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645B1 - 회전전달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645B1
KR102040645B1 KR1020180027749A KR20180027749A KR102040645B1 KR 102040645 B1 KR102040645 B1 KR 102040645B1 KR 1020180027749 A KR1020180027749 A KR 1020180027749A KR 20180027749 A KR20180027749 A KR 20180027749A KR 102040645 B1 KR102040645 B1 KR 102040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output
outer ring
inner r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6357A (ko
Inventor
박용식
Original Assignee
박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식 filed Critical 박용식
Priority to KR1020180027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645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7/00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 F16D7/04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ratchet type
    • F16D7/06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ratchet type with intermediate balls or rollers
    • F16D7/10Slip couplings, e.g. slipping on overload, for absorbing shock of the ratchet type with intermediate balls or rollers moving radially between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2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radial load mainly
    • F16C19/2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radial load mainly with a single row of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4Rollers;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iction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회전전달장치는 경사면(테이퍼)을 갖는 베어링기구를 포함하는 클러치기구를 구비하며, 내륜과 외륜을 결합 또는 분리함으로써 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내륜과 외륜의 접촉면이 평면이 아닌 경사면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 큰 힘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전전달장치{Apparatus to transfer rotation}
본 발명은 회전축의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륜과 외륜을 결합 또는 분리함으로써 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할 수 있게 하고 내륜과 외륜의 접촉면을 평면이 아닌 경사면으로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 큰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 회전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클러치 베어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클러치 베어링은 크게 외륜, 여러 개의 핀베어링(구름봉). 핀베어링 고정환, 내륜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륜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부분에 구름봉이 끼워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클러치베어링은 내륜과 외륜이 결합되어 있어서 일방회전만을 허용하는 클러치 역할만 할 수 있고 분리 결합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륜과 외륜을 결합 또는 분리함으로써 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할 수 있게 하고 내륜과 외륜의 접촉면을 평면이 아닌 경사면으로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 큰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 회전전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전달장치는, 입력축과 연결된 외륜; 출력축과 연결된 내륜; 상기 외륜의 내부에 형성된 경사진 원주면; 상기 내륜의 롤러홀에 설치된 다수의 롤러; 상기 롤러의 회전축을 따라 연장되어 설치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롤러가이드를 포함하는 하판: 상기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원주면이 상기 롤러와 접촉하여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고, 상기 롤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롤러가 상기 롤러가이드를 따라 상기 외륜의 원주면을 진행하며, 상기 롤러가 롤러홀의 경사를 따라 위로 올라가면서 외륜의 밀착압력에 의하여 더 이상 회전 하지 못하고 외륜과 내륜이 밀착되어 상기 출력축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전달장치는, 한쪽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원동기에 연결된 회전전달장치로서, 원통형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일방에 설치되며, 상기 원동기와 연결된 입력축; 상기 케이스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타방에 설치된 출력축; 상기 입력축과 연결되며 경사진 내면을 갖는 입력외륜; 상기 입력외륜에 접하여 입력외륜의 외부에 설치된 입력베벨기어; 상기 입력외륜의 중심부에 설치되며, 상기 출력축의 일단이 삽입되는 입력 베어링축; 상기 입력외륜 내에 설치되며 테이퍼진 외면을 갖는 입력내륜; 상기 출력축과 연결되며 테이퍼진 내면을 갖는 출력외륜; 상기 출력축을 지지하는 출력베어링축; 상기 출력외륜에 접하여 출력외륜의 외부에 설치된 출력베벨기어; 상기 출력외륜 내에 설치되며 테이퍼진 외면을 갖는 출력내륜; 상기 출력축의 원주면을 따라 상기 입력내륜, 출력내륜, 출력외륜을 관통하며, 상기 입력내륜과 출력내륜 사이의 공간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부를 가지는 제어축; 상기 입력베벨기어와 출력베벨기어사이에 위치하며, 입력베벨기어의 동력을 출력베벨기어로 이동시키며, 입력베벨기어의 정회전을 출력베벨기어의 역회전으로 전환시키는 아이들 기어; 상기 출력외륜과 맞물리는 출력베벨기어가 결합하는 출력베어링축; 상기 출력축과 제어축을 연결하며, 상기 제어축의 동력을 출력측에 전달하는 스프라인; 상기 제어축의 일단에 설치되며 스러스트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제어디스크; 상기 제어디스크의 이동구간을 결정하며, 상기 제어디스크의 상하에 설치되는 멈춤링; 상기 제어디스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역회전전자석; 상기 제어디스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정회전전자석;을 포함하며, 정회전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디스크가 정회전전자석에 밀착되고 동시에 제어축이 입력내륜을 밀어 입력외륜에 밀착시키면 입력외륜의 정회전이 입력내륜을 통해 제어축에 전달되면 출력축도 정회전하며, 정회전전자석에 전원이 차단되면 제어디스크가 분리되고 제어축을 통하여 출력내륜도 출력외륜에서 분리되어 출력축의 회전이 정지되며, 역회전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디스크가 역회전전자석에 밀착되고 동시에 제어축이 출력내륜을 밀어 출력외륜에 밀착시키면 출력외륜의 역회전에 따라 출력내륜도 역회전하여 제어축에 전달되면 출력축도 역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전달장치는 경사면(테이퍼)을 갖는 베어링기구를 포함하는 클러치기구를 구비하며, 내륜과 외륜을 결합 또는 분리함으로써 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륜과 외륜의 접촉면을 평면이 아닌 경사면으로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 큰 힘을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종래기술
도 2 본 발명의 동력전달구조
도 3 내륜의 단면과 하부면
도 4 내륜의 사시도
도 5 내륜의 조립체
도 6 무부하 상태의 판스프링과 롤러
도 7 부하 상태의 판스프링과 롤러
도 8 좌회전용 판스프링의 설치위치와 무부하시의 롤러위치
도 9 우회전용 판스프링의 설치위치와 무부하시의 롤러위치
도 10 롤러의 단면도
도 11 판스프링의 예시
도 12 본 발명의 회전전달장치의 예시
도 13 본 발명의 회전전달장치의 예시
도 14 베벨기어의 작동원리
본 발명의 회전전달장치는 지렛대의 원리를 활용하여 작은 힘으로 큰 동력을 전달 할 수 있으므로 전력이 절약되며 내륜과 외륜이 결합이 되면 일체가 됨으로 동력손실이 적다. 또한, 결합과 분리의 거리가 짧아 응답속도가 빠르며 미끄럼 현상이 매우 적으므로 열 발생이 적고 소음이 나지 않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절감된다. 이러한 본 발명을 도면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범위가 도면에 나타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구조를 요약하여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클러치베어링과 달리 입력축과 출력축이 분리되며, 한 축의 중심선 상에서 회전방향을 바꿀 수 있다.
도 3은 내륜의 단면과 하부면, 외륜의 단면을 나타낸다. 내륜의 구성과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중심축에 대하여 기울어진 면을 따라 형성되는(테이퍼 가공된) 내륜(2004)과 외륜(2002)사이에 복수의 테이퍼 가공된 롤러(3001)가 결합된다. 내륜은 입력축의 동력을 받아서 출력축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며, 중심부에 출력축을 고정 시킬 수 있는 축 홀에 키홈 또는 스프라인(3009)이 형성된다. 외륜은 입력축과 상대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예시로서의 연결요소: 스프라인), 동력전달시 롤러와 밀착하여 내륜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외륜의 하부에는 부품을 체결시킬 수 있는 탭이 가공된다. 외륜의 내면은 롤러의 각도에 밀착될 수 있는 각도로 가공된다(테이퍼면의 일치).
도 4는 내륜의 사시도이다. 롤러(3001)의 이탈을 방지하는 롤러가이드(상)(3101)가 상부(4002)에 형성된다. 롤러홀(3008)에는 판스프링(3007)과 하판이 결합된다.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륜의 상부(4002)와 하판(3003)에 롤러가이드가 형성된다. 롤러홀 내에 판스프링의 고정위치(3011)가 형성된다.
도 5는 내륜의 조립체를 도시하며, 하판(3003)이 하부(4001)에 결합되는 상태를 보여준다. 롤러(3001)와 판스프링(3007)의 상대적 위치를 알 수 있다. 롤러는 내륜의 롤러홀(3008)과 외륜의 내벽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한다. 롤러는 내륜과 외륜이 강하게 밀착하여 미끄러지지 않게 하면서 마찰열과 소음발생을 방지하고 빠른 동력전달반응을 가능하게 한다. 외륜이 분리 되어 있을 때, 즉 무부하시에는 롤러가 롤러가이드와 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항상 하부(4001)와 가이드홀의 아래쪽(4004)에 위치하고 있다. 하판(3003)은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륜 하부에 체결되며 롤러의 돌출부가 삽입 될 수 있는 복수의 가이드가 포함되며 내륜에 체결되는 요소(예: 나사 홀)를 갖는다.
도 6은 무부하 상태의 판스프링과 롤러를 도시한다. 외륜이 롤러와 분리되어 있을 때에 롤러는 롤러핀(11003)과 롤러스프링(11002)의 힘으로 하부(4001)로 밀려있고(도 11 참조), 판스프링의 힘에 의해 홀의 낮은 쪽(4004)로 내려가 있다. 판스프링은 무부하시에 롤러를 롤러홀의 경사 아래로 밀어주는 작용을 하며, 무부하시 공회전 할 때 위치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동력전달을 시작 할 때마다 롤러홀의 맨 아래쪽에서 출발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도 7은 부하 상태의 판스프링과 롤러를 도시한다. 외륜이 회전하여 롤러에 밀착되면 롤러(7002)가 회전하면서 홀의 경사면을 따라 낮은 위치(4004)에서 높은 위치(4003)으로 이동한다. 이동이 진행되어 롤러가 내륜과 강하게 밀착되면 롤러의 회전이 정지되고 외륜과 롤러와 내륜이 일체가 되면서 외륜으로부터 내륜으로 동력이 전달되기 시작한다. 롤러는 내륜의 롤러홀(3008)과 외륜 내벽 사이의 각도를 반영하여 테이퍼 형태를 가진다. 내륜의 하부(4001)쪽을 향하여 하판 롤러가이드에 들어가는 돌출부(11001)가 있으며, 내륜의 상부(4002)쪽을 향하여 상부롤러가이드에 들어가는 롤러핀(11003)이 있다. 롤러몸체에 삽입된 롤러스프링(11002)에 의해 상기 돌출부와 롤러핀이 서로 밀어내어 롤러가 롤러홀 내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롤러핀은 롤러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무부하시에 롤러를 내륜하부로 밀어주는 작용을 한다(도 11 롤러의 단면도 참조).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륜이 입력축에 연결되어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 회전 하고 있는 외륜이 출력축이 연결된 내륜의 롤러에 밀착되는 순간 롤러가 롤러홀의 경사 위로 올라가면서 회전하자마자 롤러가 외륜의 밀착압력에 의하여 더 이상 회전 하지 못하고 외륜과 롤러와 내륜이 일체가 되어 회전함으로 실제로는 롤러의 회전이 거의 없는 상태로 외륜과 내륜사이에 끼여 동력전달이 이루어진다.
도 8은 좌회전용 회전전달장치에서의 판스프링의 설치위치와 무부하시의 롤러위치를 도시한다. 판스프링(3001, 12001)은 내륜의 롤러홀의 왼쪽에 위치하며, 롤러는 하부면에서 보아 오른쪽(8001)에 위치한다. 부하가 걸리면 도 7과 같이 변화된다.
도 9는 우회전용 판스프링의 설치위치와 무부하시의 롤러위치를 도시한다. 우회전용 판스프링은 판스프링(3001, 12001)의 좌우대칭형이다. 무부하시의 판스프링(9002)은 내륜의 롤러홀의 오른쪽에 위치하며, 롤러는 하부면에서 보아 왼쪽(9001)에 위치한다.
복수의 롤러홀은 좌회전용은 좌측이 높게 경사지고 우회전용은 우측이 높게 경사지게 한다. 판스프링은 무부하시에 롤러를 롤러홀(3008)의 아래쪽(4004)으로 밀어주는 작용을 하여 롤러가 어떤 방향에 있는지와 무관하게 일정RPM(예시: 1800)이하 일 때의 원심력에서는 이동하지 않게 한다.
도 10은 롤러의 단면도로서, Φ2는 롤러의 양쪽 장변이 롤러의 중심축에 대하여 사이의 기울어져 있음을 나타내는 각도(테이퍼각)이다. 돌출부(10001)와 압축핀(3005)은 롤러스프링(3006)에 의해 탄성을 유지한다.
도 11은 판스프링의 예시이며, 좌회전 또는 우회전시에 좌우를 바꾸어 장착하는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2는 위에서 설명한 이러한 구성요소의 조합으로서 경사면(테이퍼)에 의한 클러치 기능을 가지며 동력을 전달하는 본 발명의 회전전달장치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입력축(2001)에는 외륜조립체(1216)을 결합시키고, 외륜조립체가 내륜조립체(1215)과 함께 회전하면 내륜조립체에 연결된 출력축(2003)도 입력축과 같이 회전하게 된다. 입력축의 축 방향으로 스프라인(1218)을 형성하여 축방향을 따라 외륜조립체가 위로 이동하면 외륜조립체가 내륜조립체의 롤러와 맞닿고 아래로 이동하면 분리를 할 수 있게 전자석(1219)과 결합디스크(1220)가 설치된다. 결합디스크(1220)는 입력축(2001) 방향으로 스프라인을 형성하여 입력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며, 전자석(1219)은 상기 결합디스크(12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원인가시 발생되는 자력으로 상기 결합디스크(1220)를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결합디스크(1220)의 이동에 따른 축 방향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결합디스크(1220)를 보호하는 스러스트베어링(1221)이 설치된다. 부하를 받지 않는 경우 외륜이 분리되어 있도록 내륜(1215)과 외륜(1216)사이에 분리스프링(1217)을 설치한다. 출력축(2003)은 내륜조립체(1215)와 체결되어 있어서 내륜조립체와 외륜조립체가 결합되어 회전하면 입력축의 동력이 출력축으로 전달된다.
입력축의 동력을 출력축으로 전할 때의 작동순서는 다음과 같다. 전자석(1219)에 전원이 공급되면 결합디스크(1220)가 전자석에 밀착되어 외륜조립체가 내륜조립체의 롤러에 밀착된다. 롤러는 외륜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롤러홀의 경사를 따라 높은 쪽(4003)으로 이동하고 롤러의 회전이 멈춰지면 외륜조립체와 내륜조립체가 밀착되어 입력축의 동력이 출력축으로 전달된다.
출력축으로의 동력전달을 중단하는 경우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전원을 차단하면 외륜조립체는 분리스프링(1217)에 의하여 내륜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동력 전달이 중단되고 롤러는 판스프링의 힘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고 동작을 멈춘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경사면(테이퍼면)을 갖는 회전전달장치는 좌회전용 ,우회전용의 두 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회전전달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정역회전 장치에 관한 것인데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축은 계속 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출력축은 경사면(테이퍼)을 가진 클러치에 의해 정역회전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탭핑머신은 정역회전을 할 때에 모터에 많은 부하가 걸려 전력소모가 많고 정역회전의 회수를 빠르게 하면 모터가 타는 일이 많다. 본 발명은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입력축에 연결된 모터는 연속하여 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서 전력을 절약하는 한편, 정역회전 제어장치를 사용하여 빠르게 정역회전을 전환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탭핑머신 외에도 단상모터와 한 방향으로 회전 할 수밖에 없는 내연기관에도 상기의 특징을 이용하여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정역회전 장치의 구조와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원통형케이스(1326)의 중심축을 따라 한쪽은 입력축(1319)이 조립되고 반대쪽은 출력축(1301)이 조립된다. 입력축(1319)은 동력발생장치(예:단상모터)와 연결되어 있으며 한쪽 방향(정회전)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다. 입력축은 원통형케이스내부에서 입력베어링축(1315)과 입력외륜(1313)과 입력베벨기어(1314)와 결합된다. 아이들기어(1311)는 입력베벨기어(1314)의 동력을 출력베벨기어(1308)쪽으로 이동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입력베벨기어(1314)는 정회전을 하고, 아이들 기어(1311)를 거쳐서 동력이 전달된 출력기어(1308)는 역회전을 한다. 출력베벨기어(1308)는 출력외륜(1307)과 출력베어링축(1305)과 결합되어 있으며 아이들 기어(1311)의 동력을 전달받아 역회전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된 베벨기어의 작동원리를 간략히 보여준다. 입력기어(1401)로 전달된 회전력은 아이들기어(1403)을 통해 출력기어(1404)로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입력기어의 정회전이 출력기어의 역회전으로 전환된다. 출력축(1308)은 제어축(1327)과 스프라인으로 연결되어 제어축(1327)으로 부터 전해오는 동력으로 정역회전을 한다. 제어축(1327)은 입력내륜(1312)과 출력내륜(1309)이 체결되어있고 스프라인으로 출력축과 연결 되어있고, 반대쪽에는 제어디스크(1322)와 스러스트 베어링(1323)이 조립되어 있다.
정역회전 제어장치의 작동순서는 다음과 같다. 정회전전자석(1324)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디스크(1322)가 정회전전자석(1324)에 밀착되고 동시에 제어축(1327)이 입력내륜(1312)을 밀어 입력외륜(1313)에 밀착시키면 입력외륜(1313)이 정회전하고 있으므로 입력내륜(1312)도 정회전하여 제어축(1327)에 전달되면 출력축(1301)도 정회전하게 된다.
정회전전자석(1324)에 전원이 차단되면 제어디스크(1322)가 분리되고 제어축(1327)을 통하여 출력내륜(1309)도 출력외륜(1307)에서 분리됨으로 출력축(1301)의 회전이 정지된다.
역회전전자석(1321)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디스크(1322)가 역회전전자석(1321)에 밀착되고 동시에 제어축(1327)이 출력내륜(1309)을 밀어 출력외륜(1307)에 밀착시키면 출력외륜(1307)이 역회전하고 있으므로 출력내륜(1309)도 역회전하여 제어축(1327)에 전달되면 출력축(1301)도 역회전 하게 된다.
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중심으로 설명하였고, 이에 기초하여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고,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위해 균등론이 적용되어야 한다.
2001 입력축
2002 외륜
2003 출력축
2004 내륜
3001 롤러
3003 하판
3005 압축핀
3006 롤러스프링
3007 판스프링
3008 롤러홀
3009 키홀
3101 롤러가이드(상)
3102 롤러가이드(하)
3011 판스프링홀
3111 하부체결나사홀
Φ1: 축의 한점을 기준으로 성립하는 테이퍼각
4001 내륜하부
4002 내륜상부
4003 롤러홀의 높은 곳
4004 롤러홀의 낮은 곳
7001 압축상태의 판스프링
7002 이동된 롤러
7003 롤러홀의 하부경사
8001 좌회전용 무부하상태의 롤러가 롤러홀의 낮은 지점에 위치한 모습
8002 좌회전용 무부하상태의 판스프링위치
9001 우회전용 무부하상태의 롤러가 롤러홀의 낮은 지점에 위치한 모습
9002 우회전용 무부하상태의 판스프링위치
Φ2: 롤러의 양쪽 장변 사이의 기울어짐을 나타내는 각도 (테이퍼각)
1213 니들베어링
1214 출력축베어링
1215 내륜조립체
1216 외륜조립체
1217 분리스프링
1218 스프라인
1219 전자석
1220 결합디스크
1221 스러스트베어링
1222 입력축베어링
1223 동력전달장치케이스
1301 출력축
1302 출력오일씰
1303 출력베어링1
1304 출력커버
1305 출력베어링축
1306 출력베어링
1307 출력외륜
1308 출력베벨기어
1309 출력내륜
1310 아이들축
1311 아이들기어
1312 입력내륜
1313 입력외륜
1314 입력베벨기어
1315 입력베어링축
1316 입력베어링
1317 입력커버
1318 입력오일씰
1319 입력축
1320 멈춤링
1321 역회전전자석
1322 제어디스크
1323 스러스트베어링
1324 정회전전자석
1325 멈춤링홈
1326 원통형케이스
1327 제어축
1328 출력축베어링2
1329 0링
1330 스프라인
1401 입력기어(정회전)
1402 축고정
1403 아이들기어
1404 출력기어(역회전)

Claims (9)

  1. 회전전달장치로서,
    입력축과 연결된 외륜;
    출력축과 연결된 내륜;
    상기 외륜의 내부에 형성된 경사진 원주면;
    상기 내륜의 롤러홀에 설치된 다수의 롤러;
    상기 롤러의 회전축을 따라 연장되어 설치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롤러가이드를 포함하는 하판: 및
    상기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원주면이 상기 롤러와 접촉하여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고,
    상기 롤러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롤러가 상기 롤러가이드를 따라 상기 외륜의 원주면을 진행하며,
    상기 롤러가 롤러홀의 경사를 따라 위로 올라가면서 외륜의 밀착압력에 의하여 더 이상 회전 하지 못하고 외륜과 내륜이 밀착되어 상기 출력축을 회전시키는 회전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하부에는 돌출부;
    내부에는 스프링이 삽입되는 홀; 및
    상부에는 롤러의 압축핀;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판의 롤러가이드에 들어가며,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이 접촉되어 있을 때, 내륜의 롤러홀과 외륜내벽사이의 각도를 유지하며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이 분리 되어 있을 때, 롤러가이드와 롤러 내 스프링 및 압축핀에 의하여 항상 홀의 아래쪽과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륜은
    출력축을 고정시키는 중심부;와
    상기 롤러가 회전하며 진행하는 공간과 상기 판스프링을 고정시키는 자리를 포함하는 복수의 롤러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롤러가이드는 상기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륜의 상부와 하판에 형성되는 홀을 포함하며 구성되며,
    상기 하판은 상기 롤러와 상기 판스프링을 상기 내륜의 하부에 대하여 상기 출력축방향을 따라 측면에서 고정시키며, 상기 롤러의 돌출부와 압축핀이 삽입 될 수 있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며 구성되며,
    상기 내륜은 상기 외륜으로부터 상기 롤러를 통해 동력을 받아서 상기 출력축으로 전달하며, 상기 하판은 상기 내륜 하부와 체결되어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륜은 입력축에 대하여 입력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외륜이 상기 내륜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경사진 원주면이 상기 내륜의 롤러와 밀착되어 내륜을 구동시키며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내륜과 외륜 사이에 설치되는 분리스프링;
    입력축 방향으로 스프라인을 형성하여 입력축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한 결합디스크;
    상기 결합디스크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원인가시 발생되는 자력으로 상기 결합디스크를 이동시키는 전자석; 및
    상기 결합디스크의 이동에 따른 축방향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결합디스크를 감싸는 스러스트베어링;를 더 포함하며
    무부하시에는 상기 분리스프링이 내륜과 외륜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며, 전자석의 가동에 따라 결합디스크가 상부로 이동하면 외륜이 내륜과 결합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무부하시에 롤러를 홀의 경사진 방향으로 밀어주며,
    일정RPM이하의 원심력이 작용할 때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롤러홀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롤러를 오른쪽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상기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롤러 홀이 좌회전용인 경우 좌측이 높게 경사져서 좌회전시 롤러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고 외륜의 경사면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롤러홀의 내부에 고정되어 상기 롤러를 왼쪽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상기 롤러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롤러 홀이 우회전용인 경우 우측이 높게 경사져서 우회전시 롤러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고 외륜의 경사면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전달장치.
  9. 한쪽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원동기에 연결된 회전전달장치로서,
    원통형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일방에 설치되며, 상기 원동기와 연결된 입력축;
    상기 케이스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타방에 설치된 출력축;
    상기 입력축과 연결되며 테이퍼진 내면을 갖는 입력외륜;
    상기 입력외륜에 접하여 입력외륜의 외부에 설치된 입력베벨기어;
    상기 입력외륜의 중심부에 설치되며, 상기 출력축의 일단이 삽입되는 입력 베어링축;
    상기 입력외륜 내에 설치되며 테이퍼진 외면을 갖는 입력내륜;
    상기 출력축과 연결되며 테이퍼진 내면을 갖는 출력외륜;
    상기 출력축을 지지하는 출력베어링축;
    상기 출력외륜에 접하여 출력외륜의 외부에 설치된 출력베벨기어;
    상기 출력외륜 내에 설치되며 테이퍼진 외면을 갖는 출력내륜;
    상기 출력축의 원주면을 따라 상기 입력내륜, 출력내륜, 출력외륜을 관통하며, 상기 입력내륜과 출력내륜 사이의 공간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부를 가지는 제어축;
    상기 입력베벨기어와 출력베벨기어사이에 위치하며, 입력베벨기어의 동력을 출력베벨기어로 이동시키며, 입력베벨기어의 정회전을 출력베벨기어의 역회전으로 전환시키는 아이들 기어;
    상기 출력외륜과 맞물리는 출력베벨기어가 결합하는 출력베어링축;
    상기 출력축과 제어축을 연결하며, 상기 제어축의 동력을 출력측에 전달하는 스프라인;
    상기 제어축의 일단에 설치되며 스러스트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제어디스크;
    상기 제어디스크의 이동구간을 결정하며, 상기 제어디스크의 상하에 설치되는 멈춤링;
    상기 제어디스크의 상부에 설치되는 역회전전자석; 및
    상기 제어디스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정회전전자석;을 포함하며,
    정회전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디스크가 정회전전자석에 밀착되고 동시에 제어축이 입력내륜을 밀어 입력외륜에 밀착시키면 입력외륜의 정회전이 입력내륜을 통해 제어축에 전달되면 출력축도 정회전하며,
    정회전전자석에 전원이 차단되면 제어디스크가 분리되고 제어축을 통하여 출력내륜도 출력외륜에서 분리되어 출력축의 회전이 정지되며,
    역회전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디스크가 역회전전자석에 밀착되고 동시에 제어축이 출력내륜을 밀어 출력외륜에 밀착시키면 출력외륜의 역회전에 따라 출력내륜도 역회전하여 제어축에 전달되면 출력축도 역회전 하는 회전전달장치.
KR1020180027749A 2018-03-09 2018-03-09 회전전달장치 KR102040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749A KR102040645B1 (ko) 2018-03-09 2018-03-09 회전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749A KR102040645B1 (ko) 2018-03-09 2018-03-09 회전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357A KR20190106357A (ko) 2019-09-18
KR102040645B1 true KR102040645B1 (ko) 2019-11-06

Family

ID=68071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749A KR102040645B1 (ko) 2018-03-09 2018-03-09 회전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06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0949A (ja) 1999-11-17 2001-05-22 Ntn Corp 逆入力防止クラッチ
KR100821015B1 (ko) 2005-04-07 2008-04-10 변동환 역입력방지 클러치베어링조립체
JP2010216536A (ja) 2009-03-16 2010-09-30 Ntn Corp 一方向回転伝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5309A (en) * 1989-05-08 1991-07-30 Nobuo Takada Rolling-contact bearing type clutc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0949A (ja) 1999-11-17 2001-05-22 Ntn Corp 逆入力防止クラッチ
KR100821015B1 (ko) 2005-04-07 2008-04-10 변동환 역입력방지 클러치베어링조립체
JP2010216536A (ja) 2009-03-16 2010-09-30 Ntn Corp 一方向回転伝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357A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9671B1 (en) Pulley assembly with radially oriented decoupling mechanism
US10247263B2 (en) Selectable one-way clutch
MX2014006648A (es) Montaje de polea con un mecanismo de desacoplamiento.
US3777583A (en) Clutch
US4033437A (en) Synchronizer with rocking key disengagement
EP3539869B1 (en) Clutch arrangement for a roadable aircraft
US2336757A (en) Spring clutch
KR102040645B1 (ko) 회전전달장치
JP4135345B2 (ja) 自動クラッチレリーズ装置及びクラッチ装置
US4611499A (en) Engine starter gearing
US3028737A (en) Couple
JPS6371571A (ja) エンジンのスタータ歯車装置
US20050045445A1 (en) Clutch by wire having multiple starter-generator means
US2029244A (en) Driving mechanism
JP7141239B2 (ja) ワンウェイクラッチ
KR970008658B1 (ko) 원심액슬 조속기를 갖춘 액슬 장치
RU2720391C2 (ru) Автономный редуктор с двумя передаточными отношениями и система с двигателем и обратимой 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ашиной, содержащая этот редуктор
US3904004A (en) Overrunning clutch
JP2002155970A (ja) クラッチ構造
US3491615A (en) Actuators
JP7109356B2 (ja) オイルポンプ駆動装置
EP3165792B1 (en) Linear gear shift power transfer mechanism
SU1734580A3 (ru) Центробежна муфта
SE444471B (sv) Friktionskoppling med dubbel kona i synnerhet for drivanordningar for batar
CN208719184U (zh) 一种离合机构以及离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