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711B1 - 규산보르도액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규산보르도액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711B1
KR102040711B1 KR1020180042548A KR20180042548A KR102040711B1 KR 102040711 B1 KR102040711 B1 KR 102040711B1 KR 1020180042548 A KR1020180042548 A KR 1020180042548A KR 20180042548 A KR20180042548 A KR 20180042548A KR 102040711 B1 KR102040711 B1 KR 102040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ilicic acid
silicate solution
bo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9293A (ko
Inventor
조지현
신정우
박수혁
Original Assignee
(주)씨엠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엠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씨엠씨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042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711B1/ko
Publication of KR20190119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7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2Sulfur; Selenium; Tellur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08Alkali metal chlorides; Alkaline earth metal chlor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01N59/20Copp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산구리 또는 유황 1~20중량부, 가용성 규산 20~39중량부,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35~45중량부 및 물 16~24중량부를 포함하는 규산보르도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규산보르도액은 딸기 잿빛곰팡이병, 벼 도열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등 다양한 병해의 방제에 효과적이고, 석회 대신 가용성 규산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석회로 인하여 발생되던 약흔, 석회가루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규산보르도액 및 그 제조방법{Bordeaux Mixture using silicic acid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규산보르도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석회 대신 가용성 규산을 사용하여 제조한 규산보르도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르도액(Bordeaux Mixture)은 석회 보르도액이라고도 하며, 19세기 말 프랑스의 보르도시 지역 포도재배지에서 황산구리와 석회의 혼합물이 포도 노균병에 효과가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보르도액이라 명명하고 사용하게 되었다.
보르도액은 저렴하고 광범위한 병해충에 효과가 있으므로 과수나 화훼작물에 보호 살균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보르도액은 각종 작물에 발생하는 병원균의 침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병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르도액은 사용목적에 따라 황산구리와 석회의 혼합 비율을 달리하여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보르도액을 살포하면 식물체 표면에 엷은 막을 형성하게 되고, 이것은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나 탄산을 함유한 이슬 또는 식물이나 균의 분비액에 의하여 가용상태의 구리염으로 전환된다.
전환된 구리염은 병원균과 접하게 되고 일부는 병원균 내에 침투되어 균의 생리작용을 저해시키거나 구리 이온에 의한 과도한 산화촉진 등에 의하여 균의 생리작용을 교란시켜 살균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보르도액은 오래 두면 염기성 황산구리의 입자가 커져서 약효가 떨어지므로, 제조 후 즉시 살포하는 것이 좋다. 또한 살포 전에 전착제를 가해서 사용하면 부착력이 좋아진다.
석회와 황산구리를 혼합한 일반 보르도액은, 물과 석회를 반응시킬 때 석회의 용해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보르도액 중 다량의 석회가루가 잔존하게 되며 이러한 석회로 인해 약흔이 남고, 작물 대상에 따라서는 구리 이온이나 석회의 농도에 따른 약해가 생길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규산은 화본과 작물이 다량 요구하는 필수적인 양분으로, 작물체내 규산, 칼륨, 리그닌 등을 증가시켜 줄기를 강하게 하여 도복을 경감시키며, 잎의 직립을 유지시켜 광합성 효율 및 미질을 향상시킨다. 또한, 도열병 등의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이외에도 논 토양의 pH를 교정하고 인산 이용 효율을 증대시키며, 뿌리의 산화력을 증가시켜 철이나 망간의 독성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75720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20654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46208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7-0004865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85205호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석회 대신 가용성 규산을 이용하여 제조한 규산보르도액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산구리 또는 유황 1~20중량부, 가용성 규산 20~39중량부,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35~45중량부 및 물 16~24중량부를 포함하는 규산보르도액을 제공한다.
상기 규산보르도액은 상기 규산보르도액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10중량부의 아인산(H3PO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규산보르도액에서, 상기 가용성 규산은 규산나트륨(Na2SiO3), 메타규산(H2SiO3) 및 규산칼륨(K2SiO3) 중 선택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35~45중량부를 물 16~24중량부에 용해시켜 용해액을 얻는 단계; 상기 용해액을 교반하면서 황산구리 또는 유황 1~20중량부와 가용성 규산 20~39중량부를 서서히 첨가하여 혼합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규산보르도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규산보르도액에 규산보르도액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10중량부의 아인산(H3PO3)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상기 가용성 규산은 규산나트륨(Na2SiO3), 메타규산(H2SiO3) 및 규산칼륨(K2SiO3) 중 선택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규산보르도액은 딸기 잿빛곰팡이병, 벼 도열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등 다양한 병해의 방제에 효과적이다.
또한, 석회 대신 가용성 규산을 사용함으로써 기존 석회로 인하여 발생되던 약흔, 석회가루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가용성 규산은 물에 100% 용해되므로 식물에 효과적인 비료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황산구리 또는 유황 1~20중량부, 가용성 규산 20~39중량부,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35~45중량부 및 물 16~24중량부를 포함하는 규산보르도액에 관한 것이다.
황산구리와 유황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규산은 가용성 규산을 사용한다. 가용성 규산의 예로는 규산나트륨(Na2SiO3), 메타규산(H2SiO3), 규산칼륨(K2SiO3) 등이 있다.
먼저,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35~45중량부를 물 16~24중량부에 용해시킨다.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40중량부를 물 20중량부에 용해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이 물에 용해된 용해액을 교반하면서 황산구리 또는 유황 1~20중량부와 가용성 규산 20~39중량부를 서서히 첨가하여 용해시켜 규산보르도액을 얻는다.
얻어진 규산보르도액은 필요에 따라 물을 첨가하여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규산보르도액은 아인산(H3PO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인산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규산보르도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인산을 첨가함으로써 기본적으로는 비료의 3요소 중 하나인 인산비료로서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작물 역병에 대해서도 강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역병이 예상되는 포장이나 인산 비료가 부족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아인산을 첨가함으로써 위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규산보르도액은 대상식물에 병해가 발생하기 전 예방을 위하여 처리하거나, 병해가 발병하였을 때 방제를 위하여 처리할 수 있다. 병해가 발생하였을 때는 발병초기에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00배로 희석하여 7일 간격으로 3회 경엽처리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수산화나트륨 400g을 물 200g에 용해시킨 후 교반하면서 황산구리 50g과 가용성 규산 350g을 서서히 첨가하여 완전히 혼합하여 규산보르도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규산보르도액에 물을 가하여 1ℓ의 규산보르도액을 얻었다.
<실시예 2>
수산화나트륨 400g을 물 200g에 용해시킨 후 교반하면서 유황 50g과 가용성 규산 350g을 서서히 첨가하여 완전히 혼합하여 규산보르도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규산보르도액에 물을 가하여 1ℓ의 규산보르도액을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얻은 보르도액에 아인산 50g을 추가하여 혼합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2에서 얻은 보르도액에 아인산 50g을 추가하여 혼합하였다.
<실험예 1>
딸기 잿빛곰팡이병에 대한 방제 효과
본 발명의 규산보르도액의 딸기 잿빛곰팡이에 대한 방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작물은 딸기(금향)이고, 대상병해는 딸기 잿빛곰팡이병(Botrytis cinerea)이다.
시험약제로는 실시예 1의 규산과 황산구리를 포함하는 규산보르도액와, 실시예 2의 규산과 유황을 포함하는 규산보르도액을 사용하였고, 대조구로는 디클로프루아니드 수화제(대조구 1)를 사용하였으며, 무처리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대조구 1의 약제를 500배 희석하여 발병초 7일 간격으로 3회 경엽에 처리하였다.
딸기 잿빛곰팡이에 대한 방제효과는 구당 전과(200과 이상)에 대한 이병과율을 조사하여 확인하였다. 이병과율은 3회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약제 이병과율(%) 방제가
1반복 2반복 3반복 평균
실시예 1 12.70 14.30 17.80 14.93 49.49
실시예 2 13.50 14.20 16.80 14.83 49.83
대조구 14.60 10.40 13.50 12.83 56.60
무처리 24.50 32.00 32.20 29.57 -
<실험예 2>
약해시험
본 발명의 규산보르도액의 약해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약해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작물로는 딸기(금향)를 사용하였다. 시험약제로는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규산보르도액을 사용하였으며, 기준량인 500배 희석액과 배량인 250배 희석액을 사용하였다.
약해여부는 경엽에 나타나는 약해유무를 달관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약제 시험작물
(품종)
약해정도(0-5) 비고
기준량 배량
실시예 1 딸기
(금향)
0 0 약해없음
실시예 2 0 0 약해없음
<실험예 3>
도열병에 대한 방제 효과
본 발명의 규산보르도액의 벼 도열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작물은 벼(주남)이고, 대상병해는 벼 도열병(Magnaporthe gresea)이다.
시험약제로는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규산보르도액을 사용하였고, 대조구로는 트리사이클라졸 액상수화제(대조구 2)를 사용하였으며, 무처리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각 시험약제의 처리내용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약제 약효시험
희석배수 및 사용량 처리시기 및 방법
실시예 1 500배 발병초 7일간격 3회 경엽처리
실시예 2 500배 발병초 7일간격 3회 경엽처리
대조구 2 2000배 발병초 7일간격 3회 경엽처리
무처리 - -
벼 도열병에 대한 방제효과는 처리구당 20주씩 선택하여 이병과율을 조사하여 확인하였다. 이병과율은 3회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약제 이병과율(%) 방제가
1반복 2반복 3반복 평균
실시예 1 13.84 14.27 15.54 14.55 59.30
실시예 2 12.68 15.24 15.84 14.59 59.20
대조구 2 11.63 12.54 10.87 11.68 67.33
무처리 35.45 33.15 38.65 35.75 -
<실험예 4>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방제 효과
본 발명의 규산보르도액의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작물은 벼(주남)이고, 대상병해는 벼 잎집무늬마름병(Rizoctonia solani)이다.
시험약제로는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규산보르도액을 사용하였고,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대조구로는 헥사코나졸 유제(대조구 3)를 사용하였으며, 무처리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각 시험약제의 처리내용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시험약제 약효시험
희석배수 및 사용량 처리시기 및 방법
실시예 1 500배 발병초 7일간격 3회 경엽처리
실시예 2 500배 발병초 7일간격 3회 경엽처리
대조구 3 1000배 발병초 7일간격 3회 경엽처리
무처리 - -
벼 잎집무늬마름병에 대한 방제효과는 처리구당 20주씩 선택하여 이병과율을 조사하여 확인하였다. 이병과율은 3회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시험약제 이병과율(%) 방제가
1반복 2반복 3반복 평균
실시예 1 11.35 9.10 8.20 9.55 60.11
실시예 2 10.84 9.68 7.68 9.40 60.74
대조구 3 9.54 6.35 6.95 7.61 68.20
무처리 26.24 24.35 21.23 23.94 -
<실험예 5>
증수효과
본 발명의 규산보르도액의 벼 증수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작물로는 벼(주남)를 사용하였다.
시험약제로는 실시예 1과 실시예 2의 규산보르도액을 사용하였고, 대조구로는 트리사이클라졸 액상수화제(대조구 2)와 헥사코나졸 유제(대조구 3)을 사용하였으며, 무처리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각 시험약제의 처리내용을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시험약제 약효시험
희석배수 및 사용량 처리시기 및 방법
실시예 1 500배 발병초 7일간격 3회 경엽처리
실시예 2 500배 발병초 7일간격 3회 경엽처리
대조구 2 2000배 발병초 7일간격 3회 경엽처리
대조구 3 1000배 발병초 7일간격 3회 경엽처리
무처리 - -
증수효과는 각 처리구에 대하여 벼알, 쭉정이, 이삭무게, 이삭길이를 측정하는 수량조사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시험약제 벼알수(개) 쭉정이수(개) 이삭무게(g) 이삭길이(cm)
실시예 1 125 0.5 4.86 16.60
실시예 2 122 0.6 4.77 16.50
대조구 2 107 3.0 4.10 14.50
대조구 3 110 1.5 4.55 15.50
무처리 110 4.5 3.45 13.00

Claims (6)

  1. 황산구리 1~20중량부, 가용성 규산 20~39중량부,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35~45중량부 및 물 16~24중량부로 구성된 규산보르도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딸기 잿빛곰팡이병, 벼 도열병, 또는 벼 잎집무늬마름병 방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제제는 상기 규산보르도액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10중량부의 아인산(H3PO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성 규산은 규산나트륨(Na2SiO3), 메타규산(H2SiO3) 및 규산칼륨(K2SiO3) 중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제.
  4.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35~45중량부를 물 16~24중량부에 용해시켜 용해액을 얻는 단계;
    상기 용해액을 교반하면서 황산구리 1~20중량부와 가용성 규산 20~39중량부를 서서히 첨가하여 혼합 반응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규산보르도액의 제조공정을 포함하는, 딸기 잿빛곰팡이병, 벼 도열병 및 벼 잎집무늬마름병 방제제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규산보르도액에 상기 규산보르도액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10중량부의 아인산(H3PO3)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제제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성 규산은 규산나트륨(Na2SiO3), 메타규산(H2SiO3) 및 규산칼륨(K2SiO3) 중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제제의 제조방법.
KR1020180042548A 2018-04-12 2018-04-12 규산보르도액 및 그 제조방법 KR102040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548A KR102040711B1 (ko) 2018-04-12 2018-04-12 규산보르도액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548A KR102040711B1 (ko) 2018-04-12 2018-04-12 규산보르도액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293A KR20190119293A (ko) 2019-10-22
KR102040711B1 true KR102040711B1 (ko) 2019-11-27

Family

ID=68420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548A KR102040711B1 (ko) 2018-04-12 2018-04-12 규산보르도액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7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3302B1 (ko) * 2019-12-06 2020-08-10 백낙영 황 함유 농자재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액상 농자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258B1 (ko) * 2016-09-05 2017-01-1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엘바이오텍 제독유황 분말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738547B1 (ko) * 2016-11-16 2017-05-22 이승협 제독유황 분말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수용 과일봉지 분무 또는 도포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720B1 (ko) 2001-12-27 2005-03-10 인바이오믹스 주식회사 석회보르도액의 제조방법
KR101120654B1 (ko) 2009-06-15 2012-03-16 유섬근 보르도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1285205B1 (ko) 2012-03-15 2013-07-22 유형욱 수도작물 재배용 발포성 규산질비료 조성물과 그의 발포성 규산질 고형 비료의 제조방법
KR101446208B1 (ko) 2014-01-23 2014-10-01 김근호 유황 보르도액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유황 보르도액
KR101845990B1 (ko) 2015-07-01 2018-04-05 (주)피톤치드연구소 고기능성의 고농축 석회보르도액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258B1 (ko) * 2016-09-05 2017-01-1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엘바이오텍 제독유황 분말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738547B1 (ko) * 2016-11-16 2017-05-22 이승협 제독유황 분말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과수용 과일봉지 분무 또는 도포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293A (ko)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6477B2 (en) Electrochemically treated nutrient solutions
EP2240015B1 (en) Compositions for the control of plant pathogens and for use as plant fertilizer
JPH1135404A (ja) 植物病害防除剤
CN109329302B (zh) 促进水稻种子萌发和幼苗生长的浸种剂
CN104163714B (zh) 瓜果专用植物源液体药肥及其制备方法
CA2911922C (en) A titanium-containing formulation for plant cultivation, method of preparation of a titanium-containing formulation for plant cultivation and use of the titanium-containing formulation in cultivation of plants
KR102143300B1 (ko) 액상 무수규산염,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식물의 곰팡이병 방제제, 웃자람 방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비료
CA1159273A (en) Plant conditioning compositions containing titanium
KR102040711B1 (ko) 규산보르도액 및 그 제조방법
US5116825A (en) Phytosanitary composition, its process for preparation and its use for treating cryptogamic diseases
JP3270316B2 (ja) キレート化合物含有肥料
KR20220028240A (ko) 다기능 고농축 보르도액의 제조방법
CN112075448A (zh) 一种胺新酯鳌合铜杀菌剂及制剂
JPH0543367A (ja) 植物育成用有機酸ミネラル溶液とその製法
JPH08283104A (ja) 植物生理活性促進剤
KR20090063709A (ko) 액상 복합 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 재배방법
KR100943354B1 (ko) 칼슘의 함량이 높은 사과의 재배 방법
RU2798791C1 (ru) Композиция стимулятора роста березы
WO2001042169A1 (en) Buffered phosphorus containing solution
CN112544619B (zh) 一种杀菌组合物
CN115093276A (zh) 一种广谱生根剂的配制及使用方法
WO2023119101A1 (en) Pesticides containing metals
CN108432790A (zh) 一种含农用链霉素的复配杀菌剂
KR20100111771A (ko) 토양 개량용 조성물
KR20230143530A (ko) 킬레이트화된 칼슘이 포함된 과잉성장 피해저감 기능을 갖는 수용성 액상비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