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728B1 -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728B1
KR102038728B1 KR1020150184490A KR20150184490A KR102038728B1 KR 102038728 B1 KR102038728 B1 KR 102038728B1 KR 1020150184490 A KR1020150184490 A KR 1020150184490A KR 20150184490 A KR20150184490 A KR 20150184490A KR 102038728 B1 KR102038728 B1 KR 102038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control valve
line
pilot
path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5169A (ko
Inventor
이준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150184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728B1/ko
Publication of KR20170075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는, 하나의 레버를 조작하여 양쪽의 포크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고, 특히 한 쌍의 포크가 양쪽으로 벌어지거나 중앙 쪽으로 모아질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Control device for shifting of the fork}
본 발명은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게차에 구비된 한 쌍의 포크를 동시에 양쪽으로 벌려지거나 중앙으로 모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전방에 한 쌍의 포크가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 포크는 제1 실린더에 의해 이동될 수 있고, 제2 포크는 제2 실린더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지게차의 운전실에는 운전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전방에 배치되어 지게차 주행방향을 조향하도록 하는 스티어링 휠과 각종 액추에이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조작하는 각종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게차를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하고자 할 때에, 화물의 무게 중심이 위치한 지점에 한 쌍의 포크가 위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즉, 화물에 대한 포크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지게차를 주행과 후퇴를 반복할 수 있다. 그러나 포크의 위치가 살짝 벗어난 경우, 예컨대 몇 센치미터 정도만 조절되면 정확환 위치가 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지게차를 주행하지 않고, 포크의 위치를 조절하여 화물을 들어올릴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화물의 크기가 대형인 경우에는 포크의 너비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포커의 너비가 화물에 대하여 적정하도록 양쪽으로 벌리거나 중앙 쪽으로 모으도록 포크를 이동시켜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 알려진 지게차는 어느 하나의 레버를 조작하면 해당되는 액추에이터가 작동된다. 즉, 양쪽의 포크가 중앙으로 모아지도록 포크를 이동하고 싶을 경우에 2개의 레버를 조작하여야 한다.
한편, 지게차는 빈번하게 주행을 하면서 동시에 포크를 이동시키는 작업의 특성이 있다. 따라서 왼손으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하고, 오른 쪽으로 각종 레버를 조작하여야 하는 실정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쪽의 포크를 동시에 좁히거나 넓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오른손 한 손으로 2개의 레버를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 레버를 조작함에 있어서, 두 손으로 조작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한 손으로 왼쪽의 포크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고, 다른 한 손으로 오른쪽의 포크를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부연 설명하면, 운전자는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시선은 전방을 주시하고, 상체를 오른쪽을 틀어 양손으로 해당 레버를 잡아서 조작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운전자의 자세가 대단히 불안정한 자세로써, 포크의 이동을 위한 제어가 불편하고, 시선방향과 상체 방향이 불일치함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 공개 특허공보 제2008-150175호(2008.07.03.)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나의 레버를 조작하여 양쪽의 포크가 동시에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시선이 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운전자의 자세는 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운전자는 상체를 과도하게 비틀지 않으며, 운전자는 레버와 스티어링 휠을 동시에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는, 제1 유로 라인(L1)에 의해 제1 실린더(21)의 제1 헤드 포트(25)로 연결되고, 제2 유로 라인(L2)에 의해 제2 실린더(31)의 제2 헤드 포트(35)로 연결되는 제1 제어밸브(110); 제3 유로 라인(L3)에 의해 상기 제2 실린더(31)의 상기 제2 헤드 포트(35)로 연결되고, 제4 유로 라인(L4)에 의해 상기 제1, 2 실린더(21, 31)의 제1, 2 테일 포트(26, 36)로 연결되는 제2 제어 밸브(120); 및 제5 유로 라인(L5)에 의해 상기 제1 유로 라인(L1)과 상기 제2, 3 유로 라인(L2, L3)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제어 밸브(120)가 작동될 때에 상기 제5 유로 라인(L5)이 개방되도록 제어되는 제어 밸브 유닛(210, 220, 23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의 상기 제어 밸브 유닛(210)은, 상기 제5 유로 라인(L5)이 단절되도록 하는 제1 위치(211); 상기 제5 유로 라인(L5)이 개방되도록 하는 제2 위치(212); 상기 제2 제어 밸브(120)를 순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1 파일럿 압력이 입력되는 제1 파일럿 라인(213); 상기 제2 제어 밸브(120)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2 파일럿 압력이 입력되는 제2 파일럿 라인(214); 및 상기 제1 파일럿 라인(213)과 상기 제2 파일럿 라인(214) 중에 어느 하나에 파일럿 압력이 형성되면 상기 제1 위치(211)에서 상기 제2 위치(212)로 전환되도록 하는 셔틀 밸브(2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의 상기 제어 밸브 유닛(220)은, 상기 제2 제어 밸브(120)를 순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1 파일럿 압력이 입력되는 제1 파일럿 라인(213); 상기 제2 제어 밸브(120)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2 파일럿 압력이 입력되는 제2 파일럿 라인(214); 상기 제2, 3 유로 라인(L2, L3)에서 상기 제1 유로 라인(L1)으로 작동유의 역류가 방지되는 제1 체크 밸브(221); 상기 제1 유로 라인(L1)에서 상기 제2, 3 유로 라인(L2, L3)으로 작동유의 역류가 방지되는 제2 체크 밸브(222); 상기 제1 파일럿 라인(213)에 파일럿 압력이 형성되면 상기 제1 파일럿 라인(213)의 파일럿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체크 밸브(221)가 개방되도록 하고, 역류가 방지되는 제3 체크 밸브(223); 및 상기 제2 파일럿 라인(214)에 파일럿 압력이 형성되면 상기 제2 파일럿 라인(214)의 파일럿 압력에 의해 상기 제2 체크 밸브(222)가 개방되도록 하고, 역류가 방지되는 제4 체크 밸브(2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의 상기 제어 밸브 유닛(230)은, 상기 제5 유로 라인(L5)이 단절되도록 하는 제1 위치(211); 상기 제5 유로 라인(L5)이 개방되도록 하는 제2 위치(212); 상기 제2 제어 밸브(120)를 순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1 파일럿 압력 또는 상기 제2 제어 밸브(120)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2 파일럿 압력이 생성될 때에 "On"되는 스위치(231); 상기 스위치(231)의 상태가 "Off"일 때에 상기 제2 위치(212)에서 상기 제1 위치(211)로 전환되도록 하는 스프링(232); 및 상기 스위치(231)의 상태가 "On"일 때에 상기 제1 위치(211)에서 상기 제2 위치(212)로 전환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2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의 상기 스위치(231)는, 레버 유닛(60) 중에서 상기 제2 제어 밸브(120)를 제어하기 위한 레버에 배치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는 하나의 레버를 조작하여 양쪽의 포크를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운전자는 시선이 전방을 주시하도록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운전자는 레버를 잡지 않은 다른 손으로 스티어링 휠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장치는 지게차를 운행함에 있어서 포크의 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특히 포크가 동시에 양쪽으로 넓어지거나 중앙쪽으로 모아지도록 하는 작동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지게차에서 한 쌍의 포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지게차에서 운전실의 배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비교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지게차의 포크와 운전실을 배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지게차에서 한 쌍의 포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지게차에서 운전실의 배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지게차(10)는 전방에 한 쌍의 포크(23, 33 참조)가 구비된다.
제1 포크(23)는 제1 실린더(21)의 제1 로드(22)에 연결된다. 제1 실린더(21)가 신장되면 제1 포크(23)가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1 실린더(21)가 수축되면 제1 포크(23)가 내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마찬가지로, 제2 포크(33)는 제2 실린더(31)의 제2 로드(22)에 연결된다. 제2 실린더(31)가 신장되면 제2 포크(33)가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 실린더(31)가 수축되면 제2 포크(33)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제1 실린더(21)와 제2 실린더(31)의 배치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실린더(21)와 제2 실린더(31)가 동시에 신장하면 양쪽 포크 간의 폭이 넓어진다. 반대로, 제1 실린더(21)와 제2 실린더(31)가 동시에 수축하면 양쪽 포크 간의 폭이 좁아진다.
지게차의 운전실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자가 앉도록 하는 시트(40)와, 주행방향을 전환하도록 조작되는 스티어링 휠(50)과, 각종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레버 유닛(60)이 배치된다.
특히, 레버 유닛(60)은 운전자를 기준으로 운전자의 오른쪽에 집중되어 배치된 것이 특징이다.
보편적으로 주행할 때에는 왼손을 스티어링 휠(50)을 잡고, 주행 페달을 밟아서 전후진 주행한다. 그리고, 포크의 이동을 제어하고자 할 때에는 레버 유닛(60)에 구비된 레버 중에 선택된 레버를 조작한다.
즉, 지게차(10)를 운행할 때에, 주행과 포크(23, 33 참조)를 동시에 제어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러한 상황에서는 양손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비교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장치를 설명한다. 도 3은 비교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제어 밸브(70)는 제1 유로 라인(L1)에 의하여 제1 실린더(21)의 제1 헤드 포트(25)로 연결되고, 제2 유로 라인(L2)에 의하여 제1 실린더(21)의 제1 테일 포트(26)로 연결된다.
제1 제어 밸브(70)는 작동유의 흐름이 정지되는 제1 중립 위치(73a)와, 작동유의 흐름이 순방향으로 흐르도록 제어되는 제1 정방향 위치(73b)와, 작동유의 흐름이 역방향으로 흐르도록 제어되는 제1 역방향위치(73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밸브(70)는 제1 정방향 위치(73b)가 선택되도록 하는 제11 수압부(71)와, 제1 역방향 위치(73c)가 선택되도록 하는 제12 수압부(72)를 포함한다. 제1 제어 밸브(70)는 제11, 12 수압부(71, 72)에 파일럿 압력이 작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1 중립 위치(73a)가 선택된다.
제2 제어 밸브(80)는 제3 유로 라인(L3)에 의하여 제2 실린더(31)의 제2 헤드 포트(35)로 연결되고, 제4 유로 라인(L4)에 의하여 제2 실린더(31)의 제2 테일 포트(36)로 연결된다.
제2 제어 밸브(80)는 작동유의 흐름이 정지되는 제2 중립 위치(83a)와, 작동유의 흐름이 순방향으로 흐르도록 제어되는 제2 정방향 위치(83b)와, 작동유의 흐름이 역방향으로 흐르도록 제어되는 제2 역방향위치(83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밸브(80)는 제2 정방향 위치(83b)가 선택되도록 하는 제21 수압부(81)와, 제2 역방향 위치(83c)가 선택되도록 하는 제22 수압부(82)를 포함한다. 제2 제어 밸브(80)는 제21, 22 수압부(81, 82)에 파일럿 압력이 작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2 중립 위치(83a)가 선택된다.
한편, 비교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장치는 제1, 2 제어 밸브(70, 80)가 중립 위치일 때에 고압의 작동유가 통과되도록 하는 센터 바이 패스 라인(91)이 구비되고, 제1, 2 제어 밸브(70, 80) 중에 어느 하나가 작동 중일 때에 다른 하나에 고압의 작동유를 제공하도록 하는 페러럴 라인(92)이 구비된다. 또한, 비교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장치는 제1, 2 제어 밸브(70, 80)에서 배출되는 작동유가 탱크로 연결되도록 드레인 라인(93)이 구비된다.
비교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장치는 제1 포크(23)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1 제어 밸브(70)를 조작하여야 하고, 제2 포크(33)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2 제어 밸브(80)를 조작하여야 한다.
즉, 비교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장치는 제1 포크(23)와 제2 포크(33)가 연동되어 이동되지 않는다.
그리고 제1 포크(23)와 제2 포크(33)를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제1, 2 제어 밸브(70, 80)를 동시에 작동시켜야 한다. 즉, 양쪽 포크를 동시에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레버 유닛(60)에서 제1 제어 밸브(70)를 담당하는 레버와 제2 제어 밸브(80)를 담당하는 레버를 동시에 조작하여야 한다.
한편으로, 한 쌍의 포크가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제1 제어 밸브(70)는 제11 수압부(71)에 파일럿 압력이 작용되도록 하고, 제2 제어 밸브(80)는 제22 수압부(82)에 파일럿 압력이 작용되도록 하여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한 쌍의 포크가 중앙 쪽으로 모이도록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제1 제어 밸브(70)는 제12 수압부(72)에 파일럿 압력이 작용되도록 하고, 제2 제어 밸브(80)는 제21 수압부(81)에 파일럿 압력이 작용되도록 하여야 한다.
즉, 양쪽 포크간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도록 양쪽 포크를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레버 유닛(60)에서 2개의 레버를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동시에 조작하여야 하지만 한 손으로 동시에 조작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려운 조작이다.
부득이하게 두 손으로 조작할 때에는 운전자의 시선은 전방을 주시하는 상태에서 상체를 비틀어야 하는 자세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자세는 작업자에게 불편을 유발하고, 신체적으로 스트레스를 받게 한다.
<제1 실시예>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장치는, 제1 제어 밸브(110)와, 제2 제어 밸브(120)와, 제어 밸브 유닛(210, 220, 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제어 밸브(110)는 제1 유로 라인(L1)에 의해 제1 실린더(21)의 제1 헤드 포트(25)로 연결되고, 제2 유로 라인(L2)에 의해 제2 실린더(31)의 제2 헤드 포트(35)로 연결된다.
제1 제어 밸브(110)는 작동유의 흐름이 정지되는 제1 중립 위치(113a)와, 작동유의 흐름이 순방향으로 흐르도록 제어되는 제1 정방향 위치(113b)와, 작동유의 흐름이 역방향으로 흐르도록 제어되는 제1 역방향위치(113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밸브(110)는 제1 정방향 위치(113b)가 선택되도록 하는 제11 수압부(111)와, 제1 역방향 위치(113c)가 선택되도록 하는 제12 수압부(112)를 포함한다. 제1 제어 밸브(110)는 제11, 12 수압부(111, 112)에 파일럿 압력이 작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1 중립 위치(113a)가 선택된다.
제2 제어 밸브(120)는 제3 유로 라인(L3)에 의해 상기 제2 실린더(31)의 상기 제2 헤드 포트(35)로 연결되고, 제4 유로 라인(L4)에 의해 상기 제1, 2 실린더(21, 31)의 제1, 2 테일 포트(26, 36)로 연결된다.
제2 제어 밸브(120)는 작동유의 흐름이 정지되는 제2 중립 위치(123a)와, 작동유의 흐름이 순방향으로 흐르도록 제어되는 제2 정방향 위치(123b)와, 작동유의 흐름이 역방향으로 흐르도록 제어되는 제2 역방향위치(123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밸브(120)는 제2 정방향 위치(123b)가 선택되도록 하는 제21 수압부(121)와, 제2 역방향 위치(123c)가 선택되도록 하는 제22 수압부(122)를 포함한다. 제2 제어 밸브(120)는 제21, 22 수압부(121, 122)에 파일럿 압력이 작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2 중립 위치(123a)가 선택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장치는 제1, 2 제어 밸브(110, 120)가 중립 위치일 때에 고압의 작동유가 통과되도록 하는 센터 바이 패스 라인(91)이 구비되고, 제1, 2 제어 밸브(110, 120) 중에 어느 하나가 작동 중일 때에 다른 하나에 고압의 작동유를 제공하도록 하는 페러럴 라인(92)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장치는 제1, 2 제어 밸브(110, 120)에서 배출되는 작동유가 탱크로 연결되도록 드레인 라인(93)이 구비된다.
제어 밸브 유닛(210, 220, 230)은 제5 유로 라인(L5)에 의해 상기 제1 유로 라인(L1)과 상기 제3 유로 라인(L3)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제어 밸브(120)가 작동될 때에 상기 제5 유로 라인(L5)이 개방되도록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유로 라인(L2)과 상기 제3 유로 라인(L3)은 제1 지점(P1)에서 합류되고, 상기 제5 유로 라인(L5)은 상기 제1 지점(P1)과 상기 제2 헤드 포트(35)의 사이에서 상기 제3 유로 라인(L3)에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제1 제어 밸브(110)의 제11 수압부(111)에 파일럿 압력이 작용되면, 제1 실린더(21)는 신장하여 제1 포크(23)가 외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1 실린더(21)의 제1 테일 포트(26)와 제2 실린더(31)의 제2 테일 포트(36)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실린더(21)에서 배출되는 작동유는 제2 실린더(31)에 제공된다. 이로써 제2 실린더(31)는 수축하여 제2 포크(23)가 내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 실린더(31)의 제2 헤드 포트(35)에서 작동유가 배출되고, 그 배출되는 작동유는 제2, 3 유로 라인(L2, L3)을 경유하여 제1 제어 밸브(110)를 통해 배출된다.
즉, 제1 제어 밸브(110)의 제11 수압부(111)에 파일럿 압력이 제공되면, 양쪽 포크 모두가 왼쪽으로 이동된다. 반대로, 제1 제어 밸브(110)의 제12 수압부(112)에 파일럿 압력이 제공되면, 양쪽 포크 모두가 오른쪽으로 이동된다.
제2 제어 밸브(120)의 제21 수압부(111)에 파일럿 압력이 작용되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유가 제3 유로 라인(L3)을 경유하여 제2 실린더(31)의 제2 헤드 포트(35)에 제공되고, 이로써 제2 실린더(31)는 신장하여 제2 포크(33)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낸다.
아울러, 제어 밸브 유닛(210, 220, 230)은 제2 제어 밸브(120)와 연동하여 작동되는 것으로써 제5 유로 라인(L5)이 개방되도록 제어된다. 이로써, 제1 유로 라인(L1)은 제3 유로 라인(L3)과 연결되어 작동유를 제공받는다. 제1 유로 라인(L1)은 제1 실린더(21)의 제1 헤드 포트(25)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실린더(21)는 신장하여 제1 포크(23)를 외측 방향으로 밀어낸다.
즉, 제2 제어 밸브(120)의 제21 수압부(121)에 파일럿 압력이 작용되면 제1, 2 포크(23, 33)는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작동될 수 있다.
반대로, 제2 제어 밸브(120)의 제22 수압부(122)에 파일럿 압력이 제공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2 포크(23, 33)는 중앙 쪽 모이도록 작동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장치에 따르면, 제1, 2 포크(23, 33)를 동시에 작동시키고자 할 때에 하나의 제어밸브만 제어하는 것이고, 결국, 레버 유닛(60)에서 하나의 레버만을 조작할 수 있어 운전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포크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 시선은 전방을 주시하면서 왼손은 스티어링 휠(50)을 조작하면서 오른손으로 레버를 조작할 수 있고, 이로써 운전자의 자세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밸브 유닛(210)의 구성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어 밸브 유닛(210)은 제1 위치(211), 제2 위치(212) 및 셔틀 밸브(2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위치(211)는 상기 제5 유로 라인(L5)이 단절되도록 한다.
제2 위치(212)는 상기 제5 유로 라인(L5)이 개방되도록 한다.
한편, 제1 파일럿 라인(213)은 상기 제2 제어 밸브(120)를 순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1 파일럿 압력이 입력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2 파일럿 라인(214)은 상기 제2 제어 밸브(120)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2 파일럿 압력이 입력될 수 있다.
셔틀 밸브(215)는 상기 제1 파일럿 라인(213)과 상기 제2 파일럿 라인(214)이 양측에 연결된다. 즉, 셔틀 밸브(215)는 상기 제1 파일럿 라인(213)에 형성되는 파일럿 압력과 상기 제2 파일럿 라인(214)에 형성되는 파일럿 압력이 경합하여 상대적으로 더 큰 파일럿 압력이 출력된다.
상기 셔틀 밸브(215)에서 출력된 파일럿 압력은 제어 밸브 유닛(210)의 스플을 제1 위치(211)에서 제2 위치로(212)로 전환시킨다.
즉, 셔틀 밸브(215)는 상기 제1 파일럿 라인(213)과 상기 제2 파일럿 라인(214) 중에 어느 하나에 파일럿 압력이 형성되면, 상기 제1 위치(211)에서 상기 제2 위치(212)로 전환된다.
한편, 제어 밸브 유닛(210)은 제2 제어 밸브(120)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 스프링에 의해 항상 제1 위치(211)가 선택된다. 제어 밸브 유닛(210)에서 제1 위치(211)가 선택되었을 때에 제5 유로 라인(L5)이 단절된다.
<제2 실시예>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장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어 밸브 유닛(210)을 변경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장치는 변경된 제어 밸브 유닛(220)에 대하여 설명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 밸브 유닛(220)은 제1 파일럿 라인(213)과 제2 파일럿 라인(214)과, 제1 내지 제4 체크 밸브(221, 222, 223, 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일럿 라인(213)은 상기 제2 제어 밸브(120)를 순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1 파일럿 압력이 입력된다.
제2 파일럿 라인(214)은 상기 제2 제어 밸브(120)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2 파일럿 압력이 입력된다.
제1 체크 밸브(221)는 상기 제3 유로 라인(L3)에서 상기 제1 유로 라인(L1)으로 작동유의 역류가 방지된다.
제2 체크 밸브(222)는 상기 제1 유로 라인(L1)에서 상기 제3 유로 라인(L3)으로 작동유의 역류가 방지된다.
제3 체크 밸브(223)는 상기 제1 파일럿 라인(213)에 파일럿 압력이 형성되면 상기 제1 파일럿 라인(213)의 파일럿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체크 밸브(221)가 개방되도록 하고, 역류가 방지된다.
제4 체크 밸브(224)는 상기 제2 파일럿 라인(214)에 파일럿 압력이 형성되면 상기 제2 파일럿 라인(214)의 파일럿 압력에 의해 상기 제2 체크 밸브(222)가 개방되도록 하고 역류가 방지된다.
한편, 제2 제어 밸브(120)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 제어 밸브 유닛(220)은 제1, 2 체크 밸브(221, 222)에 의해 역류가 방지되므로, 제5 유로 라인(L5)이 단절된다.
다른 한편으로, 제2 제어 밸브(120)가 작동하여 제21 수압부(121) 또는 제22 수압부(122)에 파일럿 압력이 형성되면 제어 밸브 유닛(220)은 제5 유로 라인(L5)을 개방한다.
제21 수압부(121)에 파일럿 압력이 형성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파일럿 라인(213)에 파일럿 압력이 형성되고, 이로써 제1 체크 밸브(221)가 강제로 개방된다.
제1 체크 밸브(221)가 개방되면, 제3 유로 라인(L3)의 작동유는 제2 체크 밸브(222)를 경유하고, 이후, 제1 체크 밸브(221)를 경유하여 제1 유로 라인(L1)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제2 제어 밸브(120)의 제21 수압부(121)에 파일럿 압력이 작용되면 제1, 2 포크(23, 33)는 동시에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이동된다.
반대로, 제2 제어 밸브(120)의 제22 수압부(122)에 파일럿 압력이 작용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파일럿 라인(214)에 파일럿 압력이 형성되고, 이로써 제2 체크 밸브(222)가 강제로 개방된다.
제2 체크 밸브(222)가 개방되면, 제1 유로 라인(L1)의 작동유는 제1 체크 밸브(221)를 경유하고, 이후, 제2 체크 밸브(222)를 경유하여 제3 유로 라인(L3)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제어 밸브(120)의 제22 수압부(122)에 파일럿 압력이 작용되면 제1, 2 포크(23, 33)는 동시에 중앙 쪽으로 모이도록 이동된다.
<제3 실시예>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장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어 밸브 유닛(210)을 변경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장치는 변경된 제어 밸브 유닛(230)에 대하여 설명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 밸브 유닛(230)은, 제1 위치(211)와 제2 위치(212)와 스위치(231)와 스프링(232)과 솔레노이드(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치(211)는 상기 제5 유로 라인(L5)이 단절되도록 한다.
제2 위치(212)는 상기 제5 유로 라인(L5)이 개방되도록 한다.
스위치(231)는 상기 제2 제어 밸브(120)를 순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1 파일럿 압력 또는 상기 제2 제어 밸브(120)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2 파일럿 압력이 생성될 때에 "On"된다.
한편, 스위치(231)는 레버 유닛(60) 중에서 제2 제어 밸브(120)를 제어하기 위한 레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제어 밸브(120)를 제어하면서 스위치(231)를 동시에 조작할 수 있어 조작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스프링(232)은 상기 스위치(231)의 상태가 "Off"일 때에 상기 제2 위치(212)에서 상기 제1 위치(211)로 전환되도록 한다.
솔레노이드(233)는 상기 스위치(231)의 상태가 "On"일 때에 상기 제1 위치(211)에서 상기 제2 위치(212)로 전환되도록 한다.
한편, 제2 제어 밸브(120)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 제어 밸브 유닛(230)은 스프링(232)에 의해 제1 위치(211)가 유지되므로 제5 유로 라인(L5)이 단절된다.
다른 한편으로, 제2 제어 밸브(120)가 작동하여 제21 수압부(121) 또는 제22 수압부(122)에 파일럿 압력이 형성되면 제어 밸브 유닛(230)은 제5 유로 라인(L5)을 개방한다.
제21 수압부(121)에 파일럿 압력이 형성되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231)는 "On"이 되고, 이로써 솔레노이드(233)는 제1 위치(211)에서 제2 위치로(212)로 전환한다.
이로써 제3 유로 라인(L3)의 작동유는 제어 밸브 유닛(230)의 제2 위치(212)를 경유하여 제1 유로 라인(L1)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제2 제어 밸브(120)의 제21 수압부(121)에 파일럿 압력이 작용되면 제1, 2 포크(23, 33)는 동시에 양쪽으로 벌어지도록 이동된다.
반대로, 제2 제어 밸브(120)의 제22 수압부(122)에 파일럿 압력이 작용되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231)는 "On"이 되고, 이로써 솔레노이드(233)는 제1 위치(211)에서 제2 위치로(212)로 전환한다.
이로써, 제1 유로 라인(L1)의 작동유는 제어 밸브 유닛(230)의 제2 위치(212)를 경유하여 제3 유로 라인(L3)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제어 밸브(120)의 제22 수압부(122)에 파일럿 압력이 작용되면 제1, 2 포크(23, 33)는 동시에 중앙 쪽으로 모이도록 이동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는 지게차에 구비된 하나의 레버를 한 손으로 조작하여 한 쌍의 포크가 동시에 양쪽으로 벌려지거나 중앙으로 모아지도록 제어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 지게차 21, 31: 제1, 2 실린더
22, 32: 제1, 2 로드 23, 33: 제1, 2 포크
25, 35: 제1, 2 헤드 포트 26. 36: 제1, 2 테일 포트
40: 시트 50: 스티어링 휠
60: 레버 유닛 91: 센터바이 패스 라인
92: 페러럴 라인 93: 드레인 라인
110, 120: 제1, 2 제어 밸브
111, 112, 121, 122: 제11, 12, 21, 22 수압부
113a, 123a: 제1, 2 중립위치
113b, 123b: 제1, 2 정방향위치
113c, 123c: 제1, 2 역방향위치
210, 220, 230: 제어 밸브 유닛 211, 212: 제1, 2 위치
213, 214: 제1, 2 파일럿 라인 215: 셔틀 밸브
221, 222, 223, 224: 제1 내지 제4 체크 밸브
231: 스위치
232: 스프링 233: 솔레노이드
L1 ~ L5: 제1 내지 제5 유로 라인

Claims (5)

  1. 제1 유로 라인(L1)에 의해 제1 실린더(21)의 제1 헤드 포트(25)로 연결되고, 제2 유로 라인(L2)에 의해 제2 실린더(31)의 제2 헤드 포트(35)로 연결되는 제1 제어밸브(110);
    제3 유로 라인(L3)에 의해 상기 제2 실린더(31)의 상기 제2 헤드 포트(35)로 연결되고, 제4 유로 라인(L4)에 의해 상기 제1, 2 실린더(21, 31)의 제1, 2 테일 포트(26, 36)로 연결되는 제2 제어 밸브(120); 및
    제5 유로 라인(L5)에 의해 상기 제1 유로 라인(L1)과 상기 제2, 3 유로 라인(L2, L3)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제어 밸브(120)가 작동될 때에 상기 제5 유로 라인(L5)이 개방되도록 제어되는 제어 밸브 유닛(21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밸브 유닛(210)은,
    상기 제5 유로 라인(L5)이 단절되도록 하는 제1 위치(211);
    상기 제5 유로 라인(L5)이 개방되도록 하는 제2 위치(212);
    상기 제2 제어 밸브(120)를 순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1 파일럿 압력이 입력되는 제1 파일럿 라인(213);
    상기 제2 제어 밸브(120)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2 파일럿 압력이 입력되는 제2 파일럿 라인(214); 및
    상기 제1 파일럿 라인(213)과 상기 제2 파일럿 라인(214) 중에 어느 하나에 파일럿 압력이 형성되면 상기 제1 위치(211)에서 상기 제2 위치(212)로 전환되도록 하는 셔틀 밸브(215);
    를 포함하는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
  2. 삭제
  3. 제1 유로 라인(L1)에 의해 제1 실린더(21)의 제1 헤드 포트(25)로 연결되고, 제2 유로 라인(L2)에 의해 제2 실린더(31)의 제2 헤드 포트(35)로 연결되는 제1 제어밸브(110);
    제3 유로 라인(L3)에 의해 상기 제2 실린더(31)의 상기 제2 헤드 포트(35)로 연결되고, 제4 유로 라인(L4)에 의해 상기 제1, 2 실린더(21, 31)의 제1, 2 테일 포트(26, 36)로 연결되는 제2 제어 밸브(120); 및
    제5 유로 라인(L5)에 의해 상기 제1 유로 라인(L1)과 상기 제2, 3 유로 라인(L2, L3)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제어 밸브(120)가 작동될 때에 상기 제5 유로 라인(L5)이 개방되도록 제어되는 제어 밸브 유닛(22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밸브 유닛(220)은,
    상기 제2 제어 밸브(120)를 순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1 파일럿 압력이 입력되는 제1 파일럿 라인(213);
    상기 제2 제어 밸브(120)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2 파일럿 압력이 입력되는 제2 파일럿 라인(214);
    상기 제2, 3 유로 라인(L2, L3)에서 상기 제1 유로 라인(L1)으로 작동유의 역류가 방지되는 제1 체크 밸브(221);
    상기 제1 유로 라인(L1)에서 상기 제2, 3 유로 라인(L2, L3)으로 작동유의 역류가 방지되는 제2 체크 밸브(222);
    상기 제1 파일럿 라인(213)에 파일럿 압력이 형성되면 상기 제1 파일럿 라인(213)의 파일럿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체크 밸브(221)가 개방되도록 하고, 역류가 방지되는 제3 체크 밸브(223); 및
    상기 제2 파일럿 라인(214)에 파일럿 압력이 형성되면 상기 제2 파일럿 라인(214)의 파일럿 압력에 의해 상기 제2 체크 밸브(222)가 개방되도록 하고, 역류가 방지되는 제4 체크 밸브(224);
    를 포함하는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
  4. 제1 유로 라인(L1)에 의해 제1 실린더(21)의 제1 헤드 포트(25)로 연결되고, 제2 유로 라인(L2)에 의해 제2 실린더(31)의 제2 헤드 포트(35)로 연결되는 제1 제어밸브(110);
    제3 유로 라인(L3)에 의해 상기 제2 실린더(31)의 상기 제2 헤드 포트(35)로 연결되고, 제4 유로 라인(L4)에 의해 상기 제1, 2 실린더(21, 31)의 제1, 2 테일 포트(26, 36)로 연결되는 제2 제어 밸브(120); 및
    제5 유로 라인(L5)에 의해 상기 제1 유로 라인(L1)과 상기 제2, 3 유로 라인(L2, L3)이 연결되고, 상기 제2 제어 밸브(120)가 작동될 때에 상기 제5 유로 라인(L5)이 개방되도록 제어되는 제어 밸브 유닛(23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밸브 유닛(230)은,
    상기 제5 유로 라인(L5)이 단절되도록 하는 제1 위치(211);
    상기 제5 유로 라인(L5)이 개방되도록 하는 제2 위치(212);
    상기 제2 제어 밸브(120)를 순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1 파일럿 압력 또는 상기 제2 제어 밸브(120)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2 파일럿 압력이 생성될 때에 "On"되는 스위치(231);
    상기 스위치(231)의 상태가 "Off"일 때에 상기 제2 위치(212)에서 상기 제1 위치(211)로 전환되도록 하는 스프링(232); 및
    상기 스위치(231)의 상태가 "On"일 때에 상기 제1 위치(211)에서 상기 제2 위치(212)로 전환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233);
    를 포함하는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231)는 레버 유닛(60) 중에서 상기 제2 제어 밸브(120)를 제어하기 위한 레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
KR1020150184490A 2015-12-23 2015-12-23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 KR102038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490A KR102038728B1 (ko) 2015-12-23 2015-12-23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490A KR102038728B1 (ko) 2015-12-23 2015-12-23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169A KR20170075169A (ko) 2017-07-03
KR102038728B1 true KR102038728B1 (ko) 2019-10-30

Family

ID=59357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490A KR102038728B1 (ko) 2015-12-23 2015-12-23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7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9799A (ja) 2008-04-30 2011-07-14 カスケード コーポレーション ダメージコントロールオーバライド付きハイドロリック弁回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72B2 (ja) * 1987-07-27 1995-01-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サイドシフトクランプ装置
JP3237377B2 (ja) * 1994-03-17 2001-12-1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フォーク移動装置
JP5038702B2 (ja) 2006-12-19 2012-10-03 Tcm株式会社 フォークシフト装置
KR101529330B1 (ko) * 2009-12-23 2015-06-29 주식회사 두산 지게차의 포크 작동 유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9799A (ja) 2008-04-30 2011-07-14 カスケード コーポレーション ダメージコントロールオーバライド付きハイドロリック弁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169A (ko) 201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9646B2 (en) Steering device for wheel loader
US20160230900A1 (en) Valve device
EP2687764A1 (en) Control valve
JP6717541B2 (ja) 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流体圧システム
JP6656913B2 (ja) 作業機の油圧システム
CN106838299B (zh) 用于机动车部件的流体操纵的流体组件
US9551361B2 (en) Travel control valve
US10107309B2 (en) Load sensing valve device
KR102038728B1 (ko)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
JP2006249882A (ja) 作業車両の油圧回路構造
JP2009204074A (ja) 油圧アクチュエータの駆動制御装置
KR101529330B1 (ko) 지게차의 포크 작동 유압장치
KR101980417B1 (ko) 포크 이동의 제어 장치
JP6305162B2 (ja) 弁装置
CN109562923B (zh) 货叉移动的控制装置
CN212055322U (zh) 一种液压先导控制系统及工程机械
JP7151597B2 (ja) 産業車両の油圧駆動装置
WO2016098185A1 (ja) 建設機械の流体圧制御装置
CN102359586A (zh) 用于叉车自动变速箱的比例调压控制系统
JP6145386B2 (ja) 建設機械の流体圧制御装置
JP6725081B2 (ja) コントロールバルブ
US20060021341A1 (en) Hydraulic system
CN202327056U (zh) 用于叉车自动变速箱的比例调压控制系统
KR20200135275A (ko) 작업 차량의 유압 회로
KR20120072519A (ko) 가변 유량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