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9477B1 -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477B1
KR100609477B1 KR1020050110804A KR20050110804A KR100609477B1 KR 100609477 B1 KR100609477 B1 KR 100609477B1 KR 1020050110804 A KR1020050110804 A KR 1020050110804A KR 20050110804 A KR20050110804 A KR 20050110804A KR 100609477 B1 KR100609477 B1 KR 100609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ter
air
humidifica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0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기
Original Assignee
(주)대양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양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대양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050110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모터(41)와 송풍팬(42)으로 이루어지는 송풍장치(40)와 함실(11)의 바닥면(14)에 본체 내부로 통하는 공기 순환통로(15)가 구성되며 상기 통로에 여과망(20)과 살균수단(50) 중의 하나인 오존램프(51)가 설치되는 함실(11)과, 함실 하부로 전면판(16)과 후면판(17) 그리고 통과공(43)을 가지는 측면판(18, 19)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가습판(31)이 고정 설치되는 본체내부(12)가 구성되며 본체내부(12)의 하단에 물 저장실(13)이 구성되는 본체(10);와.
가습판(31)의 틀 체중 상부틀체(34)는 바닥면에 물 통과공(35)이 다수 개 형성되는 수조(36)로 구성되고, 수조로 공급되는 물은 가습판(31)을 타고 흘러내려 가 하부에는 받침 수조(37)가 구성되며 받침 수조(37)의 한 부분에 안내관(38)이 저장조(39)의 내부로 삽입되고, 저장조(39)의 바닥면은 경사 되어 끝단 부에 밸브(21)를 가지는 배수관(22)과 수조(36)가 연결되는 물 공급관(24)은 펌프(23)에 의해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수조(36)의 측부에 외부의 물을 공급받기 위하여 경사로 돌출되는 물 안내로(25)가 구성되며 측면판(18)에는 힌지(26)로 고정되고 안내로(27)가 구성된 물 주입구(28)가 구성되는 가습장치(30);와
무광촉매도료막(53)과 음이온도료막(52) 그리고 오존램프(51), 그리고 여과망(20)으로 구성되는 살균수단(50);그리고
본체의 전면에 고정되는 액자(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여 벽걸이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전면에 고정되는 액자에 의해 별도의 공간 없이 장식의 효과를 가질 수 있음과 동시에, 무광촉매도료막과 음이온도료막 그리고 가습판과 오존램프로 공기 중에 함유되어 있는 미세먼지와 균을 제거 및 살균하면서 공기 중에 음이온이 함유되도록 하면서 가습효과를 가지도록 한 것이다.
물 저장실, 공기순환통로, 펌프, 가습판, 망체, 음이온도료막, 무광촉매도료막

Description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The air purifier which has an humidification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가습판의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물주입구의 작용을 보인 작용도로서,
(가)는 물을 주입하지 않을 때의 단면도.
(나)는 물을 주입할 때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함실
13: 물 저장실 15: 공기순환통로
23: 펌프 31: 가습 판
32: 망 체 35: 물 통과공
36: 수조 39: 물 저장조
41: 모터 42: 송풍팬
50: 살균수단 52: 음이온도료막
53: 무광촉매도료막 60: 액자
본 발명은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습기 내로 흡입되는 공기가 가습판을 통과하면서 습기를 머물고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순환되는 공기는 오존램프와, 여과망, 그리고 음이온도료막 및 무광 촉매도료막에 의해 인체에 유익한 공기로 변환되어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란 물을 초음파로 가습하거나 전열을 이용하여 가열한 다음 실내에 가열되어 증발된 수분을 공급하는 구조로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었으며, 공기청정기는 실내의 공기를 공기 청정기 내부에 장착한 필터를 통과하도록 하여 공기를 청정하게 하는 용도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공기청정기와 가습기가 하나의 몸체에 장착되어 두 가지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는 공기 청정기능을 가지는 가습기가 다양하게 제공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가습기와 공기 청정기가 하나의 몸체에 설치되어 각각 동작 되고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단순하게 필터에 의한 공기 여과이기 때문에 공기 내에 함유되어 있는 미세먼지를 제거하거나 균등은 살균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입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입니다.
상기 결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존램프에 의해 살균되는 공기가 가습판을 흐르는 물을 통과하도록 하여 공기 내에 함유되어 있는 미세 먼지를 제거하고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는 음이온 방출도료막과 무광촉매도료막에서 방출되는 음이온과 살균력에 의해 음이온이 함유되는 공기로 변환되어 배출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종래의 결함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무 광 촉매는 새집 증후군의 원인인 포름알데히드 등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분해하고 제거하는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실내공기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와, 대장균, MRSA, 0157, 황색 포도산구균, 살모넬라균, 곰팡이 균 등 각종 세균을 분해하고 발생을 억제하여 각종 질병의 감염을 예방하는 효과, 그리고 생활에서 나는 냄새의 원인이 되는 유화수소와, 암모니아, 아세트알데히드의 냄새를 제거하는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현재 대기오염의 원인인 Nox, Dioxin, 자동차의 배기가스 및 공장의 배출가스, 유연 등의 오염방지와 정화처리, 난분해성 폐수, 매립장침출수 등의 정화처리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도료이고, 음이온 발생 도료는 본인에 의 해 선등록된 특허등록 제508016호인 음이온 항균탈취제가 첨가된 페인트를 도포하는 것으로 공기 중에 함유된 균을 살균하고 음이온이 함유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 건 고안자에 의해 선등록이 이루어진 실용신안등록 제322453호 냉방기능을 겸한 가습기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하면서 슬립형으로 구성하여 벽걸이용으로 사용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특히 전면에는 액자를 부착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액자로서의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본체(10)와 가습장치(30)와 송풍장치(40) 및 살균수단(50) 및 액자(6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는 상부에 함실(11), 함실 하부로 본체내부(12)가 구성되며 본체내부(12)의 하단에 물 저장실(13)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함실(11)에는 모터(41)와 송풍팬(42)으로 이루어지는 송풍장치(40)와 함실(11)의 바닥면(14)에 본체 내부로 통하는 공기 순환통로(15)가 구성되며 상기 통로에 여과망(20)과 살균수단(50) 중의 하나인 오존램프(51)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내부(12)에는 전면판(16)과 후면판(17) 그리고 측면판(18, 19)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가습판(31)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때 측면판(18, 19)과 가습판(31)은 전면판(16)과 가습판(31)사이는 가습판(31)과 측면판(18, 19)사이와 막히지 않고 동일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후면판(17)과 가습판(31)사이와 가습판(31)과 측면판(18, 19)사이는 막힘판(44)에 의해 막혀져 있어서, 송풍팬(42)이 공급하는 공기는 가습판(31)과 후면판(17) 사이의 통로를 통해 가습판(31)의 공기가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면판(18, 19)에는 다수개의 공기 통과공(43)이 구성되어 있어서 가습판을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가습판(31)은 물결모양의 망 체(32)로 형성되어지되 이 물결 라인이 대각선 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굴곡되어 있으며 물결 라인이 서로 엇갈리도록 적층되는 구조가 반복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공기가 굴곡되어 형성되는 통로(33)에 의해 통과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습장치(30)는 가습판(31)의 틀체중 상부틀체(34)는 바닥면에 물 통과공(35)이 다수 개 형성되는 수조(36)로 이루어져 있어서, 수조로 공급되는 물은 가습판(31)을 타고 흘러내려가 하부의 받침 수조(37)에 모이게 되고 받침 수조(37)의 물은 일측의 안내관(38)을 통해 물 저장조(39)로 다시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물 저장조(39)에는 바닥면이 경사지도록 구성되는 끝단 부에 밸브(21)를 가지는 배수관(22)이 구성되고, 수조(36)와 연결되는 물 공급관(24)은 펌프(23)에 의해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수조(36)의 측부에 외부의 물을 공급받기 위하여 경사로 돌출되는 물 안내로(25)가 구성되며 측면판(18)에는 힌지(26)로 고정되고 안내로(27)가 구성된 물 주입구(28)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살균수단(50)은 무광촉매도료막(53)과 음이온도료막(52) 그리고 오존램프(51)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무광촉매도료막(53)은 전면판(16)과 후면판(17)의 내면에 도포하여 송풍 되는 공기와 가습판(31)을 타고 흐르는 물을 살균하고 냄새를 제거하는 등의 역활을 수행하며, 음이온도료막(52)은 양 측면판(18, 19)의 내면에 도포 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음이온을 함유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오존램프(51)는 최초 유입되는 공기를 살균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서 물에 균이나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가습 되어 송풍 되는 공기는 살균과 음이온을 내포하도록 하여 인체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액자(60)는 본체(10)의 전면에 고정되어 있다.
액자(60)의 사방 틀 중 하나의 틀(61)은 다른 틀과 분리되도록 구성되며 분리된 틀(61)은 양단에는 마그네틱(62)이 고정되며 액자(60)에서 분리되는 부분이 서로 맞닺는 부분(63)에도 마그네틱(64)을 고정하여 분리된 틀(61)이 마그네틱(62, 64)에 의해 서로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65는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수조내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하는 물 감지 센서를 보인 것이고, 66은 센서에 의해 동작하는 램프, 67은 본체를 벽면에 걸어두기 위한 고정공을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터(41)와 펌프(23)를 가동시키면, 펌프(23)가 물 저장조(39)의 물을 가습 판(31)의 상부틀체(34)의 수조(36)로 공급하게 되고 공급되는 물은 물 통과공(35)을 통해 가습판(31)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가습판(31)에 흘러들어가 불은 가습판(31)을 타고 흘러가면서 일정한 수막을 형성하게 되고 최하단부로 흘러간 물은 받침 수조(37)에 모이고 받침 수조(37)의 물은 안내관(38)을 타고 물 저장조(39)로 재유입되는 작업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모터(41)는 송풍팬(42)을 동작하게 되며 송풍 되는 공기는 공기순환통로(15)를 통해 여과망(20)과 오존램프(51)를 통과하면서 여과 및 살균이 이루어지고 가습판(31)의 후면으로 유입된 공기는 후면판(17)에 도포 된 무광촉매도료막(53)에 의해 냄새 및 살균된 상태에서 가습판(31)의 통로(33)를 통해 가습판(31)과 전면판((16)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공기 속에 포함된 미세먼지는 가습판(31)을 타고 흐르는 물에 의해 미세 먼지가 물에 의해 걸러지게 되면서 공기는 물을 함유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가습판(31)을 통과한 물은 재차 전면판(16)에 도포 된 무광촉매도료막(53)에 의해 살균 및 냄새제거되면서 양 측면판((18, 19)의 통과공(43)을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양 측면판(18, 19)의 내면에 도포 된 음이온도료막에 의해 공기는 음이온을 내포하는 상태로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조(36)내의 물이 부족할 경우 센서(65)가 동작하게 되며, 이때에는 측면판(18)에 형성된 물 주입구(28)를 열면 수조(36)의 물 안내로(25)의 상부에 물주입구(28)의 안내로(27)가 위치되게 되어 물을 물주입구에 부어 주면 안내로(27)과(25)를 통해 수조(36)내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물을 주입하다가 상부 센서(65)가 동작하면 물이 수조 내에 채워진 상태를 나타내게 되므로 물 주입을 중단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10) 전면에 액자(60)가 구성되어 있어서, 자신이 걸어두고자 하는 그림이나 사진을 꽂아서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진이나 그림을 보관하고자 할 경우 분리된 틀(61)을 당기면 고정되어 있던 마크네틱(62, 64)가 서로 분리되면서 간단하게 분리가 이루어지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그림을 끼워넣고 다시 마크네틱(62, 64)의 자력을 이용하여 분리된 틀(61)을 액자(60)에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슬립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고정공(67)을 이용하여 벽면에 걸어서 사용할 수도 있고 본체(10)의 하부에 받침대를 부착하면 지면에 세워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슬립형으로 제조되고 전면에 액자를 구성하면서 가습판과 무광촉매도료막과 음이온도료막 그리고 여과망과 오존램프를 사용하여 여과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제품이 슬립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벽걸이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전면에 액자가 구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장식의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무광촉매도료막과 음이온도료막 그리고 가습판과 오존램프를 사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공기 중에 함유되어 있는 미세먼지와 균을 제거 및 살균하면서 공기 중에 음이온이 함유되도록 하면서 가습효과를 가지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상부에 모터(41)와 송풍팬(42)으로 이루어지는 송풍장치(40)와 함실(11)의 바닥면(14)에 본체 내부로 통하는 공기 순환통로(15)가 구성되며 상기 통로에 여과망(20)과 살균수단(50) 중의 하나인 오존램프(51)가 설치되는 함실(11)과, 함실 하부로 전면판(16)과 후면판(17) 그리고 통과공(43)을 가지는 측면판(18, 19)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가습판(31)이 고정 설치되는 본체내부(12)가 구성되며 본체내부(12)의 하단에 물 저장실(13)이 구성되는 본체(10);와.
    가습판(31)의 틀 체중 상부틀체(34)는 바닥면에 물 통과공(35)이 다수 개 형성되는 수조(36)로 구성되고, 수조로 공급되는 물은 가습판(31)을 타고 흘러내려 가 하부에는 받침 수조(37)가 구성되며 받침 수조(37)의 한 부분에 안내관(38)이 저장조(39)의 내부로 삽입되고, 저장조(39)의 바닥면은 경사 되어 끝단 부에 밸브(21)를 가지는 배수관(22)과 수조(36)가 연결되는 물 공급관(24)은 펌프(23)에 의해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며, 수조(36)의 측부에 외부의 물을 공급받기 위하여 경사로 돌출되는 물 안내로(25)가 구성되며 측면판(18)에는 힌지(26)로 고정되고 안내로(27)가 구성된 물 주입구(28)가 구성되는 가습장치(30);와
    상기 전면판(16)과 후면판(17) 내면에 도포되는 무광촉매도료막(53)을 갖추고, 상기 측면판(18, 19)의 내면에 도포되는 음이온도료막(52)을 갖추며, 상기 순환통로(15)에는 오존램프(51) 및 여과망(20)으로 구성되는 살균수단(50);그리고
    본체의 전면에 고정되는 액자(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판(31)은 물결모양의 망 체(32)로 형성되어지되 이 물결 라인이 대각선 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굴곡되어 있으며 물결 라인이 서로 엇갈리도록 적응되는 구조가 반복되는 구조로 이루어 공기 통로(33)를 가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60)는 사방 틀 중 하나의 틀(61)은 다른 틀 체와 분리되도록 구성되며 분리된 틀체(61)은 양단에는 마그네틱(62)이 고정되며 액자(60)에서 분리되는 부분이 서로 맞닺는 부분(63)에도 마그네틱(64)을 고정하여 분리된 틀(61)이 마그네틱(62, 64)에 의해 서로 고정되도록 구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무광촉매도료막(53)은 전면판(18)과 후면판(19)의 내면에 도포하여 송풍 되는 공기와 가습판(31)을 타고 흐르는 물을 살균하고 냄새를 제거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음이온도료막(52)은 양 측면판(18, 19)의 내면에 도포 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음이온을 함유하며, 오존램프(51)는 최초 유입되는 공기를 살균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는 측면판(18, 19)과 가습판(31)은 전면판(16)과 가습판(31)사이는 가습판(31)과 측면판(18, 19)사이와 막히지 않고 동일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후면판(17)과 가습판(31)사이와 가습판(31)과 측면판(18, 19)사이는 막힘판(44)에 의해 막혀져 있어서, 송풍팬(42)이 공급하는 공기는 가습판(31)과 후면판(17) 사이의 통로를 통해 가습판(31)의 공기가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KR1020050110804A 2005-11-18 2005-11-18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 KR100609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804A KR100609477B1 (ko) 2005-11-18 2005-11-18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0804A KR100609477B1 (ko) 2005-11-18 2005-11-18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9477B1 true KR100609477B1 (ko) 2006-08-08

Family

ID=37185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0804A KR100609477B1 (ko) 2005-11-18 2005-11-18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47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900B1 (ko) 2008-05-23 2010-08-24 이승훈 습식공기청정기
CN102697641A (zh) * 2012-05-15 2012-10-03 佛山市顺德区腾盟电器有限公司 一种智能触摸控制的美容机
KR200470792Y1 (ko) * 2013-08-07 2014-01-08 이길순 수막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KR101424216B1 (ko) * 2013-02-22 2014-07-28 동희오토주식회사 공기 중 부유분진 정화장치
KR20140115491A (ko) 2013-03-20 2014-10-01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CN104162319A (zh) * 2014-08-18 2014-11-26 天津大学 一种膜空气过滤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900B1 (ko) 2008-05-23 2010-08-24 이승훈 습식공기청정기
CN102697641A (zh) * 2012-05-15 2012-10-03 佛山市顺德区腾盟电器有限公司 一种智能触摸控制的美容机
KR101424216B1 (ko) * 2013-02-22 2014-07-28 동희오토주식회사 공기 중 부유분진 정화장치
KR20140115491A (ko) 2013-03-20 2014-10-01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KR102040684B1 (ko) * 2013-03-20 2019-11-06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KR200470792Y1 (ko) * 2013-08-07 2014-01-08 이길순 수막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CN104162319A (zh) * 2014-08-18 2014-11-26 天津大学 一种膜空气过滤器
CN104162319B (zh) * 2014-08-18 2015-08-26 天津大学 一种膜空气过滤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593637U (zh) 室内空气消毒净化器
KR100609477B1 (ko)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청정기
US7722708B2 (en) Air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070181000A1 (en) Air quality device
WO2007022709A1 (en) A combined labyrinthine fluid sterilizing apparatus
KR102191776B1 (ko) 습식 공기정화장치
WO2007022703A1 (fr) Appareil purificateur d'air a vaporisation d'eau et procede de purification associe
KR102068434B1 (ko) 건식 및 습식 방식에 의해 유해물질 제거가 용이한 다단식 순차형 필터부를 갖는 산업용 공기정화기
CN106338107A (zh) 带有消毒功能的空气净化设备
KR20150104062A (ko)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장치
KR20190119861A (ko) 고온 및 저온 냉각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KR101175158B1 (ko) 가습 및 제습 기능을 갖는 다용도 공기청정기
JP2000070055A (ja) 衣服収納ロッカー
KR101034868B1 (ko) 지능형 다단 수처리 방식의 공기정화 살균 가습장치
KR101111489B1 (ko) 공기 정화 장치
KR101944759B1 (ko) 세정식 공기 정화장치
CN210638208U (zh) 医院中药房用空气净化消毒处理装置
KR102048239B1 (ko) 습식 공기 정화 장치
KR101999794B1 (ko)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KR102091526B1 (ko) 공기 집진기
KR20200134738A (ko) 공기정화기
KR20090116439A (ko) 자연가습형 공기 청정기
KR102277275B1 (ko) 바이러스 살균 및 미세먼지 측정 기능을 결합한 공기정화장치
CN209672534U (zh) 一种新风系统
KR100558273B1 (ko) 자연 가습 시스템과 이를 구비한 자연 가습형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