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684B1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684B1
KR102040684B1 KR1020130029653A KR20130029653A KR102040684B1 KR 102040684 B1 KR102040684 B1 KR 102040684B1 KR 1020130029653 A KR1020130029653 A KR 1020130029653A KR 20130029653 A KR20130029653 A KR 20130029653A KR 102040684 B1 KR102040684 B1 KR 102040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humidification filter
humidification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5491A (ko
Inventor
최현국
박찬정
김진민
송규완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9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684B1/ko
Publication of KR20140115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4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a water pu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가습필터의 사용효율이 향상된 가습기가 제공된다.
상기 가습기는 흡수성 및 통기성 재질로 이루어진 가습필터; 상기 가습필터의 하단부가 내부에 수용되는 제1 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이 유하되어 상기 가습필터로 공급되도록 상기 가습필터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 수조; 및 상기 제1 수조에 저장되는 물을 상기 제2 수조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물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조는 바닥의 일부가 상방으로 융기되어 형성되는 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습필터의 상단은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홈부의 측면에는 상기 홈부에 고정된 상기 가습필터에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가습필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물공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조는 상기 제2 수조에 물이 공급되는 부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바닥이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며, 상기 가습필터가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깊이는 상기 제2 수조에 물이 공급되는 부분보다 상기 제2 수조에 물이 공급되는 부분에서 이격된 부분이 더 크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습기에 의하면, 가습필터의 하단뿐만 아니라 가습필터의 상단에서도 물을 공급하므로, 가습필터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증가하여 가습효율이 향상되고, 가습필터의 전체면적을 가습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습필터의 사용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가습기 {HUMIDIFIER}
본 발명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습필터의 사용효율이 향상된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연기화식 가습기는 흡수성 및 통기성 재질로 이루어진 가습필터를 수조에 수용된 물에 침지시키고, 물을 흡수한 가습필터에 대해 바람을 송풍하여 수분이 있는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킨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기는 가습필터의 하단부가 수조에 수용된 물에 침지되어 가습필터의 삼투압을 이용하여 필터의 하단부부터 물이 흡수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물이 가습필터의 상부 부분에 흡수되는 양에 한계가 있어 가습필터의 전체면적을 사용하지 못하므로, 가습필터의 사용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조의 가습필터가 배치된 부분에는 일정양의 물이 항상 고여있게 되어, 수조에 스케일이 생성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수조의 청소 주기가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9477호(2006.08.08. 공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1-247496호(2011.12.08. 공개)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115874호(2002.04.19.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가습필터의 하단부뿐만 아니라 상단부에도 물이 흡수되도록 하여 가습필터의 사용효율이 향상된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가습필터에서 물이 기화되는 양이 증가하여 가습량이 향상된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흡수성 및 통기성 재질로 이루어진 가습필터; 상기 가습필터의 하단부가 내부에 수용되는 제1 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이 유하되어 상기 가습필터로 공급되도록 상기 가습필터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 수조; 및 상기 제1 수조에 저장되는 물을 상기 제2 수조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물공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조는 바닥의 일부가 상방으로 융기되어 형성되는 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습필터의 상단은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홈부의 측면에는 상기 홈부에 고정된 상기 가습필터에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가습필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물공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조는 상기 제2 수조에 물이 공급되는 부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바닥이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며, 상기 가습필터가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깊이는 상기 제2 수조에 물이 공급되는 부분보다 상기 제2 수조에 물이 공급되는 부분에서 이격된 부분이 더 크게 구성된 가습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공급수단은 상기 제1 수조와 제2 수조에 연결된 공급유로와, 상기 제1 수조에 저장되는 물을 상기 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제2 수조로 이동시키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수조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수조에 저장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제1 수조의 저면에 설치된 열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습필터의 하단뿐만 아니라 가습필터의 상단에서도 물을 공급하므로, 가습필터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증가하여 가습효율이 향상되고, 가습필터의 전체면적을 가습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습필터의 사용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수조에 저장된 물이 제2 수조 및 가습필터로 순환되면서, 제1 수조에 물이 고여있는 현상이 방지되어, 수조에 스케일이 생성되지 않으므로, 수조의 청소 주기가 길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열수단을 통해 제1 수조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상승시켜 물이 가습필터에서 기화되는 양을 증가함으로써, 장치의 가습량이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기에 포함된 제1 수조, 제2 수조, 가습필터 및 물공급수단이 결합된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립체의 저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립체의 정면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 대해서 살펴본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수조, 제2 수조, 가습필터 및 물공급수단이 결합된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상기 조립체의 저면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00)는 하우징(110), 물통(120), 가습필터(130), 제1 수조(140), 제2 수조(150) 및 물공급수단(16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조(140)에 저장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17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00)의 외관을 구성하며, 일측에 형성된 장착개구(112)를 통해 후술할 가습필터(130), 제1 수조(140) 및 제2 수조(150)의 조립체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삽입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송풍팬(미도시)이 구비되며, 송풍팬은 실내 공기가 하우징(110)의 흡입구(114)를 통해 흡입되어 가습필터(130)를 통과한 후 토출구(116)를 통해 다시 실내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통(120)은 후술할 제1 수조(140)에 장착되어 제1 수조(140)에 가습용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습필터(130)는 흡수성 및 통기성 재질로 이루어져, 공급받은 물을 흡수할 수 있고, 공기가 통과하며 흡수한 물이 기화될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수조(140)는 가습필터(130)의 하단부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제1 수조(140)는 가습필터(130)의 하단 일부가 제1 수조(140)에 수용되는 가습용물에 침지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수조(140)는 가습필터(130)가 세워질 수 있도록 가습필터(13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측에 물통(120)이 장착되어 물통(120)으로부터 가습용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 수조(140)는 하우징(110)의 장착개구(112)를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슬라이딩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수조(150)는 가습필터(130)의 상부 측에서 가습필터(13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수조(150)는 내부에 저장된 물이 유하(流下)되어 가습필터(130)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제2 수조(150)는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바닥과 벽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2 수조(150)의 저면에는 가습필터(130)의 상단이 삽입 체결될 수 있는 홈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부(152)는 가습필터(130)의 상단이 제2 수조(150)의 밑면에서 삽입 체결되도록 제2 수조(150)의 바닥의 일부가 상방으로 융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홈부(152)에는 가습필터(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물공급부(154)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공급부(154)는 제2 수조(150)에 저장된 물이 홈부(152)에 체결된 가습필터(13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홈부(152)에 형성된 개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2 수조(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조(150)에 물이 공급되는 부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바닥이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 수조(150)는 바닥의 일측에서 후술할 공급유로(162)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 물유입구(156)에서 바닥의 타측으로 갈수록 바닥이 하향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유입구(156)에서 제2 수조(150)로 공급된 물은 경사진 바닥을 따라 흘러서 제2 수조(150)의 전체로 공급될 수 있어, 가습필터(130)의 상단 전체에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물공급수단(160)은 제1 수조(140)에 저장되는 물을 제2 수조(150)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물공급수단(160)은 제1 수조(140)와 제2 수조(150)에 연결된 공급유로(162)와, 제1 수조(140)에 저장되는 물을 상기 공급유로(162)를 통해 제2 수조(150)로 이동시키는 펌프(1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물공급수단(160)을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조(140)에 저장된 물의 일부는 제2 수조(150)로 이동한 후 가습필터(130)의 상부로 공급되고, 가습필터(130)의 상부로 공급된 물 중 가습필터(130)에 흡수된 양을 제외한 나머지는 낙하하여 다시 제1 수조(140)에 저장된 후 다시 제2 수조(150)를 통해 가습필터(130)에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00)는 제1 수조(140)에 저장된 물이 상기와 같이 제2 수조(150) 및 가습필터(130)로 순환되면서, 제1 수조(140)에 물이 고여있는 현상이 방지되어, 수조에 스케일이 생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00)는 수조의 청소 주기가 길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00)는 가습필터(130)의 하단뿐만 아니라 가습필터(130)의 상단에서도 물을 공급하므로, 가습필터(130)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증가하여 가습효율이 향상되고, 가습필터(130)의 전체면적을 가습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습필터(130)의 사용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100)는 가습필터(130)의 사용효율이 향상됨으로써, 가습필터(130)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가습필터(130)의 크기를 줄여 장치를 소형화되면서 동시에, 필요한 가습량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수단(170)은 제1 수조(140)에 구비되어 제1 수조(140)에 저장된 가습용물을 가열할 수 있다.
가열수단(170)은 제1 수조(140)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상승시켜 물이 가습필터(130)에서 기화되는 양이 증가함으로써 장치의 가습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열수단(17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조(140)의 저면에 설치된 열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수조(140)의 저면에는 열선으로 구성된 가열수단(17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기공급단자(17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공급단자(175)는 제1 수조(140)가 하우징(110)에 삽입 장착되면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된 외부전원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 물공급수단(160)이 펌프(164)를 포함하는 경우, 펌프(164)는 가동전력이 상기 전기공급단자(175)를 통해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열수단(170)이 열선으로 구성된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가열수단(17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수조(140)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높일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 가습기 110 : 하우징
120 : 물통 130 : 가습필터
140 : 제1 수조 150 : 제2 수조
152 : 홈부 154 : 물공급부
156 : 물유입구 160 : 물공급수단
162 : 공급유로 164 : 펌프
170 : 가열수단 175 : 전기공급단자

Claims (6)

  1. 흡수성 및 통기성 재질로 이루어진 가습필터;
    상기 가습필터의 하단부가 내부에 수용되는 제1 수조;
    내부에 저장된 물이 유하되어 상기 가습필터로 공급되도록 상기 가습필터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 수조; 및
    상기 제1 수조에 저장되는 물을 상기 제2 수조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물공급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조는 바닥의 일부가 상방으로 융기되어 형성되는 홈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습필터의 상단은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홈부의 측면에는 상기 홈부에 고정된 상기 가습필터에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가습필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물공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조는 상기 제2 수조에 물이 공급되는 부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바닥이 하향 경사지게 구성되며,
    상기 가습필터가 상기 홈부에 삽입되는 깊이는 상기 제2 수조에 물이 공급되는 부분보다 상기 제2 수조에 물이 공급되는 부분에서 이격된 부분이 더 크게 구성된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수단은,
    상기 제1 수조와 제2 수조에 연결된 공급유로와,
    상기 제1 수조에 저장되는 물을 상기 공급유로를 통해 상기 제2 수조로 이동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조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수조에 저장되는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제1 수조의 저면에 설치된 열선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KR1020130029653A 2013-03-20 2013-03-20 가습기 KR102040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653A KR102040684B1 (ko) 2013-03-20 2013-03-20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653A KR102040684B1 (ko) 2013-03-20 2013-03-20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491A KR20140115491A (ko) 2014-10-01
KR102040684B1 true KR102040684B1 (ko) 2019-11-06

Family

ID=5198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653A KR102040684B1 (ko) 2013-03-20 2013-03-20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6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6520B1 (ko) * 2014-12-29 2021-09-30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형 공기청정기
KR102527647B1 (ko) * 2015-05-27 2023-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습 장치
KR102543795B1 (ko) * 2015-12-28 2023-06-15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장치
KR102542304B1 (ko) * 2015-12-28 2023-06-12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장치
KR102665126B1 (ko) 2016-10-06 2024-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38280B1 (ko) * 2018-03-19 2019-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KR102052177B1 (ko) 2019-03-27 2019-12-04 권의준 증발식 가습기
KR102194328B1 (ko) 2019-04-30 2020-12-22 권의준 증발식 가습기
JP2022121163A (ja) * 2021-02-08 2022-08-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冷却ユニット及び空調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5874A (ja) * 2000-10-05 2002-04-19 Mitsubishi Electric Corp 気化式加湿機の制御装置
KR100609477B1 (ko) * 2005-11-18 2006-08-08 (주)대양하이테크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
JP2011247496A (ja) * 2010-05-27 2011-12-08 Mikuni Corp 加湿器の給水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5874A (ja) * 2000-10-05 2002-04-19 Mitsubishi Electric Corp 気化式加湿機の制御装置
KR100609477B1 (ko) * 2005-11-18 2006-08-08 (주)대양하이테크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
JP2011247496A (ja) * 2010-05-27 2011-12-08 Mikuni Corp 加湿器の給水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491A (ko)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0684B1 (ko) 가습기
US11339984B2 (en) Humidifier
WO2016000409A1 (zh) 空气处理系统
RU2678801C1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радиатора
EP3767196A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6247967B2 (ja) 除電装置
US20210088236A1 (en) Steam generator
KR102347607B1 (ko) 기화식 가습기
CN108253562B (zh) 一种紧凑型冷风扇
CN212457250U (zh) 一种加湿器
KR101261157B1 (ko) 하방향 수증기 배출 방식의 초음파 가습기
KR101728057B1 (ko) 상부급수형 물탱크를 구비하는 가습기
KR200421793Y1 (ko) 매트용 온수순환보일러
KR101243865B1 (ko) 온수공급장치
CN212457249U (zh) 一种加湿器
CN211854340U (zh) 一种加湿器
US2396741A (en) Evaporative cooling attachment for fans
JP4676400B2 (ja) 加湿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機器
KR102296134B1 (ko) 차량용 소형 자연기화식 가습기
CN204128115U (zh) 壁挂蒸发式加湿器
KR101307448B1 (ko) 기화식 가습기
KR101299181B1 (ko) 냉풍 가습기
KR200487692Y1 (ko) 가습 기능을 갖는 열풍 히터
KR20210136407A (ko) 가습 장치
CN204853786U (zh) 一种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