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846B1 - 레이저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846B1
KR102040846B1 KR1020180035210A KR20180035210A KR102040846B1 KR 102040846 B1 KR102040846 B1 KR 102040846B1 KR 1020180035210 A KR1020180035210 A KR 1020180035210A KR 20180035210 A KR20180035210 A KR 20180035210A KR 102040846 B1 KR102040846 B1 KR 102040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housing
light source
laser light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3057A (ko
Inventor
조성우
Original Assignee
조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우 filed Critical 조성우
Priority to KR1020180035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846B1/ko
Priority to PCT/KR2018/014773 priority patent/WO2019190020A1/ko
Publication of KR20190113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9Beam shaping, e.g. changing the cross-sectional are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B27/0905Dividing and/or superposing multiple light bea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레이저빛을 조사하는 레이저광원부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조작홈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조작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내에서 상기 레이저빛이 이동하는 광경로 상에 배치되되 서로 상대이동 가능한 제1렌즈와 제2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 또는 제2렌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조작부에 연동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제1렌즈 및 제2렌즈 사이의 상대거리가 조절되면, 상기 제1렌즈와 제2렌즈 사이의 상대거리에 따라서 레이저빛이 점광원과 선광원으로 변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조작부를 조작하여 레이저빛을 점 또는 선 형태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조사할 수 있어 레이저 표시장치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되고, 레이저 표시장치의 활용범위가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레이저 표시장치{Lase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레이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원하는 지점에 레이저를 이용한 점 또는 선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이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표시장치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이격된 위치를 지시하거나 레벨을 측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일례로, 레이저 표시장치 중 하나인 레이저 포인터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전방에 렌즈가 구성되고 후방에는 전원인 배터리 및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스위치로 구성된다. 레이저 포인터는 사용자가 스위치를 작동하여 배터리의 전원이 레이저 다이오드에 공급되면, 레이저 다이오드가 턴온되면서 레이저 포인터의 전방으로 레이저가 조사되는 방식으로 동작된다.
이와 같은 레이저 포인터는 회의, 건설현장 및 설명회 등에서 챠트 또는 프리젠테이션 화면을 지시하는 지시봉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의 레이저 포인터는 이격된 위치의 어느 한 점을 가리키는데 그치며, 사용자가 원하는 선이나 문양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별도의 필터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971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점 또는 선을 표시할 수 있는 레이저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레이저빛을 조사하는 레이저광원부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조작홈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저광원부의 전원을 ON/OFF 하는 조작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내에서 상기 레이저빛이 이동하는 광경로 상에 배치되되 서로 상대이동 가능한 제1렌즈와 제2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 또는 제2렌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조작부에 연동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제1렌즈 및 제2렌즈 사이의 상대거리가 조절되면, 상기 제1렌즈와 제2렌즈 사이의 상대거리에 따라서 레이저빛이 점광원과 선광원으로 변환되고, 상기 제1렌즈는 상기 레이저광원부와 인접하여 렌즈고정부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2렌즈는 상기 조작부와 연동되는 렌즈제어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1렌즈와의 거리가 조절되며, 상기 렌즈제어부는 상기 조작부가 연동되도록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상태에 따라서 상기 레이저광원부를 ON/OFF 시키는 몸체부와, 상기 제2렌즈가 안착되는 렌즈안착부와, 상기 렌즈안착부와 상기 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렌즈제어부(300)의 몸체부가 상기 조작부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레일이 더 형성된다.
상기 제1렌즈는 볼록렌즈로 형성되고, 상기 제2렌즈는 볼록 또는 오목렌즈이다.
상기 레이저빛은 상기 제2렌즈가 상기 제1렌즈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선광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렌즈와 상기 제1렌즈와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점광원으로 변환된다.
상기 제1렌즈의 볼록렌즈는 평-볼록 렌즈(plano-convex lens)이다.
상기 제2렌즈가 볼록렌즈면 평-볼록 렌즈(plano-convex lens)이고, 오목렌즈면 평-오목 렌즈(plano-concave lens)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르면, 내부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되, 전, 후방으로 나뉘어 거리가 조절되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설치되어 레이저빛을 조사하는 레이저광원부와, 상기 제1하우징에 형성된 조작홈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저광원부의 전원을 ON/OFF 하는 조작부와,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내부공간 내에서 상기 레이저빛이 이동하는 광경로 상에 각각 배치되되 서로 상대이동 가능한 제1렌즈와 제2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제1렌즈 또는 제2렌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제1렌즈 및 제2렌즈 사이의 상대거리가 조절되면, 상기 제1렌즈와 제2렌즈 사이의 상대거리에 따라서 레이저빛이 점광원과 선광원으로 변환된다.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상대거리가 조절된다.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에는 각각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을 회전시켜 상대거리가 조절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표시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조작부를 조작하여 레이저빛을 점 또는 선 형태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조사할 수 있어 레이저 표시장치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되고, 레이저 표시장치의 활용범위가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저빛을 선 형태로 조사하기 위하여 별도의 필터를 삽입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없이, 조작부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하여 레이저빛을 선 형태로 변경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서 조작부를 조작하는 정도에 따라 레이저빛이 선 형태로 조사되는 범위(길이)가 달리지므로, 본 발명의 레이저 표시장치를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넷째, 본 발명에 의하면 두 렌즈들 사이의 상대거리를 조절하여 점 또는 선 형태로 출사하는 것이므로 기존의 레이저 표시장치들과 비교하여 부품수가 크게 증가하지 않고 내부 구성도 매우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표시장치가 점광원을 출사할 때의 하우징 내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표시장치가 선광원을 출사할 때의 하우징 내부 구성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표시장치가 점광원을 출사할 때의 하우징 내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표시장치가 선광원을 출사할 때의 하우징 내부 구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표시장치의 레이저빛이 제1렌즈와 볼록렌즈인 제2렌즈를 통과할 때의 광경로를 화살표로 표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표시장치의 레이저빛이 제1렌즈와 오목렌즈인 제2렌즈를 통과할 때의 광경로를 화살표로 표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레이저 표시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레이저 표시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상기 레이저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100)은 제1하우징(101) 및 제2하우징(102)으로 나뉜다. 상기 제1하우징(101)에는 상기 레이저 표시장치의 전원을 ON/OFF 할 수 있는 조작부(104)가 일정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조작홈(10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부(104)는 상기 제1하우징(101)의 외부로 돌출되어 나와 있으며, 상기 조작부(104)를 가압하면 상기 후술할 렌즈제어부(300)가 상기 조작부(104)와 연동되어 이동한다. 상기 조작부(104)를 가압하면 상기 렌즈제어부(300)가 연동하여 상기 레이저 표시장치의 전원을 ON/OFF 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104)를 한 번 가압하면 상기 레이저 표시장치는 전원이 ON으로 전환되어 레이저가 출사되고, 상기 제1하우징(101)에 일정경로로 형성된 조작홈(105)을 따라 상기 조작부(104)를 이동시키면 이와 연동하여 상기 렌즈제어부(300)가 이동하게 되어 점광원과 선광원이 선택적으로 출사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레이저 표시장치의 구성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하우징(101)과 제2하우징(102)의 끝부분에는 출사부(103)가 설치된다. 상기 출사부(103)는 상기 제1하우징(101)과 제2하우징(102)에 감싸지도록 결합하여 고정된다.
상기 출사부(103)의 반대편에는 배터리(400)가 배치된다. 상기 배터리(400)는 레이저를 출사하는 레이저광원부(20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상기 레이저광원부(200)와 배터리(400)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데, 상기 간격에는 후술할 렌즈제어부(300)의 구성들이 놓인다.
상기 레이저광원부(200)가 레이저를 출사시키면 레이저의 경로 상에 놓여있는 제1렌즈(L1)와 제2렌즈(L2)를 통과하고 상기 출사부(103)를 통해 레이저가 출사된다.
상기 제1렌즈(L1)는 상기 레이저광원부(200)의 바로 앞에 놓여 렌즈고정부(304)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레이저광원부(200)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를 집속시킨다. 상기 제1렌즈(L1)를 거친 레이저는 상기 제2렌즈(L2)를 통과한 후, 상기 출사부(103)를 통해 출사된다.
상기 제2렌즈(L2)는 상기 렌즈제어부(300)의 렌즈안착부(303)에 안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렌즈제어부(300)는 상기 조작부(104)와 연동하여 상기 렌즈제어부(300)를 이동시키는 몸체부(301), 상기 제2렌즈(L2)가 안착되는 렌즈안착부(303) 및 상기 렌즈안착부(303)와 몸체부(301)를 연결시켜주는 연결부(302)로 구성되며, 이들 구성은 각각 기계적 결합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고,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301)는 상기 배터리(400)와 레이저광원부(200)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데, 상기 조작부(104)를 가압하면, 상기 몸체부(301)가 같이 가압되면서 상기 레이저광원부(200)와 배터리(4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서 레이저 표시장치의 전원을 OFF에서 ON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상기 렌즈제어부(300)의 몸체부(301) 구성이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301)의 상부에는 돌기(301')가 돌출되어 있는데, 상기 돌기(301')는 상기 조작부(104)와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돌기(301')는 상기 조작부(104)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기 렌즈제어부(300)가 움직이도록 상기 몸체부(301)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는 상기 렌즈안착부(303)에 상기 제2렌즈(L2)가 안착되어 있는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렌즈안착부(303)는 상기 제2렌즈(L2)가 안착되도록 렌즈의 형상에 맞게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렌즈안착부(303)에는 연결부(302)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302)는 상기 몸체부(301)와 연결된다. 상기 렌즈안착부(303), 연결부(302), 몸체부(301)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302)는 상기 제2하우징(102)에 안착되는데, 상기 제2하우징(102)에는 상기 몸체부(301)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레일(10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하우징(101)으로 돌출되어 있는 조작부(104)를 이동시키면, 상기 조작부(104)와 연결된 렌즈제어부(300)의 몸체부(301)가 상기 안내레일(106)을 따라 움직이며, 상기 제1렌즈(L1)와 제2렌즈(L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렌즈제어부(300)의 몸체부(301), 연결부(302), 렌즈안착부(303)는 모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조작부(104)를 움직이면, 상기 렌즈제어부(300)의 구성 전체가 상기 조작부(104)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몸체부(301)가 안내레일(106) 사이에서 슬라이딩 운동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레이저 표시장치에서 점광원과 선광원이 선택적으로 출사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8을 참조하면, 상기 레이저 광원부에서 출사된 레이저는 점광원으로 출사되며, 상기 제1렌즈(L1)와 제2렌즈(L2)를 통과하여 상기 출사부(103)를 통해 출사된다.
상기 제1렌즈(L1)는 상기 렌즈고정부(304)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어 집광렌즈의 역할을 하며 상기 레이저 광원부에서 출사되는 레이저를 보다 더 밀집시킨다. 상기 제1렌즈(L1)로 인해 레이저의 밀도가 증가하여 더 멀리 있는 물체도 레이저로 정확하게 가리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렌즈(L1)는 빛을 모아주는 역할을 하므로 볼록렌즈로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렌즈 한 쪽이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평-볼록 렌즈(plano-convex lens)일 수 있다. 상기 제1렌즈(L1)는 도 7과 같이 상기 레이저 광원부가 배치된 반대 측면에 평탄한 면이 오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렌즈(L2)는 상기 렌즈안착부(303)에 안착되어 이동하며, 상기 제1렌즈(L1)를 통과하여 밀집된 레이저를 점광원 또는 선광원으로 출사시킨다. 이것은 상기 제2렌즈(L2)가 상기 제1렌즈(L1)의 초점(f)거리 내에 있는지 밖에 있는지에 따라 달라지는데, 도 7은 상기 제2렌즈(L2)가 상기 제1렌즈(L1)의 초점(f)거리 밖에 배치되어 움직이는 형상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상기 제2렌즈(L2)가 상기 제1렌즈(L1)의 초점(f)거리 안에 배치되어 움직이는 형상을 도시화 한 것이다.
상기 제1렌즈(L1)의 초점(f)거리는 상기 제1렌즈(L1)의 형상에 따라 달라지므로 필요에 따라 다르게 가공하여 초점(f)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L1)의 초점(f)거리 밖에 배치된 제2렌즈(L2)가 볼록렌즈로 형성되면, 도 7a, 7b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상기 제1렌즈(L1)와 제2렌즈(L2)의 사이가 가까우면 점광원으로 출사되고, 상기 제1렌즈(L1)와 제2렌즈(L2)의 사이가 멀어질수록 레이저는 점광원에서 선광원으로 점차 변환되어 출사된다.
반대로, 상기 제1렌즈(L1)의 초점(f)거리 안에 배치된 제2렌즈(L2)가 오목렌즈로 형성되었을 때는 도 8a, 8b에 도시된 그림과 같이 상기 제1렌즈(L1)와 제2렌즈(L2)의 사이가 멀면 점광원으로 출사되고, 상기 제1렌즈(L1)와 제2렌즈(L2)의 사이가 가까워질수록 레이저는 점광원에서 선광원으로 점차 변환되어 출사된다.
이때, 상기 제2렌즈(L2)의 볼록렌즈는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한 쪽이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평-볼록 렌즈(plano-convex lens), 오목렌즈는 렌즈 한 쪽이 평탄면으로 이루어진 평-오목 렌즈(plano-concave lens)일 수 있다.
다음으로, 레이저 표시장치의 작동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레이저 표시장치가 OFF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104)를 가압하면 상기 조작부(104)와 연결된 몸체부(301)가 같이 가압되고, 상기 레이저광원부(200)와 배터리(4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상기 레이저 표시장치의 전원을 ON 상태로 전환시킨다.
상기 조작부(104)를 가압하여 전원을 ON 상태로 전환시키면 상기 레이저 광원부에서 출사된 레이저는 점광원으로 출사된다. 상기 조작부(104)를 이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1렌즈(L1)와 제2렌즈(L2) 사이의 거리가 짧은 상태이므로 점광원 상태의 레이저가 상기 출사부(103)를 통해 그대로 출사된다.
상기 조작부(104)를 상기 제1하우징(101)에 형성된 조작홈(105)을 따라서 이동시키면, 상기 렌즈제어부(300)의 몸체부(301)가 상기 조작부(104)와 같은 방향으로 함께 이동한다. 상기 몸체부(301)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연결부(302) 및 렌즈안착부(303) 역시 상기 조작부(104)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상기 렌즈안착부(303)에 안착된 제2렌즈(L2)도 같이 움직인다. 상기 제1렌즈(L1)는 상기 레이저광원부(200) 앞에서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1렌즈(L1)와 제2렌즈(L2) 사이의 거리는 상기 조작부(104)가 움직임에 따라 멀어지게 된다.
상기 제2렌즈(L2)가 상기 제1렌즈(L1)의 초점(f)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레이저는 점광원에서 점차 선광원으로 변환되고, 상기 조작부(104)가 상기 조작홈(105)의 끝에 다다르면, 상기 출사부(103)를 통해서 가장 긴 선광원이 출사되게 된다.
다시 상기 조작부(104)이 상기 조작홈(105)의 처음 자리로 이동하면, 상기 제2렌즈(L2)도 연동하여 움직이며, 상기 제1렌즈(L1)와 제2렌즈(L2)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된다.
상기 제2렌즈(L2)가 상기 제1렌즈(L1)의 초점(f)과 가까워지면 선광원으로 출사되던 레이저는 다시 점광원으로 돌아온다.
상기 레이저광원부(200)로 부터 출사되는 레이저가 점광원으로 돌아온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104)를 한번 더 가압하면, ON이었던 레이저 표시장치의 전원은 OFF로 전환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하우징(100)을 구성하는 제1하우징(101) 및 제2하우징(102)이 도 2와 같이 상부, 하부로 나뉘는 것이 아니라 전방, 후방으로 나뉘어 상기 렌즈제어부(300)의 구성 없이 상기 제1하우징(101) 및 제2하우징(102)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제1렌즈(L1) 및 제2렌즈(L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도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하우징(101)의 내부에는 제1렌즈(L1)가 고정되고, 상기 제2하우징(102)의 내부에는 제2렌즈(L2)가 고정되어 상기 제1하우징(101) 또는 제2하우징(102)의 상대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제1렌즈(L1) 및 제2렌즈(L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실현하기 위해서, 상기 제1하우징(101)과 제2하우징(102)은 서로 직경을 달리하여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하우징(101)의 외면 및 상기 제2하우징(102)의 내면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하우징(101) 또는 제2하우징(102)을 회전시켜 거리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하우징 101 : 제1하우징
102 : 제2하우징 103 : 출사부
104 : 조작부 105 : 조작홈
106 : 안내레일 200 : 레이저광원부
300 : 렌즈제어부 301 : 몸체부
301' : 돌기 302 : 연결부
303 : 렌즈안착부 304 : 렌즈고정부
400 : 배터리 L1 : 제1렌즈
L2 : 제2렌즈 f : 초점

Claims (11)

  1. 내부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레이저빛을 조사하는 레이저광원부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조작홈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이저광원부의 전원을 ON/OFF 하는 조작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내에서 상기 레이저빛이 이동하는 광경로 상에 배치되되 서로 상대이동 가능한 제1렌즈와 제2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렌즈 또는 제2렌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조작부에 연동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제1렌즈 및 제2렌즈 사이의 상대거리가 조절되면, 상기 제1렌즈와 제2렌즈 사이의 상대거리에 따라서 레이저빛이 점광원과 선광원으로 변환되고,
    상기 제1렌즈는 상기 레이저광원부와 인접하여 렌즈고정부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2렌즈는 상기 조작부와 연동되는 렌즈제어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1렌즈와의 거리가 조절되며,
    상기 렌즈제어부는
    상기 조작부가 연동되도록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상태에 따라서 상기 레이저광원부를 ON/OFF 시키는 몸체부와,
    상기 제2렌즈가 안착되는 렌즈안착부와,
    상기 렌즈안착부와 상기 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표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렌즈제어부의 몸체부가 상기 조작부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레일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볼록렌즈로 형성되고,
    상기 제2렌즈는 볼록 또는 오목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빛은
    상기 제2렌즈가 상기 제1렌즈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선광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렌즈와 상기 제1렌즈와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점광원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표시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의 볼록렌즈는 평-볼록 렌즈(plano-convex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표시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가 볼록렌즈면 평-볼록 렌즈(plano-convex lens)이고, 오목렌즈면 평-오목 렌즈(plano-concave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표시장치.
  9. 내부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되, 전, 후방으로 나뉘어 거리가 조절되는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설치되어 레이저빛을 조사하는 레이저광원부와,
    상기 제1하우징에 형성된 조작홈을 따라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이저광원부의 전원을 ON/OFF 하는 조작부와,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내부공간 내에서 상기 레이저빛이 이동하는 광경로 상에 각각 배치되되 서로 상대이동 가능한 제1렌즈와 제2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제1렌즈 또는 제2렌즈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이동하면서 상기 제1렌즈 및 제2렌즈 사이의 상대거리가 조절되면, 상기 제1렌즈와 제2렌즈 사이의 상대거리에 따라서 레이저빛이 점광원과 선광원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상대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표시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에는 각각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을 회전시켜 상대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표시장치.
KR1020180035210A 2018-03-27 2018-03-27 레이저 표시장치 KR102040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210A KR102040846B1 (ko) 2018-03-27 2018-03-27 레이저 표시장치
PCT/KR2018/014773 WO2019190020A1 (ko) 2018-03-27 2018-11-28 레이저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210A KR102040846B1 (ko) 2018-03-27 2018-03-27 레이저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057A KR20190113057A (ko) 2019-10-08
KR102040846B1 true KR102040846B1 (ko) 2019-11-27

Family

ID=68062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210A KR102040846B1 (ko) 2018-03-27 2018-03-27 레이저 표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0846B1 (ko)
WO (1) WO201919002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909Y1 (ko) * 2004-10-25 2005-01-26 손진호 빔 길이 조정형 레이저 프로젝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0148A (en) * 1994-04-18 1995-09-12 Yu S. Lin Laser pointer with selectable pointer patterns
KR960027831U (ko) * 1995-01-23 1996-08-17 선형 레이저 지시봉
KR20050092674A (ko) * 2004-06-02 2005-09-22 이보형 탈부착식 레이저포인터를 구비한 휴대폰 단말기장치
KR100774397B1 (ko) * 2004-12-30 2007-11-08 주식회사 멤스웨어 레이저포인터
JP2011197340A (ja) * 2010-03-19 2011-10-06 Kopeck Japan:Kk レーザーポインタ
KR101509719B1 (ko) 2013-07-29 2015-04-07 (주)초이스테크놀로지 전원공급장치 및 레이저 포인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909Y1 (ko) * 2004-10-25 2005-01-26 손진호 빔 길이 조정형 레이저 프로젝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0020A1 (ko) 2019-10-03
KR20190113057A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03944A1 (en) Distance Measuring Device
WO2006086700A3 (e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pparatus and methods
US20150108376A1 (en) Distance Measuring Photoelectric Sen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 Projection Spot Thereof
JP2020515878A (ja) 電力送達およびビーム切り替えのためのファイバ束を利用するレーザシステム
US20150138763A1 (en) Lighting device construction
WO2016103411A1 (ja) 光源装置
EP2884302B1 (en) Photoelectric sensor
KR102040846B1 (ko) 레이저 표시장치
CN100464287C (zh) 光学输入设备和测量物体与光学输入设备之间相对运动的方法
KR101527002B1 (ko) 레이저빔 발생장치
CN109143594A (zh) 一种像差控制的线激光能量匀化系统
US10253968B2 (en) Push-button switch operating portion with diverging and converging lens
JP6740094B2 (ja) 照明装置
US20160208988A1 (en) Adjustable laser illumination pattern
JP2002072310A5 (ko)
KR101796586B1 (ko) 레이저 표시장치
US9632392B1 (en) Lens assembly with a linear guide system
JP5573184B2 (ja) 線状光源装置
US6845119B2 (en) Laser illuminating apparatus for illuminating a strip-shaped or linear area
KR102264838B1 (ko) 레이저 표시장치
US6497049B1 (en) Optical position-measuring device
JPS6384329A (ja) リモ−トコントロ−ル装置
JPH09223822A (ja) 可変指向性光装置
KR101911051B1 (ko) 레이저 표시장치
JP2020025039A (ja) 外部共振器型半導体レー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