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0463B1 - 보호 필름 - Google Patents

보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0463B1
KR102040463B1 KR1020170031338A KR20170031338A KR102040463B1 KR 102040463 B1 KR102040463 B1 KR 102040463B1 KR 1020170031338 A KR1020170031338 A KR 1020170031338A KR 20170031338 A KR20170031338 A KR 20170031338A KR 102040463 B1 KR102040463 B1 KR 102040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rotective film
parts
metal salt
bas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8357A (ko
Inventor
박병수
이희제
김학림
권윤경
김동규
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80038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4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7Antista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75Antista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10Block or graft 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9J183/12Block or graft 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83/00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6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83/00Presence of polysiloxan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207/00Coding scheme for general features or characteristics of optical elements and systems of subclass G02B, but not including elements and systems which would be classified in G02B6/00 and subgroups
    • G02B2207/121Antistatic or EM shielding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52Of asbestos
    • Y10T428/31663As siloxane, silicone or sila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호 필름 박리 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보호 필름 {PROTECTIVE FILM}
본 출원은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의 경우, 편광판의 제조 공정에서부터 LCD 모듈을 만드는 공정까지 외부적인 충격이나 마찰 및 오염으로부터 편광판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이 요구된다. 이러한 보호 필름은 초기에 피착체에 고정될 만큼의 점착성과 함께 공정 종료 후에는 피착체를 손상시키지 않고 박리할 수 있는 저박리력이 요구된다.
종래의 편광판에 사용되는 기재 필름의 경우 표면 에너지가 높아서, 보호 필름 점착제에 금속염이나 유기염과 같은 대전방지제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점착제 표면 위에 대전방지제의 전사가 용이하고 박리 후 피착체인 편광판 표면의 표면저항을 낮출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정전기 발생량이 적었다. 그러나, 최근 편광판 표면에 저반사나 안티 글래어와 같은 물성을 구현하기 위해, 편광판 최외각층에 코팅층을 형성하게 되면서, 상기 코팅층 오염방지를 위한 Si나 F계열 첨가제 때문에 편광판 표면의 표면 에너지가 낮아지게 되었다. 이렇게 피착체인 편광판의 표면 에너지가 낮아지게 되면 대전방지제의 전사가 용이하지 않아지고, 이에 따라 보호 필름 박리 시, 박리계면의 표면저항이 상승하게 되며, 정전기 발생량도 증가하게 된다.
선행 특허인 특허문헌 1은 도전성 박막의 오염 및 스크레치 등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필름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다.
일본 등록 특허 제4342775호
본 출원은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호 필름 박리 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본 출원은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보호 필름은 편광판에 적용될 수 있고, 편광판의 제조 공정에서부터 LCD 모듈을 만드는 공정까지 외부적인 충격이나 마찰 및 오염으로부터 편광판을 보호할 수 있다.
예시적인 보호 필름은 하기 화학식 1을 만족하는 폴리오가노실록산 및 금속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024879114-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0 내지 1500의 범위 내의 어느 한 수이다. 하나의 예시에서, n은 5 내지 1300, 10 내지 1000, 15 내지 800, 20 내지 500, 25 내지 400, 30 내지 300, 35 내지 200 또는 40 내지 18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R1 내지 R8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기, 알콕시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또는 알킬렌 옥사이드이며, R1 내지 R8 중 적어도 하나는 알킬렌 옥사이드일 수 있다. 상기에서 R1 내지 R8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메틸기, 에틸기 또는 프로필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킬기는 메틸기일 수 있고, 상기 폴리오가노실록산은 폴리디메틸실록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알킬렌 옥사이드는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킬렌 옥사이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에틸렌 옥사이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알킬렌 옥사이드는 R4 또는 R5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은 금속염을 상기 폴리오가노실록산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은 상기 폴리오가노실록산과 함께 킬레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금속염은 대전 방지제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금속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은 리튬, 나트륨, 칼륨 또는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염을 예시로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Li, Na, K 또는 Mg로 이루어지는 양이온과, Cl-, Br-, I-, BF4 -, PF6 -, SCN-, ClO4 -, CF3SO3 -, (CF3SO2)2N-, (C2F5SO2)2N-, 또는 (CF3SO2)3C-로 이루어지는 음이온으로 구성되는 금속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그 중에서, LiBr, LiI, LiBF4, LiPF6, LiSCN, LiClO4, LiCF3SO3, Li(CF3SO2)2N, Li(C2F5SO2)2N, Li(CF3SO2)3C, K(CF3SO2)2N, 또는 Mg((CF3SO2)2N)2 등의 금속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알칼리 금속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금속염은 폴리오가노실록산 100 중량부 대비 50 내지 150 중량부, 60 내지 140 중량부, 70 내지 130 중량부 또는 80 내지 1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 따른 보호 필름에 포함되는 금속염은 박리 계면의 표면저항을 낮추는 역할을 함으로써 정전기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 대전 방지제로서 사용된 폴리디메틸실록산은 표면 에너지가 낮은 편광판에 대해서, 상기 금속염을 동반하여 전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편광판의 표면에너지가 낮은 경우, 상기 폴리디메틸실록산은 소수성 표면으로의 전사가 잘되는 반면, 금속염은 전사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결과적으로, 표면저항이 상승하게 되며, 정전기 발생량도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본 출원에 따른 화학식 1의 폴리오가노실록산은 상기 금속염과 킬레이트를 형성하여, 박리 계면으로 상기 금속염과 함께 용이하게 전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피착체의 표면 저항을 낮추어 정전기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오가노실록산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킬렌 옥사이드를 가질 수 있는데, 친수성인 알킬렌 옥사이드와 금속염은 킬레이트를 형성함으로써, 폴리오가노실록산과 금속염은 함께 박리계면으로 용이하게 전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박리계면은 점착제층 표면과 상기 보호 필름이 적용되는 편광자의 표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킬기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 또는 탄소수 3 내지 20, 탄소수 3 내지 16 또는 탄소수 4 내지 12의 시클로알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알킬기는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알콕시기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탄소수 1 내지 8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시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알콕시기는,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콕시기는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알케닐기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탄소수 2 내지 20, 탄소수 2 내지 16, 탄소수 2 내지 12, 탄소수 2 내지 8 또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케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알케닐기는,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케닐기는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알키닐기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탄소수 2 내지 20, 탄소수 2 내지 16, 탄소수 2 내지 12, 탄소수 2 내지 8 또는 탄소수 2 내지 4의 알키닐기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폴리오가노실록산의 중량평균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 300 내지 100,000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분자량은 예를 들어, 400 내지 90,000, 400 내지 80,000, 500 내지 70,000, 1,000 내지 60,000, 5,000 내지 50,000 또는 10,000 내지 30,000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중량평균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로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에 대한 환산 수치를 의미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의 점착제층은 점착성 베이스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성 베이스 수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를 중합 단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점착제층은, 80 내지 99.8 중량부, 82 내지 99.5 중량부, 84 내지 99 중량부, 86 내지 97 중량부 또는 87 내지 95 중량부의 점착성 베이스 수지 및 0.01 내지 10 중량부, 0.01 내지 8 중량부, 0.05 내지 7 중량부, 0.08 내지 6 중량부, 0.1 내지 5 중량부, 0.1 내지 3 중량부, 0.1 내지 1.5 중량부, 0.2 내지 1 중량부, 0.3 내지 0.9 중량부 또는 0.3 내지 0.8 중량부의 폴리오가노실록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출원의 점착제층은 상기 점착성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부 또는 0.01 내지 0.9 중량부의 폴리오가노실록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단위 「중량부」는 각 성분 간의 중량 비율을 의미한다. 상기 수지와 폴리오가노실록산의 중량 비율을 상기와 같이 조절하여, 점착제층의 초기 접착력, 내구성 및 박리력 등의 물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마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출원의 점착성 베이스 수지는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로부터 유래된 중합 단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는 히드록시기 함유 공단량체, 카복실기 함유 공단량체 및 질소 함유 공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드록시기 함유 공단량체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에서,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는 점착성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14 중량부, 0.5 중량부 내지 14 중량부, 1 중량부 내지 13 중량부, 1.5 중량부 내지 12 중량부, 1.5 중량부 내지 11 중량부, 1.8 중량부 내지 9 중량부 또는 1.9 중량부 내지 8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를 조절함으로써, 베이스 수지의 저장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 필름으로서 저박리력을 구현하기 위하여 가교를 많이 시키는 방법이 있으며, 이를 위해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다량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저박리력을 구현하기 위하여,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를 14 중량부 초과하여 포함하는 경우, 베이스 수지의 저장 안정성 및 중합 반응 안정성이 악화될 수 있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상기 점착제층은 점착성 베이스 수지를 가교시키고 있는 다관능성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아지리딘계 화합물 및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가교성 관능기의 종류를 고려하여,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가교제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톨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보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나, 상기 중 하나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올의 부가 반응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에서 폴리올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에폭시 화합물로는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 에틸렌디아민 또는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아지리딘 화합물로는 N,N'-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트리에틸렌멜라민, 비스이소프로탈로일-1-(2-메틸아지리딘) 또는, 트리-1-아지리디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로는, 다가 금속이 아세틸 아세톤이나 아세토초산에틸 등에 배위한 상태로 존재하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에서 다가 금속의 종류로는, 알루미늄, 철, 아연, 주석, 티탄, 안티몬, 마그네슘 또는 바나듐 등이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는 지방족 선형 다가 NCO 및 지방족 고리형 다가 NCO의 혼합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방족 선형 다가 NCO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고, 지방족 고리형 다가 NCO는 이소보론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족 선형 다가 NCO 및 지방족 고리형 다가 NCO는 6:4 내지 9: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혼합물에서 NCO는 8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기 NCO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는 점착성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0.1 내지 18 중량부, 0.5 내지 15 중량부, 1.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2 중량부 내지 8 중량부, 2.5 중량부 내지 5.5 중량부 또는 2.5 중량부 내지 5.3 중량부 의 양으로 점착제층에 포함될 수 있다. 보호필름의 저박리력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가교를 많이 시키는 방법이 있으며, 이를 위하여 가교제를 과량으로 사용해야 한다. 다만, 가교제를 과량으로 사용하는 경우, 점착제층 코팅액의 가사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점착제층은 다관능성 가교제의 함량을 20 중량부 이하, 14 중량부 이하 또는 10 중량부 이하로 한정함으로써, 점착제층의 가사 시간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점착제층은 경화 지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화 지연제는 아세토아세트산메틸, 아세토아세트산에틸, 아세토아세트산옥틸, 아세토아세트산올레일, 아세토아세트산라우릴, 아세토아세트산스테아릴 등의 β-케토에스테르나, 또는 아세틸아세톤, 2,4-헥산디온, 벤조일아세톤 등의 β-디케톤 중에서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경화 지연제는 점착성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또는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점착제층에는, 전술한 성분에 외에, 추가로 실란 커플링제; 점착 부여제; 에폭시 수지;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소포제; 계면 활성제; 촉매; 또는 가소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보호 필름은 기재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점착제층은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노르보르넨계 고분자,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아릴레이트 등의 단일 성분의 고분자, 공중합 고분자 또는 에폭시계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층의 두께는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약 20 내지 300 ㎛,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00 ㎛이다.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상기 보호 필름은 15mN/m 내지 40mN/m의 표면에너지를 갖는 피착체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은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피착체에 적용될 수 있고, 본 출원은 상기 특정 피착체에 적용되어도 정전기량을 최소화하여 신뢰성 높은 보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표면 에너지(γsurface, mN/m)는 γsurface = γdispersion + γpolar 로 계산될 수 있다. 상기 표면 에너지는, 공지의 측정 방식에 의하여 측정된 값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표면 에너지는 물방울형 분석기(Drop Shape Analyzer, KRUSS사의 DSA100제품)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에너지는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하여, 표면 장력(surface tension)이 공지되어 있는 탈이온화수를 떨어뜨리고 그 접촉각을 구하는 과정을 5회 반복하여, 얻어진 5개의 접촉각 수치의 평균치를 구하고, 동일하게, 표면 장력이 공지되어 있는 디요오드메탄(diiodomethane)을 떨어뜨리고 그 접촉각을 구하는 과정을 5회 반복하여, 얻어진 5개의 접촉각 수치의 평균치를 구한다. 그 후, 구해진 탈이온화수와 디요오드메탄에 대한 접촉각의 평균치를 이용하여 Owens-Wendt-Rabel-Kaelble 방법에 의해 용매의 표면 장력에 관한 수치(Strom 값)를 대입하여 표면 에너지를 구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편광판은 전술한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편광판은 적어도 하나의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구체예에서,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형성되고 15mN/m 내지 40mN/m, 20mN/m 내지 35mN/m 또는 25mN/m 내지 30mN/m의 표면에너지를 갖는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코팅층 상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추가 기능성층일 수 있고, 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코팅층은 저반사층(Low Reflective)나 안티 글래어층(Anti Glare)일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을 가지는 편광판은 통상의 액정 표시 소자에 모두 적용 가능하며, 그 액정 패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 필름을 액정 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합한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소자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보호 필름은 피착체로부터 보호 필름 박리 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 및 본 출원에 따르지 않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점착제층의 제조>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HA) 및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2-HEA)를 98:2(2-EHA:2-HEA)의 중량비율로 공중합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용액을 얻었다.
그리고,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고형분)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인 HMDI/IPDI(Hexamethylene diisocyanate/Isophorone diisocyanate)(=8/2중량비율(NCO%: 16wt%)) 5 중량부, 경화지연제로서 아세틸아세톤 7 중량부, 화학식 1의 폴리오가노실록산으로서 R5위치에 에틸렌 옥사이드가 결합된 폴리디메틸실록산(중량평균분자량: 20,000) 0.5 중량부 및 금속염으로서 Li(CF3SO2)2N을 0.5 중량부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보호 필름의 제조>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A4300 PET(Toyobo사) (두께: 100㎛)의 일면에 코팅하고, 건조한 후, 도막 두께가 15㎛인 투명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건조 직후, 이형 필름을 덮어 40℃에서 4일 동안 숙성시킨다.
실시예 2
금속염으로서 K(CF3SO2)2N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금속염으로서 Mg((CF3SO2)2N)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화학식 1의 폴리오가노실록산을 1중량부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화학식 1의 폴리오가노실록산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화학식 1의 폴리오가노실록산 대신 폴리디메틸실록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금속염 대신 대전 방지제로서 암모늄염((n-C4H9)3(CH3)N+ -N(SO2CF3)2)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ESD(Electrostatic Discharge, kV)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보호필름의 점착제층을 표면 에너지가 15mN/m 내지 40mN/m의 범위 내에 있는 안티 글래어 편광판(안티글래어층/TAC(tri-acetyl-cellulose film)필름층/PVA(polyvinyl alchol)층/TAC 필름층)의 안티글래어층에 라미네이트 시킨 후, 상기 편광판을 A4 크기로 재단하여 보호 필름이 라미된 편광판 반대면을 양면 테이프를 통해 바닥면에 고정하여 샘플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정전기 측정기의 경우 SHISHIDO사의 STATIRON DZ-4 모델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샘플과의 측정 거리는 3cm로 고정하였다. 보호 필름의 박리 속도는 30m/min이고 박리 각도는 180°로 보호 필름을 박리하면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에서 0.5kV 이상인 경우 불량, 0.5kV 미만인 경우 양호로 판단될 수 있다.
실험예 2: 오염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보호필름을 실험예 1과 같이, 안티 글래어 편광판에 라미네이트 시킨 후, 50℃에서 하루 이상 방치하고, 오염성 평가의 시인성 확보를 위해 보호필름이 라미된 편광판 반대면에 Black Tape를 라미하였다. 그리고, 보호필름을 편광판으로부터 박리하였다 부착하였다를 반복하여 인위적으로 기포를 혼입시킨 후 상온에서 하루 이상 방치하였다. 기포가 포함된 보호필름을 50℃에서 3시간 열처리 진행 이후 육안으로 오염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기포 자국이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 경우 O로 표시하였고, 기포 자국이 육안으로 관찰되는 경우 X로 표시하여 분류하였다.
ESD(kV) 오염성
실시예 1 0.15 O
실시예 2 0.20 O
실시예 3 0.22 O
실시예 4 0.10 X
비교예 1 0.87 O
비교예 2 0.72 O
비교예 3 0.54 O
비교예 1은 폴리오가노실록산이 첨가되지 않았고, 비교예 2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이 첨가되었으나 알킬렌 옥사이드 작용기가 없어서, 비교예 1 및 2의 경우 정전기 측정 결과, 실시예 대비 3배 이상의 정전기가 발생하였다. 또한, 금속염 대신 유기염이 포함된 비교예 3의 경우도 정전기 측정 결과 실시예 대비 2배 이상의 정전기가 발생하였다.

Claims (20)

  1.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를 중합단위로 포함하는 점착성 베이스 수지, 상기 점착성 베이스 수지를 가교시키고 있는 다관능성 가교제, 하기 화학식 1을 만족하고,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 내지 30,000인 폴리오가노실록산 및 금속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을 가지고,
    상기 금속염은 폴리오가노실록산과 킬레이트를 형성하며,
    상기 점착성 베이스 수지와 폴리오가노실록산은 각각 80 내지 99.8 중량부 및 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되고,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는 점착성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점착제층에 포함되며,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는 지방족 선형 다가 NCO 및 지방족 고리형 다가 NCO의 혼합물이고,
    상기 지방족 선형 다가 NCO 및 지방족 고리형 다가 NCO의 중량 비율은 6:4 내지 9:1이며,
    상기 혼합물에서 NCO는 8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고,
    15mN/m 내지 40mN/m의 표면 에너지를 갖는 피착체에 적용되는 보호 필름:
    (화학식 1)
    Figure 112019095480370-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0 내지 1500의 범위 내의 어느 한 수이고, R1 내지 R8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기, 알콕시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또는 알킬렌 옥사이드이며, R1 내지 R8 중 적어도 하나는 알킬렌 옥사이드이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염은 LiBr, LiI, LiBF4, LiPF6, LiSCN, LiClO4, LiCF3SO3, Li(CF3SO2)2N, Li(C2F5SO2)2N, Li(CF3SO2)3C, K(CF3SO2)2N, 또는 Mg((CF3SO2)2N)2를 포함하는 보호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염은 폴리오가노실록산 100 중량부 대비 50 내지 150 중량부로 포함되는 보호 필름.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성 베이스 수지는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로부터 유래된 중합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는 보호 필름.
  10. 제 9 항에 있어서,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는 히드록시기 함유 공단량체, 카복실기 함유 공단량체 및 질소 함유 공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보호 필름.
  11. 제 9 항에 있어서, 가교성 관능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는 점착성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14 중량부로 포함되는 보호 필름.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 1 항에 있어서, 점착제층은 경화 지연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보호 필름.
  17.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점착제층은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보호 필름.
  18. 삭제
  19.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항에 따른 보호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20. 삭제
KR1020170031338A 2016-03-11 2017-03-13 보호 필름 KR102040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29514 2016-03-11
KR1020160029514 2016-03-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357A KR20180038357A (ko) 2018-04-16
KR102040463B1 true KR102040463B1 (ko) 2019-11-05

Family

ID=59790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338A KR102040463B1 (ko) 2016-03-11 2017-03-13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119537A1 (ko)
EP (1) EP3425015A4 (ko)
JP (1) JP6716148B2 (ko)
KR (1) KR102040463B1 (ko)
CN (1) CN108779380B (ko)
TW (1) TWI665261B (ko)
WO (1) WO20171553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978B1 (ko) * 2018-04-06 2021-04-02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 보호필름용 점착 시트,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090196A1 (ja) * 2018-11-01 2020-05-07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偏光板
US20220081594A1 (en) * 2019-08-05 2022-03-17 Lg Chem, Ltd. Adhesive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3744A (ja) * 2012-02-09 2013-08-22 Nippon Carbide Ind Co Inc 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部材表面保護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2775B2 (ja) 2002-07-31 2009-10-14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用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面保護フィルム付き透明導電性フィルム
KR101019062B1 (ko) * 2007-01-19 2011-03-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JP5361244B2 (ja) * 2008-05-15 2013-12-04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光学部材表面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及び光学部材表面保護フィルム
JP5623020B2 (ja) * 2009-02-27 2014-11-1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及び、粘着シート
JP2011236267A (ja) * 2010-05-06 2011-11-24 Nippon Carbide Ind Co Inc 表面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1236266A (ja) * 2010-05-06 2011-11-24 Nippon Carbide Ind Co Inc 表面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面保護フィルム
CN103459537B (zh) * 2011-03-28 2015-09-30 日本电石工业株式会社 粘合剂组合物及光学构件用薄膜
JP6227237B2 (ja) * 2011-10-19 2017-11-08 日東電工株式会社 再剥離用水分散型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5877092B2 (ja) * 2012-03-06 2016-03-02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4111705A (ja) * 2012-03-30 2014-06-19 Nitto Denko Corp 粘着シート
JP6022795B2 (ja) * 2012-04-06 2016-11-0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シート、表面保護シート、光学用表面保護シート、及び、表面保護シート付き光学フィルム
JP6423574B2 (ja) * 2012-08-31 2018-11-1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381950B2 (ja) * 2013-06-25 2018-08-2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光学部材
JP6239302B2 (ja) * 2013-07-31 2017-11-2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及び、光学部材
KR101643055B1 (ko) * 2013-11-21 2016-07-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 필름
JP6267958B2 (ja) * 2013-12-27 2018-01-24 旭化成株式会社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硬化物
JP5963788B2 (ja) * 2014-01-10 2016-08-03 藤森工業株式会社 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3744A (ja) * 2012-02-09 2013-08-22 Nippon Carbide Ind Co Inc 粘着剤組成物および光学部材表面保護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779380A (zh) 2018-11-09
CN108779380B (zh) 2021-07-23
WO2017155368A3 (ko) 2018-08-02
WO2017155368A2 (ko) 2017-09-14
US20190119537A1 (en) 2019-04-25
TW201734138A (zh) 2017-10-01
EP3425015A2 (en) 2019-01-09
JP6716148B2 (ja) 2020-07-01
EP3425015A4 (en) 2019-03-27
KR20180038357A (ko) 2018-04-16
TWI665261B (zh) 2019-07-11
JP2019513849A (ja) 2019-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9856B1 (ko) 점착제 조성물
TWI402320B (zh) 丙烯酸壓感型黏著劑組成物,含其之保護膜,偏光板及液晶顯示器
EP3147337B1 (en) Adhesive composition
KR102538808B1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 시트 및 점착제 부착 광학 필름
EP2886622B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EP2889351B1 (en) Adhesive composition
KR102040463B1 (ko) 보호 필름
KR20140031117A (ko) 점착제 조성물
KR20130052498A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1783209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90002266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KR20120119386A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2066921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836366B1 (ko)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
KR20150025843A (ko) 점착제 조성물
KR101881186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2476457B1 (ko)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40111395A (ko) 점착제 조성물
KR20170014918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784825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40139403A (ko) 점착제 조성물
KR20150011303A (ko) 점착제 조성물
KR20130058237A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40109705A (ko) 점착제 조성물
KR20130108237A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