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551B1 - 클립리스 페달을 위한 비대칭 타원체인링 - Google Patents

클립리스 페달을 위한 비대칭 타원체인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551B1
KR102041551B1 KR1020170125683A KR20170125683A KR102041551B1 KR 102041551 B1 KR102041551 B1 KR 102041551B1 KR 1020170125683 A KR1020170125683 A KR 1020170125683A KR 20170125683 A KR20170125683 A KR 20170125683A KR 102041551 B1 KR102041551 B1 KR 102041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ellipse
point
curvature
asymme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5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8377A (ko
Inventor
최윤석
Original Assignee
최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윤석 filed Critical 최윤석
Priority to PCT/KR2017/01091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66913A1/ko
Priority to US16/340,109 priority patent/US20200010147A1/en
Priority to CN201780062220.9A priority patent/CN109803881A/zh
Publication of KR20180038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 B62M9/0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 B62M9/08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of changeable ratio using a single chain, belt, or the like involving eccentrically- mounted or elliptically-shaped driving or driven wheel; with expansible driving or driven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3/06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with elliptical or other non-circular rotary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30Chain-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 B62M2003/006Crank arrangements to overcome dea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9/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use of an endless chain, belt, or the like
    • B62M2009/002Non-circular chain rings or spr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립리스 페달을 위한 비대칭 타원체인링에 관한 것으로, 제1 내지 제2 타원구간의 각 가상점에서의 기울기는 반시계 방향으로 증가하고, 제3 타원구간의 각 가상점에서의 기울기는 반시계 방향으로 감소하고, 크랭크 암의 길이방향 가상 중앙선이 제1 타원구간의 시작점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설정 각도를 갖도록 위치하고, 제1 타원구간의 시작점은 비대칭 타원의 중심으로부터 최단거리이며, 제1 타원구간은 제1 설정 곡률 이하의 곡선을 갖고 제1 타원구간의 시작점으로부터 제1 각도구간을 형성하고, 제2 타원구간의 시작점은 제1 근전환구간 내에 위치한 제1 타원구간의 끝점과 만나고 제2 타원구간의 끝점은 비대칭 타원의 중심으로부터 최장거리이며, 제2 타원구간의 곡률은 제1 설정 곡률 이하이며, 제2 타원구간은 제2 타원구간의 시작점으로부터 제2 각도구간을 형성하고, 제3 타원구간의 시작점은 제2 타원구간의 끝점과의 사이에 위치한 제2 근전환구간의 끝점이고, 제3 타원구간의 곡률은 제1 설정 곡률 이하이고 제3 타원구간의 시작점으로부터 제3 각도구간을 형성한다.

Description

클립리스 페달을 위한 비대칭 타원체인링{ASYMMETRIC ELLIPSE CHAIN RING FOR CLIPLESS PEDAL}
본 발명은 클립리스 페달을 위한 비대칭 타원체인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전거에서 한 다리에 밟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일반적인 평페달과는 달리 클립리스 페달을 이용하기 위해 당기며 밟는 좌우 양다리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비대칭 타원체인링에 관한 것이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대칭 타원체인링 US7749117는 대략 크랭크 각도인 1시 방향의 시점 (1h)에 최단변을 위치하도록 하여 평페달에서 발생하는 사점을 제거하는 것을 개시한다.
이는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의 부상이 높은 크랭크 각도인 1시 방향의 시점(1h)을 피하고 최대 출력 구간을 4시 방향의 시점(4h) 전후에 형성되도록 최장변을 배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출력구간의 집중화는 출력의 상실구간이 4시 방향의 시점(4h)~7시 방향의 시점(7h)과 10시 방향의 시점(10h)~1시 방향의 시점(1h)이 되어 백스트록과 포워드스트록을 요구하는 클립리스 페달에서는 적합한 타원체인링이 될 수 없다.
반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5549114는 5시30분 방향의 시점(5h30m)부터 크랭크의 저항이 발생하는 것을 개시한다. 이것은 클립리스 페달을 이용하여 백스트록 구동이 가능하고 그와 함께 11시30분 방향의 시점(11h30m)에 포워드스트록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4시 방향의 시점(4h)~5시30분 방향의 시점(5h30m)과 10시 방향의 시점(10h)~11시30분 방향의 시점(11h30m)에서는 저항상실이 이루어져 해당구간의 관련근육 참여가 제한된다. 여기에 곡률 1.2를 넘기는 고곡률로 소음과 낮은 변속성으로 단점을 인지하여 사용하는 일부 선수들의 전유물로 되고 있다.
한편,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체인링에서 고급자의 경우 출력이 대략 6시 방향의 시점(6h)과 12시 방향의 시점(12h)에서 약해지는 구간은 있어도 비 선수들과 같이 출력이 완전히 끊어지는 경우는 없다. 즉, 크랭크가 구동하는 360°구간 모두 일정 범위 이상의 출력을 각 구간에서 안출하고 있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수들의 그래프를 선수들이 안출하기 위해서는 수 년의 훈련이 필요하고, 이와 같은 페달링은 수영의 4대 영법보다 어렵다는 것이 통설이다. 왜냐하면, 수영선수의 만개는 20대 초반이지만, 사이클선수의 만개는 거의 30대 초반이기 때문이다.
도 2e는 본 발명이 목표하는 스트록볼륨 형상으로 360°크랭크 운동구간에 고른 출력을 안출하는 것을 나타내므로, 이와 같은 페달링은 각각의 구간에서 해당 근육을 고르게 사용하여 하체 근육의 근분산을 높여 각 해당 근육의 부하를 낮춰주게 된다. 뚜르드 프랑스의 경기와 같이 수 일 동안 수 천 km의 주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 2d에서 보다 많은 각도에서 출력을 안출하는 것은 비선수에 비해 월등히 높은 출력을 함께 안출할 수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도 2d의 선수 그래프나 도 2e와 같은 그래프를 안출하는 체인링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선수들은 one-leg-drills이라는 외발 페달링 훈련을 지속적으로 해야만 했다.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5549114호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자전거에서 인간이 360°저항 페달링을 본능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360°저항 페달링의 특성을 분석하여 비대칭 타원 체인링을 이용하여 360°저항 페달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전거에서 360°저항 페달링을 위해 6개의 출력구간과 6개의 출력구간을 연결하는 6개의 근전환 구간을 두어 사용자가 본능적으로 360°저항 페달링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리스 페달을 위한 비대칭 타원체인링은, 크랭크 축에 끼워져 고정되며,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제1 내지 제3 타원구간을 포함하는 클립리스 페달을 위한 비대칭 타원의 형상을 갖는 체인링을 형성하되,제1 내지 제2 타원구간의 각 가상점에서의 기울기는 반시계 방향으로 증가하고, 제3 타원구간의 각 가상점에서의 기울기는 반시계 방향으로 감소하고, 인체의 골반을 향하는 크랭크 암의 길이방향 가상 중앙선이 제1 타원구간의 시작점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설정 각도를 갖도록 위치하고, 제1 타원구간의 시작점은 비대칭 타원의 중심으로부터 최단거리이며, 제1 타원구간은 제1 설정 곡률 이하의 곡선을 갖고 제1 타원구간의 시작점으로부터 제1 각도구간을 형성하고, 제2 타원구간의 시작점은 제1 근전환구간 내에 위치한 제1 타원구간의 끝점과 만나고 제2 타원구간의 끝점은 비대칭 타원의 중심으로부터 최장거리이며, 제2 타원구간의 곡률은 제1 설정 곡률 이상이며, 제2 타원구간은 제2 타원구간의 시작점으로부터 제2 각도구간을 형성하고, 제3 타원구간의 시작점은 제2 타원구간의 끝점과의 사이에 위치한 제2 근전환구간의 끝점이고, 제3 타원구간의 곡률은 제1 설정 곡률 이하이고 제3 타원구간의 시작점으로부터 제3 각도구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 설정 곡률은 1.0을 초과하고 1.02 이하이며, 제1 각도구간은 45~58°의 위치이다.
또한, 제2 각도구간은 50~60°의 위치이다.
또한, 제2 설정 곡률은 1.0을 초과하고 1.03 이하이다.
또한, 제1 근전환구간은 제1 타원구간과 제2 타원구간의 곡선보다 낮은 곡률을 가지며 제1 근전환구간의 시작점과 끝점을 잇는 직선보다 높은 곡률을 갖는다.
또한, 제1 근전환구간은 제1 각도구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6~12°의 위치이다.
또한, 제2 근전환구간의 시작점은 제1 타원구간의 시작점으로부터 110~120°의 위치이고, 제2 근전환구간의 끝점은 제2 근전환구간의 시작점으로부터 7~14°의 위치이다.
또한, 제3 타원구간의 끝점은 제3 근전환구간의 시작점이며, 제3 근전환구간의 시작점은 제1 타원구간의 시작점으로부터 165~173°의 위치이고, 제3 근전환구간의 끝점은 제1 타원구간의 시작점으로부터 180°의 위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전거에서 인간이 360°저항 페달링을 본능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360°저항 페달링의 특성을 분석하여 비대칭 타원 체인링을 이용하여 360°저항 페달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전거에서 360°저항 페달링을 위해 6개의 출력구간과 6개의 출력구간을 연결하는 6개의 근전환 구간을 두어 사용자가 본능적으로 360°저항 페달링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a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리스 페달을 위한 비대칭 타원체인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리스 페달(clipless pedal)을 위한 비대칭 타원체인링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리스 페달을 위한 비대칭 타원 체인링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 축에 끼워져 고정되며,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제1 내지 제3 타원구간(4, 5, 6)을 포함한다. 제2 타원구간(5), 제1 타원구간(4), 제3 타원구간(6)의 순으로 길이가 길다.
제1 내지 제2 타원구간(4, 5)의 각 가상점에서의 기울기는 반시계 방향으로 증가하고, 제3 타원구간(6)의 각 가상점에서의 기울기는 반시계 방향으로 감소한다. 인체의 골반을 향하는 크랭크 암의 길이방향 가상 중앙선(c)이 제1 타원구간(4)의 시작점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설정 각도(a)(예를 들어, 15~20°)를 갖도록 위치한다. 체인이 비대칭 타원의 중심으로부터 최단거리에 접할 때 크랭크 암이 골반을 향한다. 제1 타원구간(4)의 시작점은 비대칭 타원의 중심(11)으로부터 최단거리이며, 제1 타원구간은 제1 설정 곡률 이하의 곡선을 갖고 제1 타원구간(4)의 시작점으로부터 제1 각도구간을 형성한다. 제1 설정 곡률은 1.0을 초과하고 1.02 이하일 수 있고, 제1 각도구간은 45~58°의 위치일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타원구간(5)의 시작점은 제1 근전환구간(7) 내에 위치한 제1 타원구간(4)의 끝점과 만난다. 제1 근전환구간(7)은 제1 타원구간(4)과 제2 타원구간(5)의 곡선보다 낮은 곡률을 가지며 제1 근전환구간(7)의 시작점과 끝점을 잇는 직선보다 높은 곡률을 갖는다. 제1 근전환구간(7)은 제1 각도구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6~12°의 위치일 수 있다. 제2 타원구간(5)의 끝점은 비대칭 타원의 중심으로부터 최장거리이며, 제2 타원구간(5)의 곡률은 제1 설정 곡률 보다 크다. 제2 타원구간(5)은 제2 타원구간(5)의 시작점으로부터 제2 각도구간을 형성한다. 제2 각도구간은 50~60°의 위치일 수 있다.
제3 타원구간(6)의 시작점은 제2 타원구간(5)의 끝점과의 사이에 위치한 제2 근전환구간(8)의 끝점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근전환구간(8)의 시작점은 제1 타원구간(4)의 시작점으로부터 110~120°의 위치일 수 있고, 제2 근전환구간(8)의 끝점은 제2 근전환구간(8)의 시작점으로부터 7~14°의 위치일 수 있다. 제3 타원구간(6)의 곡률은 제1 설정 곡률보다 작고 1.0보다 크다. 제3 타원구간(6)은 기울기가 감소하는 체감곡선을 가지며, 제1 타원구간(4)의 시작점으로부터 제1 각도구간의 시작점까지 180°대칭이 아닌 180°회전하여 만들어진다. 제3 설정 곡률은 1.0을 초과하고 1.02 이하일 수 있다.
제3 타원구간(6)의 끝점은 제3 근전환구간(9)의 시작점이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근전환구간(9)의 시작점은 제1 타원구간(4)의 시작점으로부터 165~173°의 위치일 수 있고, 제3 근전환구간(9)의 끝점은 제1 타원구간(4)의 시작점으로부터 180°의 위치일 수 있다. 제3 근전환구간(9)에서는 크랭크의 구동저항이 급감한다.
도 4b와 도 4c에 도시된 사항의 공통점은 이전 타원구간의 높이보다 시작점이 낮아 서로 접하지 아니하며, 제2 근전환구간(8)과 제3 근전환구간(9)은 직선 또는 임의의 곡선 형태를 갖는다.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에 의해, 도 3을 통해 인체의 하체에서 클립리스 페달이 구동되는 동작을 실시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에서, 11시 방향의 시점을 나타내는 제3 근전환구간(9)에서 1시 방향의 시점을 나타내는 제1 근전환구간(7)까지 인체의 운동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3b에서는 도 3a에서와 대칭을 이룬다. 제3 근전환구간(9)에서 제1 근전환구간(7)까지의 운동구간은 인체 대퇴사두근을 중심으로 하고, 5시 방향의 시점에서 7시 방향의 시점까지의 운동구간은 인체의 슬곡굴군을 중심으로 한다.
도 3a에서의 운동구간은 도 3b에서 7시 방향의 시점에서 9시 방향의 시점까지의 운동구간과 대칭을 이루며, 1시 방향의 시점에서 3시 방향의 시점까지의 운동구간은 인체 대퇴사두근과 대둔근을 중심으로 하고 7시 방향의 시점에서 9시 방향의 시점까지의 운동구간은 인체의 슬곡굴근과 대퇴직근을 중심으로 한다.
도 3a에서 3시 방향의 시점에서 5시 방향의 시점까지의 운동구간은 도 3b에서 9시 방향의 시점에서 11시 방향의 시점까지의 운동구간과 대칭을 이룬다. 3시 방향의 시점에서 5시 방향의 시점까지의 운동구간은 인체의 중둔근을 중심으로 하고 9시 방향의 시점에서 11시 방향의 시점까지의 운동구간은 인체의 대퇴직근과 장요근을 중심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6개의 근전환구간과 6개의 출력구간을 360°에 설정하고, 각각의 출력구간에는 체증 또는 체감 형상의 타원곡선을 형성하는 것을 설명한다. 각 타원구간(4, 5, 6)이 이르는 양단에 근전환구간(7, 8, 9)이 배치되어 출력구간에서 일정한 저항감을 이루고, 근전환구간(7, 8, 9)에서 저항의 상실이 이루어지는 순환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11시20분 방향의 시점(11h20m)에서 1시10분 방향의 시점(1h10m)에 체증하는 타원곡선을 갖는 포워드스트록 구간을 갖도록 하며, 1시20분 방향의 시점(1h20m)~3시10분 방향의 시점(3h10m)에 체증하는 타원곡선을 갖는 다운스트록 구간을 갖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3시20분 방향의 시점(3h20m)~5시10분 방향의 시점(5h10m)에 체감하는 타원곡선을 갖는 풀-다운스트록을 갖도록 하며, 5시20분 방향의 시점(5h20m)~7시10분 방향의 시점(7h10m)에 체증하는 타원곡선을 갖는 백스트록 구간을 갖도록 한다. 또한, 7시20분 방향의 시점(7h20m)~9시10분 방향의 시점(9h10m)에 체증하는 타원곡선을 갖는 업스트록 구간을 갖도록 하며, 9시20분 방향의 시점(9h20m)~11시10분 방향의 시점(11h10m)에 체감하는 타원곡선을 갖는 풀-업스트록 구간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한다.
각각의 스트록 구간 사이에 근전환 구간을 10°내외로 두고, 이 근전환구간에서는 저항의 상실이 적정하게 일어나 도 3a 내지 도 3b와 같이 발목의 각도 변화가 일어난다. 반면에, 각 스트록구간 내에서 발목의 각도는 종아리와 일정하게 유지되는 특성을 갖는다.
도 3a와 도 3b에서 인간의 대퇴골 교차왕복 각운동은 그 각속도가 대칭 각운동이 아니기 때문에 크랭크 대칭점에서 대퇴골 위치는 대칭이 아니다. 이는 6개의 근전환구간에서 더욱 확실히 드러난다. 이와 같은 대퇴골 비대칭 각운동으로 인해, 양발의 페달링은 한 쪽 발에 종속되지 않는 별도 운동성을 갖는다.
이러한 양발의 별도 운동성으로 선수들이나 고급자들은 외발 페달링 훈련을 필수훈련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360°저항 페달링을 위해 6개의 근전환구간과 6개의 타원구간이 180°대칭으로 배치되어 일반인도 누구나 쉽게 외발 페달링을 할 수 있고 양발로 360°저항 페달링을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간의 360°저항 페달링에서 도 2e와 같은 스트록볼륨 그래프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한다. 더욱 다양한 인간의 하체 근육을 사용하도록 하여 최대 근분산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지방 대사율을 높여 지구력을 높이고 360°의 높은 출력을 안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자전거에서 인간이 360°저항 페달링을 본능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360°저항 페달링의 특성을 분석하여 비대칭 타원 체인링을 이용하여 360°저항 페달링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인간이 360°저항 페달링을 위해 6개의 구동구간을 나누고, 각 구동구간마다 관련근육이 다르고 힘의 방향이 달라지는 특성을 갖도록 한다.
한편, 원형체인링에서는 4개의 구동구간으로 해석하여 다운스트록, 백스트록, 업스트록, 포워드스트록으로 나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동구간이 4개일 경우에는 3시 방향의 시점(3h)과 9시 방향의 시점(9h)에서 일어나는 근전환을 해석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자전거에서 360°저항 페달링을 위해 6개의 출력구간과 6개의 출력구간을 연결하는 6개의 근전환 구간을 두어 사용자가 본능적으로 360°저항 페달링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4 : 제1 타원구간 5 : 제2 타원구간
6 : 제3 타원구간 7 : 제1 근전환구간
8 : 제2 근전환구간 9 : 제3 근전환구간
11 : 비대칭 타원의 중심

Claims (8)

  1. 크랭크 축에 끼워져 고정되며,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제1 내지 제3 타원구간을 포함하는 클립리스 페달을 위한 비대칭 타원의 형상을 갖는 체인링을 형성하되,
    상기 제1 내지 제2 타원구간의 각 가상점에서의 기울기는 반시계 방향으로 증가하고, 상기 제3 타원구간의 각 가상점에서의 기울기는 반시계 방향으로 감소하고,
    인체의 골반을 향하는 크랭크 암의 길이방향 가상 중앙선이 상기 제1 타원구간의 시작점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설정 각도를 갖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1 타원구간의 시작점은 상기 비대칭 타원의 중심으로부터 최단거리이며, 상기 제1 타원구간은 제1 설정 곡률 이하의 곡선을 갖고 상기 제1 타원구간의 시작점으로부터 제1 각도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타원구간의 시작점은 제1 근전환구간 내에 위치한 상기 제1 타원구간의 끝점과 만나고 상기 제2 타원구간의 끝점은 상기 비대칭 타원의 중심으로부터 최장거리이며, 상기 제2 타원구간의 곡률은 상기 제1 설정 곡률 이상이며, 상기 제2 타원구간은 상기 제2 타원구간의 시작점으로부터 제2 각도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3 타원구간의 시작점은 상기 제2 타원구간의 끝점과의 사이에 위치한 제2 근전환구간의 끝점이고, 상기 제3 타원구간의 곡률은 제1 설정 곡률 이하이고 상기 제3 타원구간의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제3 각도구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리스 페달을 위한 비대칭 타원체인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 곡률은 1.0을 초과하고 1.02 이하이며, 상기 제1 각도구간은 45~58°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리스 페달을 위한 비대칭 타원체인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각도구간은 50~60°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리스 페달을 위한 비대칭 타원체인링.
  4. 제1항에 있어서,
    제2 설정 곡률은 1.0을 초과하고 1.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리스 페달을 위한 비대칭 타원체인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근전환구간은 상기 제1 타원구간과 상기 제2 타원구간의 곡선보다 낮은 곡률을 가지며 상기 제1근전환구간의 시작점과 끝점을 잇는 직선보다 높은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리스 페달을 위한 비대칭 타원체인링.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근전환구간은 상기 제1 각도구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6~12°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리스 페달을 위한 비대칭 타원체인링.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근전환구간의 시작점은 상기 제1 타원구간의 시작점으로부터 110~120°의 위치이고, 상기 제2 근전환구간의 끝점은 상기 제2 근전환구간의 시작점으로부터 7~14°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리스 페달을 위한 비대칭 타원체인링.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타원구간의 끝점은 제3 근전환구간의 시작점이며, 상기 제3 근전환구간의 시작점은 상기 제1 타원구간의 시작점으로부터 165~173°의 위치이고, 상기 제3 근전환구간의 끝점은 상기 제1 타원구간의 시작점으로부터 180°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리스 페달을 위한 비대칭 타원체인링.
KR1020170125683A 2016-10-06 2017-09-28 클립리스 페달을 위한 비대칭 타원체인링 KR102041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10910 WO2018066913A1 (ko) 2016-10-06 2017-09-29 클립리스 페달을 위한 비대칭 타원체인링
US16/340,109 US20200010147A1 (en) 2016-10-06 2017-09-29 Asymmetrical elliptical chainring for clipless pedal
CN201780062220.9A CN109803881A (zh) 2016-10-06 2017-09-29 用于无夹扣踏板的不对称椭圆链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718 2016-10-06
KR20160129718 2016-10-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377A KR20180038377A (ko) 2018-04-16
KR102041551B1 true KR102041551B1 (ko) 2019-11-27

Family

ID=62082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5683A KR102041551B1 (ko) 2016-10-06 2017-09-28 클립리스 페달을 위한 비대칭 타원체인링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010147A1 (ko)
KR (1) KR102041551B1 (ko)
CN (1) CN1098038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302B1 (ko) 2021-07-30 2023-01-26 주식회사 비바스포츠 자동클립페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199Y1 (ko) 2003-09-09 2004-05-14 서주봉 자전거의 가변 구동용 스프라켓
KR101540505B1 (ko) 2011-08-23 2015-07-30 최윤석 자전거의 비대칭 타원형상 체인기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2349B1 (fr) * 1991-10-11 1997-08-14 Michel Sassi Plateau non circulaire pour pedalier de bicyclette.
CN2211515Y (zh) * 1994-02-22 1995-11-01 沈乃昌 异形省力增速链盘
US5501226A (en) 1994-10-19 1996-03-26 Carl Zeiss, Inc. Short coherence length, doppler velocimetry system
JPH08142969A (ja) * 1994-11-18 1996-06-04 Hiroshi Hikata 楕円型にしたクランク・ギヤー
US9074682B2 (en) * 2011-08-23 2015-07-07 Yun Seok Choi Asymmetric elliptical chain gear for a bicy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199Y1 (ko) 2003-09-09 2004-05-14 서주봉 자전거의 가변 구동용 스프라켓
KR101540505B1 (ko) 2011-08-23 2015-07-30 최윤석 자전거의 비대칭 타원형상 체인기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302B1 (ko) 2021-07-30 2023-01-26 주식회사 비바스포츠 자동클립페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03881A (zh) 2019-05-24
US20200010147A1 (en) 2020-01-09
KR20180038377A (ko) 201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63748B1 (en) Sport garment
Bolotin et al. Estimated Effect of Monofin Stiffness on Sports Performance in Marathon Swimmers.
US20150141209A1 (en) Elliptical exerciser
KR102041551B1 (ko) 클립리스 페달을 위한 비대칭 타원체인링
Kovacs Dynamic stretching: The revolutionary new warm-up method to improve power, performance and range of motion
US5768702A (en) Upper-extremity direct power-input device for bicyclists
CN106457022B (zh) 冲击式超等长训练健身器(变型)
CN104399245A (zh) 蛙泳陆地训练器
JPH0211177A (ja) 水泳用足ひれ
WO2015089568A1 (en) A swim fin
WO2018066913A1 (ko) 클립리스 페달을 위한 비대칭 타원체인링
CN205699150U (zh) 滑动式健身器械
Findley Training with rubber bands
JP5105269B1 (ja) 半固定式靴固定シャフト
CN100450866C (zh) 骑驶健身游戏杠杆驱动惯性自行车
CN206107485U (zh) 一种椭圆健身代步车
KR20220115474A (ko) 1% 미만 저곡률 타원체인링
CN203899072U (zh) 拉力式游泳脚蹼
CN203647963U (zh) 可调踝关节康复训练器
CA2399315A1 (en) Short motion swim fin
CN203060699U (zh) 一种弹跳运动训练鞋
CN203989714U (zh) 可调踝关节康复训练器
RU2592765C1 (ru) Тренаж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техники и повышения частоты движения рук при беге
RU224016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енировки спортсменов
RU2474458C1 (ru) Ручной плавни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