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181B1 -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이용한 피부 친화적 무슬림 의상용 직물설계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이용한 피부 친화적 무슬림 의상용 직물설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181B1
KR102039181B1 KR1020180010639A KR20180010639A KR102039181B1 KR 102039181 B1 KR102039181 B1 KR 102039181B1 KR 1020180010639 A KR1020180010639 A KR 1020180010639A KR 20180010639 A KR20180010639 A KR 20180010639A KR 102039181 B1 KR102039181 B1 KR 102039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ft
fiber
slope
fabric
polyprop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1725A (ko
Inventor
홍승숙
신현천
박명수
Original Assignee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홍승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홍승숙 filed Critical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0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181B1/ko
Publication of KR20190091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1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5/0005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섬유와 폴리프로필렌 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가 규칙적으로 배열된 경사, 폴리에스터 섬유로 이루어진 표면위사, 및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이루어진 배면위사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및 위사가 규칙적으로 교차되어 직조되며, 표면은 폴리에스터 섬유가 노출되고, 배면은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노출되도록 직조된 이중직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와 접촉되는 배면에 속건성 및 항균성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쾌적감을 높이고, 외부에 노출되는 표면에 경량성 및 내구성을 부여하여 품질을 향상시킨 이중직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이용한 피부 친화적 무슬림 의상용 직물설계{Textile design for skin-friendly Muslim clothes using polypropylene fiber}
본 발명은 피부와 접촉되는 배면에 속건성 및 항균성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쾌적감을 높이고, 외부에 노출되는 표면에 경량성 및 내구성을 부여하여 품질을 향상시킨 이중직물에 관한 것이다.
무슬림 의상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스터(Polyester, PE) 직물의 가장 큰 단점은 몸에 두른 의상이 잘 흘러 내려서 착용에 많은 불편함과 의상과 피부의 접착으로 인한 피부 질환 그리고 미세 오염 물질에 취약한 결점도 있다.
한편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P) 섬유는 외과용 마스크와 산업용 여과제와 경량의 고강도를 요구하는 포장용 소재 정도로만 인지되어 지금까지 타 섬유로는 쉽게 적용할 수 없는 파트로 전개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차별화 섬유소재로의 성장 잠재 가능성’에 대한 ‘확신’으로 급속하게 의류에 접목으로 변화하고 있다.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물보다 가벼운 비중을 가지며, 수분 흡수가 전혀 없어 정전기 발생이 없을 뿐 아니라 수분이나 땀을 전혀 흡수하지 않아 박테리아 서식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위생적인 소재로서, 피부와 접착감이 좋아 항상 경쾌함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마찰력이 있어 사용 중에도 형태의 변형이 없으며 또한 열전도율이 가장 낮아 보온성이 뛰어남은 물론 표준 수분율이 제로에 가까운 발수성(소수성) 및 속건성, 경량성 등 복합 기능성 섬유소재로서 갖춰야할 기본 요건을 갖추고 있고 특히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내구성을 지닌 섬유로 많은 착용과 마찰 마모 등으로 찢어짐에 강하다.
이러한 특징을 갖고 있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지금까지 염색성과 사 가공 상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의류에 접목을 하지 못하였으나 최근에는 원착 염색법을 통하여 대기업 중심으로 의류용 폴리프로필렌 직물 개발이 이루어져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장점을 발현할 수 있는 골프의류 등 스포츠 의류에 일부분 접목을 하고 있다.
지금까지 무슬림 의상용 직물은 거의 대부분 폴리에스터 소재로만 단순 조직으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어서 착용 시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어 피부 친화적 무슬림 의상용 직물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러한 폴리에스터 직물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한 직물 개발로서 표면에 노출되는 부분은 기존의 폴리에스터 섬유를 사용하고 피부에 접착되는 부분은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직물의 조직을 새로운 방법으로 설정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터 섬유와 정전기 발생이 없고, 위킹성이 뛰어나 세균 발생 요인이 없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포함하는 이중직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직물의 배면에 상기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노출되도록 직조하여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인 이중직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섬유와 폴리프로필렌 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가 규칙적으로 배열된 경사, 폴리에스터 섬유로 이루어진 표면위사, 및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이루어진 배면위사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및 위사가 규칙적으로 교차되어 직조되며, 표면은 폴리에스터 섬유가 노출되고, 배면은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노출되도록 직조된 이중직물을 제공한다.
상기 배면위사는 경사 1올 위로 지나간 후 n올 밑으로 지나가는 1/n 주자직이고, 상기 n는 3 내지 9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표면위사는 경사 3올 위로 지나간 후 1올 밑으로 지나가는 3/1 주자직이고, 상기 배면위사는 경사 1올 위로 지나간 후 3올 밑으로 지나가는 1/3 주자직이고, 상기 표면위사와 배면위사의 교차지점은 표면위사가 경사 위로 지나가는 2번째 올과, 배면위사가 경사 위로 지나가는 1번째 올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표면위사는 경사 4올 위로 지나간 후 3올 밑으로 지나가는 4/3 주자직이고, 상기 배면위사는 경사 1올 위로 지나간 후 6올 밑으로 지나가는 1/6 주자직이고, 상기 표면위사와 배면위사의 교차지점은 표면위사가 경사 위로 지나가는 3번째 올과, 배면위사가 경사 위로 지나가는 1번째 올인 것일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이중직물은 폴리에스터 섬유와 정전기 발생이 없고, 위킹성이 뛰어나 세균 발생 요인이 없는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이중 직조 함으로써 기존 폴리에틸렌 섬유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직물은 미끄러짐이 없고 경량성, 속건성 및 보온성이 뛰어나 착용감이 우수한 의복용 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이중조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교차점을 나타낸 의장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이중조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교차점을 나타낸 의장지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경사(Wrap, 날실)는 직물 조직에서 세로로 놓인 실을 의미하고, 위사(Weft, 씨실)는 직물 조직에서 가로로 놓인 실을 의미하며, 상기 경사와 위사를 직기에 걸어 짠 물건을 통틀어 직물이라 한다.
상기 직물을 형성하기 위하여서는 경사와 위사가 규칙적으로 부침(浮沈)하게 되는데, 부침하면서 교차되는 위치를 교차점이라 한다.
직물은 경사와 위사가 교차하는 상태 및 방법에 따라 평직, 능직 및 주자직의 3원조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에서 주자직은 1완전 조직에서 위사는 경사를, 경사는 위사를 한번에 한하여 한 올만을 엮으므로 교차점이 연속되지 않는 조직이다.
상기 주자직에서 교차점은 직물면에 연속적이 아니고 규칙적으로 균일하게 비수만큼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비수(뜀수, Step)란 주자직에서 어떤 1올의 실의 교차점에서 바로 인접하여 있는 그 다음 실의 교차점까지의 거리(사수)를 비수라고 한다.
본 발명에서는 경사를 기준으로 위사가 경사의 위로 지나가는 비수를 m, 위사가 경사의 아래로 지나가는 비수를 n으로 나타내며, m/n 주자직이라 한다.
직물의 교차점을 나타내기 위하여 방안지에 표현한 것을 의장지라 한다. 의장지에 상기 교차점을 표시한 것을 조직점이라 한다. 조직점은 여러 기호로 표시할 수 있고, 본 발명에서는 조직점을 ×, ○로 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섬유와 폴리프로필렌 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가 규칙적으로 배열된 경사, 폴리에스터 섬유로 이루어진 표면 위사, 및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이루어진 배면 위사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및 위사가 규칙적으로 교차되어 직조되며, 표면은 폴리에스터 섬유가 노출되고, 배면은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노출되도록 직조된 이중직물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는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이 있다. 신축성이 뛰어나고 물에 젖는 경우에도 강도 저하가 없으며, 탄력성과 안정성이 뛰어나 의복에 사용시 주름이 잘 생기지 않고 형태의 훼손이 적다.
그러나 흡습성이 낮아서 체내의 땀을 잘 흡수하지 못하며, 정전기가 심하다는 단점이 있다. 정전기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보풀 등 섬유 손상의 원인이 된다.
특히 무슬림 의상과 같이 몸에 두르는 형태의 의복에 사용되는 경우 섬유의 형태가 잘 복구되는 성질 때문에 의복이 잘 흘러내리게 되고, 이는 불편함과 피부 접착에 의한 질환을 야기하게 된다.
한편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속건성 소재로 흡습율이 0.05 % 이하로 매우 낮아 PP섬유를 의류용으로 용도 전개할 경우 인체에서 발생되는 땀, 수분 등을 함유하지 않고 바로 섬유 밖으로 배출하려는 성질이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수분을 섬유 조직을 통해 재빨리 증발시키고 공기는 섬유 조직 내에 그대로 함유하는 위킹(Wicking)성이 뛰어난 특성을 발휘해 흡한속건성 소재로서 매우 유망한 소재로 평가되고 있다.
폴리에스터 섬유도 빨리 마르는 성능이 있지만 원료 특성상 일정량의 수분을 함유할 수 밖에 없어 수분 배출력이 뛰어나다 하더라도 섬유 내부에 여전히 수분이 잔류하게 되는 반면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잔류 수분이 없기 때문에 더 우수한 흡한속건성을 발휘한다. 이러한 이유로 섬유 내 수분을 거의 흡수하지 않으므로 세균 발생 요인 자체가 없어 자체적으로 항균성을 나타낸다.
또한 폴리에스터 섬유의 비유전율(약 3.2)에 비하여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비유전율(약 2.2)이 더 낮아 정전기 발생이 낮기 때문에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와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조합 사용함으로써 기존 폴리에스터 섬유의 정전기, 수분배출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터 섬유와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포함하는 이중직물은 경사와 위사가 한 올씩 교차되어 조직되는 통상적인 직물과 다르게 위사가 이중으로 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중직물은 표면은 폴리에스터 섬유가 노출되고, 배면은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노출되도록 직조되어 폴리에스터 섬유의 단점을 해소하고 정전기 발생이 없고 세균 발생 우려가 없으며, 피부에 직접 접촉하는 배면에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노출되므로 피부질환을 예방할 수 있고, 착용감이 우수한 의복용 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중직물은 경사로 폴리에스터 섬유와 폴리프로필렌 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체 경사의 올 수에 대하여 경사로 폴리에스터 섬유가 50 내지 100 올수%이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염색 결점을 없앨 수 있으며,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50 내지 100 올수%이면 배면에 노출되는 폴리에스터 섬유의 비중이 낮아지고, 촉감 및 착용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이중으로 짜인 위사 중 직물의 표면에 노출되는 위사를 표면위사, 배면에 노출되는 위사를 배면위사라 한다.
상기 배면위사는 경사 1올 위로 지나간 후 n올 밑으로 지나가는 1/n 주자직이고, 상기 n은 3 내지 9인 것일 수 있다.
상기 n은 직물의 목적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n값이 낮을수록 탄력있는 직물을 제조할 수 있고, n값이 높을수록 부드러운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n이 3 이하이면 교차지점이 많아져 표면과 배면의 재질이 다른 이중직물을 직조할 수 없고, n이 9 이상이면 교차지점이 없는 비수가 커져 쉽게 손상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면위사는 경사 3올 위로 지나간 후 1올 밑으로 지나가는 3/1 주자직이고, 상기 배면위사는 경사 1올 위로 지나간 후 3올 밑으로 지나가는 1/3 주자직이고, 상기 표면위사와 배면위사의 교차지점은 표면위사가 경사 위로 지나가는 2번째 올과, 배면위사가 경사 위로 지나가는 1번째 올인 것인 이중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n이 3인 이중직물은 표면위사로 3/1 주자직을 사용하는 것이 직물의 탄력 및 강도 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이중 직물을 도 1 및 2에 나타내었다. 도 1은 직물의 표면과 배면을 직물의 형태로 구체적으로 표현한 도면이고, 도 2는 의장지에 경사(Warp,Wp)와 표면위사(Face Weft, F-Wf) 및 배면위사(Back Weft, B-Wf)가 교차하는 지점인 교차점 나타낸 도면이다. 표면(f)에서 경사(Wp) 가 노출되는 지점을 ×로 표시하였고, 배면(b)에서 경사(Wp)가 노출되는 지점을 ○로 표시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면위사는 경사 4올 위로 지나간 후 3올 밑으로 지나가는 4/3 주자직이고, 상기 배면위사는 경사 1올 위로 지나간 후 6올 밑으로 지나가는 1/6 주자직이고, 상기 표면위사와 배면위사의 교차지점은 표면위사가 경사 위로 지나가는 3번째 올과, 배면위사가 경사 위로 지나가는 1번째 올인 것인 이중직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n이 6인 이중직물은 표면위사(F-Wf)로 4/3 주자직을 사용하는 것이 직물에 부드러운 촉감을 부여하면서도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이중 직물을 도 3 및 4에 나타내었다. 도 3은 직물의 표면과 배면을 직물의 형태로 구체적으로 표현한 도면이고, 도 4는 의장지에 경사(Wp)와 표면위사(F-Wf) 및 배면위사(B-Wf)가 교차하는 지점인 교차점 나타낸 도면이다. 표면(f)에서 경사(Wp) 가 노출되는 지점을 ×로 표시하였고, 배면(b)에서 경사(Wp)가 노출되는 지점을 ○로 표시하였다.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는 폴리글리콜리드 (PGA), 폴리락트산 (PLA), 폴리카프롤락톤 (PCL), 폴리히드록시알카노에이트 (PHA), 폴리하이드록시뷰티레이트 (PHB), 아디프산 폴리에틸렌 (PEA), 폴리뷰틸렌 숙신네이트 (PBS), 폴리(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코-3-하이드록시발레레이트) (PHBV),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드 (PBT),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T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PEN), 벡트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폴리에스터 수지를 섬유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는 엘라스토머, 무기필러, 산화방지제, UV 흡수제, 가공활제, 착색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는 폴리에스터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엘라스토머 0.1 내지 50 중량부, 무기필러 0.1 내지 20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1.0 중량부, UV 흡수제 0.1 내지 2.0 중량부, 가공활제 0.1 내지 3.0 중량부, 및 착색제 1 내지 15 중량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삭제
상기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50 중량% 이상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엘라스토머, 무기필러, 산화방지제, UV 흡수제, 가공활제, 착색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엘라스토머 0.1 내지 50 중량부, 무기필러 0.1 내지 20 중량부, 산화방지제 0.1 내지 1.0 중량부, UV 흡수제 0.1 내지 2.0 중량부, 가공활제 0.1 내지 3.0 중량부, 및 착색제 1 내지 15 중량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직물제조]
위사 비수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표면 m/n 1/1 2/1 3/1 4/3 4/3
배면 m/n - 1/2 1/3 1/6 1/9
-경사: 폴리에스터(100%) 섬유
-표면위사: 폴리에스터(100%) 섬유
-배면위사: 폴리프로필렌(100%) 섬유
-표면 m/n: 경사 m올 위로 지나간 후 n올 밑으로 지나가는 방법으로 직조된 직물
-배면 m/n: 경사 m올 위로 지나간 후 n올 밑으로 지나가는 방법으로 직조된 직물
[실험예: 물성평가]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위킹성 100 110 120 130 110
내구성 100 120 110 100 80
신축성 100 70 105 105 80
-위킹(Wicking)성: 수분을 섬유 조직을 통해 재빨리 증발시키고 공기는 섬유 조직 내에 그대로 함유하는 특성에 관한 것으로, 원단을 물에 담궜을 때 물을 흡수하는 높이와 물을 떨어뜨렸을 때 흡수하는 너비를 측정한 후 이의 건조 시간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내구성: 스크레치 실험을 100회 반복한 후 손상된 정도를 측정하였다.
-신축성: 무게추를 달아 늘어난 길이를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한 성능은 비교예 1을 기준으로 지수화하여 나타낸 값으로 숫자가 높을수록 위킹성, 내구성 및 신축성이 큰 것을 의미한다.
위킹성능은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에 비하여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4가 대체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실시예 2 및 3이 가장 우수하였다. 실시예 1의 경우 경사 및 위사의 교차수가 지나치게 커서 증발 속도가 느린 것으로 예상된다.
내구성은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실시예 4의 경우 배면의 비수가 지나치게 커서 쉽게 손상이 나타났다.
신축성은 실시예 2 및 3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실시예 1의 경우 쉽게 늘어나지 않았고, 실시예 4의 경우 복구성능이 떨어져 신축성이 작게 측정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이중직물 표면 200: 이중직물 배면
Wp: 경사 Wf: 위사
F-Wf: 표면위사 B-Wf: 배면위사
×: 표면에 경사가 노출되는 지점의 교차점
○: 배면에 경사가 노출되는 지점의 교차점

Claims (5)

  1. 폴리에스터 섬유와 폴리프로필렌 섬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가 규칙적으로 배열된 경사,
    폴리에스터 섬유로 이루어진 표면위사, 및
    폴리프로필렌 섬유로 이루어진 배면위사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및 위사가 규칙적으로 교차되어 직조되며,
    표면은 폴리에스터 섬유가 노출되고,
    배면은 폴리프로필렌 섬유가 노출되도록 직조되며,
    상기 표면위사는 경사 3올 위로 지나간 후 1올 밑으로 지나가는 3/1 주자직이고, 상기 배면위사는 경사 1올 위로 지나간 후 3올 밑으로 지나가는 1/3 주자직인 제1 구조이거나, 또는,
    상기 표면위사는 경사 4올 위로 지나간 후 3올 밑으로 지나가는 4/3 주자직이고, 상기 배면위사는 경사 1올 위로 지나간 후 6올 밑으로 지나가는 1/6 주자직인 제2 구조인
    이중직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조인 이중직물로서,
    상기 표면위사와 배면위사의 교차지점은 표면위사가 경사 위로 지나가는 2번째 올과, 배면위사가 경사 위로 지나가는 1번째 올인 것인
    이중직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조인 이중직물로서,
    상기 표면위사와 배면위사의 교차지점은 표면위사가 경사 위로 지나가는 3번째 올과, 배면위사가 경사 위로 지나가는 1번째 올인 것인
    이중직물.
  5. 삭제
KR1020180010639A 2018-01-29 2018-01-29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이용한 피부 친화적 무슬림 의상용 직물설계 KR102039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639A KR102039181B1 (ko) 2018-01-29 2018-01-29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이용한 피부 친화적 무슬림 의상용 직물설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639A KR102039181B1 (ko) 2018-01-29 2018-01-29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이용한 피부 친화적 무슬림 의상용 직물설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725A KR20190091725A (ko) 2019-08-07
KR102039181B1 true KR102039181B1 (ko) 2019-10-31

Family

ID=67621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639A KR102039181B1 (ko) 2018-01-29 2018-01-29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이용한 피부 친화적 무슬림 의상용 직물설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1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3560A (zh) * 2019-12-06 2020-04-10 新世嘉纺织品(南通)有限公司 一种多功能三防抗菌保暖止痒面料的设计方法与生产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709B1 (ko) * 2013-05-21 2014-07-22 주식회사 송이실업 다층구조의 흡한속건성 직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4580U (ja) * 1991-12-24 1993-07-20 ユニチカ株式会社 難燃性二重構造織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709B1 (ko) * 2013-05-21 2014-07-22 주식회사 송이실업 다층구조의 흡한속건성 직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1725A (ko)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6311A (ko) 패브릭 및 섬유 제품
CN109183241A (zh) 一种表面具有凹凸形态的导湿快干织物
EP3478110B1 (en) Garment with zoned insulation and variable air permeability
CN205347684U (zh) 一种远红外抑菌服装面料
KR102039181B1 (ko)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이용한 피부 친화적 무슬림 의상용 직물설계
CN103243472B (zh) 一种功能性衣服
JP4390514B2 (ja) 多層構造編地
CN205741454U (zh) 一种防汗渍织物结构
KR20090021565A (ko) 자외선 차단 및 흡한 속건성 기능을 갖는 양면편지
JP2012052275A (ja) 汗処理機能に優れた布帛およびアンダーウエアーおよびスポーツウエアー
JP6609115B2 (ja) 通気性織物
KR101569812B1 (ko) 착용감이 개선된 자기제어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5105442A (ja) 多層構造編地
CN207432951U (zh) 一种户外运动服面料
JPWO2019194087A1 (ja) 着用快適性に優れた衣服
CN213501205U (zh) 一种绒面绣花面料
JP5755976B2 (ja) 医療用織物
KR101873258B1 (ko) 냉감기능이 우수한 직물의 제조방법
JP5478405B2 (ja) メッシュ生地およびメッシュ衣服
CN205907449U (zh) 快干织物与应用该快干织物的机能性衣物
CN211764022U (zh) 一种亲水快干涤纶面料
KR101028578B1 (ko) 착용감이 개선된 무진의용 원단
CN209555482U (zh) 一种采用多纤组合的提花布
CN210733479U (zh) 一种高舒适度麻布
WO2021022451A1 (zh) 一种防紫外线抗菌纺织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