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317B1 - 피부 미백 및 피부톤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미백 및 피부톤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317B1
KR102042317B1 KR1020170159382A KR20170159382A KR102042317B1 KR 102042317 B1 KR102042317 B1 KR 102042317B1 KR 1020170159382 A KR1020170159382 A KR 1020170159382A KR 20170159382 A KR20170159382 A KR 20170159382A KR 102042317 B1 KR102042317 B1 KR 102042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kin
extract
water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1236A (ko
Inventor
김나윤
백운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피코스메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피코스메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피코스메틱스
Priority to KR1020170159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31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 효과 및 피부톤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glucosamine), 트라넥삼산(Tranexamic acid) 및 대두 트립신 저해제(Soybean trypsin inhibitor, STI)를 포함하며, 상기 대두 추출물은, 대두 분쇄물을 열수추출하여 1차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1차 추출물을 여과막을 이용하여 여과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물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된다.

Description

피부 미백 및 피부톤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SKIN WHITENING AND IMPROVING SKIN COLOR EFFE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 및 피부톤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를 덮고 있는 외피로서, 외부환경으로부터 내부 장기를 보호하며, 생존에 필수적인 정보를 빠른 시간에 판독하고, 인체가 적절히 반응하도록 하여 보호하는 등의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매우 중요한 기관이다. 물질 문명의 발달과 오존층의 파괴로 유해한 자외선에 피부가 과다 노출되어 피부 홍반 및 색소침착, 피부노화 등 각종 피부문제점들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한 피부의 색소침착은, 당사자에게 미용상의 불편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 영향을 미쳐 사회생활 전반에 불편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피부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양한데, 그 중 표피에 존재하는 색소세포인 멜라닌, 혈관 속에 포함된 헤모글로빈(Hemoglobin)과 피하조직의 카로틴(Carotene) 등의 색소가 상호작용해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 중 멜라닌 색소의 양과 분포가 피부색을 결정하는데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멜라닌 색소는 피부의 자외선 투과를 막고, 활성산소나 프리라티칼을 제거하여 피부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자외선을 받으면, 피부 표피 내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에서 합성되어, 주변 각질세포(keratinocyte)로 전이되어 사람의 피부색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멜라닌을 만드는 출발물질은 인체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이다. 티로신은 멜라닌 세포 내에서 티로시나제(tyrosinase)라는 효소에 의해 산화되어 도파(dihydroxy phenylalanine, DOPA)로 변하고, 도파는 더욱 산화하여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바뀐다. 도파퀴논은 이후 자동 산화반응을 거쳐 최종적으로 흑갈색의 유멜라닌(eumelanin)을 만들어낸다. 그리고 도파퀴논이 시스테인(cysteine)을 만나게 되면 시스테이닐도파(cysteinyl DOPA)가 만들어지고 그 결과 적갈색의 페오멜라닌(pheomelanin)이 만들어진다. 이후 생성된 멜라닌은 멜라노좀(melanosome)에 실려 각질 형성 세포로 전달된다.
멜라닌세포에서 각질형성세포로 멜라닌소체의 이동은 색소침착에서 중요한 단계이다. 멜라닌소체의 이동에 관하여 세포외유출, 세포포식, 형질막의 융합에 의한 이동과 같은 몇 가지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세포외유출 경로는 멜라닌소체 막과 멜라닌세포 형질막이 융합되고 멜라닌소체가 세포사이 공간으로 나와서 각질형성세포에 의해 포식되는 과정이다. 세포포식의 기전은 각질형성세포가 멜라닌세포 가지돌기의 끝 부분을 포식하여 가지돌기의 끝 부분이 각질형성세포 내의 용해소체와 융합되고 이렇게 형성된 포식용해소체의 막이 파괴되면서 멜라닌소체가 방출되는 과정을 말한다. 각질형성세포와 멜라닌세포 형질막의 융합은 멜라닌소체가 멜라닌세포에서 각질형성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준다. 이러한 세 가지 기전 중 멜라닌소체의 세포포식 작용과 관련하여 PAR-2와 관련된 기전이 부분적으로 밝혀졌다. 각질형성세포는 PAR-2를 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각질형성세포에서 멜라닌소체의 세포포식을 담당하며, PAR-2 활성도와 발현은 자외선에 영향을 받는데, 트립신(trypsin)을 억제함으로서 PAR-2의 활성화를 방지하므로 자외선 노출에 의한 색소침착을 억제할 수 있다.
피부에는 멜라닌을 분해하는 효소가 없으며, 케라티노사이트 표피에서 떨어져 나갈 때 피부에서 같이 제거된다. 그러나 멜라닌이 필요 이상으로 생성되면 기미, 주근깨 또는 점과 같은 과색소 침착증을 유발하여 미용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한다.
멜라닌 생성의 주요원인은 태양광선에 포함된 자외선에 의한 것으로, 자외선은 가시광선의 보라색보다 짧은 광선이란 의미에서 약어로 UV(Ultraviolet)라 한다. 자외선은 파장에 따라 파장이 긴 자외선 A(UV A 320~400nm), 파장이 중간인 자외선 B(UV B 290~320nm), 파장이 짧은 자외선 C(UV C 200~290nm)로 나누어진다. 자외선 A는 피부의 색소침착을 유도하는 색소침착성 광선이다. 광과민성 피부질환들은 자외선 A에 의해 새로 생기거나 악화된다. 자외선 B는 피부의 홍반을 주로 유도하는 광선으로 일광화상의 주범이며, 주근깨 혹은 기미를 유발시키거나 악화시킨다. 자외선 C는 살균작용과 피부암 유발에 관계되는 광선이다.
앞서 언급한 피부색 및 피부톤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을 해결하는 것은 물론 자외선 노출, 임신, 피임약 복용 등으로 유발되는 기미, 잡티를 동시에 해결함으로써 하얀 피부를 선호하는 여성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화장품 연구 영역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현재 멜라닌 생성을 막는 미백 제품에 코직산(kojic acid) 및 알부틴(arbutin) 등과 같은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는 억제제,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비타민 A, 비타민 C 및 이들의 유도체 등이 미백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유효성분들은 불충분한 미백효과 및 피부에 대한 안전성 문제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또한, 멜라닌 생성이 아닌 전이를 막음으로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제품은 아직 나와 있지 않다.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4689호(2014.09.26. 공고, 발명의 명칭: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멜라닌이 합성되어 각질세포로 전이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피부 색소 침착 개선 효과, 피부 미백 효과 및 피부톤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자극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며,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감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피부 미백 및 피부톤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glucosamine), 트라넥삼산(Tranexamic acid) 및 대두 트립신 저해제(Soybean trypsin inhibitor, STI)를 포함하는 대두(Glycine max)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대두 추출물은, 대두 분쇄물을 열수추출하여 1차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1차 추출물을 여과막을 이용하여 여과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물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N-아세틸글루코사민, 트라넥삼산 및 대두추출물은 1:0.5:1.5~1:2:3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상기 N-아세틸글루코사민, 트라넥삼산 및 대두추출물은 0.1~4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상기 N-아세틸글루코사민 0.05~10 중량%, 트라넥삼산 0.05~10 중량% 및 대두추출물 1~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대두추출물 중 대두 트립신 저해제의 활성도는 7000 BAEE units/mg 이상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린징, 오일, 파운데이션, 왁스 또는 스프레이 제형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Oil-in-Water(수중유형)(O/W), Water-in-Oil(유중수형)(W/O), Water-in-Silicone(실리콘중수형)(W/S), Oil-in-Water-in-Oil(유중수중유형)(O/W/O) 또는 Water-in-Oil-in-Water(수중유중수형)(W/O/W)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멜라닌이 각질세포로 전이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피부 색소 침착 개선 효과, 피부 미백 효과 및 피부톤 개선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자극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며, 피부 보습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에 적용시 사용감이 우수하며, 제형 안정성이 우수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하기전 피험자의 얼굴 사진이고, 도 1(b)는 상기 실시예 화장료 조성물을 3주 동안 적용한 후의 피험자 얼굴 사진이며, 도 1(c)는 상기 실시예 화장료 조성물을 5주 동안 적용한 후의 피험자 얼굴 사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하기전 피험자 얼굴의 피부속 멜라닌을 측정한 사진이고, 도 2(b)는 상기 실시예 화장료 조성물을 3주 동안 적용한 후의 피험자 얼굴의 피부속 멜라닌을 측정한 사진이며, 도 2(c)는 상기 실시예 화장료 조성물을 5주 동안 적용한 후의 피험자 얼굴의 피부속 멜라닌을 측정한 사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하기전 피험자 얼굴 밝기를 측정한 사진이고, 도 3(b)는 상기 실시예 화장료 조성물을 3주 동안 적용한 후의 피험자 얼굴 밝기를 측정한 사진이며, 도 3(c)는 상기 실시예 화장료 조성물을 5주 동안 적용한 후의 피험자 얼굴 밝기를 측정한 사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피부 미백 및 피부톤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glucosamine), 트라넥삼산(Tranexamic acid) 및 대두 트립신 저해제(Soybean trypsin inhibitor, STI)를 포함하는 대두(Glycine max)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상기 대두(Glycine max)추출물에 함유된 대두 트립신 저해제(Soybean trypsin inhibitor)는 트립신 단백질의 억제효과를 가지는 성분으로 멜라닌에서 각질형성세포의 전이에 관여하는 PAR-2(protase-activated receptor-2)의 활성화를 억제시켜, 멜라닌의 전이를 막아 미백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N-아세틸글루코사민, 트라넥삼산 및 대두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시, 기존 티로시나제(tyrosinase) 효소적 작용의 저해를 통한 미백효과 대신, 자외선 등에 의해 생성된 멜라닌의 각질형성세포로의 전이를 억제시키는 기전을 통해 미백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대두 추출물은, 대두 분쇄물을 열수추출하여 1차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1차 추출물을 여과막을 이용하여 여과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물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된다.
상기 열수추출은 상기 대두 분쇄물을 물에 침지하고, 80~95℃에서 가열하여 1차 추출물을 수득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열온도 조건에서 상기 대두에 포함된 트립신 저해제 성분을 용이하게 추출해낼 수 있다. 상기 가열은, 1~10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대두 분쇄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물은 100~500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대두에 포함된 트립신 저해제 성분을 용이하게 추출해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여과는, 상기 1차 추출물을 제1 여과막을 이용하여 1차 여과한 다음, 제2 여과막을 이용하여 2차 여과하여 여과물을 수득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여과막은 컷오프(cut-off) 분자량이 50,000 달튼(Dalton)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1차 추출물 내부에 포함된 대두 트립신 저해제 성분이 용이하게 수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컷오프 분자량이 10,000~50,000 달튼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여과막은 컷오프(cut-off) 분자량이 10,000 달튼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1차 추출물 내부에 포함된 대두 트립신 저해제 성분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컷오프 분자량이 500~10,000 달튼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여과물은, 어세이(assay)를 통하여 상기 여과물 중 대두 트립신 저해제 활성을 확인 후, 농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어세이 후 농축하여 농축물을 제조하고, 동결 건조하여 대두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대두추출물 중 대두 트립신 저해제의 활성도는 7,000 BAEE units/mg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피부 독성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면서, 멜라닌이 합성되어 각질세포로 전이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피부 색소 침착 개선 효과,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하며, 기미, 주근깨 등을 개선하여 피부톤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대두추출물 중 대두 트립신 저해제의 활성도는 7,000~50,000 BAEE units/mg일 수 있다. 이때, 상기 BAEE는 벤조일-L-아르기닌-에틸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N-α-Benzoyl-L-arginine ethyl ester hydrochloride) 화합물로서, 상기 대두 트립신 저해제의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상기 대두추출물은 1~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인체에 무해하고 피부 자극이 없으며,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피부 미백 및 피부톤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트라넥삼산은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항염 및 지혈작용이 있어, 지혈제로 사용되었으며, 미백 기능이 알려지면서, 레이저 치료를 하면 더울 색이 짙어지는 간반기미의 치료에 활발히 사용되었다. 상기 기미의 치료기전으로 트라넥삼산이 멜라닌 세포 자극물질을 조절하여 멜라닌의 생성을 제어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트라넥삼산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5~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인체에 무해하고 피부 자극이 없으며,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피부 미백 및 피부톤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N-아세틸글루코사민은 게 및 새우 등의 갑각류, 버섯류, 및 연체동물의 골격에 주로 존재하는 천연 화합물로 히알루론산의 전구체가 되며, 기저층에서 세포의 유착, 증식 및 활성을 촉진하는 기능이 있다. 상기 N-아세틸글루코사민은 히알루론산의 생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진피층에서 피부 보습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멜라닌(Melanin) 생선전에 생합성 효소인 티로시나제(tyrosinase)의 성숙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N-아세틸글루코사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05~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인체에 무해하고 피부 자극이 없으며,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피부 보습효과, 피부 미백 및 피부톤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 글루타치온(glutathione, GSH)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루타치온은 (2S)-2-아미노-4-{[(1R)-1-[(카복시메틸)카바모일]-2-설파닐에틸]카바모일}부타노익 애씨드((2S)-2-amino-4-{[(1R)-1-[(carboxymethyl)carbamoyl]-2-sulfanylethyl]carbamoyl}butanoic acid) 이며, 글루타메이트(Glutamate), 시스테인(Cystein) 및 글라이신(Glycine)을 포함하는 트라이펩타이드(Tripeptide)로 강력한 항산화 특성, 독성 물질의 해독 특성, 면역력 강화 특성 및 특히 미백특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글루타치온은 생체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제로 아스코르빈산(비타민C), 토코페롤(비타민E)등과 같은 생체 내 다른 항산화제와 가역적으로 반응하면서 생체내에 존재하는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특히 이런 라디칼 제거와 관련된 생체 시스템에서 글루타치온은 최종 라디칼 수용체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감당한다. 또한, 글루타치온은 생체의 대료적 환원제로 핵산(DNA, RNA), 불포화지방산(DHA, EPA)등 생합성에 관여하는 생체내에 필수 성분이다. 글루타치온의 미백 특성은 자유-티올기를 가진 시스테인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1) 유멜라닌의 형성에 필수적인 타이로시나아제의 활성을 감소시킴으로써 기질인 타이로신의 도파로의 전환을 막아주며, 2) 도파와의 결합을 통해 페오멜라닌의 전구체인 시스테닐도파(CysteinylDOPA)를 형성하여 유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원리에 의해 미백 특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상기 글루타치온은 0.01~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미백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01~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상기 대두추출물 1~10 중량%, 트라넥삼산 0.5~5 중량%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 0.5~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대두추출물 1~5 중량%, 트라넥삼산 0.5~2 중량%, N-아세틸글루코사민 0.5~2 중량% 및 글루타치온 0.01~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N-아세틸글루코사민, 트라넥삼산 및 대두추출물은 1:0.5:1.5~1:2:3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피부 독성 및 자극이 없고,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에 적용시 발림성 등 사용감이 우수하면서, 상기 구성 성분 사이에 예측할 수 없는 상승효과가 발생하여 피부 보습 효과, 피부 색소 침착 개선 효과,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하며, 기미, 주근깨 등을 개선하여 피부톤 개선 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N-아세틸글루코사민, 트라넥삼산 및 대두추출물은 1:1:2~1:1:2.5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대두추출물은 상기 N-아세틸글루코사민보다 많은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대두추출물은 상기 트라넥삼산 보다 많은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트라넥삼산은 상기 N-아세틸글루코사민 이상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상기 N-아세틸글루코사민, 트라넥삼산 및 대두추출물은 0.1~4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피부 독성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며,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면서 피부 보습효과, 피부 색소 침착 개선 효과, 피부 미백 및 피부톤 개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 용해보조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pH 조정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살균제, 항염증제, 항미생물제, 가용화제 또는 착향제, 염료, 안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는 암모늄라우릴술포석시네이트,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등과 같은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등과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등이 가능하다. 또한, 3급 지방족 아민염, 알킬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베타인, 아미드베타인형과 같은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등이 될 수 있으며, 점증제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잔탄검,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라기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등의 화합물이 될 수 있다. 또한, pH 조정제는 구체적으로 구연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구연산나트륨, 인산, 인산나트륨, 젖산 등이 가능하다.
상기 방부제는 벤조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디엠디엠히단토인 등이 될 수 있으며, 산화방지제는 구체적으로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아스코르빈산 등이 가능하다.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는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테트라나트륨 등이 가능하며, 살균제는 구체적으로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4급 암모늄염, 피록톤올아민, 아연피리치온 현탁액, 요도프로피닐 부틸카바메이트, 살리실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항염증성분으로는 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 글리시리진산디칼륨, 알란토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가능하며, 항균(항미생물)성분은 구체적으로 페녹시에탄올, 클로르헥시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벤조산 및 그의 염, 벤질알코올, 살리실산, 트리클로카르반, 아연피리치온 현탁액 및 그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로는 구체적으로 피이지 60-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착향제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분야에 사용되는 통상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클린징, 오일, 파운데이션, 왁스 또는 스프레이 제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앰플,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파우더, 팩트, 립글로즈, 립스틱, 섀도우, 샴푸 및 린스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Oil-in-Water(수중유형)(O/W), Water-in-Oil(유중수형)(W/O), Water-in-Silicone(실리콘중수형)(W/S), Oil-in-Water-in-Oil(유중수중유형)(O/W/O) 또는 Water-in-Oil-in-Water(수중유중수형)(W/O/W) 제형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 1~3
대두 추출물 제조: 대두(Glycine max) 500g을 파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분쇄물을 물 2kg에 침지한 다음, 90℃ 수욕조에서 5시간 동안 온탕하여 1차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1차 추출액을 상온까지 냉각하고, 컷오프 분자량이 50000 달튼 이하의 제1 여과막에 1차 여과 후, 컷오프 분자량 10000 달튼 이하의 제2 여과막에 2차 여과하여 여과물을 수득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여과물을 농축하여 동결건조 후 분말형태로 제조하여, 대두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대두추출물중 대두 트립신 저해제(Soybean trypsin inhibitor)의 활성도가 7,000 BAEE units/mg 이상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 따른 함량의 정제수에 폴리아크릴레이트를 stirring 하면서 서서히 투입하여 완전 용해하였다. 그 다음 약 50~65℃까지 가온하여 stirring 하면서 하기 표 1의 함량의 성분을 투입하여, 30분 동안 완전히 용해한 다음, 45℃까지 냉각하고, 향료를 투입하고 가용화하여, 앰플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글루타치온(glutathione, GSH, IUPAC명: (2S)-2-아미노-4-{[(1R)-1-[(카복시메틸)카바모일]-2-설파닐에틸]카바모일}부타노익 애씨드((2S)-2-amino-4-{[(1R)-1-[(carboxymethyl)carbamoyl]-2-sulfanylethyl]carbamoyl}butanoic acid)을 하기 표 1의 함량으로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대두 추출물을 미적용하였으며,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트라넥산삼을 미적용하였으며,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미적용하였으며,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7117888566-pat00001
(함량: 중량%)
실험예 1: 제형 안정성 평가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에 대하여 50℃, 40℃, 25℃, 5℃의 온도에서 각각 4주 동안 보관 후 분리 및 변색 정도를 비교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제품의 분리 및 변색 정도는 하기의 6 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 분리 및 변색 평가 기준
0: 변화 없음, 1: 극히 조금 분리(변색), 2: 조금 분리(변색), 3: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 4: 심하게 분리(변색), 5: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
Figure 112017117888566-pat0000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1~4의 경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였으며, 비교예 1~4의 경우, 상기 실시예 1~4 보다 제형의 점도가 증가하거나, 제형의 분리가 발생하는 등 제형안정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기미 및 주근깨 수/분포도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 중에서 대표적으로 실시예 3의 피부톤 개선효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한 피험자의 기미 및 주근깨 수/분포도를 3D 피부 촬영 장치(Antera 3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피험자에게 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을 하루 1회씩 얼굴 볼 부위에 사용하게 하고, 사용 전, 사용 3주 후 및 사용 5주 후 얼굴 볼 부위를 피부 촬영장치로 측정하고, 저장된 이미지를 분석 프로그램(I-measure)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촬영된 사진의 평균 분포도 값은 ea이며, 기미, 주근깨 수(분포도)와 ea 값은 비례한다.
Figure 112017117888566-pat00003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하기전 피험자의 얼굴 사진이고, 도 1(b)는 상기 실시예 3 화장료 조성물을 3주 동안 적용한 후의 피험자 얼굴 사진이며, 도 1(c)는 상기 실시예 3 화장료 조성물을 5주 동안 적용한 후의 피험자 얼굴 사진이다.
상기 표 3 및 도 1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시, 피부 기미 및 주근깨 수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시 피부톤 개선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기미 및 주근깨 면적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 중에서 대표적으로 실시예 3의 피부 색소 개선효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한 피험자의 기미 및 주근깨 면적 변화를 3D 피부 촬영 장치(Antera 3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피험자에게 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을 하루 1회씩 얼굴 볼 부위에 사용하게 하고, 사용 전, 사용 3주 후 및 사용 5주 후 얼굴 볼 부위를 피부 촬영장치로 측정하고, 촬영된 사진의 특정 부위(볼 부분 15.4mm2의 원)를 지정해 범위 내 평균 멜라닌 면적을 분석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측정된 멜라닌 면적(mm2) 값은 기미 및 주근깨의 면적을 나타낸다.
Figure 112017117888566-pat00004
상기 표 4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시, 피부 기미 및 주근깨의 면적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시 피부 색소 개선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4: 피부 겉 멜라닌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 중에서 대표적으로 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멜라닌의 각질세포 전이를 방지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피부 겉 멜라닌 함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피부 겉 멜라닌 측정은 Mexa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피험자에게 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을 하루 1회씩 얼굴 볼 부위에 사용하게 하고, 사용 전, 사용 3주 후 및 사용 5주 후 얼굴 볼 과색소침착 부위의 피부겉 멜라닌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각 측정은 3회씩 이루어졌으며, 측정된 멜라닌 값의 평균값을 분석한 결과와, 피부 겉 멜라닌 측정 사진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피부 멜라닌 지수의 단위는 M.I(Melanin Index)이며 피부 멜라닌 함유량 정도와 상기 M.I 값은 비례한다.
Figure 112017117888566-pat00005
상기 표 5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시, 피부 겉 멜라닌 함유량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5: 피부 속 멜라닌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 중에서 대표적으로 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멜라닌의 각질세포 전이를 방지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피부 속 멜라닌 함량을 측정하였다. 상기 피부 속 멜라닌(색소침착) 측정은 얼굴 전체를 촬영할 수 있는 Janus를 사용하여 피험자의 얼굴 전체를 촬영한 후 Image-pro plus로 분석하였다.
피험자에게 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을 하루 1회씩 얼굴 볼 부위에 사용하게 하고, 사용 전, 사용 3주 후 및 사용 5주 후 얼굴 볼 과색소침착 부위의 피부속 멜라닌 함유량을 측정하였다. 촬영된 사진 중 UV 모드(255-Intensity) 이미지의 색소 침착 정도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6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측정된 피부 색소 침착의 단위는 %이며 총 100% 중 분석 부위의 평균 피부 색소 침착 정도가 나타나고 그 % 값과 피부 색소 침착 정도는 비례한다.
Figure 112017117888566-pat00006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하기전 피험자 얼굴의 피부속 멜라닌을 측정한 사진이고, 도 2(b)는 상기 실시예 3 화장료 조성물을 3주 동안 적용한 후의 피험자 얼굴의 피부속 멜라닌을 측정한 사진이며, 도 2(c)는 상기 실시예 3 화장료 조성물을 5주 동안 적용한 후의 피험자 얼굴의 피부속 멜라닌을 측정한 사진이다.
상기 표 6 및 도 2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시, 피부 속 멜라닌 함유량이 유의성 있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시, 생성된 멜라닌의 각질세포로의 전이를 방지하는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6: 피부 밝기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 중에서 대표적으로 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피부톤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피부 밝기 변화를 측정하였다. 상기 피부 밝기 측정은 Janus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피험자에게 실시예 3의 화장료 조성물을 하루 1회씩 얼굴 볼 부위에 사용하게 하고, 사용 전, 사용 3주 후 및 사용 5주 후 얼굴 볼의 밝기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상기 측정된 일반광 이미지를 분석프로그램 Image-pro plus로 분석하였다. 3회씩 측정한 밝기 지수인 L*(Lightness) 평균값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으며, 촬영된 사진을 하기 도 3에 나타내었다. 한편, 피부 밝기 정도와 L*값은 비례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하기전 피험자 얼굴 밝기를 측정한 사진이고, 도 3(b)는 상기 실시예 3 화장료 조성물을 3주 동안 적용한 후의 피험자 얼굴 밝기를 측정한 사진이며, 도 3(c)는 상기 실시예 3 화장료 조성물을 5주 동안 적용한 후의 피험자 얼굴 밝기를 측정한 사진이다.
Figure 112017117888566-pat00007
상기 도 3 및 표 7의 결과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3을 적용시, 피부 밝기가 개선되었으며, 이를 통해 피부톤 개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7: 화장료 조성물 사용감 평가(1)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을 평가하기 위해, 20~40세 성인 여성 30명으로 구성된 품평단을 대상으로 사용감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4의 화장료 조성물을 하루 1회 사용하도록 한 후, 발림성, 촉촉함, 지속성, 광택감 및 커버력 항목에 5점 척도(점수가 높을수록 우수함)로 답하게 하는 방식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5: 매우 만족, 4: 만족, 3: 보통, 2: 불만족, 1: 매우 불만족)
Figure 112017117888566-pat00008
상기 표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의 경우 발림성, 촉촉함, 지속성, 광택감 및 커버력 모든 항목에서 고르게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N-아세틸글루코사민, 트라넥삼산 또는 대두추출물 미포함하는 비교예 1~4의 경우, 상기 실시예 1~3보다 발림성, 촉촉함, 지속성 또는 광택성 등 전반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8: 화장료 조성물 사용감 평가(2)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 중 대표적으로 실시예 3의 사용감을 평가하기 위해, 20~40세 성인 여성 30명으로 구성된 품평단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3을 하루 1회씩 3주 및 5주 동안 사용 후, 하기 표 9의 항목에 대하여 설문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5: 매우 만족, 4: 만족, 3: 보통, 2: 불만족, 1: 매우 불만족)
Figure 112017117888566-pat00009
시험예 9: 피부 자극 시험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피부 자극을 평가하기 위해 피부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검자는 50~70세의 시험 부위에 피부 질환이 없는 사람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10명에게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첩포 부위인 상박부를 70% 에탄올로 닦아내고 건조시킨 후, 제품을 0.1g씩 가하여 24시간 동안 첩포를 실시한 뒤, 첩포를 제거하고 1시간 이내에 피부 반응을 검사하고, 다음날(첩포 시작으로부터 48시간 뒤) 다시 검사하였다. 피부 반응 판정은 하기 검사기준에 의해 판정하였다. 피부 첩포 시험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 피부 반응 검사기준
-: 반응 없음
±: 약한 양성 반응 (홍반)
+: 양성 반응 (홍반)
++: 강한 양성 반응 (홍반, 부종)
+++: 심한 양성 반응 (홍반, 부종, 수포)
Figure 112017117888566-pat00010
상기 표 10의 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4의 경우, 피부 자극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 1, 2 및 4의 경우, 상기 실시예 1~3에 비해 피부 자극성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시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1~5주 사용으로, 피부 보습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피부의 기미, 주근깨 수(분포도)와 면적 감소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피부 속/겉 멜라닌 감소 및 피부톤 개선 효과 및 미백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7)

  1. N-아세틸글루코사민(N-acetylglucosamine) 0.5~5 중량%, 트라넥삼산(Tranexamic acid) 0.25~10 중량% 및 대두 트립신 저해제(Soybean trypsin inhibitor, STI) 를 포함하는 대두(Glycine max)추출물 1~15 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N-아세틸글루코사민, 트라넥삼산 및 대두추출물은 1:0.5~2:2~3의 중량비로 포함되며,
    상기 대두 추출물은, 대두 분쇄물을 열수추출하여 1차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1차 추출물을 여과막을 이용하여 여과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물을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두추출물 중 대두 트립신 저해제의 활성도는 7000 BAEE(N-α-Benzoyl-L-arginine ethyl ester hydrochloride) units/m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또는 스프레이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Oil-in-Water(수중유형)(O/W), Water-in-Oil(유중수형)(W/O), Water-in-Silicone(실리콘중수형)(W/S), Oil-in-Water-in-Oil(유중수중유형)(O/W/O) 또는 Water-in-Oil-in-Water(수중유중수형)(W/O/W)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59382A 2017-11-27 2017-11-27 피부 미백 및 피부톤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42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382A KR102042317B1 (ko) 2017-11-27 2017-11-27 피부 미백 및 피부톤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382A KR102042317B1 (ko) 2017-11-27 2017-11-27 피부 미백 및 피부톤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236A KR20190061236A (ko) 2019-06-05
KR102042317B1 true KR102042317B1 (ko) 2019-11-27

Family

ID=66844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382A KR102042317B1 (ko) 2017-11-27 2017-11-27 피부 미백 및 피부톤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31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317696B8 (pt) * 2002-12-27 2021-05-25 Daiichi Seiyaku Co composição para branqueament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EADV, 2011, Vol. 25, pp.1140~114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236A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71869B1 (en) Active ingredient comprising a mixture of unsaturated dicarboxylic fatty acids, compositions comprising said ingredient and cosmetic or dermatological uses
WO2008045272A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kin lightening
KR102006948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US9079047B2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EP2914349B1 (en) Combination of plant extracts, cosmetic ingredient and composition containing it and topical cosmetic use thereof
JP2008260721A (ja) 皮膚外用剤
KR20070117355A (ko) 태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도포용 조성물
CN102552084B (zh) 含有欧洲百合提取物的组合物及其用途
CN102525851B (zh) 含有欧洲百合提取物的组合物及其用途
KR20070118719A (ko) 상피세포성장인자 및 섬유아세포성장인자를 함유하는 피부도포용 조성물
KR102486936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2317B1 (ko) 피부 미백 및 피부톤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WO2014163260A1 (ko) 옥수수 수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90091505A (ko) 산소수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US20050226827A1 (en) Skin lightening composition
US20140056835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small molecule-peptide conjugate
JP5937786B2 (ja) Iii型コラーゲンを含有する海洋生物由来コラーゲンおよびその誘導体
CN104470488A (zh) Dickkopf-1表达调节组合物及其用途
JP3044690B2 (ja) 化粧料
KR20210137335A (ko) 해조류의 세포외소포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3818998B2 (ja) 美白化粧料
KR102491995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02128654A (ja) 皮膚外用剤
KR20190001391A (ko) 녹차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자극 완화, 피부 세정, 미백 또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26188A (ko) 천연유래물질 펩타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