로드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너트와 결합되기 수나사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가이드 로드의 타단부 내주면에는 볼트와 결합되기 위한 암나사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간격 조절부는, 도금 욕조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외측에 설치되고, 강판 스트립의 에지부를 감지하기 위한 리니어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조절부는, 에지 마스크의 외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로드부재, 로드부재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조절부 몸체, 및 조절부 몸체에 나사 결합되어 조절부 몸체를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볼 스크류 및 볼 스크류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볼 스크류의 일단부에는 볼 스크류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서보모터가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서보모터는 리니어 센서의 감지 정보에 따라 에지 마스크를 스트립 에지부로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에지 마스크에 고정된 롤러가 강판의 도금 욕조 진입 전에 강판 에지부와 접촉하여 수지상 결정을 탈락시킴으로써 수지상 결정의 탈락으로 인한 덴트로 인한 제품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의 일부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의 일부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는, 강판 스트립(100)의 양측 에지부(101)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스트립 에지부(101)의 과전압을 방지하기 위한 에지 마스크(Edge Mask)(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지 마스트(200)는 스트립의 에지부(101)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는, 에지 마스크(2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트립 에지부(101)에 발생된 수지상 결정과 충돌하여 수지상 결정을 탈락시키기 위한 롤러(210)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210)는 에지 마스크(200)에 임의 회전 가능한 아이들 롤러일 수 있다.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는, 롤러(210)에 설치되어 롤러(210)를 스트립 에지부(101)에 설정된 크기의 힘으로 밀착시켜 주기 위한 롤러 밀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는, 에지 마스크(20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에지 마스크(200)와 강판 스트립(100)의 양측 에지부(101)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 조절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강판 스트립(100)의 상, 하부에는 강판 스트립(100)이 순차적으로 통과되기 위한 통전롤(10)과 백업롤(20)이 설치될 수 있다.
통전롤(10)과 백업롤(20)은 스트립(100)의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강판 스트립(100)은 복수개의 통전롤(10)과 백업롤(20) 사이를 각각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상부 전극(미도시)과 하부 전극(미도시) 사이를 통과한다.
통전롤(10)과 이웃하는 통전롤(10)의 사이에는 스트립(100)의 상, 하부에 각각 도금 용액을 분사하고 저장하기 위한 도금 욕조(30, 40)가 설치될 수 있다.
롤러 밀착부(300)는 통전롤(10)과 도금 욕조(30) 사이에 설치되어, 강판 스트립(100)이 도금 욕조(30)에 진입하기 전에 미리 스트립 에지부(101)에 발생된 수지상 결정을 탈락시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롤러 밀착부(300)는, 에지 마스크(200)의 내부 코어(201)의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 플레이트(301)와, 연장 플레이트(301)에 고정 결합되는 프레임(310)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 밀착부(300)는, 프레임(310)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롤러(210)가 임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무빙 프레임(320)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 밀착부(300)는, 프레임(310)과 무빙 프레임(320)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어 롤러(210)를 무빙 프레임(320)으로부터 스트립 에지부(101)로 설정된 크기의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빙 프레임(320)의 일단부에는 롤러(210)를 힌지핀(341)에 의하여 임의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2개의 힌지 플레이트(340)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310)에는 무빙 프레임(32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로드(350)가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330)는 무빙 프레임(320)의 이동 시 가이드 로드(350)에 의하여 안내될 수 있도록 가이드 로드(350)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330)는 프레임(310)으로부터 무빙 프레임(320)으로 일정한 크기의 탄성력을 인가하고 있다. 따라서, 롤러(210)는 스트립 에지부(101)에 설정된 크기의 힘으로 밀착될 수 있다.
연장 플레이트(301)에는 연장 플레이트(301)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리브(303)가 설정된 크기와 형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10)은 롤러 밀착부(300)를 에지 마스크(200)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가이드 로드(350)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수지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프레임(310)은 연장 플레이트(301)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311) 및 너트(313) 등에 의하여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너트(313)의 상단부에는 너트(31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너트 이탈 방지캡(315)이 설치될 수 있다.
너트 이탈 방지캡(315)은 너트(313)의 이탈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사각체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 플레이트(301)와 프레임(310)에는 볼트(311)가 삽입 결합되기 위한 결합구멍(302, 3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310)의 상단부에는 너트 이탈 방지캡(315)이 프레임(310)의 상단면과 평면을 이루도록 삽입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31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무빙 프레임(320)에는 가이드 로드(350)가 삽입 결합되기 위한 결합구멍(321)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힌지 플레이트(340)에는 힌지핀(341)이 결합되기 위한 힌지핀 결합구멍(34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롤러(210)에는 힌지핀(341)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멍(211)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핀(341)에는 힌지핀 결합구멍(343)에 결합된 힌지핀(34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핀(343)이 결합될 수 있다.
힌지핀(341)의 일단부에는 이탈 방지핀(343)이 결합되기 위한 이탈 방지핀 결합구멍(342)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10)에는 가이드 로드(350)가 삽입 결합되기 위한 결합구멍(317)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로드(350)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가이드 로드(350)를 프레임(310)에 고정 결합시켜 줄 수 있도록 너트(318)와 결합되기 수나사(35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로드(350)의 일단부에는 너트(318)와 수나사(351)가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 로드(35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핀(319)이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로드(350)에는 이탈 방지핀(319)이 결합되기 위한 결합구멍(353)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로드(350)의 타단부 내주면에는 가이드 로드(350)를 무빙 프레임(320)에 고정 결합시켜 줄 수 있도록 볼트(323)과 결합되기 위한 암나사(355)가 형성될 수 있다.
간격 조절부(400)는 도금 욕조(30, 40)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강판 스트립(100)의 에지부(101)를 감지하기 위한 리니어 센서(410, 420)를 포함할 수 있다.
리니어 센서(410, 420)는 도금 욕조(30, 40)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외측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50)에 지지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간격 조절부(400)는, 스트립의 폭 방향(도 1의 y 방향)으로 배치되고, 에지 마스크(200)의 외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로드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조절부(400)는, 스트립의 길이 방향(도 1의 x 방향)으로 배치되고 로드부재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조절부 몸체(440)를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조절부(400)는, 조절부 몸체(440)에 나사 결합되어 조절부 몸체를 스트립의 폭 방향(y)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볼 스크류(450) 및 볼 스크류 너트(45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볼 스크류(450)의 일단부에는 볼 스크류(450)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에지 마스크(200)를 스트립(100) 에지부(101)로 설정된 간격만큼 접근 또는 이격시키기 위한 서보모터(460)가 결합될 수 있다.
서보모터(460)는 리니어 센서(410, 420)에 의하여 측정된 스트립 에지부(101)의 감지 정보에 따라 강판 스트립(100)의 폭 및 사행량을 설정하여 에지 마스크(200)를 스트립(100)의 에지부(101)로 접근 또는 이격시킬 수 있다.
로드부재(430)는 스트립의 폭 방향(y)으로 배치되어 에지 마스크의 외측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조절부 몸체(440)는 스트립(100)의 길이 방향(x)으로 배치되어 로드부재(430)와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간격 조절부(400)에 의하여 강판 스트립(100)의 에지부(101)와 에지 마스크(200)의 간격을 조절하는 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금 욕조(30, 40)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외측에 설치된 리니어 센서(410, 420)에 의하여 강판 스트립(100)의 에지부(101)를 감지하여 에지부(101)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가상의 선을 만들어 그 가상선에 에지 마스크(200)를 근접시킨다.
즉, 리니어 센서(410, 420)가 강판 스트립(100)의 에지부(101)를 감지하면, 서보모터(460)를 구동시켜 볼 스크류(450)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볼 스크류(450)와 볼 스크류 너트(451)의 회전에 의하여 조절부 몸체(440)는 스트립 에지부(101)로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또한, 조절부 몸체(440)가 스트립 에지부(101)로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면, 조절부 몸체(440)에 고정된 로드부재(430)가 마찬가지로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로드부재(430)에 고정 설치된 에지 마스크(200)도 스트립 에지부(101)로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됨에 따라, 에지 마스크(200)가 에지부(101)의 가상선에 근접하게 되거나 에지부(101)의 가상선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니어 센서(410, 420)에서 감지된 강판 스트립(100)의 폭 및 사행량을 서보모터(460)에 전달하여 강판 스트립(100) 에지부(101)를 추적(Tracing)하여 에지 마스크(200)를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에지 마스크(200)를 스트립(100)의 에지부(101)에 근접시키면, 에지 마스크(200)의 일단부보다 일측에 설치된 롤러(210)는 에지 마스크(200)보다 스트립 에지부(101)로 설정된 간격만큼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출되는 간격은, 가이드 로드(350)의 너트(318)를 조정함으로써 임의로 조정될 수 있다.
강판 스트립(100) 에지부(101)와 에지 마스크(200)간의 간격을 통상 사용 간격(예컨대, 5mm)만큼 설정하면, 롤러(210)는 롤러 밀착부(300)의 탄성부재(330)를 압축하면서 설정된 간격만큼 이동하게 된다.
이 때, 탄성부재(330)는 프레임(310)과 무빙 프레임(320) 사이에 설정된 간격으로 압축시켜 놓았기 때문에, 탄성부재(330)의 설정된 크기의 탄성력으로 롤러(210)를 강판 스트립 에지부(101)에 밀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탄성부재(330)는 가이드 로드(35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압축 시 가이드 로드(350)에 의하여 안내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도금 욕조(30, 40)에서의 백업롤(20)의 클로즈 스피드(Close Speed)에 의한 강판 스트립(100)이 임의의 설정량만큼 사행되더라도 탄성부재(330)의 탄성력에 의해 흡수되어 상시 롤러(210)가 에지부(101)에 밀착된다.
그리고, 롤러(210)가 에지부(101)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강판 스트립(100)이 통전롤(10)과 백업롤(20)를 통과한 후 도금 욕조에 진입하기 전에, 에지부(101)에 발생된 수지상 결정(1-1)이 롤러(210)와 충돌하게 된다.
수지상 결정(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 프레임(320)에 힌지핀(341)에 의하여 임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아이들 롤러(210)와 충돌하여 스트립 에지부(101)로부터 탈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이들 롤러(210)는 전 도금 욕조(30,40)에서 성장한 수지상 결정을 다음 도금 욕조(30, 40) 진입 전에 탈락시켜 수지상 결정이 성장하여 도금 욕조에서 탈락하는 과정을 인위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후 도금 작업 시 고질적으로 발생되는 수지상 결정의 성장으로 인한 덴트(Dent)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10: 통전롤
20: 백업롤
30, 40: 도금 욕조
100: 스트립
101: 에지부
200: 에지 마스크
210: 롤러
300: 롤러 밀착부
400: 간격 조절부

Claims (13)

  1. 강판 스트립의 에지부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에지 마스크,
    상기 에지 마스크에 임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트립 에지부에 발생된 수지상 결정을 탈락시키기 위한 롤러, 및
    상기 롤러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를 상기 스트립 에지부에 밀착시켜 주기 위한 롤러 밀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 밀착부는,
    상기 에지 마스크의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 플레이트,
    상기 연장 플레이트에 고정 결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상기 롤러가 임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무빙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무빙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롤러를 상기 무빙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스트립 에지부로 밀착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마스크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에지 마스크와 상기 강판 스트립 에지부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 스트립의 상, 하부에는 상기 강판 스트립이 순차적으로 통과되기 위한 복수개의 통전롤과 백업롤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통전롤과 이웃하는 통전롤의 사이에는 도금 욕조가 설치되고,
    상기 롤러 밀착부는 상기 통전롤과 상기 도금 욕조 사이에 설치되는 것인,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의 일단부에는 상기 롤러를 힌지핀에 의하여 임의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2개의 힌지 플레이트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것인,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무빙 프레임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로드가 결합되는 것인,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 로드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것인,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로드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너트와 결합되기 수나사가 형성되는 것인,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로드의 타단부 내주면에는 볼트와 결합되기 위한 암나사가 형성되는 것인,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부는,
    상기 도금 욕조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강판 스트립의 에지부를 감지하기 위한 리니어 센서를 포함하는,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부는,
    상기 에지 마스크의 외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로드부재,
    상기 로드부재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조절부 몸체, 및
    상기 조절부 몸체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조절부 몸체를 상기 스트립의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볼 스크류 및 볼 스크류 너트를 포함하는,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볼 스크류의 일단부에는 상기 볼 스크류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서보모터가 결합되는 것인,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모터는 상기 리니어 센서의 감지 정보에 따라 상기 에지 마스크를 상기 스트립 에지부로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것인,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KR1020170150752A 2017-11-13 2017-11-13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KR102043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752A KR102043290B1 (ko) 2017-11-13 2017-11-13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752A KR102043290B1 (ko) 2017-11-13 2017-11-13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473A KR20190054473A (ko) 2019-05-22
KR102043290B1 true KR102043290B1 (ko) 2019-11-11

Family

ID=66680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752A KR102043290B1 (ko) 2017-11-13 2017-11-13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2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183B1 (ko) * 2018-11-08 2020-07-31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도금설비의 에지마스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5191A (ja) * 2001-02-07 2002-08-23 Nkk Corp 鋼帯の電気めっき装置および電気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
KR101615195B1 (ko) * 2014-12-03 2016-04-26 주식회사 포스코 에지 마스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238B1 (ko) * 2007-07-27 2009-12-10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 강판의 에지 과도금 제거장치
KR101365532B1 (ko) * 2012-04-25 2014-02-21 (주)포스코 스트립 에지부 이물질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5191A (ja) * 2001-02-07 2002-08-23 Nkk Corp 鋼帯の電気めっき装置および電気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
KR101615195B1 (ko) * 2014-12-03 2016-04-26 주식회사 포스코 에지 마스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473A (ko)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22713B (zh) Electrolytic metal foil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heet-like insoluble metal electrode used in electrolytic metal foil manufacturing apparatus
CN102965694A (zh) 一种电解铜箔生箔机
KR102043290B1 (ko)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US27503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deposition of a layer of uniform thickness on a conductive surface
JP3379755B2 (ja) 金属めっき装置
KR101569185B1 (ko) 불용성 전극 및 이를 구비하는 전해동박장치
KR101613426B1 (ko) 이차전지 전극단자용 표면처리 장치
KR101245314B1 (ko) 수평셀 전기도금 장치
KR102333203B1 (ko) 금속 박판 제조장치
JP4216718B2 (ja) 基板への銅エッチング方法、デバイスおよびこれに用いる電解液
JP3508725B2 (ja) 鋼帯の電気めっき装置および電気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
KR102119955B1 (ko) 롤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도금 강판의 이물질 제거장치
JPH057474B2 (ko)
CN218710957U (zh) 一种适配不同薄膜幅宽的阴极导电机构和电镀设备
CN211921726U (zh) 一种高灵敏性整体及管件部件可调的平面水银头导电装置
JPH057473B2 (ko)
CN217781307U (zh) 一种镀膜装置
KR102140183B1 (ko) 전기도금설비의 에지마스크 장치
KR101628061B1 (ko) 이동식 가상 전극을 갖는 전기 도금 장치
CN210856398U (zh) 一种阳极导电圆孔板
CN214991956U (zh) 一种用于连续电镀的导电装置
KR102252091B1 (ko) 강판 에지 과도금 방지 장치
JP6001302B2 (ja) スポットめっき装置
KR100297636B1 (ko) 전기도금장치의가용성양극
KR200205979Y1 (ko) 납-주석 합금도금 아노드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