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526B1 - 전기 영동 표시 장치 구동 시스템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대기 시간에 따른 페이드 오프 보상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영동 표시 장치 구동 시스템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대기 시간에 따른 페이드 오프 보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526B1
KR102042526B1 KR1020130009909A KR20130009909A KR102042526B1 KR 102042526 B1 KR102042526 B1 KR 102042526B1 KR 1020130009909 A KR1020130009909 A KR 1020130009909A KR 20130009909 A KR20130009909 A KR 20130009909A KR 102042526 B1 KR102042526 B1 KR 102042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form
waiting time
gray
electrophoretic displa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6825A (ko
Inventor
배형국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9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526B1/ko
Publication of KR20140096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particles moving in a fluid or in a gas, e.g. electrophoretic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85Operation of cells; Circuit arrangements affecting the entire cel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6Determination of a pixel data signal depending on the signal applied in the previous fram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서 업 데이트 후 색을 표현하는 입자의 위치 변화로 시간에 따른 색감이 페이드 오프되는 현상을 보상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구동 시스템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대기 시간에 따른 페이드 오프 보상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을 각각 저장하는 단계; 그레이 대 그레이 웨이브폼 정보와 대기 시간을 다수개로 구분하여 구분된 각 대기 시간에 따른 다수개의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 정보들을 저장하는 단계; 대기 시간을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그레이 대 그레이 웨이브폼 및 상기 체크된 대기 시간에 상응한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 정보를 로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의 비교 결과에 따른 해당 웨이브폼과 상기 로딩된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을 병합하여 병합된 웨이브폼에 맞는 프레임 정보로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영동 표시 장치 구동 시스템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대기 시간에 따른 페이드 오프 보상 방법{System for driving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mpensation of fade off according to waiting time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in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서 업 데이트 후 색을 표현하는 입자의 위치 변화로 시간에 따른 색감이 페이드 오프(fade off)되는 현상을 보상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구동 시스템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대기 시간에 따른 페이드 오프 보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EPD)란 착색된 대전입자가 외부로부터 가해진 전계에 의해 이동하는 전기 영동 현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쌍안전성(Bistability)를 갖고 있어 인가된 전압이 제거되어도 원래의 이미지를 장시간 보존할 수 있다. 즉,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지속적으로 전압을 인가하지 않아도 일정 영상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영상의 신속한 전환이 요구되지 않는 전자 책 분야에 특히 적합하다. 또한,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와 달리 시야각(Viewing Angle)에 대한 의존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종이와 유사한 정도로 눈에 편안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 영동 표시 장치가 블랙 영상을 표시한 경우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전기 영동 표시 장치가 화이트 영상을 표시한 경우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는 서로 대향되게 위치된 제1기판(110)과 제2기판(120), 및 상기 제1기판(110)과 상기 제2기판(120) 사이에 위치된 전기 영동 필름(1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기판(110) 상에는 복수개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개의 데이터 라인, 상기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이 서로 교차 형성됨에 따라 정의되는 복수개의 화소가 형성된다. 상기 화소에는 박막트랜지스터(TFT)(111) 및 화소전극(112)이 형성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111)는 게이트 라인을 통해 인가된 스캔 신호에 따라 스위칭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111)가 스위칭됨에 따라 데이터 라인에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이 상기 화소전극(112)에 공급되게 된다.
상기 제2기판(120)에는 상기 화소전극(112)에 대향되는 공통전극(121)이 형성된다. 상기 전기 영동 필름(130)은 상기 공통전극(121)에 인가된 전압과 상기 화소전극(112)에 인가된 전압 간의 차이에 따라 구동되어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전기 영동 필름(130)은 복수개의 마이크로 캡슐(131)을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로 캡슐(131)은 유전 용매(1311), 상기 유전 용매(1311) 내에 분산되어 있는 양(+)으로 대전된 제1대전입자(1312), 및 상기 유전 용매(1311) 내에 분산되어 있는 음(-)으로 대전된 제2대전입자(13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대전입자(1312)와 상기 제2대전입자(1313)는 서로 다른 색채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대전입자(1312)가 블랙(Black) 색채를 가지면, 상기 제2대전입자(1313)는 화이트(White) 색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대전입자(1312)와 상기 제2대전입자(1313)는 상기 공통전극(121)에 인가된 전압과 상기 화소전극(112)에 인가된 전압 간의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쿨롱력에 의해 상기 유전 용매(1311) 내에서 이동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통전극(121)에 0V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화소전극(112)에 +15V의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전기 영동 필름(130)은 다음과 같이 구동된다. 우선, 상기 양으로 대전된 제1대전입자(1312)는 상기 공통전극(121) 쪽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2기판(120) 쪽에 위치된다. 다음, 상기 음으로 대전된 제2대전입자(1313)는 상기 화소전극(112) 쪽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110) 쪽에 위치된다. 상기 제2기판(120) 쪽이 영상이 표시되는 부분이므로, 상기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는 블랙(Black)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통전극(121)에 0V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화소전극(112)에 -15V의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전기 영동 필름(130)은 다음과 같이 구동된다. 우선, 상기 양으로 대전된 제1대전입자(1312)는 상기 화소전극(112) 쪽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110) 쪽에 위치된다. 다음, 상기 음으로 대전된 제2대전입자(1313)는 상기 공통전극(121) 쪽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2기판(120) 쪽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는 화이트(White)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는 상기 화소전극(112)에 공급하는 전압을 조절하여 상기 제1대전입자(1312)와 상기 제2대전입자(1313)를 이동시킴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는 상기 화소전극(112)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는 제1인가시간 및 상기 화소전극(112)에 음(-)의 전압을인가하는 제2인가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블랙과 화이트 사이에 존재하는 다양한 색채로 구성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는 이전 그레이와 현재 그레이에 대한 모든 경우의 웨이브폼(Waveform)을 제작하여 정보를 룩업 테이블(Lookup Table)로 저장해 놓고, 타이밍 콘트롤러에서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에 맞는 웨이브폼(Waveform)을 표시장치에 전송하게 된다.
도 3a 내지 3d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그레이 대 그레이 웨이브폼(Gray to Gray Waveform)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상기 전기 영동 표시 장치(100)가 전체 16개의 계조범위(Grayscale)에 해당하는 색채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그레이 대 그레이 웨이브폼을 나타낸 것이다. 좌측에 Y축 방향으로 표시된 계조(Gray)들은 이전 영상에 관한 것이고, 우측에 Y축 방향으로 표시된 계조들은 현재 영상에 관한 것이다. 물론, 좌측에 Y축 방향으로 표시된 계조(Gray)들은 현재 영상에 관한 것이고, 우측에 Y축 방향으로 표시된 계조들은 다음 영상에 관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측에 Y축 방향으로 표시된 계조(Gray)들은 이전 영상에 관한 것이고, 우측에 Y축 방향으로 표시된 계조들은 현재 영상에 관한 것으로 한다.
도 3a는 전체 16개의 계조범위에 해당하는 이전 영상에서 제16계조(화이트 계조)에 해당하는 현재 영상으로 전환하는데 이용되는 그레이 대 그레이 웨이브폼을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전체 16개의 계조범위에 해당하는 이전 영상에서 제1계조(블랙 계조)에 해당하는 현재 영상으로 전환하는데 이용되는 그레이 대 그레이 웨이브폼을 나타낸 것이고, 도 3c는 전체 16개의 계조범위에 해당하는 이전 영상에서 제7계조(중간 계조)에 해당하는 현재 영상으로 전환하는데 이용되는 그레이 대 그레이 웨이브폼을 나타낸 것이고, 도 3d는 전체 16개의 계조범위에 해당하는 이전 영상에서 제15계조에 해당하는 현재 영상으로 전환하는데 이용되는 그레이 대 그레이 웨이브폼을 나타낸 것이다.
제1계조는 블랙 계조이다. 전체 16개의 계조범위인 경우 블랙 계조를 제0계조, 화이트 계조를 제15계조로 정하기도 하나, 본 명세서에서는 전체 16개의 계조범위인 경우 블랙 계조를 제1계조, 화이트 계조를 제16계조로 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3a 내지 3d에서 X축 방향은 상기 이전 영상에서 상기 현재 영상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환시간(T)을 의미한다. 3a 내지 3d에서 검은 실선의 구동파형은 상기 화소전극(112)에 양(Positive)의 전압이 인가된 경우를 의미하고, 흰 공간의 구동파형은 상기 화소전극(112)에 음(Negative)의 전압이 인가된 경우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16 그레이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이전 영상의 16개의 계조범위에 현재 영상의 16개의 계조범위로 총 256가지의 그레이 대 그레이 웨이브폼 정보를 룩업 테이블에 저장해야 한다.
도 4는 종래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종래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시스템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전 영상을 저장하는 제 1 프레임 메모리(1)와, 현재 영상을 저장하는 제 2 프레임 메모리(2)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총 256가지의 그레이 대 그레이 웨이브폼 정보를 저장하는 프레쉬 메모리(3)와, 상기 제 1 프레임 메모리(1)에 저장된 이전 영상과 상기 제 2 프레임 메모리(2)에 저장된 현재 영상을 읽어와서 비교하고, 상기 프레쉬 메모리(3)에 저장된 그레이 대 그레이 웨이브폼을 로딩하여 상기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의 비교 결과에 따라 해당 웨이브폼에 맞는 프레임 정보를 형성하여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타이밍 콘트롤러(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전 영상을 제 1 프레임 메모리(1)에 저장하고, 현재 영상을 제 2 프레임 메모리(2)에 저장하며, 상술한 바와 같은 총 256가지의 그레이 대 그레이 웨이브폼 정보를 프레쉬 메모리(3)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4)는 상기 제 1 프레임 메모리(1)에 저장된 이전 영상과 상기 제 2 프레임 메모리(2)에 저장된 현재 영상을 읽어와서 비교한다. 또한, 상기 프레쉬 메모리(3)에 저장된 그레이 대 그레이 웨이브폼을 로딩하고, 상기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의 비교 결과에 따라 해당 웨이브폼에 맞는 프레임 정보를 형성하여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동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도 5는 종래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서 발생되는 페이드 오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6은 이전 영상이 모자이크 영상이고 현재 영상이 블랙 영상일 경우 대기 시간에 따른 고스팅(Ghosting) 현상을 설명한 설명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양극(+)으로 대전된 제1대전입자(블랙) 및 음극(-)으로 대전된 제2대전입자(화이트)를 캡슐 또는 컵 형태로 제작하여 상기 공통전극(121)에 인가된 전압과 상기 화소전극(112)에 인가된 전압 간의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쿨롱력에 의해 상기 유전 용매(1311) 내에서 이동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그런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업데이트 후 입자들의 인력, 척력 및 중력에 의한 영항으로 인해 업데이트 직후의 입자 위치와 대기 시간이 길어질 때의 입자 위치 정보가 변하게 되어 반사율 특성이 변하는 페이드 오프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자이크 영상에서 2초 정도에서는 큰 문제가 없으나, 약 300초를 대기하게 되면 블랙과 화이트 영역이 각기 다른 방향으로 페이드 오프되어 현재 블랙 영상을 업데이트할 경우, 현재 영상의 반사율이 원하는 타겟(target)에 도달하지 못하므로 모자이크 형태의 고스팅(Ghosting)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업데이트 후 다음 업데이트까지의 대기 시간(이전 영상에서 현재 영상)을 다수개로 구분하여 구분된 각 대기 시간에 따른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을 저장하고, 내부 타이머를 이용하여 대기 시간(이전 영상에서 현재 영상이 표시 되는 시간)을 체크하고, 그레이 대 그레이 웨이브폼을 전송하기 전에 대기 시간에 맞는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을 병합하여 전송하므로 페이드 오프 현상을 보상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구동 시스템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페이드 오프 보상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 구동 시스템은, 이전 영상을 저장하는 제 1 프레임 메모리; 현재 영상을 저장하는 제 2 프레임 메모리; 복수개의 그레이 대 그레이 웨이브폼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프레쉬 메모리; 업데이트 후 다음 업데이트까지의 대기 시간을 다수개로 구분하여 구분된 각 대기 시간에 따른 다수개의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 정보들을 저장하는 제 2 프레쉬 메모리; 그리고 내부 타이머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후 다음 업데이트 까지의 대기 시간을 체크하고, 상기 제 1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영상과 상기 제 2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현재 영상을 읽어와서 비교하고, 상기 제 1 프레쉬 메모리에 저장된 그레이 대 그레이 웨이브폼 및 상기 체크된 대기 시간에 상응한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을 상기 제 2 프레쉬 메모리에서 로딩하여, 상기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의 비교 결과에 따른 해당 웨이브폼과 상기 로딩된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을 병합하여 병합된 웨이브폼에 맞는 프레임 정보를 형성하여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타이밍 콘트롤러를 구비하여 구성됨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페이드 오프 보상 방법은,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을 각각 저장하는 단계; 그레이 대 그레이 웨이브폼 정보와 업데이트 후 다음 업데이트까지의 대기 시간을 다수개로 구분하여 구분된 각 대기 시간에 따른 다수개의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 정보들을 저장하는 단계; 대기 시간을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그레이 대 그레이 웨이브폼 및 상기 체크된 대기 시간에 상응한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 정보를 로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의 비교 결과에 따른 해당 웨이브폼과 상기 로딩된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을 병합하여 병합된 웨이브폼에 맞는 프레임 정보로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 구동 시스템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대기 시간에 따른 페이드 오프 보상 방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업데이트 후 시간이 얼마나 되었는지를 체크하고 시간에 따라 타임 보상 룩업 테이블을 제작하여 웨이브폼을 전송하기 전에 대기 시간에 맞는 타임 보상 웨이브폼을 병합하여 전송하므로 페이드 오프 현상을 보상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 영동 표시 장치가 블랙 영상을 표시한 경우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전기 영동 표시 장치가 화이트 영상을 표시한 경우를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3a 내지 3d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그레이 대 그레이웨이브폼의 일례
도 4는 종래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종래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서 발생되는 페이드 오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6은 이전 영상이 모자이크 영상이고 현재 영상이 블랙 영상일 경우 대기 시간에 따른 고스팅(Ghosting) 현상을 설명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시스템의 구성도
도 8a 내지 8d은 본 발명의 업데이트 후 다음 업데이트 까지의 대기시간에 따른 시간 보상 웨이브폼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존 웨이브폼과 대기 시간에 맞는 타임 보상 웨이브폼을 병합한 웨이브폼 구성도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및 페이드 오프 보상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시스템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전 영상을 저장하는 제 1 프레임 메모리(11)와, 현재 영상을 저장하는 제 2 프레임 메모리(12)와,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총 256가지의 그레이 대 그레이 웨이브폼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프레쉬 메모리(13)와, 업데이트 후 다음 업데이트까지의 대기 시간을 다수개로 구분하여 구분된 각 대기 시간에 따른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 정보들을 저장하는 제 2 프레쉬 메모리(15)와, 내부 타이머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후 다음 업데이트 까지의 대기 시간을 체크하고, 상기 제 1 프레임 메모리(11)에 저장된 이전 영상과 상기 제 2 프레임 메모리(12)에 저장된 현재 영상을 읽어와서 비교하고, 상기 제 1 프레쉬 메모리(13)에 저장된 그레이 대 그레이 웨이브폼 및 상기 체크된 대기 시간에 상응한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을 상기 제 2 프레쉬 메모리(15)에서 로딩하여, 상기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의 비교 결과에 따른 해당 웨이브폼과 상기 로딩된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을 병합하여 병합된 웨이브폼에 맞는 프레임 정보를 형성하여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타이밍 콘트롤러(14)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에 따른 업데이트 후 다음 업데이트까지의 대기 시간에 따른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의 일례이다.
도 8a는 업데이트 후 다음 업데이트까지의 대기 시간이 30초일 때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의 구성도이고, 도 8b는 업데이트 후 다음 업데이트까지의 대기 시간이 1분일 때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의 구성도이고, 도 8c는 업데이트 후 다음 업데이트까지의 대기 시간이 3분일 때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의 구성도이고, 도 8d는 업데이트 후 다음 업데이트까지의 대기 시간이 5분일 때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의 구성도이다
이와 같은 대기 시간 보상 웨어브폼들이 상기 제 2 프레쉬 메모리(15)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영동 표시 장치에서 페이드 오프 보상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존 웨이브폼과 대기 시간에 맞는 타임 보상 웨이브폼을 병합한 웨이브폼 구성도이다.
이전 영상을 제 1 프레임 메모리(11)에 저장하고, 현재 영상을 제 2 프레임 메모리(12)에 저장하며, 상술한 바와 같은 총 256가지의 그레이 대 그레이 웨이브폼 정보를 제 1 프레쉬 메모리(13)에 저장하고, 도 8a 내지 8d와 같은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들을 상기 제 2 프레쉬 메모리(15)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14)는 내부 타이머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후 다음 업데이트까지의 대기 시간을 체크하고, 상기 제 1 프레임 메모리(11)에 저장된 이전 영상과 상기 제 2 프레임 메모리(12)에 저장된 현재 영상을 읽어와서 비교하고, 상기 제 1 프레쉬 메모리(13)에 저장된 그레이 대 그레이 웨이브폼 및 상기 체크된 대기 시간에 상응한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을 상기 제 2 프레쉬 메모리(15)에서 로딩하여, 상기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의 비교 결과에 따른 해당 웨이브폼과 상기 로딩된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병합하여 병합된 웨이브폼에 맞는 프레임 정보를 형성하여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동한다.
즉, 도 8a와 같이 업데이트 후 다음 업데이트까지의 대기 시간이 30초일 때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과, 도 8b와 같이 업데이트 후 다음 업데이트까지의 대기 시간이 1분일 때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과, 도 8c와 같이 업데이트 후 다음 업데이트까지의 대기 시간이 3분일 때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과, 도 8d와 같이 업데이트 후 다음 업데이트까지의 대기 시간이 5분일 때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을 상기 상기 제 2 프레쉬 메모리(15)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14)는 내부 타이머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후 다음 업데이트 까지의 대기 시간을 체크한다.
만약, 상기 내부 타이머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후 다음 업데이트까지의 대기 시간을 체크하고 체크된 대기 시간이 30초 이면,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14)는 상기 제 2 프레쉬 메모리(15)에 저장된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 정보들 중 도 8a와 같은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을 로딩하고, 상기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의 비교 결과에 따른 해당 웨이브폼과 상기 도 8a와 같은 시간 보상 웨이브폼을 병합하여 병합된 웨이브폼에 맞는 프레임 정보를 형성하여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동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내부 타이머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후 다음 업데이트까지의 대기 시간을 체크하고 체크된 대기 시간이 1분 이면,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14)는 상기 제 2 프레쉬 메모리(15)에 저장된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 정보들 중 도 8b와 같은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을 로딩하고, 상기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의 비교 결과에 따른 해당 웨이브폼과 도 8b와 같은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을 병합하여 병합된 웨이브폼에 맞는 프레임 정보를 형성하여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동한다.
또한, 상기 내부 타이머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후 다음 업데이트까지의 대기 시간을 체크하고 체크된 대기 시간이 3분 이면,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14)는 상기 제 2 프레쉬 메모리(15)에 저장된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 정보들 중 도 8c와 같은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을 로딩하고, 상기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의 비교 결과에 따른 해당 웨이브폼과 도 8c와 같은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을 병합하여 병합된 웨이브폼에 맞는 프레임 정보를 형성하여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동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내부 타이머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후 다음 업데이트까지의 대기 시간을 체크하고 체크된 대기 시간이 5분 이면,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14)는 상기 제 2 프레쉬 메모리(15)에 저장된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 정보들 중 도 8d와 같은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을 로딩하고, 상기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의 비교 결과에 따른 해당 웨이브폼과 도 8d와 같은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을 병합하여 병합된 웨이브폼에 맞는 프레임 정보를 형성하여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동한다.
따라서, 대기 시간을 다수개로 구분하여 구분된 각 대기 시간에 따른 다수개의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 정보들을 룩업 테이블로 제작하고, 대기 시간이 얼마나 되었는지를 체크하고, 대기 시간(30초, 1분, 3분, 및 5분)에 따라 해당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 정보를 로딩하고, 상기 이전 영상과 현재다음 영상의 비교 결과에 따른 해당 웨이브폼과 상기 로딩된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 병합하여 전송하므로 페이드 오프 현상을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예에 의해서가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 12: 프레임 메모리 13, 15: 프레쉬 메모리
14: 타이밍 콘트롤러

Claims (3)

  1. 이전 영상을 저장하는 제 1 프레임 메모리;
    현재 영상을 저장하는 제 2 프레임 메모리;
    복수개의 그레이 대 그레이 웨이브폼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프레쉬 메모리;
    업데이트 후 다음 업데이트 까지의 대기 시간을 다수개로 구분하여 구분된 각 대기 시간에 따른 다수개의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 정보들을 저장하는 제 2 프레쉬 메모리; 그리고
    내부 타이머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후 다음 업데이트까지의 대기 시간을 체크하고, 상기 제 1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영상과 상기 제 2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현재 영상을 읽어와서 비교하고, 상기 제 1 프레쉬 메모리에 저장된 그레이 대 그레이 웨이브폼 및 상기 체크된 대기 시간에 상응한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정보를 상기 제 2 프레쉬 메모리에서 로딩하여, 상기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의 비교 결과에 따른 해당 웨이브폼과 상기 로딩된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을 병합하여 병합된 웨이브폼에 맞는 프레임 정보를 형성하여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타이밍 콘트롤러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구동 시스템.
  2.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을 각각 저장하는 단계;
    그레이 대 그레이 웨이브폼 정보와 업데이트 후 다음 업데이트까지의 대기 시간을 다수개로 구분하여 구분된 각 대기 시간에 따른 다수개의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 정보들을 저장하는 단계;
    대기 시간을 체크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그레이 대 그레이 웨이브폼 및 상기 체크된 대기 시간에 상응한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 정보를 로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의 비교 결과에 따른 해당 웨이브폼과 상기 로딩된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을 병합하여 병합된 웨이브폼에 맞는 프레임 정보로 전기 영동 표시 장치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페이드 오프 보상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 정보는, 대기 시간이 30초일 때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 대기 시간이 1분일 때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 대기 시간이 3분일 때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 및 대기 시간이 5분일 때 대기 시간 보상 웨이브폼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페이드 오프 보상 방법.
KR1020130009909A 2013-01-29 2013-01-29 전기 영동 표시 장치 구동 시스템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대기 시간에 따른 페이드 오프 보상 방법 KR102042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909A KR102042526B1 (ko) 2013-01-29 2013-01-29 전기 영동 표시 장치 구동 시스템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대기 시간에 따른 페이드 오프 보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909A KR102042526B1 (ko) 2013-01-29 2013-01-29 전기 영동 표시 장치 구동 시스템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대기 시간에 따른 페이드 오프 보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825A KR20140096825A (ko) 2014-08-06
KR102042526B1 true KR102042526B1 (ko) 2019-11-08

Family

ID=51744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909A KR102042526B1 (ko) 2013-01-29 2013-01-29 전기 영동 표시 장치 구동 시스템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대기 시간에 따른 페이드 오프 보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5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59763B (zh) * 2022-08-16 2023-07-14 广州文石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墨水屏显示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5359761B (zh) * 2022-08-16 2023-07-18 广州文石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关键帧的墨水屏显示控制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7729A (ja) 2003-09-29 2007-03-2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双安定ディスプレイにおける白黒モード及び白黒モードから階調モードへの遷移モードのための駆動スキー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225B1 (ko) * 2008-03-25 2014-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090105486A (ko) * 2008-04-02 2009-10-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표시장치
KR20100025095A (ko) * 2008-08-27 201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데이터 보상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보상 장치 및 이 데이터 보상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289640B1 (ko) * 2008-12-03 2013-07-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표시장치
KR101792645B1 (ko) * 2011-04-08 2017-11-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7729A (ja) 2003-09-29 2007-03-2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双安定ディスプレイにおける白黒モード及び白黒モードから階調モードへの遷移モードのための駆動スキ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825A (ko)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5264B2 (en) Method of driving a display panel and a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CN105190740B (zh) 用于驱动电光显示器的方法
KR101944482B1 (ko) 표시 패널 및 이의 구동 방법
US9280939B2 (en)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control device for electrophoretic device, electrophoret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70053612A1 (en) Timing controller,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driving the display apparatus
CN106875910B (zh) 显示设备
KR102303277B1 (ko) 표시 장치
US8890907B2 (en)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optical device, control device for electro-optical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60084937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042526B1 (ko) 전기 영동 표시 장치 구동 시스템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대기 시간에 따른 페이드 오프 보상 방법
KR20070080952A (ko) 데이터 변조장치,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구동방법
KR101232141B1 (ko)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US888486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increased response speed, and device and method for modifying image signal to provide increased response speed
US9489910B2 (en) Display device
CN114550662B (zh) 电子纸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KR102416343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9847066B2 (en) Method of operat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JP2006113399A (ja) 電気泳動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101996339B1 (ko) 표시 패널 및 이의 구동 방법
TW202213304A (zh) 電光顯示器及用於驅動此電光顯示器之方法
US10056049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60335941A1 (en) Driving device of image display medium, image display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20180024061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40091352A (ko)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그 이미지 업데이트 방법
KR20170035703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