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637B1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637B1
KR102041637B1 KR1020130072565A KR20130072565A KR102041637B1 KR 102041637 B1 KR102041637 B1 KR 102041637B1 KR 1020130072565 A KR1020130072565 A KR 1020130072565A KR 20130072565 A KR20130072565 A KR 20130072565A KR 102041637 B1 KR102041637 B1 KR 102041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case
camera module
present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293A (ko
Inventor
강병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2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637B1/ko
Publication of KR20150000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젤 영역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하여 단말기의 일면 전체를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활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회로 기판;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일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일면 전체를 영상 출력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젤 영역을 제거하거나 최소화하여 단말기의 일면 전체를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활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화상표시장치의 하나로서, TV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이나 휴대용 테블릿 PC(tablet PC)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에 폭넓게 채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일면이 개방된 박스 형의 케이스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 보드 및 배터리, 그리고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에 배치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터치스크린의 외곽 4변은 베젤(bezel)로 터치스크린의 내부에서 마스킹(인쇄)된다. 이러한 베젤 영역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크기(즉 면적)가 크게 형성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동일한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베젤 영역이 클수록 디스플레이 영역이 작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베젤 영역에 카메라가 설치된다. 따라서, 스마트 폰의 사용자가 화상 통화를 하는 경우, 시선은 상대방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향하게 되어 카메라를 제대로 응시할 수 없다. 즉, 화상 통화 시 상대방과 서로 시선을 마주치며 통화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상호간에 서로 다른 곳을 보며 통화하는 것으로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42799호
본 발명의 목적은 베젤 영역을 최소화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을 최대화 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선을 상대방과 맞추며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회로 기판;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일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일면 전체를 영상 출력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투과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카메라 모듈이 구동될 때, 상기 카메라 모듈과 대응하는 위치의 일부를 투명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중심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손떨림 보정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카메라들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들을 통해 3차원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측면 또는 배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회로 기판;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일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투과하며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일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일면 전체를 영상 출력 영역으로 이용하고, 수화부는 상기 케이스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영상이 출력되는 일면 전체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베젤 영역이 존재하지 않거나, 최소화되므로, 휴대 단말기의 영상 출력면의 전체 면적에 대응하는 큰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가 종래와 같이 베젤 부분에 위치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영상 통화가 셀프 카메라를 촬영하는 경우, 시선이 디스플레이 유닛을 향하게 되므로 영상 통화시 상대방의 시선을 바라보며 통화가 가능하고, 셀프 카메라 촬영시에도 자신의 시선을 바라보며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유닛 주변의 베젤이 아닌,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부에 카메라 모듈이 배치된다. 따라서 크기가 큰 카메라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손떨림 보정 기능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기능에 따른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더하여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일반적인 스마트 폰이나 휴대폰일 수 있으며, 테블릿 PC나 무선 전화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일면이 개방된 박스(box) 형의 케이스(1)와,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되는 회로 기판(5), 배터리(3), 디스플레이 유닛(40), 및 카메라 모듈(5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는 본 발명에 따른 베젤(bezel) 영역이 최소화된 휴대 단말기(100)의 몸체를 이루며, 그 내부에는 강화유리로 된 디스플레이 유닛(40)과 회로 기판(5), 및 배터리(3)가 순차로 내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40)은 케이스(1)의 개방된 상면 전체의 외곽까지 확대된 크기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유닛(40)은 종래와 같이 베젤 부분이 존재하지 않거나, 최소화하여 기존의 베젤 부분까지 순수 화면을 확대하여 대형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의 일면(전면) 전체를 영상 출력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비교하여 전체 휴대 단말기(100)의 전체 크기는 줄이면서도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는 유지할 수 있어 소형화가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종래와 비교하여 전체 크기는 동일하지만 화면 크기를 최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40)은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40)은 액정 패널(46)과 백라이트(45)를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45)는 광원(42) 및 도광판(44)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42)은 도광판(44)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42)은 음극선 형광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나 외부전극 형광램프(EEFL: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ce lamp)와 같은 램프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LED array) 일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 녹색 발광 다이오드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이거나 다수의 백색 발광 다이오드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광판(44)은 광원(42)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일면 즉 액정 패널(46)로 조사한다. 도광판(44)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굴절률이 다른 두 개의 굴절층(도시되지 않음)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액정 패널(46)은 다수의 액정들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액정 패널일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40)은 반대측을 투과하여 볼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된다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50)은 회로 기판(5)에 결합 또는 실장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유닛(40)의 하부 즉, 디스플레이 유닛(4)과 회로 기판(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50)은 하나 또는 다수 개의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50)은 휴대 단말기(100)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40)의 중심이 아닌 중심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어느 한 측(예컨대 상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모듈(50)는 화상 통화나 셀프 카메라 수행 시 상대방이나 자신의 눈이 위치하게 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상대방이나 자신의 시선을 바라보며 화상 통화나 셀프 카메라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50)은 손떨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50)이 손떨림 보정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카메라 모듈 자체의 크기가 커질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50)은 액정 패널의 옆측(종래의 베젤 영역)이 아닌 하부 즉 뒷면에 카메라가 배치된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50)의 크기가 커지더라도 종래와 같이 베젤의 크기도 함께 확장되어야 할 필요가 없으므로, 영상 출력 영역의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일면 즉, 전면 전체가 디스플레이 유닛(40)으로 구성되므로, 전면에 수화부(예컨대 스피커)와 송화부(예컨대 마이크)를 배치하기 어렵다. 따라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화부(7)나 송화부(8)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아닌 휴대 단말기(100)의 타면 즉,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 단말기(100)의 측면에 배치하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이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기능에 따른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제어부(90), 무선통신부(10), 오디오 처리부(30), 키 입력부(20), 카메라 모듈(50), 영상처리부(60), 디스플레이 유닛(40), 및 저장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0)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90)로 출력하고, 제어부(9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30)는 코덱(CODEC: Coder/Decoder)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할 수 있다.
키 입력부(20)는 휴대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90)에게 전달한다. 이를 위해 키 입력부(20)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을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문자 키(도시되지 않음)들 및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키(도시되지 않음)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 입력부(20)는 영상 촬영의 요청을 위한 촬영 요청 키(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키 입력부(20)를 구성하는 키들은 하드웨어적으로 구비되거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50)은 카메라 센서(도시되지 않음)의 렌즈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카메라 센서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50)은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처리부(60)는 카메라 모듈(5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한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유닛(40)의 특성 및 크기에 알맞게 변형하여 출력한다. 또한 영상처리부(60)는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하여 제어부(9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영상처리부(60)는 영상 코덱(CODEC)을 구비하며, 디스플레이 유닛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원래의 영상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유닛(40)은 카메라 모듈(50)에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하거나, 제어부(9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40)은 액정 패널을 이용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LED 디스플레이가 이용될 수 있으며, 투영 디스플레이 유닛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유닛(40)을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40)의 화면은 입력부로 동작될 수 있다.
저장부(8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과, 카메라 모듈(50)을 통해 입력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90)는 카메라 모듈(50)이 구동될 때, 디스플레이 유닛(40)의 일부를 투명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제어부(90)는 디스플레이 유닛(40)을 통해 영상이 출력되는 상황에서 카메라 모듈(50)이 구동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유닛(40)의 화면 중 카메라 모듈(50)이 위치하는 일부분을 투명하게 유지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50)은 디스플레이 유닛(40)의 투명한 부분을 투과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 동작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전술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 또한 보다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다.
사용자가 키 입력부(20)를 조작하거나, 무선 통신을 통해 전화가 걸려온 경우, 제어부(90)는 디스플레이 유닛(40)을 통해 영상을 외부로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일면 전체가 영상 출력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의 일면 전체 면적에 대응하는 큰 화면으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키 입력부(20)를 조작하여 영상 통화나 카메라 촬영을 요청하게 되면,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90)는 카메라 모듈(50)을 구동시킴과 동시에, 디스플레이 유닛(40)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유닛(40)의 일부분을 투명하게 유지한다.
이때 투명하게 유지되는 부분은 카메라 모듈(50)의 카메라 센서와 대응하는 부분이다. 즉, 이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유닛(40)은 영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카메라 센서의 렌즈가 대응되는 부분은 투명하게 유지하며, 이에 카메라 모듈(50)은 디스플레이 유닛(40)을 투과하여 외부의 화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영상이 출력되는 일면 전체가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베젤 영역이 존재하지 않거나, 최소화되므로, 휴대 단말기의 영상 출력면의 전체 면적에 대응하는 큰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가 종래와 같이 베젤 부분에 위치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영상 통화가 셀프 카메라를 촬영하는 경우, 시선이 디스플레이 유닛을 향하게 되므로 영상 통화시 상대방의 시선을 바라보며 통화가 가능하고, 셀프 카메라 촬영시에도 자신의 시선을 바라보며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유닛 주변의 베젤이 아닌,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부에 카메라 모듈이 배치된다. 따라서 크기가 큰 카메라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손떨림 보정 기능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상기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는 카메라 모듈(50)을 두 개 이상의 다수 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카메라 모듈(50)이 2개으로 구성되는 경우, 카메라 모듈(50)들은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카메라 모듈(50) 일정 간격 이격시켜 배치하는 경우, 2개의 카메라 모듈(50)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영상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카메라 모듈이 휴대 단말기의 전면을 촬영하기 위해 배치되는 경우만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의 배면이나, 측면에도 추가적으로 카메라 모듈(55)을 배치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투명하지 않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사용하고, 카메라 모듈이 필요에 따라 휴대 단말기에서 돌출 가능하도록 구성하거나,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더하여, 전술된 실시예들에서는 휴대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유닛과 카메라 모듈을 갖는 전자 기기라면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100: 휴대 단말기
1: 케이스
3: 배터리
5: 회로 기판
40: 디스플레이 유닛
50: 카메라 모듈

Claims (11)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회로 기판;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일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투과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이고 상기 케이스의 일면 전체를 영상 출력 영역으로 이용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중심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휴대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회로 기판;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일면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을 투과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투명 디스플레이 유닛이고 상기 케이스의 일면 전체를 영상 출력 영역으로 이용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카메라 모듈이 구동될 때 상기 카메라 모듈과 대응하는 위치의 일부를 투명하게 유지하는 휴대 단말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손떨림 보정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카메라들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들을 통해 3차원 영상을 촬영하는 휴대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측면 또는 배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수화부는 상기 케이스의 타면 또는 측면에 배치되는 휴대 단말기.

KR1020130072565A 2013-06-24 2013-06-24 휴대 단말기 KR102041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565A KR102041637B1 (ko) 2013-06-24 2013-06-24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565A KR102041637B1 (ko) 2013-06-24 2013-06-24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293A KR20150000293A (ko) 2015-01-02
KR102041637B1 true KR102041637B1 (ko) 2019-11-07

Family

ID=52474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565A KR102041637B1 (ko) 2013-06-24 2013-06-24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6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69994A (zh) * 2019-12-03 2020-04-07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WO2022260258A1 (ko) * 2021-06-09 2022-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000B1 (ko) 2016-03-03 2023-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170105262A (ko) 2016-03-09 2017-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의 생체 정보 획득 방법
KR102496410B1 (ko) 2016-03-25 2023-02-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소리 출력 방법
KR102592053B1 (ko) 2016-07-04 2023-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7765907A (zh) * 2016-08-22 2018-03-06 东莞市健耀烨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无需区分方向的数码装置
KR102036204B1 (ko) * 2018-06-18 2019-10-24 양경호 휴대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기 영상 촬영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13960150U (zh) * 2019-12-04 2021-08-13 索尼半导体解决方案公司 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76612A1 (en) * 2011-09-26 2013-03-2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wrap around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1439A (ko) * 2005-06-16 2006-12-20 (주)네오센스 휴대용 단말기의 이종의 카메라를 이용한 3차원 입체영상처리방법 및 이종 카메라 구조
KR101378595B1 (ko) * 2011-04-19 2014-03-26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투명한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블루투스 단말장치
KR20120126648A (ko) * 2011-05-12 2012-11-21 임현호 액정확대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KR20120042799A (ko) 2012-03-19 2012-05-03 김태상 소프트웨어적으로 활성화되는 베젤을 가진 테블릿피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76612A1 (en) * 2011-09-26 2013-03-2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wrap around displa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69994A (zh) * 2019-12-03 2020-04-07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WO2022260258A1 (ko) * 2021-06-09 2022-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언더 디스플레이 카메라를 이용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293A (ko) 2015-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1637B1 (ko) 휴대 단말기
KR102650473B1 (ko) 디스플레이 컴포넌트,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전자 장치
KR102415651B1 (ko) 이동 단말기
TWI575354B (zh) 便攜式電子裝置
JP2006237914A (ja) 携帯端末装置
JP4728793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8118589A (ja) テレビ電話装置
KR2016010961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동 단말기
US20150256730A1 (en) Image-capturing device configured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20040104777A (ko) 듀얼 카메라 장착 단말기
JP2004163447A (ja)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電子機器
CN112585934A (zh) 便携式移动通信终端机的自拍影像拍摄装置及其控制方法
WO2019072192A1 (zh) 一种可折叠摄像头模组及移动终端
US11546495B2 (en) Camera module with a reflector mounted in a display device
KR102024607B1 (ko) 이동 단말기
JP2004109330A (ja) 2d(2次元)及び3d(3次元)表示機能を備える電子機器
JP2004304517A (ja) カメラ付き携帯機器
CN113923351B (zh) 多路视频拍摄的退出方法、设备和存储介质
KR20090077605A (ko) 휴대 단말기
CN114339140A (zh) 一种可交互监控装置、视频传输方法及装置
KR101529926B1 (ko) 휴대 단말기
KR102257631B1 (ko) 이동 단말기
KR102201187B1 (ko) 스테레오 카메라 기반 트윈 카메라 모듈
KR101978208B1 (ko) 이동단말기
JP2004159363A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