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758B1 -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758B1
KR102041758B1 KR1020190080254A KR20190080254A KR102041758B1 KR 102041758 B1 KR102041758 B1 KR 102041758B1 KR 1020190080254 A KR1020190080254 A KR 1020190080254A KR 20190080254 A KR20190080254 A KR 20190080254A KR 102041758 B1 KR102041758 B1 KR 102041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extension
bar
propeller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옥선
Original Assignee
김옥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옥선 filed Critical 김옥선
Priority to KR1020190080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7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6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in recesses; with stationary water-guiding elements; Means to prevent fouling of the propeller, e.g. guards, cages or screens
    • B63H5/165Propeller guards, line cutters or other means for protecting propellers or rud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3/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n inorganic material
    • C10M103/02Carbon; 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2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inorganic material
    • C10M125/02Carbon; Graphi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66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 F16C33/6696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with solids as lubricant, e.g. dry coating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1/00Inorganic compounds or element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1/04Elements
    • C10M2201/041Carbon; Graphite; Carbon black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1/00Inorganic compounds or element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1/04Elements
    • C10M2201/05Metal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10/00Metal present as such or in compounds
    • C10N2010/16Groups 8, 9, or 10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02Bea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50/00Form in which the lubricant is applied to the material being lubricated
    • C10N2050/08Sol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02/00Solid materials defined by their properties
    • F16C2202/50Lubricating properties
    • F16C2202/52Graphi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30Ships, e.g. propelling shafts and bearing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는, 바 형상으로서 선저의 좌우 일 측에 위치한 1쌍의 결합부 각각에 일 단이 결합되어 선저의 전후 방향을 따라 프로펠러를 사이에 두고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프로펠러와 이격된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구비한 1쌍의 프로텍터(protector); 선미부의 좌우 측 각각에서 갑판으로부터 선저까지 1쌍으로 기립 연장된 것으로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수용된 상태로 갑판에서 상기 프로텍터까지 연장된 연결 바 및, 상기 연결 바의 상단에 연결되어 힌지를 매개로 회동되는 조절 바로 이루어진 조절봉을 구비한 1쌍의 조작부;를 포함하여, 상기 조절 바를 회동 기립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 바를 승강함에 따라 상기 프로텍터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간편한 조작으로 프로펠러 주변에 절곡 연장된 프로텍터를 승강시키면서 이 과정으로 인해 프로펠러를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DEVICE PROTECTING PROPELLER OF SHIP}
본 발명은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로펠러 주변에 프로텍터를 배치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프로텍터를 구동시켜 장애물로부터 프로펠러를 보호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프로펠러, 즉 스크류는 선박의 선미에 장착되어 회전력을 통해 선박의 추진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물의 저항을 최소로 받게 하는 부드러운 유선형의 선박의 디자인과 큰 추진력을 낼 수 있는 최적의 프로펠러를 개발하는 데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프로펠러가 회전을 하면 회전축을 중심으로 완전한 대칭이 되는 흐름이 생기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즉, 이론상으로는 프로펠러를 회전할 때는 전진 방향으로 밀어주는 방향의 힘과 회전하는 힘만 발생해야 하는데 프로펠러의 상하 압력 비대칭에 의해서 옆으로 밀어주는 힘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비대칭의 힘이 상당히 커서 프로펠러를 하나만 설치한 선박은 이론과 달리 똑바로 나아가지는 못하고 한쪽으로 조금씩 선회를 하게 된다. 따라서 실제로는 선박이 똑바로 앞으로 직진시키고 싶을 때는 오히려 방향타를 약간 틀어주어야 한다. 같은 이유로 프로펠러를 두 개 설치한 선박은 두 개의 프로펠러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옆으로 밀어주는 힘이 상쇄되어 선박의 직진성능을 높여준다.
그런데 프로펠러 개수 내지 선박의 크기에 상관없이 어망이나 어초, 암초 등의 장애물에 걸려 고장 또는 파손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고 특히 프로펠러의 사이즈가 크지 않은 중소형 선박에서 이러한 피해가 부각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국내 공개 특허 제 2004-0064057호인 선박 스크류 보호장치는 선박의 후미 저부와 힌지부로 결합되어지는 기판과, 상기 스크류축에 결합되고 기판을 지지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와 체결되어지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를 들어올리기 위한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를 선박의 후미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로 구성됨으로써 스크류를 승강시켜 스크류를 보호할 수 있다고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기술과 같이 추진의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스크류를 이동시킬 경우 정밀한 설계에 의해 최적의 위치에 장착된 스크류의 위치가 달라져 선박의 안정적인 추진에 문제가 발생할 뿐 아니라 스크류의 변경된 위치에 따라 방향키의 조작 역시 달라질 수 있어 운전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가 따른다.
따라서 선박의 스크류, 즉 프로펠러의 안정적인 구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프로펠러 주변에 장애물을 걷어낼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간편한 조작에 의해 프로펠러 주변의 프로텍터가 작동하면서 프로펠러에 낀 장애물을 제거하거나 프로펠러가 암초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텍터의 작동의 편의성과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곡부의 절곡 구조에 대한 내구성과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세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는, 바 형상으로서 선저의 좌우 일 측에 위치한 1쌍의 결합부 각각에 일 단이 결합되어 선저의 전후 방향을 따라 프로펠러를 사이에 두고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프로펠러와 이격된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구비한 1쌍의 프로텍터(protector); 선미부의 좌우 측 각각에서 갑판으로부터 선저까지 1쌍으로 기립 연장된 것으로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수용된 상태로 갑판에서 상기 프로텍터까지 연장된 연결 바 및, 상기 연결 바의 상단에 연결되어 힌지를 매개로 회동되는 조절 바로 이루어진 조절봉을 구비한 1쌍의 조작부;를 포함하여, 상기 조절 바를 회동 기립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 바를 승강함에 따라 상기 프로텍터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린더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관통공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토퍼(stopper)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연결 바는, 하단의 양측 둘레 영역에서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상태에서 체결공이 관통 형성된 1쌍의 허브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결 바의 결합 부위에 돌출 형성된 것으로, 선박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절개된 슬릿을 구비한 슬라이드 브라켓을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이 상기 허브 사이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을 매개로 상기 1쌍의 허브를 연결한 연결축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연결 바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에 의하면,
1) 사용자의 간편한 조작으로 프로펠러 주변에 절곡 연장된 프로텍터를 승강시키면서 이 과정으로 인해 프로펠러를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고,
2) 프로텍터의 안정적인 조작을 보조하는 다양한 세부 구성에 의해 내구성을 보강할 수 있으며,
3) 절곡부 및 연장부의 세부 구조에 의해 외력으로부터 보다 강화된 보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보호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작동 전 프로텍터의 위치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 3은 작동 후 프로텍터의 위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토퍼를 도시한 부분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브라켓을 매개로 한 연결 바와 프로텍터의 결합 부위를 도시한 부분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프로텍터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호장치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작동 전 프로텍터의 위치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작동 후 프로텍터의 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우선 선박의 구조를 먼저 설명하면, 본 발명의 선박(1)은 선미에 위치한 프로펠러(10)를 가운데 두고 그 좌우 양측으로 후방을 향해 돌출된 부위가 존재하는데 이를 선미부(20)라 한다. 물론 본 발명의 보호장치를 선박(1)에 적용할 때 선박(1)이 반드시 이와 같은 구조를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갑판에 불필요한 구멍을 관통시키지 않고 후술할 실린더(210) 및 조절봉(220)을 장착할 때 이 선미부(20)의 내측벽을 이용하는 것이 설치의 편의성 및 선박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보다 바람직하다. 더불어, 본 발명의 선박(1)의 사이즈에 제한은 없지만 주로 중소형 선박에 본 발명의 보호장치를 적용하는 것이 수동으로 조작되는 본 발명의 조작부(200)의 특성상 보다 바람직하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보호장치는 크게 프로텍터(100)와 조작부(200)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프로텍터(100)는 프로펠러(10)와 이격된 상태에서 프로펠러(10)를 실질적으로 보호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막대기, 즉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선박(1)의 선저 일 측, 구체적으로는 선저의 좌우 측 각각에서부터 선박(1)의 전후 방향을 따라 선미 외측까지 연장되다가 선미 측 프로펠러(10)의 후방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이러한 프로텍터(100)는 선저의 좌우 측 각각에서 연장된 2개(1쌍)의 개수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어도 이와 같이 2개로 이루어진 프로텍터(100)에 각각 연결되는 조작부(200) 및 결합부(30) 역시 모두 2개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프로텍터(100)는 파손의 문제를 줄이고 휨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텍터(100)는 선저의 일 측에서 선미 외측까지 연장된 부위를 연장부(110)라 하고, 연장부(110)의 단부에서 상 방향으로 절곡된 부위를 절곡부(120)라 한다.
여기서, 선저에 위치한 결합부(30)는 연장부(110)가 승강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면서 연장부(110)의 일 측을 결합시킨 부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연장부(110)가 승강되면서 이 연장부(110)의 일 단이 회동되기 위해서는 결합부(30)는 힌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연장부(110)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그 연장 길이가 충분할 때 일정한 휨성이 발휘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연장부(110)의 휨성을 이용한다는 기반에서 연장부(110)의 일부 부위만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충분할 때 결합부(30)는 반드시 힌지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고 파이프 내지 실린더와 같이 연장부의 일 단을 수용 결합할 수 있는 중공 구조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조작부(200)는 상술한 각각의 프로텍터(100)와 연결된 2개의 개수를 가진 상태에서 프로텍터(100)의 적어도 일부를 승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실린더(210)와 조절봉(2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조절봉(220)은 하측이 프로텍터(100), 구체적으로 연장부(110)의 일 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갑판 상까지 기립 연장된 것으로, 프로텍터(100)를 승강시키기 위해 조절봉(220) 역시 승강되는 성질을 가진다.
조절봉(220)이 승강되기 위하여, 조절봉(220)은 연결 바(221)와 조절 바(222)로 이루어져 있고, 여기서 연결 바(221)는 그 하측이 연장부(110)와 결합된 상태에서 기립 연장되는 부위를 의미하는데 그 일부가 실린더(210)의 중공에 수용되어 있다.
이 연결 바(221)의 상단에는 힌지(230)를 매개로 연결된 조절 바(222)가 구비되고, 이 조절 바(222)는 끝단에 손잡이를 구비한 상태에서 실린더(2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조절 바(222)가 힌지(230)의 회동에 의해 연결 바(221)와 ㄱ 자 등과 같이 일정 각도를 이루면 조절 바(222)의 하단이 실린더(210)에 걸려 연결 바(221)가 더는 하강하지 못하고 고정 위치된다.
반면, 힌지(230)의 회동으로 조절 바(222)가 연결 바(221)와 더불어 1자로 펼쳐지면 연결 바(221)가 중력에 의해 실린더(210)의 중공을 타고 하강하게 된다.
이로써, 연결 바(221)에 연결된 연장부(110) 역시 하강을 하게 되고 특히 결합부(30)가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110)의 후방 측 단이 하방으로 휘어지면서 하강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조작부(200)가 조절 바(222)의 회동에 의해 연결 바(221)의 승강 여부를 조작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조절 바(222)의 조작에 의해 연장부(110)를 승강시킬 수 있는 원리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능이라 할 수 있다.
이같이 연결 바(221)가 실린더(210)의 중공을 타고 승강하기 위해서는 갑판에 일정한 구멍이 관통되어야 하는데 갑판에 일부러 구멍을 뚫는 것은 선박(1)의 안정성에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있으므로, 좌우 측 선미부(20) 각각의 내측 벽의 높이 방향을 따라 실린더(210)가 부착되고 이 실린더(210)의 중공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바(221)가 승강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더 나아가, 도 3을 보아 알 수 있듯이 선미부(20)의 내측 벽에는 실린더(210)와 결합된 가이드 브라켓(300)이 하나 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장착되어 실린더(210)가 선미부(20)의 내측 벽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 및 기능에서, 선박(1)의 일상적인 주행 시에는 연장부(110)가 선저에 밀착하고 있다가 프로펠러(10)를 보호하고자 할 때에는 조절 바(222)를 펼쳐 연결 바(221) 및 연장부(110)를 하강시키면서 도 3과 같은 구조를 취하도록 한다.
즉, 프로펠러(10)에 그물 등과 같은 장애물이 걸릴 때 프로텍터(100)를 하강시켜 장애물이 프로펠러(10)가 하강된 공간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고, 만일 암초에 프로펠러(10)가 부딪칠 우려가 있는 경우 역시 프로텍터(100)를 하강시켜 프로펠러(10)가 암초에 닿기 전에 먼저 프로텍터(100)가 암초가 닿도록 하여 암초로부터 프로펠러(10)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프로펠러(10)에 장애물이 걸렸을 때 사용자가 연결 바(221)를 올리고 내리는 동작을 반복하여 프로텍터(100), 즉 연장부(110) 역시 승강시키면서 이 프로텍터(100)에 장애물을 접촉시킬 개연성을 높이면서 장애물을 이탈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절곡부(120)에 의해 연장부(110)의 단부가 마치 프로펠러(10) 주변을 감싸듯이 상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있어 프로펠러(10)의 주변 영역에 그물과 같은 장애물이 진입할 때 우선적으로 이 절곡부(120)에 걸릴 수 있도록 하여, 절곡부(120)가 프로펠러(10)의 후방 측에 일정한 보호 영역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불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2개의 절곡부(120) 각각의 대응 위치에는 고리가 형성되어 이 고리 사이에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진 그물을 설치하여 프로펠러(10)의 후방 측에 물리적인 보호 영역을 생성시킴으로써 프로펠러(10)의 후방 측 영역에 장애물이 진입되는 것을 보다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구성 및 기능에 의하여,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프로펠러(10)에 걸린 장애물을 이탈시키거나 아니면 암초와 같은 장애물이 프로펠러(10)에 부딪히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여, 궁극적으로 선박의 프로펠러(10)를 보호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스토퍼를 도시한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연결 바(221)의 디테일한 승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작부(200)는 스토퍼(240)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 실린더(210)는 외주 면 일 측에 한 개 또는 실린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관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이 관통공에 스토퍼(24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연결 바(221)가 실린더(210) 내에 진입된 깊이 내지 높이의 정도에 따라 관통공에 스토퍼(240)를 결합함으로써 연결 바(221)가 더는 상승 내지 하강되지 않으면서 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프로텍터(100)의 승강 높이를 디테일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특정 높이 내지 위치에 프로텍터(1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240)의 단부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파지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고, 관통공의 내주면 및 스토퍼(240)의 외주면 각각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스토퍼(24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면서 탈착공에 결합 또는 해제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브라켓을 매개로 한 연결 바와 프로텍터의 결합 부위를 도시한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연결 바(221)는 하단의 양측 둘레 영역에서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상태에서 서로 같은 위치에 체결공이 관통 형성된 허브(221a)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응하여, 연장부(110)는 연결 바(221)와 결합되는 부위에서 연결 바(22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 선박(1)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절개된 슬릿(131)을 구비한 슬라이드 브라켓(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슬라이드 브라켓(130)이 허브(221a) 사이에 결합된 다음 연결축(250)이 슬릿(131)을 관통하면서 양측 허브(221a)를 연결함으로써 슬라이드 브라켓(130)과 연결 바(221)가 결합될 수 있는데, 이라한 구조에 따르면 슬라이드 브라켓(130)이 슬릿(13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범위 유동될 수 있어 프로텍터(100)가 승강될 때 발생하는 외력에 대한 완충 기능 또는 충격 흡수 역할을 제공하여 연결 바(221)와 연장부(110)의 결합 부위가 파손되거나 연장부(110)가 연결 바(221)와 쉽사리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프로텍터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절곡부(120)는 2단 절곡된 부위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바, 구체적으로 절곡부(120)는 제 1 경사각으로 상향 절곡된 제 1 절곡 편(121)과, 제 1 절곡편(121)의 단부에서 제 2 경사각으로 상향 절곡된 제 2 절곡 편(122)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만일 절곡부(120)가 연장부(110)에서 수직 절곡될 경우 프로펠러(10)의 후방 주변 영역을 절곡부(120)가 안정적으로 커버하지 못하고 또한 절곡부(120)가 1단 절곡될 경우 역시 절곡부(120)의 단부가 프로펠러(10)에서 멀어질 수 있어 프로펠러(10)의 보호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지 못할 수 있는바, 이러한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절곡부(120)를 2단으로 순차적으로 절곡시킨 구조를 제시한다.
이때,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한 제 1 경사각과 제 1 절곡 편(121)을 기준으로 한 제 2 경사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각 또는 동일 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 2 경사각이 제 1 경사각보다 큰 것이 절곡부(120)가 너무 프로펠러(10)에서 멀리 이격되지 않으면서 프로펠러(10)의 주변 영역을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제 1,2 절곡 편(121,122)의 예각 측 경계 부위에는 절곡 보호 파트(140)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절곡 보호 파트(140)는 제 1 절곡 편(121) 측 절곡 시작 지점으로부터 절곡 부위의 중앙에서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선(N)에 만나는 지점까지 제 1 곡률반경으로 연장된 제 1 라운딩부(141)와, 제 1 라운딩부(141)의 단부에서 제 2 절곡편(122) 측을 향한 방향으로 제 1 곡률반경보다 큰 제 2 곡률반경으로 연장된 제 2 라운딩부(142) 및, 제 2 라운딩부(142)의 단부에서 변곡되어 제 2 절곡 편(122) 측 일 지점까지 제 3 곡률반경으로 연장된 제 3 라운딩부(143)로 이루어져 있다.
제 1 라운딩부(141)는 연장이 진행되면서 절곡 보호 파트(140)의 두께를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한 도입 부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절곡 부위의 두께를 보강하여 수압이나 물살에 의해 제 2 절곡 편(122)이 제 1 절곡 편(121)에서 쉽사리 부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2 라운딩부(142)는 제 1 라운딩부(141)로 의해 절곡 부위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제 1 곡률반경보다 큰 제 2 곡률반경, 다시 말해 제 1 곡률반경보다 완만한 곡도로 이루어지면서 연장된 부위이다.
다시 말해, 제 2 라운딩부(142)는 제 1 라운딩부(141)보다 곡도가 완만하여 제 2 라운딩부(142)의 단부까지 상대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보장하면서 연장되는데 이로 인해 수압이나 물살 등의 외력이 가해졌을 때 이 외력이 법선(N) 방향으로 집중되지 않고,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제 1 라운딩부(141)의 단부 측 방향으로 해당 외력을 분산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력이 가해졌을 때 실질적으로 절곡되는 부위가 법선(N) 주변 내지 제 2 절곡 편(122) 측 방향이 아닌 제 1 절곡 편(121) 측 방향으로 쏠리도록 하여, 절곡이 이루어지는 일명 무게중심을 제 1 절곡 편(12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 2 절곡 편(122)의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보장하여 외력에 의해 제 2 절곡 편(122)이 쉽사리 부러지거나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제 3 라운딩부(143)는 제 2 라운딩부(142)의 단부에서 변곡(위로 볼록에서 아래로 볼록)되어 제 2 절곡 편(122) 측 일 지점까지 곡률지게 연장된 것으로서, 절곡 보호 파트(140) 중 가장 두꺼운 부위를 형성하며 외력을 충분히 흡수 및 분산할 수 있는 물리적 체적을 확보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자연스럽게 제 2 절곡 편(122)의 일 측에 접하도록 연장된 것을 기본으로 하나, 더 나아가 제 2 절곡 편(122)과 단턱이 발생하지 않도록 챔퍼(chamfer) 처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정리하면, 절곡 보호 파트(140)는 외력 작용 시 절곡되는 지점을 절곡 부위의 중앙 부위가 아니라 제 1 절곡 편(121) 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절곡 부위 주변에서 파손되지 않도록 하면서 전반적으로 절곡부(120)의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추가적으로, 연장부(110)는 결합부(30)에서 연결 바(221)의 연결 부위까지 연장된 제 1 연장부(111)와, 제 1 연장부(111)의 단부에서 제 1 연장부(111)보다 짧은 길이로 절곡부(120)까지 연장된 제 2 연장부(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 1 연장부(111)가 제 2 연장부(112)보다 길기 때문에 제 1 연장부(111)의 승강 내지 회동되는 각도를 상대적으로 최소화시켜 프로텍터(100)가 승강되면서 결합부(30)와 제 1 연장부(111)의 결합 부위에 가하는 피로도를 줄여 연장부(110)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제 1 연장부(111)는 결합부(30)에서 일정 길이 연장된 제 1 연장 편(111a)과, 제 1 연장 편(111a)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연결 바(221)까지 연장된 제 2 연장 편(111b)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 1 연장부(111)가 일직선으로 뻗지 않고 연결 바(221) 측 부위에서 약간 하방으로 쳐지도록 형성하여 연결 바(221)의 승강에 의해 연장부(110)가 승강될 때 상대적으로 제 2 연장부(112)보다 길게 연장된 제 1 연장부(111)에 제공되는 반발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냉각장치용 결합 어셈블리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 선박 10: 프로펠러
20: 선미부 30: 결합부
100: 프로텍터 110: 연장부
111: 제 1 연장부 111a: 제 1 연장 편
111b: 제 2 연장 편 112: 제 2 연장부
120: 절곡부 121: 제 1 절곡 편
122: 제 2 절곡 편 125: 고리
130: 슬라이드 브라켓 131: 슬릿
140: 절곡 보호 파트 141: 제 1 라운딩부
142: 제 2 라운딩부 143: 제 3 라운딩부
200: 조작부 210: 실린더
211: 관통공 220: 조절봉
221: 연결 바 221a: 허브
222: 조절 바 230: 힌지
240: 스토퍼 250: 연결축
300: 가이드 브라켓

Claims (11)

  1.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로서,
    바 형상으로서 선저의 좌우 일 측에 위치한 1쌍의 결합부(30) 각각에 일 단이 결합되어 선저의 전후 방향을 따라 프로펠러(10)를 사이에 두고 연장된 연장부(110)와, 상기 프로펠러(10)와 이격된 상기 연장부(110)의 단부에서 상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120)를 구비한 1쌍의 프로텍터(protector)(100);
    선미부(20)의 좌우 측 각각에서 갑판으로부터 선저까지 1쌍으로 기립 연장된 것으로서, 실린더(210)와, 상기 실린더(210)에 수용된 상태로 갑판에서 상기 프로텍터(100)까지 연장된 연결 바(221) 및, 상기 연결 바(221)의 상단에 연결되어 힌지(230)를 매개로 회동되는 조절 바(222)로 이루어진 조절봉(220)을 구비한 1쌍의 조작부(200);를 포함하여,
    상기 조절 바(222)를 회동 기립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 바(221)를 승강함에 따라 상기 프로텍터(100)를 승강시키고,
    상기 연장부(110)는,
    상기 결합부(30)에서 상기 연결 바(221)의 연결 부위까지 연장된 제 1 연장부(111)와,
    상기 제 1 연장부(111)의 단부에서 상기 제 1 연장부(111)보다 짧은 길이로 상기 절곡부(120)까지 연장된 제 2 연장부(1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210)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21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200)는,
    상기 관통공(211)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토퍼(stopper)(2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221)는,
    상기 프로펠러(10)의 좌우 측으로 후방 돌출된 선미부(20)의 내측 벽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선미부(20)의 내측 벽에는,
    상기 실린더(210)와 결합된 가이드 브라켓(300)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221)는,
    하단의 양측 둘레 영역에서 하방으로 각각 연장된 상태에서 체결공이 관통 형성된 1쌍의 허브(221a)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110)는,
    상기 연결 바(221)의 결합 부위에 돌출 형성된 것으로, 선박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절개된 슬릿(131)을 구비한 슬라이드 브라켓(130)을 포함하여,
    상기 슬라이드 브라켓(130)이 상기 허브(221a) 사이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을 매개로 상기 1쌍의 허브(211a)를 연결한 연결축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연결 바(221)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120)의 일 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리(1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120)는,
    제 1 경사각으로 상향 절곡된 제 1 절곡편(121)과,
    상기 제 1 절곡편(121)의 단부에서 제 2 경사각으로 상향 절곡된 제 2 절곡편(12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절곡 편(121,122)의 예각 측 경계 부위에는,
    상기 제 1 절곡편(121) 측 절곡 시작 지점으로부터 상기 절곡 부위의 중앙에서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선에 만나는 지점까지 제 1 곡률반경으로 연장된 제 1 라운딩부(141)와,
    상기 제 1 라운딩부(141)의 단부로에서 상기 제 2 절곡편(122) 측을 향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곡률반경보다 큰 제 2 곡률반경으로 연장된 제 2 라운딩부(142) 및,
    상기 제 2 라운딩부(142)의 단부에서 변곡되어 상기 제 2 절곡편(122) 측 일 지점까지 제 3 곡률반경으로 연장된 제 3 라운딩부(143)로 이루어진 절곡 보호 파트;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장부(111)는,
    상기 결합부(30)에서 일정 길이 연장된 제 1 연장 편(111a)과,
    상기 제 1 연장 편(111a)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연결 바(221)까지 연장된 제 2 연장 편(111b)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080254A 2019-07-03 2019-07-03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 KR102041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254A KR102041758B1 (ko) 2019-07-03 2019-07-03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254A KR102041758B1 (ko) 2019-07-03 2019-07-03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758B1 true KR102041758B1 (ko) 2019-11-28

Family

ID=68730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254A KR102041758B1 (ko) 2019-07-03 2019-07-03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7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069B1 (ko) 2020-07-14 2020-12-04 (유)태진엔지니어링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1596A (en) * 1975-02-06 1976-08-11 Senpakuni okeru kajitopuroperajikuno hikiagesochi
KR19990014219U (ko) * 1998-12-17 1999-04-26 석교상 선박용 추진기 보호장치
JP2008062844A (ja) * 2006-09-08 2008-03-21 Yamaha Motor Co Ltd プロペラガード、それを備える船舶および船外機
KR101438333B1 (ko) * 2013-09-13 2014-09-04 김찬용 스프링 실린더
KR101568641B1 (ko) * 2015-01-27 2015-11-11 대창기계공업 주식회사 실린더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타입 블로우 성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1596A (en) * 1975-02-06 1976-08-11 Senpakuni okeru kajitopuroperajikuno hikiagesochi
KR19990014219U (ko) * 1998-12-17 1999-04-26 석교상 선박용 추진기 보호장치
JP2008062844A (ja) * 2006-09-08 2008-03-21 Yamaha Motor Co Ltd プロペラガード、それを備える船舶および船外機
KR101438333B1 (ko) * 2013-09-13 2014-09-04 김찬용 스프링 실린더
KR101568641B1 (ko) * 2015-01-27 2015-11-11 대창기계공업 주식회사 실린더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타입 블로우 성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069B1 (ko) 2020-07-14 2020-12-04 (유)태진엔지니어링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1758B1 (ko) 선박 프로펠러 보호장치
EP3831451B1 (en) Water-resistance rowing machine
FR2541963A1 (fr) Navire a coques paralleles
JP2008018927A (ja) 船舶推進システム
ES2948943T3 (es) Aparato de formación de olas
US4669414A (en) Swim platform with universal mounting system
US6878020B1 (en) Jet boat emergency braking system
US3139055A (en) Water vehicle
US6837651B1 (en) Gravity watercraft lift
GB2152459A (en) Safety shielding of marine propulsion units
KR101524224B1 (ko) 잭업식 해양구조물
KR101636333B1 (ko) 선박 후미용 돛 장치
JP7032573B2 (ja) 船体の喫水深さを低減する船体補助機構
US20040048525A1 (en) Watercycle for wet rider
US4198919A (en) Bumper protection device
CN202530534U (zh) 一种马桶水箱的排水驱动机构
CN210971459U (zh) 一种海上钓鱼船
US3380421A (en) Hydrofoil craft
JP2843817B2 (ja) 仕切り網装置
CN216468339U (zh) 一种高强度安全的双人皮划艇
KR200310967Y1 (ko) 선박스크류 보호장치
KR200334427Y1 (ko) 차량용 리프트의 안전구조물
JPS6047612A (ja) コンバインの刈取機枠支架装置
CN219312978U (zh) 一种耐冲击的冲浪板
KR101934388B1 (ko) 부유식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