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939B1 -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939B1
KR102040939B1 KR1020190085203A KR20190085203A KR102040939B1 KR 102040939 B1 KR102040939 B1 KR 102040939B1 KR 1020190085203 A KR1020190085203 A KR 1020190085203A KR 20190085203 A KR20190085203 A KR 20190085203A KR 102040939 B1 KR102040939 B1 KR 102040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put
surveillance camera
control
image data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명화
정예운
임재현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5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939B1/ko
Priority to US16/929,330 priority patent/US1139333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3206
    • H04N5/23216
    • H04N5/2329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4Context aware guid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 G08C2201/42Transmitting or receiving remote control signals via a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60Security, fault tolerance
    • G08C2201/61Password, biometric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70Device sel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감시 카메라로부터 감시 영역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감시 카메라에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영상 데이터 및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도구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영상 데이터를 통해 표시된 상기 제1 대상을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제어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어 도구를 표시시키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카메라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에 상기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Description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Surveillanc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안이 강화된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감시 시스템은 감시 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영상 등을 관제사가 눈으로 감지한 후, 직접 카메라의 회전 방향이나 줌 배율을 조절함으로써, 관심 객체 등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동작된다.
또한, 감시 시스템은 영상 제공과 같은 소극적인 감시 서비스뿐만 아니라, 영상을 통해 감시되는 대상에게 경고를 전달하거나 행동을 제약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감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보안 강화 등을 위하여, 적극적인 감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관제사의 권한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감시 서비스를 이용하는 관제사의 권한을 제한하고, 보다 자동화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감시 카메라로부터 감시 영역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감시 카메라에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영상 데이터 및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도구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영상 데이터를 통해 표시된 상기 제1 대상을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제어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어 도구를 표시시키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카메라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에 상기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대상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생체 정보 요청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생체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생체 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 대상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권한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생체 정보는 지문 정보, 홍채 정보, 얼굴 정보, 및 DNA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지문 인식 모듈, 홍채 인식 모듈, 얼굴 인식 모듈, 및 DNA 인식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대상에 대응하는 제2 대상을 미리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제2 대상에 대한 이벤트를 학습하고, 상기 소정 기간 이후에 수신한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대상으로 인한 이벤트가 검출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2 대상과 관련된 상기 제1 대상을 추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도구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어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4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4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감시 카메라에 상기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감시 카메라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에 상기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대상은 상기 감시 카메라에 의해 직접적인 동작 제어가 가능한 대상이고, 상기 제2 대상은 상기 감시 카메라에 의해 직접적인 동작 제어가 불가능한 대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2 대상의 존재, 부재, 모션, 및 모션 정지 중 적어도 하나를 가리킬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감시 카메라로부터 감시 영역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디스플레이에 의해, 상기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영상 데이터를 통해 표시된 제1 대상을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도구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제어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감시 카메라에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카메라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에 상기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모리에 의해, 상기 제1 대상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생체 정보 요청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생체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스에 의해,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생체 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 대상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생체 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 대상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권한이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생체 정보는 지문 정보, 홍채 정보, 얼굴 정보, 및 DNA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지문 인식 모듈, 홍채 인식 모듈, 얼굴 인식 모듈, 및 DNA 인식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모리에 의해, 상기 제1 대상에 대응하는 제2 대상을 미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제2 대상에 대한 이벤트를 학습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소정 기간 이후에 수신한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대상으로 인한 이벤트가 검출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2 대상과 관련된 상기 제1 대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도구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제어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4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감시 카메라에 상기 제4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카메라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에 상기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대상은 상기 감시 카메라에 의해 동작 제어가 가능한 대상이고, 상기 제2 대상은 상기 감시 카메라에 의해 동작 제어가 불가능한 대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2 대상의 존재, 부재, 모션, 및 모션 정지 중 적어도 하나를 가리킬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메모리에 의해, 제1 대상에 대응하는 제2 대상을 미리 저장하는 단계,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감시 카메라로부터 감시 영역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제2 대상에 대한 이벤트를 학습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소정 기간 이후에 수신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대상으로 인한 이벤트가 검출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2 대상과 관련된 상기 제1 대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소정 기간 이후에 수신한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도구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제어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의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감시 카메라에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카메라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에 상기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대상은 상기 감시 카메라에 의해 동작 제어가 가능한 대상이고, 상기 제2 대상은 상기 감시 카메라에 의해 동작 제어가 불가능한 대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2 대상의 존재, 부재, 모션, 및 모션 정지 중 적어도 하나를 가리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보다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시 카메라 주변의 기기들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 한하여 감시 카메라 주변의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보안이 강화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 가능한 기기를 직접 제어함으로써, 제어 불가능한 객체의 동작을 간접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감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이 적용되는 감시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대상 제어 권한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이벤트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이벤트 관련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다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이 적용되는 감시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이 적용되는 감시 환경은 감시 카메라(10), 제1 대상(20-1), 제2 대상(20-2), 사용자 단말(30) 및 네트워크(40)를 포함한다.
감시 카메라(10)는 감시 영역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영상 데이터를 네트워크(40)를 통해 사용자 단말(30)에 전송한다.
감시 카메라(10)의 감시 영역은 고정될 수도 있고, 변경될 수도 있다.
감시 카메라(10)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PTZ 카메라, 어안 카메라, 드론(drone) 등일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감시 카메라(10)는 배터리로 구동되는 저전력 카메라일 수 있다. 감시 카메라(10)는 평상시 슬립 모드를 유지하고, 주기적으로 깨어나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감시 카메라(10)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고,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다시 슬립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만 액티브 모드를 유지함으로써 감시 카메라(10)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감시 카메라(10)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감시 카메라(10)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시 카메라(10)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제1 대상(20-1)에 제어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제1 대상(20-1)의 동작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시 카메라(10)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제1 대상(20-1)에 파워 턴 오프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제1 대상(20-1)의 전원을 끌 수 있다.
한편, 감시 카메라(10)는 제1 대상(20-1)에 제어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제2 대상(20-2)의 동작을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시 카메라(10)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제1 대상(20-1)에 알람 온 명령을 전달함으로써, 제2 대상(20-2)에게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대상(20-1)은 감시 카메라(10)에 의해 직접적인 동작 제어가 가능한 직접 제어 대상이고, 제2 대상(20-2)은 감시 카메라(10)에 의해 직접적인 동작 제어가 불가능한 간접 제어 대상일 수 있다.
제1 대상(20-1)은 예를 들어, TV, 냉장고, 에어콘, 청소기, 스마트 단말과 같이 적외선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기기일 수 있다.
제2 대상(20-2)은 예를 들어, 이동 객체와 같이 그 존재, 부재, 모션, 모션 정지 등이 이벤트로 인식될 수 있는 객체일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제1 대상(20-1)의 동작을 직접 제어함으로써, 제2 대상(20-2)의 행동을 간접 제어하는 감시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사용자 단말(30)은 네트워크(40)를 통해 감시 카메라(1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은 감시 카메라(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감시 카메라(10)에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은 개인용 컴퓨터 또는 이동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은 감시 카메라(10) 및/또는 제1 대상(20-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40)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복수의 물리적 장치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감시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 중 일부는 어느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되거나 설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다른 물리적 장치로 구현되거나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어느 하나의 물리적 장치는 감시 카메라(10)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고, 다른 물리적 장치는 사용자 단말(30)의 일부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감시 시스템은 감시 카메라(10) 및/또는 사용자 단말(30)에 내장될 수도 있고, 감시 카메라(10) 및/또는 사용자 단말(30)과 별개로 구비된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100)은 메모리(110), 통신 인터페이스(130), 디스플레이(150), 사용자 인터페이스(170), 및 프로세서(190), 를 포함한다.
메모리(110)는 제1 대상(20-1)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미리 저장한다.
제1 대상(20-1)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는 제1 대상(20-1)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일 수 있다. 생체 정보는 지문 정보, 홍채 정보, 얼굴 정보, DNA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제1 대상(20-1)에 대응하는 제2 대상(20-2)을 미리 저장한다.
제1 대상(20-1)에 대응하는 제2 대상(20-2)은 제1 대상(20-1)의 동작에 의해 영향을 받는 객체일 수 있다. 제1 대상(20-1)에 대응하는 제2 대상(20-2)은 제1 대상(20-1)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정해질 수도 있고, 존재, 부재, 모션, 모션 정지 등이 인식될 수 있는 임의의 객체일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감시 카메라(10)로부터 감시 영역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감시 카메라(10)에 제1 대상(20-1)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제1 대상(20-1) 제어 명령은 제1 대상(20-1)에 대한 소정 동작 수행 명령일 수 있으며, 적외선 센서에 의해 제1 대상(20-1)에 전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영상 데이터, 제1 대상(20-1)에 대한 제어 도구, 생체 정보 요청 메시지를 표시한다.
제1 대상(20-1)에 대한 제어 도구는 예를 들어, 전원 버튼, 채널 변경 버튼, 옵션 변경 버튼, 볼륨 조절 버튼, 세기 조절 버튼, 온도 조절 버튼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생체 정보 요청 메시지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지문, 홍채, 얼굴, DNA 등의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70)는 영상 데이터를 통해 표시된 제1 대상(20-1)을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 제어 도구를 이용하여 제1 대상(20-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사용자 입력, 생체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영상 데이터를 통해 표시된 제1 대상(20-1)을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제1 대상(20-1)이 표시된 디스플레이(150)의 일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이 가능하다.
제어 도구를 이용하여 제1 대상(20-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50)에 표시된 전원 버튼, 채널 변경 버튼, 옵션 변경 버튼, 볼륨 조절 버튼, 세기 조절 버튼, 온도 조절 버튼 등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대상(20-1)에 대한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70)는 지문 인식 모듈, 홍채 인식 모듈, 얼굴 인식 모듈, DNA 인식 모듈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생체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3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지문 정보, 홍채 정보, 얼굴 정보, DNA 정보 등의 입력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권한이 있는 사용자에 한하여 제1 대상(20-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보안이 강화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1 대상(20-1)에 대한 제어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1 대상(20-1)에 대한 제어 권한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제어 도구를 표시시키고,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1 대상(20-1)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90)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생체 정보 요청 메시지를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70)를 통해 생체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제3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생체 정보가 메모리(110)에 저장된 제1 대상(20-1)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와 일치하면, 제1 대상(20-1)에 대한 제어 권한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3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생체 정보는 지문 정보, 홍채 정보, 얼굴 정보, DNA 정보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90)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 기간 동안 제2 대상(20-2)에 대한 이벤트를 학습하고, 소정 기간 이후에 수신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2 대상(20-2)으로 인한 이벤트가 검출되면, 메모리(110)로부터 제2 대상(20-2)과 관련된 제1 대상(20-1)을 추출하고,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제1 대상(20-1)에 대한 제어 도구를 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70)를 통해 제어 도구를 이용하여 제1 대상(20-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4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4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1 대상(20-1)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소정 기간 동안 수신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2 대상(20-2)의 행동 패턴을 학습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제2 대상(20-2)의 행동 패턴에 기초하여 이벤트를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90)는 제2 대상(20-2)의 존재, 부재, 모션, 모션 정지 등을 이벤트로서 학습할 수 있다.
프로세서(190)는 소정 기간 이후에 수신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2 대상(20-2)으로 인한 이벤트가 검출되면, 제2 대상(20-2)의 동작을 간접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제2 대상(20-2)과 관련된 제1 대상(20-1)의 직접 제어를 위한 제어 도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10)에는 제1 대상(20-1)에 대응하는 제2 대상(20-2)이 미리 저장되어 있으므로, 프로세서(190)는 메모리(110)로부터 제2 대상(20-2)과 관련된 제1 대상(20-1)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대상(20-1)이 스피커, 제1 대상(20-1)에 대응하는 제2 대상(20-2)이 쓰레기 봉투, 이벤트가 제2 대상(20-2)의 존재라면, 프로세서(110)는 감시 영역이 촬영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쓰레기 봉투의 출현을 이벤트로 검출하고, 메모리(110)로부터 쓰레기 봉투와 관련된 스피커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90)는 디스플레이(150)에 스피커 제어를 위한 제어 도구로서 말하기 또는 알람 선택 버튼, 방향 조절 버튼, 볼륨 조절 버튼 등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70)가 알람 선택 버튼을 선택하는 제4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알람 출력을 위한 스피커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대상 제어 권한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감시 카메라(10)는 감시 영역을 촬영한다(S301). 감시 영역은 실내 또는 실외일 수 있고, 고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감시 카메라(10)가 감시 영역을 촬영한 결과, 감시 영역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감시 카메라(10)는 제1 대상(20-1)에 해당하는 TV, 냉장고, 에어콘, 스마트 단말 등을 촬영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어서, 감시 카메라(10)가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0)에 전송하면(S303), 사용자 단말(30)은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S305).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에는 자녀가 TV 앞에 위치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은 영상 데이터를 통해 표시된 제1 대상(20-1)을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S307),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1 대상(20-1)에 대한 제어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9).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은 화면(31) 상의 제1 대상(20-1)인 TV가 표시된 영역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1 대상(20-1)인 TV에 대한 제어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대상(20-1)에 대한 제어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30)은 제1 대상(20-1)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S501),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생체 정보 요청 메시지를 화면(31)에 표시한다(S503).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에는 TV에 대응하는 부모의 지문 정보가 미리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30)은 TV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지문 정보 요청 메시지를 화면(3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30)은 생체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S505), 제3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생체 정보가 미리 저장된 상기 제1 대상(20-1)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7).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은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제3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지문 정보가 미리 저장된 TV에 대응하는 부모의 지문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은 지문 센서에 의해 지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30)은 제3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생체 정보가 미리 저장된 제1 대상(20-1)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제1 대상(20-1)에 대한 제어 권한이 있다고 판단한다(S509).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은 제3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지문 정보가 미리 저장된 TV에 대응하는 부모의 지문 정보와 일치하면, 제3 사용자 입력이 부모에 의한 입력에 해당하므로 TV에 대한 제어 권한이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1 대상(20-1)에 대한 제어 권한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30)은 화면(31) 상에 제1 대상(20-1)에 대한 제어 도구를 표시하고(S311), 제어 도구를 이용하여 제1 대상(20-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S313), 감시 카메라(10)에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1 대상(20-1)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S315).
예를 들어, TV에 대한 제어 권한이 인정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30)은 화면(31) 상에 TV에 대한 제어 도구를 표시하고, TV에 대한 제어 도구 중에서 전원 버튼을 오프시키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감시 카메라(10)에 TV에 대한 파워 턴 오프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감시 카메라(10)가 제1 대상(20-1)에 제1 대상(20-1) 제어 명령을 전달하면(S317), 제1 대상(20-1)은 제1 대상(20-1)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S319).
예를 들어, 감시 카메라(10)가 TV에 파워 턴 오프 명령을 전달하면, TV는 스스로 전원을 끌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부모는 영상 데이터를 통해 자녀가 현재 TV 앞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시할 수 있고, 나아가 본인의 TV에 대한 제어 권한을 인증 받은 후 TV의 전원을 끔으로써 자녀의 행동을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보안이 강화되고 적극적인 제어가 가능한 감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이벤트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이벤트 관련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감시 카메라(10)는 감시 영역을 촬영한다(S601).
이어서, 감시 카메라(10)가 영상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0)에 전송하면(S603), 사용자 단말(30)은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 기간 동안 제2 대상(20-2)에 대한 이벤트를 학습한다(S605).
사용자 단말(30)은 제2 대상(20-2)의 존재, 부재, 모션, 모션 정지 등을 이벤트로서 학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은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 기간 동안 소정 영역에 쓰레기 봉투가 부재하는 이벤트를 학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은 제1 대상(20-1)에 대응하는 제2 대상(20-2)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제2 대상(20-2)을 지정할 수도 있고, 감시 카메라(10)의 영상 데이터를 학습하여 제1 대상(20-1)과 위치, 기능 등이 관련된 제2 대상(20-2)을 추출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은 쓰레기 봉투에 대응하여 스피커를 제1 대상(20-1)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30)은 소정 기간 이후에 감시 카메라(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S607), 영상 데이터로부터 제2 대상(20-2)으로 인한 이벤트가 검출되면(S609), 미리 저장된 제2 대상(20-2)과 관련된 제1 대상(20-1)을 추출한다(S611).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은 소정 기간 이후에 수신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소정 영역에 쓰레기 봉투가 존재하는 이벤트를 검출하고, 쓰레기 봉투의 존재와 관련된 스피커를 추출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30)은 화면(31) 상에 제1 대상(20-1)에 대한 제어 도구(31a)를 표시한다(S613).
예를 들어, 제1 대상(20-1)이 스피커인 경우, 제어 도구(31a)는 제2 대상 식별 정보, 말하기 선택 버튼, 및 알람 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팝업창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은 이벤트에 대응하여 화면(31)에 제어 도구(31a)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2 대상(20-2)에 의해 이벤트가 발생한 사실을 알리고, 이벤트에 대응하여 제1 대상(20-1)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취할 수 있는 조치를 제안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30)은 제어 도구(31a)를 이용하여 제1 대상(20-1)의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S615).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은 화면(31)에 표시된 제어 도구(31a)의 알람 선택 버튼을 터치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30)은 감시 카메라(10)에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S617).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은 감시 카메라(10)에 제1 대상(20-1)의 알람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감시 카메라(10)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제1 대상(20-1)에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전달하고(S619), 제1 대상(20-1)은 제1 대상 제어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S621).
예를 들어, 감시 카메라(10)가 제1 대상(20-1)에 제1 대상(20-1)의 알람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전송하면, 제1 대상(20-1)은 제1 대상 제어 명령에 따라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감시 카메라(10)는 소정 영역에서 쓰레기 봉투의 존재가 검출되면, 소정 영역을 포함한 영역을 향하여 스피커를 통해 알람을 출력함으로써, 쓰레기 봉투를 무단 투기한 사람에게 소정 영역이 쓰레기 봉투 투기 영역이 아님을 경고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감시 카메라
20-1: 직접 제어 대상
20-2: 간접 제어 대상
30: 사용자 단말
40: 네트워크

Claims (15)

  1. 감시 카메라로부터 감시 영역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감시 카메라에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영상 데이터 및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도구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영상 데이터를 통해 표시된 상기 제1 대상을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 및 상기 제어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어 도구를 표시시키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카메라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에 상기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감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상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생체 정보 요청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생체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생체 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 대상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권한이 있다고 판단하는, 감시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생체 정보는 지문 정보, 홍채 정보, 얼굴 정보, 및 DNA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지문 인식 모듈, 홍채 인식 모듈, 얼굴 인식 모듈, 및 DNA 인식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상에 대응하는 제2 대상을 미리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제2 대상에 대한 이벤트를 학습하고, 상기 소정 기간 이후에 수신한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대상으로 인한 이벤트가 검출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2 대상과 관련된 상기 제1 대상을 추출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도구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어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4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4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감시 카메라에 상기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상기 감시 카메라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에 상기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감시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상은 상기 감시 카메라에 의해 직접적인 동작 제어가 가능한 대상이고,
    상기 제2 대상은 상기 감시 카메라에 의해 직접적인 동작 제어가 불가능한 대상인, 감시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2 대상의 존재, 부재, 모션, 및 모션 정지 중 적어도 하나를 가리키는, 감시 시스템.
  7.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감시 카메라로부터 감시 영역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디스플레이에 의해, 상기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영상 데이터를 통해 표시된 제1 대상을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권한이 있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도구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제어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감시 카메라에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카메라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에 상기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메모리에 의해, 상기 제1 대상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를 미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의해, 생체 정보 요청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생체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프로세스에 의해,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생체 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 대상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생체 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 대상에 대응하는 생체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권한이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에 따른 생체 정보는 지문 정보, 홍채 정보, 얼굴 정보, 및 DNA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지문 인식 모듈, 홍채 인식 모듈, 얼굴 인식 모듈, 및 DNA 인식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메모리에 의해, 상기 제1 대상에 대응하는 제2 대상을 미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제2 대상에 대한 이벤트를 학습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소정 기간 이후에 수신한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대상으로 인한 이벤트가 검출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2 대상과 관련된 상기 제1 대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도구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제어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4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감시 카메라에 상기 제4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카메라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에 상기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상은 상기 감시 카메라에 의해 동작 제어가 가능한 대상이고,
    상기 제2 대상은 상기 감시 카메라에 의해 동작 제어가 불가능한 대상인,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2 대상의 존재, 부재, 모션, 및 모션 정지 중 적어도 하나를 가리키는,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
  13. 메모리에 의해, 제1 대상에 대응하는 제2 대상을 미리 저장하는 단계;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감시 카메라로부터 감시 영역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 기간 동안 상기 제2 대상에 대한 이벤트를 학습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소정 기간 이후에 수신한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대상으로 인한 이벤트가 검출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2 대상과 관련된 상기 제1 대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소정 기간 이후에 수신한 영상 데이터 및 상기 제1 대상에 대한 제어 도구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제어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의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기 감시 카메라에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카메라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에 상기 제1 대상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상은 상기 감시 카메라에 의해 직접적인 동작 제어가 가능한 대상이고,
    상기 제2 대상은 상기 감시 카메라에 의해 직접적인 동작 제어가 불가능한 대상인,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제2 대상의 존재, 부재, 모션, 및 모션 정지 중 적어도 하나를 가리키는,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90085203A 2019-07-15 2019-07-15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040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203A KR102040939B1 (ko) 2019-07-15 2019-07-15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16/929,330 US11393330B2 (en) 2019-07-15 2020-07-15 Surveillance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203A KR102040939B1 (ko) 2019-07-15 2019-07-15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0939B1 true KR102040939B1 (ko) 2019-11-27

Family

ID=68729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203A KR102040939B1 (ko) 2019-07-15 2019-07-15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393330B2 (ko)
KR (1) KR1020409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7257A (ko) * 2009-12-14 2011-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보안관제서버 및 보안관제서버의 영상데이터 관리 방법
KR101272653B1 (ko) * 2011-12-19 2013-06-12 윤영제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
KR20180094763A (ko) * 2017-02-16 2018-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측정 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시스템
KR101972743B1 (ko) * 2018-06-27 2019-04-25 (주)비전정보통신 셉티드 조명장치 기반 범죄행동인식을 이용한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0886B2 (ja) 1997-01-29 2005-08-10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遠隔操作装置
KR20060017156A (ko) 2004-08-20 2006-02-23 아이피원(주)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100008640A (ko) 2008-07-16 2010-01-26 주식회사 네오텔레콤 씨씨티비와 연동된 근거리 무선통신 리모컨을 이용한 위험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근거리 무선통신 리모컨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기기
US10277888B2 (en) * 2015-01-16 2019-04-30 Qualcomm Incorporated Depth triggered event feature
KR20160113440A (ko) 2015-03-20 2016-09-29 (주)로보와이즈 가전제어기를 구비한 홈로봇을 이용한 원격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6631619B2 (ja) * 2015-03-27 2020-01-15 日本電気株式会社 映像監視システム及び映像監視方法
KR101847200B1 (ko) 2015-12-23 2018-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9033858B (zh) * 2016-02-17 2020-08-25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人脸识别的图像保护方法及装置
US10475315B2 (en) * 2016-03-22 2019-11-12 Sensormatic Electron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surveillance cameras using mobile computing devices
US11321592B2 (en) * 2018-04-25 2022-05-03 Avigilo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an object-of-interest without any required tracking tag ther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7257A (ko) * 2009-12-14 2011-06-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보안관제서버 및 보안관제서버의 영상데이터 관리 방법
KR101272653B1 (ko) * 2011-12-19 2013-06-12 윤영제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
KR20180094763A (ko) * 2017-02-16 2018-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측정 기기 및 이를 포함하는 사물 인터넷 시스템
KR101972743B1 (ko) * 2018-06-27 2019-04-25 (주)비전정보통신 셉티드 조명장치 기반 범죄행동인식을 이용한 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20027A1 (en) 2021-01-21
US11393330B2 (en)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2716B2 (en) Display apparatus with a sensor and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427517B (zh) 使用蓝牙低能量设备在bim中自动配置设备的系统和方法
JP5144446B2 (ja) 空気調和装置
US7940709B2 (en) Service provision at a network access point
KR20070029760A (ko) 감시 장치
KR101637007B1 (ko) 위급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US20130016211A1 (en) Home Surveillance Device
CN105844209B (zh) 基于红外辐射探测的访客识别
EP3079132B1 (en) Wifi access based actions/scenes execution in home automation security panels
US20130021473A1 (en) Home Surveillance Device
EP3142089B1 (en) System arm notification based on ble position
US9846487B2 (en) Method of using PIR arrays for gesture recognition in security systems
CN117529754A (zh) 用于设备上人员辨识和智能警报的供应的系统和方法
CN109491268B (zh) 一种具有隐私保护功能的智能装置
KR102040939B1 (ko)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JP6566694B2 (ja) 制御装置、冷蔵庫、冷蔵庫撮影制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036056A1 (en)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thereof
KR20140106342A (ko) 자동 녹화 및 실시간 영상 통화가 가능한 가정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시스템
CN109960152B (zh) 家电系统以及家电设备
Bulusu et al. Smart and secure home automation using internet of things enabling technologies
JP2013247461A (ja) カメラ制御装置及びカメラ制御方法
US20220237918A1 (en) Monitoring camera and learning model setting support system
KR20180117419A (ko)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79012A (ko) 스마트 미러를 이용한 농장 관리 시스템
US11521384B1 (en) Monitoring system integration with augmented reality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