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515B1 - 교량의 지진 안전성 평가를 위한 해석모델 구축 방법 및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량의 지진 안전성 평가를 위한 해석모델 구축 방법 및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1515B1 KR102041515B1 KR1020170166819A KR20170166819A KR102041515B1 KR 102041515 B1 KR102041515 B1 KR 102041515B1 KR 1020170166819 A KR1020170166819 A KR 1020170166819A KR 20170166819 A KR20170166819 A KR 20170166819A KR 102041515 B1 KR102041515 B1 KR 1020415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idge
- analysis model
- earthquake
- analysis
- inp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06F17/5018—
-
- G06F17/5004—
Landscapes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교량의 지진 안전성 평가를 위한 해석모델 구축 방법 및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석모델 구축 방법은, 지진 발생에 따른 교량의 지진 안전성에 관한 평가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교량에 입력되는 입력지진을 이용하여, 지진 발생 이후의 상기 교량의 구조에 관한 상태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상태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교량에 관한 내진해석파일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내진해석파일을, 상기 평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교량의 구조를 유한요소 해석법에 따라 분석하여 해석모델을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해석모델을 상기 교량의 모델정보와 연관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지진이 입력되는 교량의 모델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되는 해석모델에, 상기 입력지진을 적용하여 상기 상태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한요소 해석법에 기초하여 교량의 구조 해석용 해석모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지진 안전성을 평가하는 교량의 지진 안전성 평가를 위한 해석모델 구축 방법 및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진 발생 시 교량이 붕괴되거나 손상될 경우 도로를 통한 자원의 이동이 마비될 뿐 아니라, 신속한 복구지원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교량의 관리자는 지진발생 후 구조물(교량)의 지진 안전성을 신속히 판단하여 그에 따른 복구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하지만, 인프라가 집적되어 있는 대도시나 수도권과 같은 지역에서는 설치된 교량의 수가 많고 교량의 형식이 다양하여 관리자가 모든 교량의 안전성을 직접 확인하기 어려우며 해당 교량에 대해 유지 관리가 필요한지에 관한 결정을 신속하게 내리기 어려운 실정이다.
종래의 교량의 안전성 확인을 위한 기술로서, 지역별 구조물 중에서 대표성을 갖는 모델을 해석한 결과로부터 지진 규모별 취약도를 사전에 산정하고 지진발생 시 실제 지진 규모와 비교하여 피해의 정도를 확률적으로 예측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지진 발생 지역에 위치하는 다수의 교량에 대한 확률론적 피해 분포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피해 교량과 해당 교량에서의 정확한 손상 위치 확인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진발생 후 교량의 안전성과 건전성을 평가하는 다른 기술로, 실제 구조물(교량)에 지진계, 가속도계, 변위계, 하중계 등의 센서를 설치하여 모니터링 함으로써 구조물 별로 상세하고 정확한 피해를 예측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 경우 센서와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 및 유지관리를 위한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국내에서는 관리자가 교량의 설치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육안조사, 비파괴검사 등의 방법으로 교량의 지진 안전성을 평가하고 있기 때문에, 다수의 대형 교량을 짧은 시간 내에 직접 육안조사하고 검사를 수행하는데 한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유한요소 해석법에 의해 교량 구조물의 동적해석을 수행한 결과로부터 지진 안전성을 분석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단일 또는 복수 프로그램에 의해 교량의 재료와 단면 특성, 기하형상 등 해석모델 정보와, 경계조건 및 하중조건, 해석방법 등에 대한 정보가 통합되어 저장 및 관리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한 다수의 개별 교량의 지진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각 개별 교량의 해석정보에 발생한 지진력을 반영하고 일일이 하중조건을 변경한 후 재해석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각 개별 교량을 해석한 결과로부터 지진에 따른 문제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교량에서 발생한 하중과 응력, 변형 등을 분석, 검토해야 하며 이를 위해 단기간에 많은 엔지니어의 투입이 요구되어 시간과 비용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뿐만 아니라, 교량은 최초 설치 이후 장기간 사용 중 열화되거나 하중조건이나 지반조건, 기타 현장 여건 등 다양한 영향으로 인해 교량의 하중조건이나 경계조건이 초기와 달라지게 되므로 이러한 변화 요인을 반영할 필요가 있으나, 현재의 유한요소 해석법에 따른 교량의 구조를 분석하는 프로그램 체계에서는 간단한 수정을 위해서도 전체 프로그램을 수정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개별 교량의 구조를 해석하기 위한 해석모델을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변경 사항을 간단하게 업데이트 하여, 지진 발생 시 다수 교량의 지진 안전성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한요소 해석법에 기초하여 개별 교량의 구조를 동적 해석한 해석모델을 구축하고, 해석모델을 활용하여 지진 발생시 광범위하게 설치되는 다수 교량 각각의 지진 안전성을 신속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개별 교량의 구조를 해석하기 위한 해석모델을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교량에서 감지되는 변경 사항을 간단하게 업데이트 함으로써, 교량의 지진 안전성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지진 안전성 평가를 위한 해석모델 구축 방법은, 지진 발생에 따른 교량의 지진 안전성에 관한 평가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교량에 입력되는 입력지진을 이용하여, 지진 발생 이후의 상기 교량의 구조에 관한 상태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상태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교량에 관한 내진해석파일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내진해석파일을, 상기 평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교량의 구조를 유한요소 해석법에 따라 분석하여 해석모델을 구축하는 단계와, 상기 해석모델을 상기 교량의 모델정보와 연관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지진이 입력되는 교량의 모델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되는 해석모델에, 상기 입력지진을 적용하여 상기 상태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지진 안전성 평가를 위한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은, 지진 발생에 따른 교량의 지진 안전성에 관한 평가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교량에 입력되는 입력지진을 이용하여, 지진 발생 이후의 상기 교량의 구조에 관한 상태 데이터를 산출하는 처리부, 및 상기 상태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교량에 관한 내진해석파일을 구성하고, 상기 내진해석파일을, 상기 평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교량의 구조를 유한요소 해석법에 따라 분석하여 해석모델을 구축하고, 상기 해석모델을 상기 교량의 모델정보와 연관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고, 상기 입력지진이 입력되는 교량의 모델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되는 해석모델에, 상기 입력지진을 적용하여 상기 상태 데이터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한요소 해석법에 기초하여 개별 교량의 구조를 동적 해석하여 구축한 해석모델을 활용하여 지진 발생시 광범위하게 설치되는 다수 교량 각각의 지진 안전성을 신속히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개별 교량의 구조를 해석하기 위한 해석모델을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교량에서 감지되는 변경 사항만을 간단히 업데이트 함으로써, 교량의 지진 안전성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광대역에 분포하고 있는 임의 교량에 대한 지진 안전성을 유한요소 해석법에 따라 평가하기 위한 해석모델을 구축하여 지진 발생 시 신속하게 지진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고, 상기 유한요소 해석을 위한 교량의 정보와 해석방법, 결과출력 방법을 개별 변경, 수정하여 재조합 함으로써, 전체 교량 정보의 수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엔지니어링 기술자의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한요소 해석법에 따라 각 교량에 관해 구축한 해석모델 내의 각 데이터를 지진 발생 전 또는 후에 업데이트 하여 상시 최신의 교량 정보를 확보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교량의 지진 안전성을 높은 신뢰도로 해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지진 안전성 평가를 위한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에서, 교량을 유한요소 해석법에 따라 분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지진 안전성 평가를 위한 해석모델 구축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단계(540)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에서, 교량을 유한요소 해석법에 따라 분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지진 안전성 평가를 위한 해석모델 구축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단계(540)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용프로그램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지진 안전성 평가를 위한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지진 안전성 평가를 위한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100)은, 처리부(110), 출력부(120) 및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100)은 평가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처리부(110)는 지진 발생에 따른 교량의 지진 안전성에 관한 평가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교량에 입력되는 입력지진을 이용하여, 지진 발생 이후의 상기 교량의 구조에 관한 상태 데이터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처리부(110)는 상기 교량의 구조를 유한요소 해석법에 따라 분석하여 해석모델을 구축하고, 상기 해석모델을 상기 교량의 모델정보와 연관시켜 데이터베이스(130)에 유지하고, 상기 입력지진이 입력되는 교량의 모델정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검색되는 해석모델에, 상기 입력지진을 적용하여 상기 상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처리부(110)는 상기 교량의 시뮬레이션 상의 구조물을 결정 시 필요한, 상기 교량의 설치 위치와 구조, 형식 및 내진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한 교량 일반 데이터와, 입력지진의 적용 위치를 결정 시 필요한, 상기 교량이 설치된 지반을 분석한 경계조건 데이터와, 입력지진의 크기에 따라 상기 교량에 작용하는 하중 또는 상기 하중의 조합을 분석한 하중조건 데이터, 및 입력지진의 크기에 따른, 상기 교량을 구성하는 재료, 절점, 요소 및 단면 중 적어도 하나의 변형을 분석한 구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분석 데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해석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110)는 교량을 유한요소 해석법에 따라 분석하기 위해 절점(node), 요소(element), 구속 및 경계조건(boundary condition)으로 구성된 구조물을 결정하고, 구조물에 작용시키려는 하중(load) 및 하중조합(load case)에 대한 하중조건과, 상기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해석하기 위한 방법(analysis method)을 포함하여, 상기 해석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점과 상기 요소는 구조물의 형상 및 재료 특성 등 정보를 갖고 있는 해석모델의 가장 기초 데이터로서, 상기 절점은 응답의 자유도가 정의된 이산된 점(discrete point)으로 해석결과 산정의 위치이며, 모델의 좌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요소는 작용 응력과 하중에 따른 강성과 질량, 감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중은 해석모델의 변형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절점에 작용하는 절점하중(nodal load)과 요소에 작용하는 요소하중(element load)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구속 및 경계조건은 상기 하중과 달리 해석모델의 변형을 제안하는 것으로, 상기 해석모델의 지배 방정식을 생성하고 계산하는 과정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구속 및 경계조건은 작용 하중의 시간 변화 고려 여부에 따라 정적해석(static analysis) 또는 동적해석(dynamic analysis)으로 구분되거나, 재료의 탄성 여부, 기하형상 변화량, 경계부 발생 여부에 따라 선형해석(linear analysis) 또는 비선형해석(non-linear analysis)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 및 경계조건은 구조물 고유치를 분석하는 모달해석(modal analysis), 압축하중에 의한 좌굴하중(buckling analysi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110)는 상기 구축한 해석모델을, 상기 교량의 상기 입력지진에 대한 해석조건 및 선정된 안전범위를 포함한 결과보고 조건과 함께, 상기 교량의 모델정보와 연관시켜 데이터베이스(130)에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처리부(110)는 지반 조건 변화, 구조 상세 변화, 현장 여건 변화 및 장기 사용에 따른 열화 중 적어도 하나의 요인에 의해 상기 교량의 변경이 감지되면, 상기 해석모델 내 상기 경계조건 데이터 또는 상기 하중조건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해석모델을 재구축할 수도 있다.
처리부(110)는 상기 평가 요청의 수신 시점에 기상청 서버로부터 획득한 지진 가속도 정보를, 상기 입력지진의 크기로 설정하고, 상기 지진 가속도 정보를, 시간영역 데이터, 주파수영역 데이터 및 스펙트럼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해석모델에 적용할 수 있다.
처리부(110)는 상기 해석모델에 근거하여 상기 교량을 구성하는 복수의 절점을 포함하여 시뮬레이션 상의 구조물을 결정 시, 상기 교량이 설치된 지반과 연관된 경계조건 데이터에 따라, 지진 발생 시 상기 복수의 절점 중 제1 절점을 통해 상기 입력지진이 입력되도록 상기 구조물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절점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입력지진의 크기에 따른, 상기 복수의 절점 중 상기 제1 절점을 제외한 나머지 절점에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 응력의 변화 및 상기 구조물의 변형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상기 상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상기 상태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교량에 관한 내진해석파일을 구성하고, 상기 내진해석파일을, 상기 평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출력한다.
이때, 출력부(120)는 상기 입력지진의 적용에 따라 상기 해석모델로부터 산출되는, 교량 일반 데이터와, 하중조건 데이터, 경계조건 데이터 및 구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상기 상태 데이터를, 파일포맷을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조합하여, 상기 내진해석파일을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100)은 평가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평가부(140)는 상기 해석모델과 함께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검색되는 결과보고 조건에서 교량에 대해 선정된 안전범위를 식별하고, 상기 내진해석파일을 구성하는, 상기 교량의 하중 변화, 응력 변화 및 변형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상태 데이터가, 상기 선정된 안전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여, 상기 교량의 안전성을 평가한다.
이때, 출력부(120)는 상기 상태 데이터가 선정된 안전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교량의 지진 안정성을 문제 발생으로 평가한 결과를 상기 내진해석파일에 더 포함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한요소 해석법에 기초하여 개별 교량의 구조를 동적 해석하여 구축한 해석모델을 활용하여 지진 발생시 광범위하게 설치되는 다수 교량 각각의 지진 안전성을 신속히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개별 교량의 구조를 해석하기 위한 해석모델을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교량에서 감지되는 변경 사항만을 간단히 업데이트 함으로써, 교량의 지진 안전성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광대역에 분포하고 있는 임의 교량에 대한 지진 안전성을 유한요소 해석법에 따라 평가하기 위한 해석모델을 구축하여 지진 발생 시 신속하게 지진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고, 상기 유한요소 해석을 위한 교량의 정보와 해석방법, 결과출력 방법을 개별 변경, 수정하여 재조합 함으로써, 전체 교량 정보의 수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엔지니어링 기술자의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한요소 해석법에 따라 각 교량에 관해 구축한 해석모델 내의 각 데이터를 지진 발생 전 또는 후에 업데이트 하여 상시 최신의 교량 정보를 확보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교량의 지진 안전성을 높은 신뢰도로 해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200)은, 유한요소 해석모델 데이터베이스(210)와, 입력지진데이터 데이터베이스(220) 및 유한요소 해석모델 계산 프로그램(23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유한요소 해석모델 데이터베이스(210)는, 유한요소 해석법에 기초하여 개별 교량의 구조를 동적 해석하여 구축한 해석모델을 유지한다.
일례로, 유한요소 해석모델 데이터베이스(210)는, 개별 교량의 시뮬레이션 상의 구조물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교량 일반 데이터와, 입력지진의 적용 위치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경계조건 데이터, 입력지진의 크기에 따라 교량에 작용하는 하중에 관한 하중조건 데이터 및 입력지진의 크기에 따른 교량의 재료와 단면, 절점과 요소에 생기는 변형을 분석한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여, 개별 교량의 해석모델을 유지할 수 있다.
입력지진데이터 데이터베이스(220)는 지진 발생 시 교량에 입력되는 입력지진에 관한 데이터를 유지한다.
즉, 입력지진데이터 데이터베이스(220)는 기상청 서버로부터 상기 입력지진의 지진 가속도 정보를 획득하고, 지진 가속도 정보를 지진 시간이력 데이터 형태로 유지하거나, 또는 지진 가속도 정보를 주파수 영역에서 가공하여 유지할 수 있다.
유한요소 해석모델 계산 프로그램(230)은, 유한요소 해석모델 데이터베이스(210) 및 입력지진데이터 데이터베이스(220)와 연계하여, 지진 발생 시 교량에 관해 구축한 해석모델과 교량에 입력되는 입력지진을 이용하여 해당 교량의 내진 검토를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한요소 해석모델 데이터베이스(210)는, 교량의 위치, 상부 및 하부 형식, 경간장, 내진등급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교량 일반 데이터(211)와, 지반 조건 및 부재 간 구속 조건을 고려한 경계조건 데이터(212)와, 교량에 작용하는 다양한 하중과 각 하중의 조합에 관한 하중조건 데이터(213), 교량을 구성하는 재료와 단면, 절점(노드) 및 요소(element)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 데이터(214)를 포함하여 구축한 해석모델을, 교량의 모델 정보와 연관시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한요소 해석모델 데이터베이스(210)는, 상기 해석모델을, 선정된 결과보고 조건(215) 및 해석조건(216)과 함께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해석조건(216)은, 교량에 입력되는 입력지진에 관한 데이터(지진 가속도 정보)를 해석모델에 적용하는 방식을 나타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시간이력 해석, 주파수 영역 해석, 응답 스펙트럼(단일모드 스펙트럼 또는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결과보고 조건(215)은, 상기 해석모델을 통해 산출한 상태 데이터가 선정된 안전범위를 벗어날 경우에 관리자에게 결과를 보고하도록 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교량의 하중 변화, 응력 변화 및 변형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 데이터에 대한 안전범위를 포함할 수 있다.
유한요소 해석모델 데이터베이스(210)는, 단일 교량에 대해, 해석모델 내의 각 데이터에 대한 확장자를 달리하되 동일한 이름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술하는 유한요소 해석모델 계산 프로그램(230) 내의 정보 조립 장치(231)는 각 데이터를 손쉽게 조합하여 내진해석파일을 구성할 수 있으며, 확장자를 통해 각 데이터를 구분하여 개별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지진데이터 데이터베이스(22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시간영역 데이터베이스(221), 주파수영역 데이터베이스(222) 및 응답스펙트럼 데이터베이스(22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시간영역 데이터베이스(221)는 실제 교량이 위치한 지점에서 발생한 지진 가속도 정보를 시간이력 데이터로 유지할 수 있다.
주파수영역 데이터베이스(222)는 상기 시간이력 데이터를 고속 푸리에 변환 등에 의해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응답스펙트럼 데이터베이스(223)는 상기 시간이력 데이터를 응답 스펙트럼으로 변환한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한요소 해석모델 계산 프로그램(230)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정보 조립 장치(231) 및 계산 장치(232)로 구성될 수 있다.
정보 조립 장치(231)는 유한요소 해석모델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리드한 상기 해석조건에 따라, 입력지진데이터 데이터베이스(220)에 유지되는 지진 가속도 정보에 대한 사용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으로 판단될 경우 시간이력 데이터, 주파수 영역 데이터, 응답스펙트럼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지진 가속도 정보를 호출하여 입력지진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계산 장치(232)는 유한요소 해석모델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리드한 교량의 해석모델에, 입력지진데이터 데이터베이스(220)로부터 호출한 상기 지진 가속도 정보를 입력지진으로 사용하여, 지진 발생 이후의 상기 교량의 구조에 관한 상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정보 조립 장치(231)는 각 상태 데이터를 손쉽게 조합하여 내진해석파일을 구성하고 내진 검토를 수행하여 지진 안전성 평가 요청에 대한 결과로서 관리자 단말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조립 장치(231)는 유한요소 해석모델 데이터베이스(210)에 유지되는 각 데이터를 확장자를 통해 구분하여 교량에 대한 변경 사항을 상시로 개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에서, 교량을 유한요소 해석법에 따라 분석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은, 도 4에 도시한 간략 모델을 사용하여 교량을 유한요소 해석법에 의해 동적 해석할 수 있다.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은, 교량의 3차원 공간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절점(예, 노드 'N1' 내지 'N5')의 데이터와, 교량을 구성하는 재료의 데이터(예, 'E=210Gpa', '비선형 특성'), 교량을 구성하는 단면의 데이터(예, 'A', 'IX', 'IY', 'G', 'J'), 교량을 구성하는 요소의 데이터(예, 'E1(node, E, A)'), 교량이 설치된 지반을 고려해 입력지진의 작용 위치를 나타내는 경계조건 데이터(예, 'FiX1(n1, 1, 1, 1)') 및 입력지진에 의해 교량에 가해지는 하중의 종류와 작용 위치 및 각 하중의 조합에 관한 하중조건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교량의 전체 해석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은, 상기 해석모델에 근거하여 상기 교량을 구성하는 복수의 절점을 포함하여 시뮬레이션 상의 구조물을 결정하고, 상기 교량이 설치된 지반과 연관된 경계조건 데이터에 따라, 지진 발생 시 상기 복수의 절점 중 제1 절점('N1')을 통해 입력지진이 입력되도록 구조물을 결정할 수 있다.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은, 상기 제1 절점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입력지진의 크기에 따른, 상기 복수의 절점 중 상기 제1 절점을 제외한 나머지 절점('N2' 내지 'N5')에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 응력의 변화 및 상기 구조물의 변형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상기 상태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상태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교량에 관한 내진해석파일을 구성하고, 상기 내진해석파일을, 상기 평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은, 상기 입력지진으로서 입력되는 지진 가속도 정보를, 시간이력 해석, 주파수 영역 해석, 단일모드 스펙트럼 해석, 다중모드 스펙트럼 해석 중 적어도 하나의 해석조건에 따라 상기 해석모델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은, 교량의 하중 변화, 응력 변화 및 변형, 노드 배치 변화 및 요소 변화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해 선정된 안전범위를 벗어나는 결과보고 조건에 따라, 상기 교량의 지진 안전성을 문제 발생 또는 정상으로 평가한 결과를 포함시켜 상기 내진해석파일을 관리자 단말에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6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지진 안전성 평가를 위한 해석모델 구축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지진 안전성 평가를 위한 해석모델 구축 방법은 상술한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510)에서,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100)은, 지진 발생에 따른 교량의 지진 안전성에 관한 평가 요청이 수신되는지 확인한다.
상기 평가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단계(520)에서,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100)은, 상기 교량의 구조를 유한요소 해석법에 따라 분석하여 해석모델을 구축하고, 상기 해석모델을 상기 교량의 모델정보와 연관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한다.
단계(530)에서,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100)은, 상기 교량에 입력되는 입력지진을 이용하여, 지진 발생 이후의 상기 교량의 구조에 관한 상태 데이터를 산출한다.
본 단계(530)에서,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100)은, 상기 입력지진이 입력되는 교량의 모델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되는 해석모델에, 상기 입력지진을 적용하여 상기 상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100)은, 상기 제1 절점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입력지진의 크기에 따른, 상기 복수의 절점 중 상기 제1 절점을 제외한 나머지 절점('N2' 내지 'N5')에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 응력의 변화 및 상기 구조물의 변형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상기 상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540)에서,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100)은, 상기 상태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교량에 관한 내진해석파일을 구성한다.
본 단계(540)에서,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100)은 상기 입력지진의 적용에 따라 상기 해석모델로부터 산출되는, 교량 일반 데이터와, 하중조건 데이터, 경계조건 데이터 및 구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상기 상태 데이터를, 파일포맷을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조합하여, 상기 내진해석파일을 구성할 수 있다.
단계(550)에서,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100)은, 상기 내진해석파일을, 상기 평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출력한다.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100)은 교량의 하중 변화, 응력 변화 및 변형, 노드 배치 변화 및 요소 변화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해 선정된 안전범위를 벗어나는 결과보고 조건에 따라, 상기 교량의 지진 안전성을 문제 발생 또는 정상으로 평가한 결과를 포함시켜 상기 내진해석파일을 관리자 단말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유한요소 해석법에 기초하여 개별 교량의 구조를 동적 해석하여 구축한 해석모델을 활용하여 지진 발생시 광범위하게 설치되는 다수 교량 각각의 지진 안전성을 신속히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단계(540)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지진 안전성 평가를 위한 해석모델 구축 방법은 상술한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100)은 교량의 구조를 유한요소 해석법에 따라 분석하여 해석모델을 구축하고, 상기 해석모델에 입력지진을 적용하여 산출되는 교량의 구조에 관한 상태 데이터를, 도 6에 도시한 순서대로 조합하여 교량에 관한 내진해석파일을 구성할 수 있다.
단계(601 내지 607)에서,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100)은 도 3의 유한요소 해석모델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교량 일반데이터, 경계조건, 하중조건(지진력 데이터 포함), 재료데이터, 단면데이터 및 절점데이터를 각각 순차적으로 확인하여 각 상태 데이터를 조합 함으로써 교량에 관한 내진해석파일을 구성할 수 있다.
단계(608)에서,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100)은 도 3의 유한요소 해석모델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각 상태 데이터에 대한 결과보고 조건을 확인한다.
즉,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100)은, 교량의 하중 변화, 응력 변화 및 변형, 노드 배치 변화 및 요소 변화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해 선정된 안전범위를 벗어나는 결과보고 조건을 유한요소 해석모델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확인 함으로써, 교량의 지진 안전성을 문제 발생 또는 정상으로 평가하고, 문제 발생으로 평가할 경우 상기 내진해석파일을 관리자 단말에 출력할 수 있다.
단계(609)에서,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100)은 도 3의 유한요소 해석모델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입력지진에 대한 해석조건을 확인하고, 단계(610)에서,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100)은 상기 입력지진으로 교량에 입력되는 지진 가속도 정보를, 유한요소 해석모델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확인한 해석조건에 따라 상기 해석모델에 적용하여 상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611)에서,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100)은 각 상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리드하여 각 교량에 대한 전체 해석모델 파일(내진해석파일)을 생성한다. 여기서, 각 상태 데이터의 획득이 중요하며, 내진해석파일은 리드한 순서에 영향을 받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100)은 내진해석파일의 명칭을, 도 3의 유한요소 해석모델 데이터베이스(210)에 유지되는 각 데이터의 명칭과 동일하게 하여 내진해석파일의 분실과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교량의 지진 안전성 평가 시스템
110: 처리부
120: 출력부
130: 데이터베이스
140: 평가부
110: 처리부
120: 출력부
130: 데이터베이스
140: 평가부
Claims (13)
- 지진 발생에 따른 교량의 지진 안전성에 관한 평가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교량에 입력되는 입력지진을 이용하여, 지진 발생 이후의 상기 교량의 구조에 관한 상태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상태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교량에 관한 내진해석파일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내진해석파일을, 상기 평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상태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교량의 구조를 유한요소 해석법에 따라 분석하여 해석모델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해석모델을 상기 교량의 모델정보와 연관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
지반 조건 변화, 구조 상세 변화, 현장 여건 변화 및 장기 사용에 따른 열화 중 적어도 하나의 요인에 의해, 상기 교량의 변경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지진이 입력되는 교량의 모델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되는 해석모델 내, 상기 입력지진의 적용 위치를 결정 시 필요한, 상기 교량이 설치된 지반을 분석한 경계조건 데이터, 또는 상기 입력지진의 크기에 따라 상기 교량에 작용하는 하중 또는 상기 하중의 조합을 분석한 하중조건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해석모델을 재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해석모델에, 상기 입력지진을 적용하여 상기 상태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량의 지진 안전성 평가를 위한 해석모델 구축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모델 구축 방법은,
상기 해석모델과 함께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되는 결과보고 조건에서 상기 교량에 대해 선정된 안전범위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내진해석파일을 구성하는, 상기 교량의 하중 변화, 응력 변화 및 변형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상태 데이터가, 상기 선정된 안전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여, 상기 교량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선정된 안전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교량의 지진 안정성을 문제 발생으로 평가한 결과를 상기 내진해석파일에 더 포함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해석모델 구축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지진을 적용하여 상기 상태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해석모델에 근거하여 상기 교량을 구성하는 복수의 절점을 포함하여 시뮬레이션 상의 구조물을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교량이 설치된 지반과 연관된 경계조건 데이터에 따라, 지진 발생 시 상기 복수의 절점 중 제1 절점을 통해 상기 입력지진이 입력되도록 상기 구조물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절점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입력지진의 크기에 따른, 상기 복수의 절점 중 상기 제1 절점을 제외한 나머지 절점에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 응력의 변화 및 상기 구조물의 변형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상기 상태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석모델 구축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지진을 적용하여 상기 상태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평가 요청의 수신 시점에 기상청 서버로부터 획득한 지진 가속도 정보를, 상기 입력지진의 크기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진 가속도 정보를, 시간영역 데이터, 주파수영역 데이터 및 스펙트럼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해석모델에 적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해석모델 구축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해석파일을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지진의 적용에 따라 상기 해석모델로부터 산출되는, 교량 일반 데이터와, 하중조건 데이터, 경계조건 데이터 및 구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상기 상태 데이터를, 파일포맷을 고려하여 순차적으로 조합하여, 상기 내진해석파일을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석모델 구축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모델을 구축하는 단계는,
상기 교량의 시뮬레이션 상의 구조물을 결정 시 필요한, 상기 교량의 설치 위치와 구조, 형식 및 내진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한 교량 일반 데이터와,
입력지진의 적용 위치를 결정 시 필요한, 상기 교량이 설치된 지반을 분석한 경계조건 데이터와,
입력지진의 크기에 따라 상기 교량에 작용하는 하중 또는 상기 하중의 조합을 분석한 하중조건 데이터, 및
입력지진의 크기에 따른, 상기 교량을 구성하는 재료, 절점, 요소 및 단면 중 적어도 하나의 변형을 분석한 구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분석 데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해석모델을 구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석모델 구축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는,
상기 해석모델을, 상기 교량의 상기 입력지진에 대한 해석조건 및 선정된 안전범위를 포함한 결과보고 조건과 함께, 상기 교량의 모델정보와 연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석모델 구축 방법. - 지진 발생에 따른 교량의 지진 안전성에 관한 평가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교량에 입력되는 입력지진을 이용하여, 지진 발생 이후의 상기 교량의 구조에 관한 상태 데이터를 산출하는 처리부; 및
상기 상태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교량에 관한 내진해석파일을 구성하고, 상기 내진해석파일을, 상기 평가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교량의 구조를 유한요소 해석법에 따라 분석하여 해석모델을 구축하고,
상기 해석모델을 상기 교량의 모델정보와 연관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유지하고,
지반 조건 변화, 구조 상세 변화, 현장 여건 변화 및 장기 사용에 따른 열화 중 적어도 하나의 요인에 의해, 상기 교량의 변경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지진이 입력되는 교량의 모델정보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되는 해석모델 내, 상기 입력지진의 적용 위치를 결정 시 필요한, 상기 교량이 설치된 지반을 분석한 경계조건 데이터, 또는 상기 입력지진의 크기에 따라 상기 교량에 작용하는 하중 또는 상기 하중의 조합을 분석한 하중조건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상기 해석모델을 재구축하고,
상기 해석모델에, 상기 입력지진을 적용하여 상기 상태 데이터를 산출하는
교량의 지진 안전성 평가를 위한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은,
상기 해석모델과 함께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되는 결과보고 조건에서 상기 교량에 대해 선정된 안전범위를 식별하고, 상기 내진해석파일을 구성하는, 상기 교량의 하중 변화, 응력 변화 및 변형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상태 데이터가, 상기 선정된 안전범위를 벗어나는지 판단하여, 상기 교량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평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선정된 안전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교량의 지진 안정성을 문제 발생으로 평가한 결과를 상기 내진해석파일에 더 포함하여 출력하는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해석모델에 근거하여 상기 교량을 구성하는 복수의 절점을 포함하여 시뮬레이션 상의 구조물을 결정 시, 상기 교량이 설치된 지반과 연관된 경계조건 데이터에 따라, 지진 발생 시 상기 복수의 절점 중 제1 절점을 통해 상기 입력지진이 입력되도록 상기 구조물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절점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입력지진의 크기에 따른, 상기 복수의 절점 중 상기 제1 절점을 제외한 나머지 절점에 가해지는 하중의 변화, 응력의 변화 및 상기 구조물의 변형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상기 상태 데이터를 산출하는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평가 요청의 수신 시점에 기상청 서버로부터 획득한 지진 가속도 정보를, 상기 입력지진의 크기로 설정하고,
상기 지진 가속도 정보를, 시간영역 데이터, 주파수영역 데이터 및 스펙트럼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해석모델에 적용하는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교량의 시뮬레이션 상의 구조물을 결정 시 필요한, 상기 교량의 설치 위치와 구조, 형식 및 내진등급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한 교량 일반 데이터와,
입력지진의 적용 위치를 결정 시 필요한, 상기 교량이 설치된 지반을 분석한 경계조건 데이터와,
입력지진의 크기에 따라 상기 교량에 작용하는 하중 또는 상기 하중의 조합을 분석한 하중조건 데이터, 및
입력지진의 크기에 따른, 상기 교량을 구성하는 재료, 절점, 요소 및 단면 중 적어도 하나의 변형을 분석한 구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분석 데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해석모델을 구축하는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6819A KR102041515B1 (ko) | 2017-12-06 | 2017-12-06 | 교량의 지진 안전성 평가를 위한 해석모델 구축 방법 및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6819A KR102041515B1 (ko) | 2017-12-06 | 2017-12-06 | 교량의 지진 안전성 평가를 위한 해석모델 구축 방법 및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6920A KR20190066920A (ko) | 2019-06-14 |
KR102041515B1 true KR102041515B1 (ko) | 2019-11-06 |
Family
ID=66846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6819A KR102041515B1 (ko) | 2017-12-06 | 2017-12-06 | 교량의 지진 안전성 평가를 위한 해석모델 구축 방법 및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151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68476B (zh) * | 2020-03-05 | 2022-02-11 | 中南大学 | 近断层地震作用下高铁桥梁-轨道系统适用性评价方法 |
CN113094793B (zh) * | 2021-04-20 | 2023-09-12 | 云南省设计院集团有限公司 | 一种减隔震结构选波及设计方法 |
CN113984324B (zh) * | 2021-12-07 | 2024-10-15 | 中交路桥华南工程有限公司 | 一种基于大数据的公路桥梁工程建设风险评估方法 |
CN114897327A (zh) * | 2022-04-26 | 2022-08-12 | 北京广利核系统工程有限公司 | 基于经验数据的抗震分析方法、装置及相关设备 |
CN116306177B (zh) * | 2023-05-18 | 2023-08-04 | 石家庄铁道大学 | 跨河谷地形桥梁地震反应分析方法、装置及终端设备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22566A (ja) * | 2002-01-31 | 2003-08-08 | Yamato Sekkei Kk | 構造物の損傷推定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
JP2004045294A (ja) * | 2002-07-15 | 2004-02-12 | Yamato Sekkei Kk | 構造物の損傷危険度判定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
JP2004069598A (ja) | 2002-08-08 | 2004-03-04 | Yamato Sekkei Kk | 構造物の損傷推定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
JP2012146188A (ja) | 2011-01-13 | 2012-08-02 | Asahi Kasei Homes Co | 耐震設計方法及び耐震設計支援装置 |
-
2017
- 2017-12-06 KR KR1020170166819A patent/KR10204151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22566A (ja) * | 2002-01-31 | 2003-08-08 | Yamato Sekkei Kk | 構造物の損傷推定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
JP2004045294A (ja) * | 2002-07-15 | 2004-02-12 | Yamato Sekkei Kk | 構造物の損傷危険度判定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
JP2004069598A (ja) | 2002-08-08 | 2004-03-04 | Yamato Sekkei Kk | 構造物の損傷推定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
JP2012146188A (ja) | 2011-01-13 | 2012-08-02 | Asahi Kasei Homes Co | 耐震設計方法及び耐震設計支援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6920A (ko) | 2019-06-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41515B1 (ko) | 교량의 지진 안전성 평가를 위한 해석모델 구축 방법 및 해석모델 구축 시스템 | |
Lin et al. | Damage detection in the cable structures of a bridge using the virtual distortion method | |
Cunha et al. | Recent perspectives in dynamic testing and monitoring of bridges | |
KR101935558B1 (ko) | 건축물 지진 피해 예측 및 분석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
Magalhães et al. | Vibration based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an arch bridge: From automated OMA to damage detection | |
Wah et al. | A regression-based damage detection method for structures subjected to changing environmental and operational conditions | |
Xia et al. | Long‐term performance monitoring and assessment of concrete beam bridges using neutral axis indicator | |
Gul et al. | Damage assessment with ambient vibration data using a novel time series analysis methodology | |
Al-Hussein et al. | Novel unscented Kalman filter for health assessment of structural systems with unknown input | |
Domaneschi et al. | Damage detection and localization on a benchmark cable-stayed bridge | |
Shan et al. | Model‐reference health monitoring of hysteretic building structure using acceleration measurement with test validation | |
Schneider et al. | Assessing and updating the reliability of concrete bridges subjected to spatial deterioration–principles and software implementation | |
KR102158192B1 (ko) | 오토인코더를 이용한 psc 교량의 텐던 손상 추정 방법 | |
Bonessio et al. | Damage identification procedure for seismically isolated bridges | |
Unobe et al. | Multi-hazard analysis of a wind turbine concrete foundation under wind fatigue and seismic loadings | |
Lozano-Galant et al. | Structural system identification of cable-stayed bridges with observability techniques | |
Boumechra | Damage detection in beam and truss structures by the inverse analysis of the static response due to moving loads | |
Kordestani et al. | Output‐only damage detection of steel beam using moving average filter | |
Lei et al. | Structural system identification by measurement error‐minimizing observability method | |
Xiao et al. | Parameter identification of frame structures by considering shear deformation | |
KR102095751B1 (ko) | 구조물 손상 감지 시스템 및 방법 | |
Akbari et al. | A probabilistic framework to make a decision on the post-earthquake functionality of bridges considering the damage, residual displacement, and aftershock | |
De Roeck | Model–based methods of damage identification of structures under seismic excitation | |
Qin et al. | Effects of initial conditions in operational modal analysis | |
Shi et al. | Set‐membership identification technique for structural damage based on the dynamic responses with nois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