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792B1 - Food storage apparatus - Google Patents

Food storag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792B1
KR102042792B1 KR1020180056237A KR20180056237A KR102042792B1 KR 102042792 B1 KR102042792 B1 KR 102042792B1 KR 1020180056237 A KR1020180056237 A KR 1020180056237A KR 20180056237 A KR20180056237 A KR 20180056237A KR 102042792 B1 KR102042792 B1 KR 102042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ousing
cooling fan
disposed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62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효섭
Original Assignee
송효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효섭 filed Critical 송효섭
Priority to KR1020180056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79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7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01Details of apparatus, e.g. for transport, for loading or unloading manipulation, pressure fe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A food storage apparatus comprises: a housing having an air suction port and a supply port; a cooling fan disposed in the housing and adjacent to the air suction port and the supply port; a motor disposed in the housing and rotating the cooling fan; a thermoelement adjacent to the cooling fan in the housing; and a cover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having a space that can accommodate foods.

Description

음식 보관 기구{FOOD STORAGE APPARATUS}Food Storage Appliances {FOOD STORAGE APPARATUS}

본 발명은 에 관한 것으로, 음식 보관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탁에서 사용 가능한 음식 보관 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stora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storage device that can be used at the table.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전면에 도어가 구비되어, 도어를 열고 내부에 각종 음료 및 음식물 등을 보관하거나, 보관된 음식물 등을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냉장고는 크기가 커서 주로 주방에 별도로 배치되며, 따라서 음식물을 꺼내기 위해서는 자주 주방으로 이동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the refrigerator is provided with a door in the front, and is configured to open the door to store various drinks and foods, or to take out the stored foods. However, these refrigerators are large and are mainly disposed separately in the kitchen, and thus, in order to take out food, the refrigerators need to be frequently moved to the kitchen, which is very troublesome.

특히, 식탁에 차려 놓은 음식을 다시 보관하기 위해서, 냉장고에 보관하는 경우, 음식을 별도 용기에 옮겨 담아 냉장고 안에 이동시켜야 하고, 식탁 위에 음식을 방치하거나 하는 경우, 음식이 부패하거나 신선도를 잃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음식 보관 기구로써, 식탁 용 냉장고(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8919) 등이 존재하나, 기존의 식탁 테이블을 교체하여야 하고, 기존의 식탁에 휴대용 냉장고를 일체화 시킨 정도 외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특별한 편의성이 없었다. In particular, in order to store food on the table again, when storing it in the refrigerator, the food must be moved to a separate container in the refrigerator, and when the food is left on the table, there is a problem of food corruption or loss of freshness. there was. Accordingly, as a food storage mechanism, there is a table refrigerator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38919) and the like, but the existing dining table needs to be replaced, and the portable refrigerator is integrated with the existing dining table. There was no special convenience of being.

또한, 소가족화 되어가는 현대인들은 음식물 섭취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먹기위한 준비 과정과 먹고 난 후의 뒤처리 등이 불편하고 잔여 음식물의 처리가 어렵다보니, 끼니를 거르고 건강을 해치기도 하므로, 보다 간편하게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니즈가 있었다. In addition, even though the consumption of food is very important, modern people who are becoming small families are uncomfortable in preparation and eating after eating, and it is difficult to dispose of the remaining foods. There was a need to keep.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8919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8-0038919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식탁용 음식 보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this respec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able food storage mechanism that can be used easily.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보관 기구는 흡기구 및 공급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흡기구 및 상기 공급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냉각 팬,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냉각 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열전소자, 및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음식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한다.Food storage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using formed with an intake port and a supply port, the cooling fan is disposed in the housing, adjacent to the intake port and the supply port, in the housing And a motor disposed to rotate the cooling fan, a thermoelectric element disposed in the housing adjacent to the cooling fan, and a cover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accommodate fo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면 및 측면을 포함하고, 하면이 개방되어, 상기 음식을 커버하여 수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includes an upper surface and a side, the lower surface is open, can cover and accommodate the fo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 및 상기 공급구와 마주보는 상기 커버의 측면에는 하부 개구 및 상부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개구는 상기 흡기구와 마주보고, 상기 상부 개구는 상기 공급구와 마주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opening and the upper opening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cover facing the inlet and the supply port. The lower opening may face the intake port, and the upper opening may face the supply po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커버가 회전이동 가능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portion coupled to the housing. The cover may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bout the connection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식 보관 기구는 상기 커버의 측면들의 하부에 배치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가 닫혀 상기 공간 내에 상기 음식이 수용될 때, 상기 실링부는 상기 음식이 놓여 있는 테이블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storage mechanism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portion disposed under the sides of the cover. When the cover is closed to accommodate the food in the space, the sealing portion ma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on which the food is pla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이 상기 냉각 팬을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음식 보관 기구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면에서는 흡열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면에서는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include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The first surface may be disposed to face the cooling fan, and as the food storage device is operated, endotherm may be generated at the first surface and heat dissipation may be performed at the second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열전소자의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배기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n exhaust fan disposed in the housing, disposed on the second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식 보관 기구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냉각 팬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구 및 배기구는 상기 냉각 팬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 팬 커버를 개방 후, 상기 냉각 팬이 분리 가능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food storage mechanism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fan cover coupled to the housing. The intake port and the exhaust port may be formed in the cooling fan, and after opening the cooling fan cover, the cooling fan may be detacha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식 보관 기구는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 및 상기 열전소자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storage mechanism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에는 상기 모터가 배치되고, 상기 제3 부분에는 상기 제어부가 배치되며, 상기 제2 부분에 상기 냉각 팬 및 상기 열전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may include a first portion, a second portion and a third portion disposed in order along the first direction. The motor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portion, the controller may be disposed in the third portion, and the cooling fan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식 보관 기구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및 상기 지지부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음식 보관 기구가 놓여지는 면에 흡착되어 상기 하우징을 고정시키는 흡착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storage mechanism is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housing, and the suction plate disposed under the support portion is adsorbed on the surface on which the food storage mechanism is placed to fix the housing It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일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 표면의 실링 라인을 따라, 상기 하우징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may be cylindrical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The cover can be attached directly to the housing, along a sealing line of the housing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구성들은 몸체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의 무게 중심은 상기 원통형의 중심축에 대해 상기 커버측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and the components inside the housing may constitute a body.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dy may be located above the cove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ylind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가 구를 때, 상기 몸체를 지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ing from the housing, when the body is rolled, it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ortion that can support and secure the body.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보관 기구는 흡기구 및 공급구가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흡기구 및 상기 공급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냉각 팬,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냉각 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열전소자, 및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음식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형의 하우징을 식탁 등의 상면에 굴려, 상기 커버가 닫히거나 열린다.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realiz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housing, the cylindrical housing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the inlet and the supply port, the inlet and the supply port A cooling fan disposed adjacently, a motor disposed in the housing and rotating the cooling fan, a thermoelectric element disposed adjacent to the cooling fan in the housing, and a space connected to the housing to accommodate food It includes a formed cover. The cylindrical housing is rolled on an upper surface such as a table so that the cover is closed or open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음식 보관 기구는 흡기구 및 공급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흡기구 및 상기 공급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냉각 팬,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냉각 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열전소자, 및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음식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음식 보관 기구를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공간 내의 상기 음식들은 냉장고에 별도 보관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storage device is a housing having an intake port and a supply port, a cooling fan disposed in the housing, adjacent to the intake port and the supply port, disposed in the housing, the cooling fan It includes a motor for rotating a, a thermoelectric element disposed adjacent to the cooling fan in the housing, and a cover connected to the housing, the space is formed to accommodate food. By operating the food storage device, the food in the space can be conveniently stored without the need for separate storage in the refrigerator.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may be variously extended within a rang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보관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식 보관 기구의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음식 보관 기구의 측단면도이다.
도 4은 도 1의 음식 보관 기구의 평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음식 보관 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보관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음식 보관 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보관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음식 보관 기구의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I-I'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food storage device of FIG. 1.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od storage mechanism of FIG. 1.
4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od storage mechanism of FIG. 1.
5A and 5B are views for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food storage device of FIG. 1.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views for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food storage device of FIG. 6.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of the food storage mechanism of FIG. 8.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8.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s the inventive concept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보관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식 보관 기구의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음식 보관 기구의 측단면도이다. 도 4은 도 1의 음식 보관 기구의 평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of the food storage device of FIG. 1.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od storage mechanism of FIG. 1. 4 is a plan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od storage mechanism of FIG. 1.

도 1, 2, 3 및 4 를 참조하면, 상기 음식 보관 기구는 몸체(100) 및 커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1, 2, 3, and 4, the food storage device may include a body 100 and a cover 200.

상기 몸체(100)는 하우징(110), 냉각 팬 커버(120), 냉각 팬(130), 모터(140), 열전소자(150), 배기팬(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ody 100 may include a housing 110, a cooling fan cover 120, a cooling fan 130, a motor 140, a thermoelectric element 150, an exhaust fan 160, and a controller 170. .

상기 몸체(100)는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일 수 있다. 다만, 상기 몸체(1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몸체(100)는 상기 커버(200) 내의 공간(SP)에 찬 공기를 제공하고, 상기 공간(SP)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0)에는 조작 스위치(102)가 형성되어, 상기 음식 보관 기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body 10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However, the shape of the body 100 is not limited thereto. The body 100 may provide cold air to the space SP in the cover 200 and may suck hot air in the space SP. An operation switch 102 is formed on the body 10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는 지지부(10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4)는 원통형의 상기 몸체(100)가 식탁 또는 테이블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4)의 하부에는 상기 식탁 또는 상기 테이블의 상면에 흡착되는 흡착판(106)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착판(106)은 식탁 또는 테이블의 상면에 흡착되어 상기 음식 보관 기구의 상기 커버(200)가 열리거나 닫히는 경우에도, 상기 몸체(100)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The support part 104 may be disposed below the body 100. The support part 104 may support the cylindrical body 100 to be fixed on a table or a table. A suction plate 106 may be further disposed below the support part 104 to be adsorb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or the table. The suction plate 106 may be firmly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or table, even when the cover 200 of the food storage device is opened or closed.

상기 하우징(110)은 제1 부분(110a) 및 제2 부분(11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110a) 및 상기 제2 부분(110b)이 결합하여 상기 몸체(100)의 외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냉각 팬(130), 상기 모터(140), 상기 열전소자(150), 상기 배기 팬(160) 및 상기 제어부(170)가 수용될 수 있다. The housing 110 may include a first portion 110a and a second portion 110b. The first portion 110a and the second portion 110b may be combined to form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100. The cooling fan 130, the motor 140,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the exhaust fan 160, and the control unit 170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10.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제1 방향(D1)을 따라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1 영역(A1)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A2)은 상기 제1 영역(A1) 및 상기 제3 영역(A3)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영역(A2)은 상기 제1 및 제3 영역들(A1, A3)과 분리될 수 있다. The housing 110 may include a first region A1, a second region A2, and a third region A3 arranged in order along the first direction D1. The second area A2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rea A1 and the third area A3, and the second area A2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third areas A1 and A3. Can be separated.

상기 제2 영역(A2) 내에는 상기 냉각 팬(130), 상기 열전소자(150), 상기 배기 팬(1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A1)에는 상기 모터(140)가 위치하고, 상기 제3 영역(A3)에는 상기 제어부(170)가 위치할 수 있다. The cooling fan 130,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and the exhaust fan 16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area A2. The motor 140 may be located in the first area A1, and the controller 170 may be located in the third area A3.

상기 냉각 팬 커버(120)에는 흡기구(122) 및 공급구(1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구(142) 및 상기 흡기구(122)는 상기 냉각 팬(13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급구(124)는 상기 흡기구(122) 보다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구(124)를 통해 찬 공기가 상기 커버(200)의 상기 공간(SP)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커버(200) 내의 더운 공기는 상기 흡기구(122)를 통해 상기 몸체(10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An inlet 122 and a supply port 124 may be formed in the cooling fan cover 120. The supply port 142 and the inlet 122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cooling fan 130. The supply port 124 may be formed above the inlet 122. Cold air may be supplied into the space SP of the cover 200 through the supply port 124. Hot air in the cover 200 may be introduced into the body 100 through the inlet 122.

상기 냉각 팬 커버(120)는 상기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냉각 팬 커버(120)를 분리 하여 상기 냉각 팬 커버(120) 및 상기 냉각 팬(130)을 세척 또는 교체 할 수 있다. The cooling fan cover 120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from the housing 110, so that the user removes the cooling fan cover 120 as necessary to remove the cooling fan cover 120 and the cooling fan 130. Can be cleaned or replaced

상기 냉각 팬(130)은 상기 하우징(110) 내에 배치되고, 상기 흡기구(122) 및 상기 공급구(124)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 팬(130)은 원통형 몸체(132) 및 상기 원통 형 몸체에 형성되는 복수의 블레이드(13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 팬(130)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이며, 상기 원통형 몸체(132)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134)들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ooling fan 130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110, and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inlet 122 and the supply port 124. The cooling fan 130 may include a cylindrical body 132 and a plurality of blades 134 formed in the cylindrical body. That is, the cooling fan 130 has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plurality of blades 134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132.

상기 모터(140)는 상기 하우징(110) 내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 팬(1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모터(140)의 회전 축(42)은 상기 제1 공간(A1)으로부터 상기 제2 공간(A2) 내로 돌출되어, 상기 냉각 팬(130)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 팬(130)은 필요에 따라 상기 회전 축(42)으로부터 분리되어,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축(42)에 결합될 수 있다. The motor 140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110 and may rotate the cooling fan 130. The rotation shaft 42 of the motor 140 may protrude from the first space A1 into the second space A2 and be coupled to the cooling fan 130. On the other hand, the cooling fan 130 may be separated from the rotation shaft 42 as necessary, it may be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42, so that it can be easily washed.

상기 열전소자(150)가 상기 냉각 팬(13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냉각 팬(130)은 상기 열전소자(150)와 상기 흡기구 및 공급구(122, 12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열전소자란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하여 흡열과 발열을 구현하는 소자를 말하며, 펠티어 효과란, 어떤 종류의 금속을 짝지어 전류를 흐르게 하면 한쪽 접점(接點)은 발열(發熱)하고, 다른 쪽 접점은 흡열(吸熱=냉각)하는 현상을 말한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cooling fan 130. That is, the cooling fan 1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the intake port, and the supply ports 122 and 124. Here, the thermoelectric element refers to a device that implements heat absorption and heat generation by using the Peltier Effect. The Peltier effect refers to an element that generates heat when one type of metal is paired to flow current. The other contact point refers to a phenomenon of endotherm (吸熱 = cooling).

상기 열전소자(150)는 상기 냉각 팬(130)과 마주보는 제1 면(152)과 상기 제1 면(152)과 대향하는 제2 면(1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152)에서는 흡열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면(154)에서는 방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may include a first surface 152 facing the cooling fan 130 and a second surface 154 facing the first surface 152. An endotherm may be formed on the first surface 152, and heat radiation may be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154.

상기 배기 팬(160)이 상기 열전소자(150)의 상기 제2 면(15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 팬(160)은 상기 음식 보관 기구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제2 면(154)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몸체(10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The exhaust fan 160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surface 154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As the food storage mechanism is operated, the exhaust fan 160 may discharge heat generated from the second surface 154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0.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하우징(110) 내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140) 및 상기 열전소자(1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모터(140) 및 상기 열전소자(15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 및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작동 스위치(102)를 조작하여 상기 제어부(170)를 작동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70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11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tor 140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70 may include a control circuit and a batte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140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A user may operate the control unit 170 by operating the operation switch 102.

상기 커버(200)는 상기 몸체(100)에 대해 상기 제1 방향(D1)과 수직한 제2 방향(D2)으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200)는 상기 하우징(110)에 연결되고, 음식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SP)이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100)는 상면 및 측면을 포함하고, 하면이 개방되어, 상기 음식을 커버하여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커버(200)는 향균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200)는 복수의 부분으로 나뉘어져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될 수 도 있다. 즉, 복수의 부분으로 나뉘어진 상기 커버(200)의 부분들이 서로 겹쳐지거나 펼쳐지도록 하여 개폐 가능한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The cover 20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body 100 in a second direction D2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D1. The cover 200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10, and a space SP for accommodating food may be formed therein. The cover 100 includes an upp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and a lower surface thereof is opened to cover and accommodate the food. The cover 200 may be formed of antibacterial plastic. In another embodiment, the cover 20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opened and closed in a sliding manner. That is, parts of the cover 200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may be overlapped or unfolded to form an openable structure.

상기 흡기구(122) 및 상기 공급구(124)와 마주보는 상기 커버의 측면에는 하부 개구(204) 및 상부 개구(202)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개구(204)는 상기 흡기구(122)와 마주보고, 상기 상부 개구(204)는 상기 공급구(124)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A lower opening 204 and an upper opening 202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cover facing the inlet 122 and the supply port 124, and the lower opening 204 faces the inlet 122. The upper opening 204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upply port 124.

상기 커버(200)는 상기 하우징(100)과 결합되는 연결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0)는 상기 커버(200)로부터 상기 몸체(100)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100)에 형성된 연결부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200)는 상기 연결부(210)를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회전이동 가능하여, 상기 커버(200)가 상기 제1 및 제2 방향(D1, D2)과 수직한 상방인 제3 방향(D3)으로 회전 이동하여 음식이 보관되어 있는 공간이 개방될 수 있다. (도 5 참조)The cover 20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210 coupled to the housing 100. The connection portion 210 may protrude from the cover 200 toward the body 100 and be coupled to a connection portion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body 100. The cover 200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10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ortion 210, the cover 200 is a vertical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D1, D2) The space in which food is stored may be opened by rotating in three directions D3. (See Figure 5)

상기 커버(200)의 상기 측면의 하부에는 실링부(2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220)는 상기 음식 보관 기구가 놓여 있는 식탁 또는 테이블의 상면과 상기 커버(200)를 밀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200)와 상기 식탁 도는 테이블 사이 공간을 통해 냉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ealing unit 220 may be disposed below the side surface of the cover 200. The sealing unit 220 is configured to closel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or table on which the food storage device is placed and the cover 200, and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Accordingly, the cold air may be prevented from escaping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cover 200 and the table or the table.

도 3 및 4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모터(14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냉각 팬(130)이 회전하여, 상기 커버(200) 내의 더운 공기를 상기 몸체(100) 내로 흡입할 수 있다. 흡입된 상기 더운 공기는 상기 냉각 팬(1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150)의 상기 제1 면(152)에 이르며, 상기 열전소자(150)의 상기 제1 면(152)의 흡열 효과에 따라 온도가 낮아지고, 상기 열전소자(150)를 지난 찬 공기는 상기 냉각 팬(130)에 의해 다시 상기 커버(200)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200) 내의 상기 공간(SP)은 저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음식을 신선하게 보관 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150)의 상기 제2 면(154)에서 발열되는 열은 상기 배기 팬(160)을 통해 상기 몸체(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again, as the motor 140 rotates, the cooling fan 130 may rotate to suck hot air in the cover 200 into the body 100. The suctioned hot air reaches the first surface 152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as the cooling fan 130 rotates, and the endothermic effect of the first surface 152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is increased. As a result, the temperature is lowered, and cold air passing through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may be supplied into the cover 200 by the cooling fan 130 again. Accordingly, the space SP in the cover 200 may maintain a low temperature and keep food fresh. Heat generated from the second surface 154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0 through the exhaust fan 16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식 보관 기구는 상기 공간(SP)에 대해 냉장 기능을 발휘하고 있으나, 상기 제어부(170)를 조작함에 따라, 상기 열전소자(150)의 상기 제1 면(152) 및 상기 제2 면(154)의 흡열 및 발열 기능을 반대로 하여, 온장고로써의 기능을 하도록 할 수 도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od storage mechanism has a refrigera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the space SP. However, the first surface 152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150 are operated by operating the controller 170. It is also possible to reverse the endothermic and heat generating functions of the second surface 154 to function as a warmer.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음식 보관 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들이다. 5A and 5B are views for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food storage device of FIG. 1.

도 5a를 참조하면, 식탁 또는 테이블(10) 상에 음식(20)이 놓여 있다. 상기 음식 보관 기구의 몸체(100)를 상기 식탁(10)의 상면에 위치시키고, 커버(200)를 닫아, 상기 커버(200)의 공간(SP) 내에 상기 음식(20)을 보관 할 수 있다. 상기 음식 보관 기구를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공간(SP) 내의 상기 음식(20)들은 냉장고에 별도 보관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A, food 20 is placed on a table or table 10. The body 100 of the food storage device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ning table 10, and the cover 200 may be closed to store the food 20 in the space SP of the cover 200. As the food storage device is operated, the foods 20 in the space SP may be conveniently stored without needing to be separately stored in the refrigerator.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200)를 열어, 상기 음식(20)을 꺼내거나 취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200)는 연결부(210)의 회전 축(212)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커버(200)가 열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식탁(10)에 놓여 있는 상기 음식(20)을 별도로 냉장고에 보관하기 위해 이동시키지 않더라도 장시간 신선하게 보관 및 취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B, the cover 200 may be opened to remove or eat the food 20. In this case, the cover 200 may be rotated about the rotation shaft 212 of the connecting portion 210 to open the cover 200. Accordingly, even if the food 20 placed on the dining table 10 is not moved to be stored separately in the refrigerator, it can be freshly stored and eaten for a long tim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보관 기구의 사시도이다. 상기 음식 보관 기구는 커버(400)가 몸체(300)에 부착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300)가 식탁 면에 대해 롤링(rolling)되어 상기 커버(400)가 열리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도 1 내지 4의 음식 보관 기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storage mechanism is a cover 400 is attached to the body 300 is formed integrally, the body 300 is rolled (rolling) relative to the table surface (Fig. 1) except that the cover 400 is opened. It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ood storage device of the fourth to fourth. Therefore, repeated description is omitted.

도 6을 참조하면, 커버(400)가 몸체(300)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300)의 실링 라인(SL)을 따라, 상기 커버(400)가 상기 몸체(300)의 하우징에 직접 부착되므로, 상기 몸체(300)와 상기 커버(400) 사이의 공간으로의 냉기 유출 등의 문제가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300)의 하부 표면을 식탁 또는 테이블의 상면에 대해 굴려(rolling) 상기 커버(400)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300)에는 걸림부(308)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400)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몸체(300)가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도 6a 및 6b 참조) Referring to FIG. 6, the cover 400 may be directly attached to the body 300. That is, along the sealing line SL of the body 300, the cover 400 is directly attached to the housing of the body 300, so as to the space between the body 300 and the cover 400 Problems such as cold air leakage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cover 400 may be opened or closed by rolling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300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or the table. In addition, the engaging portion 308 is formed in the body 300, the body 300 may be supported so as not to move in the open state. (See FIGS. 6A and 6B for details)

본 실시예에 따르면, 흡기구(324) 및 공급구(324)가 하부 개구 또는 상부 개구(도 1의 204, 202)를 통하지 않고, 상기 공간(SP)에 직접 연결되므로, 냉각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200)를 회전이동 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포함하지 아니하므로, 구조가 단순해 지고, 디자인이 유려해 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inlet port 324 and the supply port 324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space SP without going through the lower opening or the upper opening (204, 202 of FIG. 1), the cool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have. In addition, since it does not include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rotating the cover 200,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the design can be elegant.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음식 보관 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들이다. 7A and 7B are views for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the food storage device of FIG. 6.

도 7a를 참조하면, 식탁 또는 테이블(10) 상에 음식(20)이 놓여 있다. 상기 음식 보관 기구의 몸체(300)를 상기 식탁(10)의 상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커버(400)가 상기 음식(20)을 덮도록 위치시켜 상기 커버(400)의 공간(SP) 내에 상기 음식(20)을 보관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A, food 20 is placed on a table or table 10. The body 300 of the food storage device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ning table 10, and the cover 400 is positioned to cover the food 20 so that the food in the space SP of the cover 400. 20 can be stored.

이때, 원통형의 상기 몸체(300)의 중심(CT)를 기준으로 상기 몸체(300)의 무게 중심(CM)은 상기 커버(400)측의 상방(도면 상에서, A, B, C, D 영역 중 A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300)의 하면이 곡면이더라도, 상기 무게 중심(CM)의 위치에 의해 상기 커버(400)가 닫히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므로, 상기 커버(400)가 쉽게 열리지 않을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enter of gravity (CM) of the body 300 on the basis of the center (CT) of the cylindrical body 300 of the upper side of the cover 400 side (in the drawings, A, B, C, D region of the A region). Therefore, even i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300 is curved, since the force act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400 is closed by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CM), the cover 400 may not be easily opened.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300)를 상기 식탁(10)에 대해 굴려, 상기 커버(400)를 열고, 상기 음식(20)을 꺼내거나 취식할 수 있다. 이때, 걸림부(308)에 의해, 상기 커버(400)가 열린 상태로 상기 몸체(300)가 지지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몸체(300)의 무게 중심(CM)의 위치에 따라, 상기 커버(400)가 열리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상기 걸림부(308)가 상기 몸체(300)가 움직이는 것을 방해하므로, 상기 커버(400)가 열린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상기 몸체(300)가 고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B, the body 300 may be rolled with respect to the dining table 10, the cover 400 may be opened, and the food 20 may be taken out or eaten. At this time, by the locking portion 308, the body 300 can be supported in the open state, the cover 400,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CM) of the body 300, the cover Since the force acts in the opening direction 400 and the locking portion 308 prevents the body 300 from moving, the body 300 can be stably fixed in the open state of the cover 400. hav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보관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음식 보관 기구의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I-I'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of the food storage mechanism of FIG. 8.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 of FIG. 8.

도 8내지 10을 참조하면, 상기 음식 보관기구는 커버(600), 공기 흐름 가이드(630), 릴리즈 버튼(620), 플레이트(700)를 제외하고 도 1의 음식 보관 기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8 to 10, the food storage device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ood storage device of FIG. 1 except for the cover 600, the air flow guide 630, the release button 620, and the plate 700. have. Therefore, repeated description is omitted.

커버(600)는 외부 커버(600a) 및 내부 커버(600b)를 포함하여, 이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커버(600b)와 상기 외부 커버(600a) 사이에는 에어 갭(AG) 또는 진공 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600)가 이중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 (600) 내의 공간을 더 효율적으로 외부와 단열 시킬 수 있다. The cover 600 includes an outer cover 600a and an inner cover 600b and may be formed in a double manner. An air gap AG or a vacuum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cover 600b and the outer cover 600a. The cover 600 is formed in a double, it is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insulate the space in the cover 600 from the outside.

상기 커버(600)는 연결부(610)에 의해 하우징(500)과 결합하여 도 1의 음식 보관 기구와 마찬가지로 개폐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하우징(500)으로 부터 분리 될 수 있다. The cover 600 may be opened and closed like the food storage device of FIG. 1 by being coupled with the housing 500 by the connection part 610, and may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500 as necessary.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커버(600)에는 구동 부 및 제어부가 연결되어, 상기 커버(600)의 개폐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driv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cover 600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600.

공기 흐름 가이드(630)가 상기 커버(600) 내측, 상기 공간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 흐름 가이드(630)는 공급구(도 1 등의 124 참조)로부터 상기 커버(600) 내의 상기 공간에 제공되는 찬 공기를 상기 커버(600)의 끝단(상기 하우하우징부터 먼 방향) 까지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흐름 가이드(630)에는 복수의 개구(632)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632)를 통해 상기 커버(600) 내의 음식에 찬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An air flow guide 63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ver 600 and above the space. The air flow guide 630 facilitates cold air provided to the space in the cover 600 from a supply port (see 124 of FIG. 1, etc.) to an end of the cover 600 (direction away from the housing). Can be moved. Meanwhile, a plurality of openings 632 may be formed in the air flow guide 630 to provide cold air to food in the cover 600 through the openings 632.

릴리즈 버튼(640)이 상기 커버(60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릴리즈 버튼(640)은 상기 커버(600) 내의 공간의 압력이 외부 압력 보다 낮아져 음압 상태가 된 경우,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외부와 내부의 압력차를 없애기 위한 버튼이다. 상기 릴리즈 버튼(640)을 누름으로써 외부와 내부의 압력차가 해소되고, 용이하게 상기 커버(600)를 개방할 수 있다. A release button 640 may be provided on the cover 600. The release button 640 is a button for remov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outside and the inside by introducing outside air when the pressure of the space in the cover 600 is lower than the outside pressure to become a negative pressure state. By pressing the release button 640,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outside and the inside can be eliminated, and the cover 600 can be easily opened.

한편, 상기 공간은 상기 음식 보관 기구가 작동함에 따라 외부 보다 압력이 낮은 음압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공간 내의 공기 온도가 낮아지고, 일부는 배기팬 등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고, 실링부(620)가 상기 공간을 밀봉할 수 있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pace may be in a negative pressure state of the pressure lower than the outside as the food storage mechanism is operated. This is because the air temperature in the space is lowered, a portion of the air flows out through the exhaust fan, etc., and the sealing part 620 may seal the space.

플레이트(700)가 상기 커버(6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와 함께 상기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700)는 중공(H)이 형성된, 이중 플레이트 행태 일 수 있으며, 방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플레이트(700)는 방열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간 내의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700)가 낮아져, 상기 커버(600)가 개방된 경우라도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플레이트(700) 상의 음식을 저온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700)에는 고정부(702)가 형성되어, 상기 음식 보관 기구의 몸체가 고정되거나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The plate 700 may be disposed under the cover 600 to form the space together with the cover. The plate 700 may be a double plate behavior in which the hollow H is formed, and may include a heat radiation material. That is, the plate 700 may include a heat dissipation sheet. Therefore, as the temperature in the space is lowered, the plate 700 is lowered, so that the food on the plate 700 may be kept at a low temperature for a predetermined time even when the cover 600 is opened. On the other hand, the plate 700 is formed with a fixing portion 702, the body of the food storage mechanism can be fixed or separated.

한편,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음식 보관 기구의 상기 몸체 내에 공기가 순환하는 통로에는 공기 정화 필터(미도시)가 추가되어 공기 정화 기능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n air purification filter (not shown) may be added to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circulated in the body of the food storage device to further include an air purification function.

조작 패널(502)은 상기 하우징(500)의 상기 커버(600)가 결합되는 반대쪽 면 및 상기 하우징(500)의 상부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 패널(502)은 표시 패널, 조작 스위치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조작 패널(502)을 통해 온/오프, 온도 조절 등의 상기 음식 보관 기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operation panel 502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an opposite surface to which the cover 600 of the housing 500 is coupled and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500. The operation panel 502 may include a display panel, an operation switch touch screen, and the like, and a user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ood storage device such as on / off and temperature control through the operation panel 502.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식탁 또는 테이블 등에 차려 있는 음식들 위에 음식 보관 기구의 커버를 이용하여 덮고, 냉각 기능을 작동시키는 것 만으로, 상기 음식들을 냉장고에 넣지 않고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imply covering the food on the table or table using a cover of the food storage mechanism, and by activating the cooling function, the food can be stored fresh without having to put in the refrigerator.

또한, 상기 음식 보관 기구는 가정용 테이블 뿐만 아니라, 제과점 업소용 진열장, 의료, 감염 예방용 테이블, 낮은 온도를 유지해야 음식의 풍미를 유지할 수 있는 스시, 케이크 등의 특정 음식물의 특정 온도 보관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od storage device may be used not only for the home table, but also for the storage of certain foods such as showcases for bakery shops, medical and infection prevention tables, and certain foods such as sushi and cakes that can maintain the flavor of the food at a low temperature. have.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Could be.

100: 몸체 110: 하우징
120: 냉각 팬 커버 130: 냉각 팬
140: 모터 150: 열전소자
160: 배기팬 200: 커버
100: body 110: housing
120: cooling fan cover 130: cooling fan
140: motor 150: thermoelectric element
160: exhaust fan 200: cover

Claims (18)

흡기구 및 공급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흡기구 및 상기 공급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냉각 팬;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 팬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냉각 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열전소자; 및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음식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구를 통해 상기 커버 내의 상기 음식이 수용되는 상기 공간에 찬 공기가 제공되고, 상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공간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커버는 상면 및 측면을 포함하고, 하면이 개방되어, 상기 음식을 커버하여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보관 기구.
A housing formed with an intake port and a supply port;
A cooling fan disposed in the housing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intake port and the supply port;
A motor disposed in the housing and rotating the cooling fan;
A thermoelectric element disposed in the housing adjacent to the cooling fan; And
A cover connected to the housing, the cover having a space for receiving food,
Cold air is provided to the space in which the food in the cover is received through the supply port, and the hot air in the space is sucked through the intake port,
The cover includes an upper surface and a side, the lower surface is open, food storage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o cover and accommodate the food.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 및 상기 공급구와 마주보는 상기 커버의 상기 측면에는 하부 개구 및 상부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개구는 상기 흡기구와 마주보고, 상기 상부 개구는 상기 공급구와 마주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보관 기구.
According to claim 1,
A lower opening and an upper opening are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cover facing the intake port and the supply port,
And the lower opening faces the intake port, and the upper opening faces the supply port.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기 커버가 회전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보관 기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ver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coupled with the housing,
And the cover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housing about the conn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기 측면들의 하부에 배치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가 닫혀 상기 공간 내에 상기 음식이 수용될 때, 상기 실링부는 상기 음식이 놓여 있는 테이블의 상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보관 기구.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aling portion disposed below the side of the cover,
And the seal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on which the food is placed when the cover is closed to accommodate the food in the spa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는 제1 면 및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이 상기 냉각 팬을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음식 보관 기구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제1 면에서는 흡열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면에서는 방열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보관 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thermoelectric element includes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facing the first side, the first side facing the cooling fan, and the first side is endothermic as the food storage mechanism is operated. And the heat dissipation is performed on the second surface.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열전소자의 상기 제2 면 상에 배치되는 배기 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보관 기구.
The method of claim 6,
And an exhaust fan disposed in the housing and disposed on the second sid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냉각 팬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기구 및 배기구는 상기 냉각 팬에 형성되어, 상기 냉각 팬 커버를 개방 후, 상기 냉각 팬이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보관 기구.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oling fan cover coupled to the housing,
And the intake port and the exhaust port are formed in the cooling fan, and after the cooling fan cover is opened, the cooling fan is removab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 및 상기 열전소자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보관 기구.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trol unit disposed in the housing and controlling a operation of the motor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상기 냉각 팬 및 상기 열전소자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보관 기구.
The method of claim 9,
The food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oling fan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disposed between the motor and the control unit.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음식 보관 기구가 놓여지는 면에 흡착되어 상기 하우징을 고정시키는 흡착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보관 기구.
The method of claim 9,
A support part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supporting the housing; And
And a suction plate disposed under the support, the suction plate being fixed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ood storage device is placed to fix the hous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통형이고,
상기 커버는 상기 하우징 표면의 실링 라인을 따라, 상기 하우징에 직접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보관 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s cylindrical,
And the cover is attached directly to the housing, along a sealing line of the housing surface.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구성들은 몸체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의 무게 중심은 상기 원통형의 중심축에 대해 상기 커버측의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보관 기구.
The method of claim 12,
The housing and the components inside the housing constitute a body,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dy is located above the cove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cylindrical food storage mechanism.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가 구를 때, 상기 몸체를 지지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보관 기구.
The method of claim 13,
It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housing, when the body is rolled, the food storage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ocking portion for supporting and fixing the bod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외부 커버 및 내부 커버를 포함하여, 이중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 커버와 상기 내부 커버 사이에 에어 갭 또는 진공 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보관 기구.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includes an outer cover and an inner cover, it is formed in double, the food storage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an air gap or vacuum layer formed between the outer cover and the inner cov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공간 내의 압력을 외부 압력과 동일하게 하는 릴리즈 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보관 기구.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cover is provided with a release button for equalizing the pressure in the space with the external pressur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와 함께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보관 기구.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ate disposed under the cover to form the space together with the cover.
삭제delete
KR1020180056237A 2018-05-17 2018-05-17 Food storage apparatus KR1020427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237A KR102042792B1 (en) 2018-05-17 2018-05-17 Food storag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6237A KR102042792B1 (en) 2018-05-17 2018-05-17 Food storage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792B1 true KR102042792B1 (en) 2019-11-08

Family

ID=68542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237A KR102042792B1 (en) 2018-05-17 2018-05-17 Food storag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79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7458A (en) * 2001-03-01 2002-09-11 Hoshizaki Electric Co Ltd Cooling device
KR200323582Y1 (en) * 2003-05-23 2003-08-14 주식회사 동지하이테크 Side dish storage box using a thermo-electric module
KR200332132Y1 (en) * 2003-07-14 2003-11-05 소복롱 Vacuum container
KR20180038919A (en) 2016-10-07 2018-04-17 박성규 Refrigerator for a tab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7458A (en) * 2001-03-01 2002-09-11 Hoshizaki Electric Co Ltd Cooling device
KR200323582Y1 (en) * 2003-05-23 2003-08-14 주식회사 동지하이테크 Side dish storage box using a thermo-electric module
KR200332132Y1 (en) * 2003-07-14 2003-11-05 소복롱 Vacuum container
KR20180038919A (en) 2016-10-07 2018-04-17 박성규 Refrigerator for a t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62788A1 (en) Dryer for bed
JP4952664B2 (en) refrigerator
JP5533931B2 (en) Insulated cooking container
JP2008253456A (en) Dish warmer
KR102042792B1 (en) Food storage apparatus
KR100930352B1 (en) Table equipped with a small refrigerator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US6119428A (en) Protective liner for freezers
KR100757434B1 (en) Air-cleaner receiving an article
EP3522761B1 (en) Stick vacuum cleaner with improved filter
CN213431953U (en) Chopstick sterilizer
JP2004349041A (en)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
CN216060138U (en) Outer pot subassembly and cooking equipment
JP3708249B2 (en) Chariot
KR20040058823A (en) Multi-function dinner table
KR101975770B1 (en) Refrigerator for cosmetics equipped with trays
KR102127467B1 (en) Table integral formed with refrigerator
US11421935B2 (en) Food storage appliance
TWI648468B (en) Electric vacuum device
JP2011043309A (en) Cold and hot storage device for food
JP3879287B2 (en) Cooker
KR20200117433A (en) Hair drier equipped with fine dust filter
KR20110062838A (en) Storage device of kimchi refrigerator door with sterilizing function
JP3125707B2 (en) Tableware dryer
CN213464800U (en) Cooking utensil
KR100446059B1 (en) table with function of the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