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745B1 - 누유 감지 기능을 가지는 주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주유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누유 감지 기능을 가지는 주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주유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745B1
KR102039745B1 KR1020180037307A KR20180037307A KR102039745B1 KR 102039745 B1 KR102039745 B1 KR 102039745B1 KR 1020180037307 A KR1020180037307 A KR 1020180037307A KR 20180037307 A KR20180037307 A KR 20180037307A KR 102039745 B1 KR102039745 B1 KR 102039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leakage
lubricator
inclination
oil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5148A (ko
Inventor
박해덕
Original Assignee
동화프라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화프라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화프라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7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745B1/ko
Publication of KR20190115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67D7/54Filling nozzles with means for preventing escape of liquid or vapour or for recovering escaped liquid or vap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209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relating to spillage or leakage, e.g. spill containments, leak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주유기 관리 시스템은, 주유기의 내부부품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를 중심으로 양단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양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양단을 향해 하향 경사진 한쌍의 날개부를 구비하는 누유 트레이; 상기 경사면의 상면에 설치되며, 누유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누유 감지센서; 상기 누유 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상기 감지신호가 포함된 누유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누유감지 통신부; 그리고 상기 누유감지 통신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누유데이터 정보를 표시하는 누유감지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누유 감지 기능을 가지는 주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주유기 관리 시스템{LUBRICATOR WITH OIL LEAKAGE DETECT FUNCTION AND SYSTEM FOR MANAGING LUBRIC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누유 감지 기능을 가지는 주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주유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유기 내부 부품의 누유 여부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유기의 누유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 누유 감지 기능을 가지는 주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주유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유소 시스템은 대용량의 유류저장탱크에 유류를 저장해두고, 그 탱크와 배관으로 연결된 주유기를 통해 차량에 유류를 공급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주유기는 필요 시 펌프를 가동하여 유류저장탱크 내의 유류를 주유기로 끌어올리게 된다.
그런데, 주유기를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배관 자체나 연결부에서 유류가 새는 누유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것은 장비의 노후화에 의한 부식 등의 원인이 있을 수도 있고, 정비 후 용접불량 또는 조임을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일부분이 파손되는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누유가 발생되었을 때 작업자가 그것을 쉽게 알아 내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누유 사실을 계속 모르고 방치하게 되면, 금전적인 피해는 물론이고 주변지역으로 토양 환경 등의 오염피해가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487744호(2015.01.2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유기 내부 부품에서 누유가 발생하면 이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누유 감지 기능을 가지는 주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주유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주유기 내부 부품의 누유 여부를 현장 및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관리할 수 있는 누유 감지 기능을 가지는 주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주유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누유 감지 기능을 가지는 주유기는, 내부부품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를 중심으로 좌측단을 향해 제1경사가 형성된 좌측면과 우측단을 향해 제2경사가 형성된 우측면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좌측단 및 상기 우측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좌측단 및 상기 우측단을 향해 각각 하향 경사진 한쌍의 날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좌측면의 가로길이는 상기 우측면의 가로길이보다 작고, 상기 제1경사의 경사도는 상기 제2경사의 경사도보다 크며, 수직단면이 W 형상인 누유 트레이; 그리고 상기 좌측면의 상면에 상기 제1경사를 따라 기설정된 제1간격으로 설치되어 누유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제1누유 감지센서와, 상기 우측면의 상면에 상기 제2경사를 따라 기설정된 제2간격으로 설치되어 누유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제2누유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누유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간격은 상기 제2간격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감지신호는, 주유소 정보, 주유기 정보 및 배치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치번호는, 상기 누유 감지센서의 설치 높이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주유기 관리 시스템은, 내부부품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를 중심으로 좌측단을 향해 제1경사가 형성된 좌측면과 우측단을 향해 제2경사가 형성된 우측면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좌측단 및 상기 우측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좌측단 및 상기 우측단을 향해 각각 하향 경사진 한쌍의 날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좌측면의 가로길이는 상기 우측면의 가로길이보다 작고, 상기 제1경사의 경사도는 상기 제2경사의 경사도보다 크며, 수직단면이 W 형상인 누유 트레이; 상기 좌측면의 상면에 상기 제1경사를 따라 기설정된 제1간격으로 설치되어 누유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제1누유 감지센서와, 상기 우측면의 상면에 상기 제2경사를 따라 기설정된 제2간격으로 설치되어 누유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제2누유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누유 감지센서; 상기 누유 감지센서들로부터 수신한 상기 감지신호들이 포함된 누유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누유감지 통신부; 그리고 상기 누유감지 통신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누유데이터 정보를 표시하는 누유감지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간격은 상기 제2간격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감지신호는, 주유소 정보, 주유기 정보 및 배치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치번호는, 상기 누유 감지센서의 설치 높이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유감지 표시부는, 상기 누유 감지센서의 설치 높이에 따라 휘도가 조절되는 경고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치번호가 클수록 상기 누유 감지센서의 설치 높이가 높으며, 상기 배치번호가 클수록 상기 경고등의 휘도가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유 감지 기능을 가지는 주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주유기 관리 시스템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유기 내부 부품에서 누유가 발생하면 이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주유기 내부 부품의 누유 여부를 현장 및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누유 감지 기능을 가지는 주유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누유 감지 기능을 가지는 주유기의 누유 트레이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누유 감지 기능을 가지는 주유기의 누유 트레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주유기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주유기 관리 시스템의 누유데이터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누유 감지 기능을 가지는 주유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주유기(1)의 내부에는 플렉시블 몸체(20), 펌프(30) 및 유량계(40) 등의 관련 부품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주유기의 내부부품에는 다음과 같은 구성에서 누유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유기(1)의 내부부품 중 플렉시블 몸체(20)는 하부 후렌지가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어 구성되는데, 플렉시블 몸체(21)와 하부 후렌지가 체결되는 외부에 누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주유기(1)의 내부부품 중 펌프(30)는 펌프몸체와 펌프풀리가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어 구성되는데, 펌프몸체와 펌프풀리가 체결되는 외부에 누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주유기의 내부부품 중 유량계(40)는 유량계몸체의 상부와 하부 및 측부에는 각각 상커버와 하커버 및 측커버가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어 구성되는데, 이러한 체결부분에 누유가 발생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누유 감지 기능을 가지는 주유기의 누유 트레이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누유 감지 기능을 가지는 주유기의 누유 트레이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누유 감지 기능을 가지는 주유기는 주유기(1)의 부품(연결부, 배관부 등)의 누유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누유트레이(110) 및 누유감지센서(120)를 포함한다.
누유트레이(110)는 주유기(1)의 내부부품(연결부(2), 배관부(3) 등)에 설치되어 외부로 누유 발생시 누유가 담기는 상부가 개방된 누유공간(미도시)을 가진다. 누유트레이(110)는 몸체부(112), 날개부(113a, 113b) 및 유출방지부(115a, 115b, 115c, 115d)를 포함한다.
몸체부(112)에는 주유기(1)의 연결부(2), 배관부(3) 등 내부부품에 삽입 고정되기 위한 삽입부(111)가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몸체부(112)는 삽입부(111)를 중심으로 양단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112a, 112b)을 가진다. 삽입부(111)는 주유기(1)의 상기 내부부품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내부를 향해 단면적이 감소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112c)에는 누유공간에 고인 누유를 제거할 수 있도록 배출홀(112c)이 상하방향으로 관통형성되며, 이러한 배출홀(112c)은 날개부(113a,113b)에 인접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배출홀(112c)에는 배출홀(112c)을 개방 또는 차단할 수 있는 마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날개부(113a,113b)는 일단이 각각 몸체부(112)의 양단에 연결된다. 날개부(113a,113b)는 각각 몸체부(112)의 양단을 향해 하향 경사를 형성한다. 유출방지부(115a, 115b, 115c, 115d)는 몸체부(112) 및 날개부(113a,113b)에 결합되며 누유가 고일 수 있는 누유공간을 형성한다. 날개부(113a, 113b)의 설치홀(114)은 누유감지센서(120)를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누유 트레이(110)는 수직단면이 'W'자 형상을 가진다. 몸체부(112)는 삽입부(111)를 중심으로 좌측단을 향해 제1경사가 형성된 좌측면(112a)과 우측단을 향해 제2경사가 형성된 우측면(112b)을 가진다. 이때, 좌측면(112a)의 가로길이는 우측면(112b)의 가로길이보다 작고, 상기 제1경사의 경사도는 상기 제2경사의 경사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날개부(113a,113b)는 상기 좌측단 및 상기 우측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좌측단 및 상기 우측단을 향해 각각 하향 경사진다.
복수의 누유감지센서(120)가 몸체부(112)의 경사면(112a, 112b)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누유감지센서(120)는 누유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후술할 누유감지 통신부(2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신호는 주유소 정보, 주유기 정보 및 배치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치번호는 누유감지센서들(120)의 설치 위치(높이 등)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누유감지센서(120)의 배치번호가 클수록 누유감지센서(120)의 설치 위치(높이 등)가 높을 수 있다. 즉, 배치번호가 작은 누유감지센서(120)가 날개부(113a, 113b)에 근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제1누유 감지센서(120)는 삽입부(111)를 중심으로 좌측단을 향해 제1경사가 형성된 좌측면(112a)의 상면에 상기 제1경사를 따라 기설정된 제1간격으로 설치되어 누유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제2누유 감지센서(120)는 삽입부(111)를 중심으로 우측단을 향해 제2경사가 형성된 우측면(112b)의 상면에 상기 제2경사를 따라 기설정된 제2간격으로 설치되어 누유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간격은 상기 제2간격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에는 “Λ”자형, 평면형의 몸체부(112)의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몸체부(112) 구성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주유기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주유기 관리 시스템의 누유데이터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주유기 관리 시스템은 주유기(1)의 부품(연결부, 배관부 등)의 누유 여부를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것으로, 누유트레이(110), 복수의 누유감지센서(120), 누유감지 통신부(200), 누유감지 표시부(300), 통신망(400) 및 누유상황모니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예에 의한 주유기 관리 시스템의 누유트레이(110) 및 누유감지센서(120)는 도 1 내지 도 5의 실시 예에 의한 주유기의 누유 감지 장치와 그 기능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누유감지 통신부(200)는 누유 감지센서들(120)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들이 포함된 도 7의 누유데이터 정보(10)를 전송하며, 수집기(210) 및 중계기(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누유데이터 정보(10)는 주유소 정보(11), 주유기 정보(12) 및 배치번호(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치번호(13)는 누유감지센서들(120)의 설치 높이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누유감지센서(120)의 배치번호(13)가 클수록 누유감지센서(120)의 설치 위치(높이 등)가 높을 수 있다. 즉, 배치번호(130)가 작은 누유감지센서(120)가 날개부(113a, 113b)에 근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수집기(210)는 누유감지센서들(120)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신호들을 수집하여 누유데이터 정보(10)를 생성하여 중계기(220)로 전송한다.
중계기(22)는 수집기(210)로부터 전송된 누유데이터 정보(10)를 누유감지 표시부(300)에 전송한다.
누유감지 표시부(300)는 중계기(220)로부터 수신된 누유데이터 정보(10)를 이용하여 경고등(310) 및 알람(3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고등(310)은 누유 감지센서들(120)의 설치 높이에 따라서 빛의 색상 또는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감지센서들(120)의 배치번호(13)가 클수록 경고등(310)의 색상이 바뀌거나 또는 경고등(310)의 휘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때, 감지센서들(120)의 배치번호가 클수록 알람(320)의 소리의 세기도 강해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주유기(1)의 누유시, 작업자는 누유가 발생한 주유소(1)에 즉시 출동하여 확인 및 A/S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통신망(400)은 누유감지 표시부(300)에 수집된 누유데이터 정보(10)를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관제센터의 누유상황 모니터(500)로 전송한다.
관제센터에 설치된 누유상황모니터(500)는 누유데이터 정보(10)를 통해서, 각 주유소의 주유기별 누유상황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누유가 발생한 주유소(1)에 즉시 출동하여 확인 및 A/S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주유기의 누유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유기 관리 시스템은, 주유기 내부 부품에서 누유가 발생하면 이를 정확히 감지하여 주유소 정보, 주유기 정보 및 누유 트레이의 설치 위치(높이 등)에 따른 배치번호를 전송함으로써 주유기 내부 부품의 누유 여부를 현장 및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주유소 10: 누유데이터 정보
11: 주유소 정보 12: 주유기 정보
13: 배치번호 100: 누유감지부
110: 누유트레이 111: 삽입부
112: 몸체부 112a,112b: 경사면
112c: 배출홀 113a, 113b: 날개부
114: 설치홀
115a, 115b, 115c, 115d: 유출방지부 120: 누유감지센서
200: 누유감지 통신부 210: 수집기
220: 중계기 300: 누유감지 표시부
310: 경고등 320: 알람
400: 통신망 500: 누유상황 모니터

Claims (8)

  1. 내부부품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를 중심으로 좌측단을 향해 제1경사가 형성된 좌측면과 우측단을 향해 제2경사가 형성된 우측면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좌측단 및 상기 우측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좌측단 및 상기 우측단을 향해 각각 하향 경사진 한쌍의 날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좌측면의 가로길이는 상기 우측면의 가로길이보다 작고, 상기 제1경사의 경사도는 상기 제2경사의 경사도보다 크며, 수직단면이 W 형상인 누유 트레이;
    상기 좌측면의 상면에 상기 제1경사를 따라 기설정된 제1간격으로 설치되어 누유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제1누유 감지센서와, 상기 우측면의 상면에 상기 제2경사를 따라 기설정된 제2간격으로 설치되어 누유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제2누유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누유 감지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간격은 상기 제2간격보다 작으며,
    상기 감지신호는, 주유소 정보, 주유기 정보 및 배치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번호는, 상기 누유 감지센서의 설치 높이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누유 감지 기능을 가지는 주유기.
  2. 삭제
  3. 삭제
  4. 내부부품에 삽입 고정되는 삽입부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를 중심으로 좌측단을 향해 제1경사가 형성된 좌측면과 우측단을 향해 제2경사가 형성된 우측면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좌측단 및 상기 우측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좌측단 및 상기 우측단을 향해 각각 하향 경사진 한쌍의 날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좌측면의 가로길이는 상기 우측면의 가로길이보다 작고, 상기 제1경사의 경사도는 상기 제2경사의 경사도보다 크며, 수직단면이 W 형상인 누유 트레이;
    상기 좌측면의 상면에 상기 제1경사를 따라 기설정된 제1간격으로 설치되어 누유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제1누유 감지센서와, 상기 우측면의 상면에 상기 제2경사를 따라 기설정된 제2간격으로 설치되어 누유를 감지한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제2누유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누유 감지센서;
    상기 누유 감지센서들로부터 수신한 상기 감지신호들이 포함된 누유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누유감지 통신부;및
    상기 누유감지 통신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누유데이터 정보를 표시하는 누유감지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간격은 상기 제2간격보다 작으며,
    상기 감지신호는, 주유소 정보, 주유기 정보 및 배치번호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번호는, 상기 누유 감지센서의 설치 높이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가지는, 주유기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누유감지 표시부는,
    상기 누유 감지센서의 설치 높이에 따라 휘도가 조절되는 경고등를 포함하는, 주유기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치번호가 클수록 상기 누유 감지센서의 설치 높이가 높으며,
    상기 배치번호가 클수록 상기 경고등의 휘도가 높아지는, 주유기 관리 시스템.
KR1020180037307A 2018-03-30 2018-03-30 누유 감지 기능을 가지는 주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주유기 관리 시스템 KR102039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307A KR102039745B1 (ko) 2018-03-30 2018-03-30 누유 감지 기능을 가지는 주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주유기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307A KR102039745B1 (ko) 2018-03-30 2018-03-30 누유 감지 기능을 가지는 주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주유기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148A KR20190115148A (ko) 2019-10-11
KR102039745B1 true KR102039745B1 (ko) 2019-11-04

Family

ID=68210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307A KR102039745B1 (ko) 2018-03-30 2018-03-30 누유 감지 기능을 가지는 주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주유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74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519B2 (ja) * 1987-07-21 1996-01-24 株式会社タツノ・メカトロニクス 洩油検知装置
KR20100115502A (ko) * 2009-04-20 2010-10-28 동화프라임 주식회사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
KR101487744B1 (ko) 2014-10-08 2015-01-29 주식회사 에스티모빅 주유소 배관 모니터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148A (ko) 201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240B1 (ko) 배송관의 누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US5911155A (en) Connecting device for pipe assemblies
US7918126B2 (en) Intelligent underwater leak detection system
US20040045343A1 (en) Secondary containment system and method
US10473508B2 (en) Measuring tank fluids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CN101105262A (zh) 用于双胎体软管的泄漏检测系统和方法
CN106015949A (zh) 一种音波管道泄漏监测系统
WO2014165978A1 (en) Fluid spill containment, location, and real time notification device with acoustic based sensor
US11852293B2 (en) Lubricant pumping system
US6311547B1 (en) Sensor for detecting leaks in a liquid hydrocarbon dispenser
GB2571540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monitoring of fluid pipes
KR102039745B1 (ko) 누유 감지 기능을 가지는 주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주유기 관리 시스템
KR101487744B1 (ko) 주유소 배관 모니터링 시스템
USH1676H (en) Site management system for containing hazardous spills and leaks
KR200445590Y1 (ko) 주유소의 이상 발생 모니터링 장치
KR20220103283A (ko) Ict 기반 맨홀뚜껑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하수관리 시스템
KR200398442Y1 (ko) 배관 누유 모니터링 장치
KR20160106927A (ko) 플랜지 연결부의 누설압력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US20150010356A1 (en) Fluid spill containment, location, and real time notification device with cable based sensor
CN110481732A (zh) 一种雷达传感器保护装置
JP2014145444A (ja) 配管部材、配管部材の接続構造、油圧駆動機械
KR20190133518A (ko) 누출 감지장치
CN107764486A (zh) 一种环形漏液检测传感器
KR20100115502A (ko)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
JPH06263188A (ja) 中仕切タンク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