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661B1 -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661B1
KR102038661B1 KR1020180084506A KR20180084506A KR102038661B1 KR 102038661 B1 KR102038661 B1 KR 102038661B1 KR 1020180084506 A KR1020180084506 A KR 1020180084506A KR 20180084506 A KR20180084506 A KR 20180084506A KR 102038661 B1 KR102038661 B1 KR 102038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il
container
temperature
b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수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84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6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3/081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1Emulsifying
    • B01F23/411Emulsifying using electrical or magnetic fields, heat or vib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B01F15/00175
    • B01F15/00863
    • B01F15/0292
    • B01F15/0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3Propeller-shaped stirrers for producing an axial flow, e.g. shaped like a ship or aircraft prope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50Mixing receptacles
    • B01F35/52Receptacles with two or mor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7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35/92Heating or cooling systems for heating the outside of the receptacle, e.g. heated jackets or burners
    • B01F7/0034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B01F2015/06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2035/99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1Mixing of ingredients for cosmetic or perfume compositions
    • B01F2215/0031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로서, 온도측정부(110)가 구비된 물 용기(100); 물 용기(100) 내부에 수용된 물과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온도측정부(210)가 구비된 오일 용기(200); 및 물 용기(100)에 열을 가하며, 물 용기(100)의 온도측정부(110)로부터 온도값을 받아 물 용기(100)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가열부(300)를 포함하며, 오일 용기(200)에 수용된 오일은 중탕 가열되고, 기 설정된 온도가 되면 물 용기(100) 내부의 물과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방법{COSMETICS MANUFACTURING DEVICE AND COSMETICS MANUFACTURING METHOD USING DOUBLE BOILING}
본 발명은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오일을 중탕으로 승온시켜 물과 혼합하여 화장품을 만드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천연화장품 제조기는 가정이나 한의원에서 천연 재료 및 한약 재료를 이용하여 가정용 및 치료용으로 간편하게 화장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만드는 기계이다.
보통 화장품은 스킨형과 크림형이 있는데 스킨형 화장품은 교반기능만 있으면 용이하게 제조가 가능할 수도 있다. 그런데 많이 사용되는 로션 등 크림형 화장품은 만들기가 쉽지 않다. 물 성분과 오일 성분을 교반하여 혼합하여야 하는데, 물과 오일의 혼합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유화제로 화학첨가물인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실정이다. 그런데 화학물질인 계면활성제는 인체에 해로운 종류가 많아서 피부 트러블 등 많은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최근 피부 트러블 등이 없는 천연 화장품을 찾는 수요가 많아지고 있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피부 트러블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는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최근 미세먼지를 비롯한 환경오염이 많아지고 인스턴트 음식이 증가되면서 아토피를 비롯한 알레르기 질환이 증가와 피부개체 특이성이 대두되고 있어 자기에게 맞는 천연재료가 필요하다. 또한 천연재료의 피부흡수율을 극대화 하기 위하여 자기가 스스로 손쉽게 자기 체질에 맞는 화장품을 만들어서 쓸 수 있다면 이는 여러 피부질환 치료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2-0130369호 (2012.12.03)
본 발명에 따른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용매로 사용되는 친수성 성분(물 성분, 수상물질)과 친지성 성분(오일 성분, 유상물질)이 용이하게 혼합되도록 한다.
둘째, 발화점이 높은 친지성 성분이 급속이 온도가 올라 친수성 성분과 혼합에서 온도차이가 나는 것을 최대한으로 줄여, 두 성분이 잘 혼합되도록 한다.
셋째, 오일 용기에서 오일이 물로 잘 투입되게 하는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로서, 온도측정부가 구비된 물 용기; 상기 물 용기 내부에 수용된 물과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온도측정부가 구비된 오일 용기; 및 상기 물 용기에 열을 가하며, 상기 물 용기의 온도측정부로부터 온도값을 받아 물 용기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일 용기에 수용된 오일은 중탕 가열되고, 기 설정된 온도가 되면 상기 물 용기 내부의 물과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과 상기 오일의 온도는 7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과 상기 오일의 온도 차이가 5℃ 이내일때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 용기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를 갖는 교반부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 용기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오일 용기의 하측과 결합되도록 돌출형성된 중공형상의 격벽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물 용기의 타 영역과 분리된 밀폐공간으로서, 상기 격벽부 내부에 수용된 물질은 상기 물 용기의 물의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의 하측에는 상기 가열부와 분리 작동되는 제2 가열부가 추가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 내부에 수용되는 물질은 물 또는 물보다 비열이 높은 액체물질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일 용기의 하판은 승강가능한 승강식 하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일 용기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되면, 상기 승강식 하판은 상승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식 하판의 상승은 구동수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일 용기의 하판은 승강가능한 승강식 하판이며, 상기 격벽부에 수용된 물질의 부피팽창에 의해 상승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일 용기는 일 측에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상기 물 용기에 수용된 물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 단은 오일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 단은 오일 용기의 외부에 배치되는 모세관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로는 오일 용기의 오일이 물에 투입될 때 개방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 용기의 상측에는 추가 물질이 수용되어, 물 용기 내부로 투입가능한 추가 용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장품 제조장치로 화장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물 용기에 물을 수용시키고, 오일 용기에 오일을 수용시키는 S1 단계; 물 용기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가열부에 의해 기 설정된 온도가 유지되도록 제어되는 S2 단계; 물 용기에 수용된 물에 의해 중탕되는 오일 용기에 수용된 오일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물 온도와 오일 온도의 차이를 측정하는 S3 단계; S3 단계에서 측정된 온도 차이가 기 설정된 온도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S4 단계; 및 S4 단계에서 상기 온도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로 판단되면, 오일 용기에 수용된 오일을 물에 투입하여 상호 혼합이 되도록 하는 S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S2 단계의 물의 기 설정된 온도와 S3 단계의 오일의 기 설정된 온도는 7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에서 기 설정된 온도범위는 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5 단계 후에는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날개를 갖는 교반부로 물과 오일을 교반하는 S6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S5 단계 후에는 상기 물 용기의 상측에 추가 물질을 수용한 추가 용기로부터 추가 물질이 물과 오일의 혼합물에 더 투입되는 S7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물 성분과 오일 성분을 혼합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물 성분과 오일 성분이 용이하게 혼합되도록 하기 위해, 양 물질의 온도차이 범위를 제시하였다.
셋째, 물 용기에 격벽부를 설치하여 오일 용기의 오일 온도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승강식 하판, 모세관로 등을 통해 오일 용기의 오일을 물 용기로 용이하게 투입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식 하판과 배출공이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세관로가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5의 실시예에 격벽부가 추가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6의 실시예에 격벽부가 추가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추가 용기가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물성분과 오일성분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혼합물이 화장품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혼합물이 화장품인 경우에 한정되지 아니함을 밝힌다.
화장품은 용매로 물 성분을 사용하고, 보습 등 기능을 가진 용질로 오일 성분을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물은 극성 분자이지만 오일은 무극성 분자이므로, 양 성분은 혼합되지 않는 물성을 가진다. 다만, 물과 오일이 특정한 온도범위에서는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데 물의 온도 제어는 용이한 반면, 오일의 온도 제어는 매우 곤란하였다. 특히 일반인들이 가정에서 화장품 등을 직접 만드는 경우 오일의 온도 제어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로션이나 크림형 화장품에 있어 중요한 것은 70-80℃ 사이에 친수성 성분(물 성분, 수상물질)과 친지성 성분(오일 성분, 유상물질, 유화제)를 온도차이가 적은 상태에서 혼합 내지 교반할 수 있느냐 여부이다. 이에 따라 화장품의 품질이 결정된다. 보통 친지성 성분은 발화점이 친수성 성분보다 오르는 속도가 빨라 두 성분의 온도 차이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중탕원리를 이용하여 이를 해결하고 한다.
본 발명은 오일의 온도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중탕(重湯)'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중탕(double boiling)은 가열하고자 하는 물체가 담긴 용기를 직접 가열하지 않고, 물이나 기름과 같은 용매가 담긴 용기에 넣어 간접적으로 열을 가하여 데우거나 끓이는 방법을 의미한다.
비열(specific heat, 比熱)은 어떤 물질 1g의 온도를 1℃ 올리는데 필요한 열량을 의미한다. 물의 비열(cal/g)은 1로서, 물에 열이 가해져도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지는 않는다. 그런데 오일 성분은 비열이 0.5 등 상대적으로 낮아서, 오일에 열이 가해지면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게 된다.
본 발명은 물과 오일을 특정 온도까지 상승시킨후 해당 온도를 유지하게 한 상태에서 상호 혼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오일의 비열이 낮으므로, 오일 온도를 특정 온도로 안정적으로 승온시키고, 나아가 해당 온도를 꾸준히 유지하게 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비열이 큰 물 성분(용매)에 오일 용기를 열접촉시켜 중탕의 원리로 오일 용기에 균일한 열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가하는 기술을 고안하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의 모식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로서, 온도측정부(110)가 구비된 물 용기(100); 물 용기(100) 내부에 수용된 물과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온도측정부(210)가 구비된 오일 용기(200); 및 물 용기(100)에 열을 가하며, 물 용기(100)의 온도측정부(110)로부터 온도값을 받아 물 용기(100)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가열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일 용기(200)에 수용된 오일은 중탕 가열되고, 기 설정된 온도가 되면 물 용기(100) 내부의 물과 혼합될 수 있다.
서로 혼합하지 않는 2종의 액체(예를 들어, 물 및 물과 섞이지 않는 오일 등의 유기 액체)가 안정된 에멀션을 만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제3의 물질을 가할 필요가 있고, 이 물질을 유화제(乳化劑, emulsifying agent)라 한다. 유화제는 친수기(親水基)와 친유기의 양쪽을 함유하고 따라서 물과 기름의 경계면에 흡착층을 만들기 쉬운, 소위 표면 활성인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왁스 같은 고체나 점성이 높은 액체를 유화제로 많이 쓰는데, 이를 녹이는 온도가 70-80℃이다.
다만, 이 온도범위보다 온도가 더 높아지면 연기가 나면서 유화제랑 같이 있는 친유성 즉 기름 성분들의 유효성분이 증발되어 버리기 때문에 좋은 화장품을 만들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물과 오일의 온도는 70~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 물질이 상기 온도범위에 있으면, 양 물질의 온도차이도 적어지고, 또한 반응효율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물과 오일이 잘 혼합되어야 좋은 화장품이 될 수 있다. 친지성 성분과 친수성 성분의 온도차이는 적을수록 바람직하다. 물과 오일의 온도가 같거나 유사할 수록 두 성분이 잘 섞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물과 상기 오일의 온도 차이가 5℃ 이내일때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온도차이보다 더 많은 온도 차이가 발생되면, 추후 화장품의 수성 성분과 유성 성분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양질의 화장품을 만들어 두 층이 잘 섞이게 하려면 상기 온도차이 이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물 용기(100)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를 갖는 교반부(120)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물 용기(100)의 내부에서 오일 용기(200) 바로 아래에 1개의 교반부(120)가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4는 물 용기(100)의 내부에 2개의 교반부(120)가 구비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물 용기(100) 내부 바닥면에는 오일 용기(200)의 하측과 결합되도록 돌출형성된 중공형상의 격벽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도 7-9 참조).
본 발명에 따른 격벽부(130)는 물 용기(100)의 타 영역과 분리된 밀폐공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왜냐하면, 격벽부(130)에 수용되는 물질의 온도는 물 용기(100)에 수용된 물의 온도보다 높게 형성되고, 또한 물이 아닌 물질이 수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격벽부(130)와 물 용기(100)의 타 영역 간의 물질 이동은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벽부(130) 내부에 수용된 물질은 상기 물 용기(100)의 물의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일 용기(200)에 수용된 오일의 온도를 승온시키기 위해 중탕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간접 열전달에 의해 승온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과 중탕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소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기 설정한 소정 온도에 물과 오일이 비슷한 시간대에 도달하기 위해서, 오일 용기(200) 아래에 밀폐된 격벽부(130)를 구비하여 오일 용기(200)에 필요한 열 에너지를 물 용기(100)와는 별도로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격벽부(130)의 하측에는 가열부(300)와 분리 작동되는 제2 가열부(310)가 추가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도 2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제2 가열부(310)는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일 용기(200)의 두께가 두꺼워 열전달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에는 가열부(300)보다 먼저 제2 가열부(310)를 작동시켜 오일 용기(200)를 중탕시킬 수 있다.
격벽부(130) 내부에는 물이 수용될 수도 있고, 물보다 비열이 낮은 물질이 수용될 수도 있다. 다만, 비열이 높은 물질이 급격한 온도 변화가 적으므로, 중탕의 온도제어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격벽부(130) 내부에 비열이 높은 물질이 수용된 경우, 제2 가열부(310)를 먼저 작동시켜 예열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오일 용기(200)에 수용된 오일을 물 용기로 투입시키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오일 용기(200)에 수용된 오일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직접 투입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하지만, 오일의 온도가 적정 온도를 계속 유지하게 하면서, 물에 일정한 비율로 균일하게 지속적으로 투입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2가지의 실시예를 고안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는 승강식 하판(230) 구조이며, 제2 실시예는 모세관로(240) 구조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오일 용기(200)의 하판은 승강가능한 승강식 하판(2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 탱크의 승강식 하판(230)은 밀폐를 유지한 상태에서 위, 아래로 이동가능하다. 밀폐성을 높이기 위하여, 승강식 하판(230) 위에 독립적인 별도의 용기를 구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승강식 하판(230)은 오일 용기(200)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승을 시작하게 된다.
승강식 하판(230)을 승강시키는 방법은 2가지가 가능하다.
첫째, 별도의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승강이 제어될 수 있다. 이 방법은 보다 정밀한 승강 제어가 가능할 것이다.
둘째, 중탕에 활용된 물 성분(액체성분)의 기화된 증기를 이용하여 상승될 수 있다. 이 방법은 격벽부(130)에 수용된 물질의 부피팽창에 의해 상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식 하판(230)이 상승하면 오일 용기(200)에 수용된 오일은 용기 위로 계속 이동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용기 상면을 넘어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 경우, 오일의 배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일 용기(200)는 일 측에 복수의 배출공(220)이 형성시킬 수 있다(도 5 및 도 7 참조).
배출공(220)은 물 용기(100)에 수용된 물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시켜, 승강식 하판(230)이 작동되면 바로 배출이 시작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일이 중탕에 의해 계속 열에너지를 공급받도록 하기 위해서는 오일 용기가 물 용기와 접촉된 면을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온도 유지관리 관점에서도 배출공(220)은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물의 수면 높이와 동일하거나 낮으면, 특정 온도에 도달하지 않은 오일이 배출될 수 있으므로, 본 구조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는 모세관로(240)를 이용한 구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 단은 오일 용기(200)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 단은 오일 용기(200)의 외부에 배치되는 모세관로(240)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모세관로(240)는 모세관 원리에 의해 특정 온도에 도달하지 않은 오일도 이동시킬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모세관로(240)는 오일 용기(200)의 오일이 물에 투입될 때 개방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물 용기(100)의 상측에는 추가 물질이 수용되어, 물 용기(100) 내부로 투입가능한 추가 용기(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물과 특정한 오일의 혼합물에, 예로 향기나 특정 기능 성분을 추가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전술한 화장품 제조장치와 동일한 원리를 가지므로, 공통된 설명은 되도록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물 용기에 물을 수용시키고, 오일 용기에 오일을 수용시키는 S1 단계; 물 용기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가열부에 의해 기 설정된 온도가 유지되도록 제어되는 S2 단계; 물 용기에 수용된 물에 의해 중탕되는 오일 용기에 수용된 오일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물 온도와 오일 온도의 차이를 측정하는 S3 단계; S3 단계에서 측정된 온도 차이가 기 설정된 온도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S4 단계; 및 S4 단계에서 상기 온도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로 판단되면, 오일 용기에 수용된 오일을 물에 투입하여 상호 혼합이 되도록 하는 S5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S2 단계의 물의 기 설정된 온도와 S3 단계의 오일의 기 설정된 온도는 70~80℃인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S4 단계에서 기 설정된 온도범위는 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S5 단계 후에는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날개를 갖는 교반부로 물과 오일을 교반하는 S6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S5 단계 후에는 상기 물 용기(100)의 상측에 추가 물질을 수용한 추가 용기로부터 추가 물질이 물과 오일의 혼합물에 더 투입되는 S7 단계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물 용기 110 : 온도측정부
120 : 교반부 130 : 격벽부
200 : 오일 용기 210 : 온도측정부
220 : 배출공 230 : 승강식 하판
240 : 모세관로 250 : 커버
300 : 가열부 310 : 제2 가열부
400 : 추가 용기
S1 : 물 수용 및 오일 수용 단계
S2 : 물 승온 및 온도 유지 단계
S3 : 오일 승온 및 물과 오일 온도차이 측정 단계
S4 : 온도 차이가 설정된 온도범위 이내인지 판단 단계
S5 : 오일을 물에 투입하는 단계
S6 : 물과 오일의 교반 단계
S7 : 추가물질 투입 단계

Claims (22)

  1. 온도측정부가 구비된 물 용기;
    상기 물 용기 내부에 수용된 물과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온도측정부가 구비된 오일 용기; 및
    상기 물 용기에 열을 가하며, 상기 물 용기의 온도측정부로부터 온도값을 받아 물 용기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일 용기에 수용된 오일은 중탕 가열되고, 기 설정된 온도가 되면 상기 물 용기 내부의 물과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과 상기 오일의 온도는 7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물과 상기 오일의 온도 차이가 5℃ 이내일때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 용기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를 갖는 교반부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 용기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오일 용기의 하측과 결합되도록 돌출형성된 중공형상의 격벽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물 용기의 타 영역과 분리된 밀폐공간으로서,
    상기 격벽부 내부에 수용된 물질은 상기 물 용기의 물의 온도보다 더 높은 온도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의 하측에는 상기 가열부와 분리 작동되는 제2 가열부가 추가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 내부에 수용되는 물질은 물 또는 물보다 비열이 높은 액체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일 용기의 하판은 승강가능한 승강식 하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오일 용기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되면, 상기 승강식 하판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승강식 하판의 상승은 구동수단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오일 용기의 하판은 승강가능한 승강식 하판이며,
    상기 격벽부에 수용된 물질의 부피팽창에 의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13.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오일 용기는 일 측에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상기 물 용기에 수용된 물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일 단은 오일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 단은 오일 용기의 외부에 배치되는 모세관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로는 오일 용기의 오일이 물에 투입될 때 개방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 용기의 상측에는 추가 물질이 수용되어, 물 용기 내부로 투입가능한 추가 용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18. 청구항 1에 따른 화장품 제조장치로 화장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물 용기에 물을 수용시키고, 오일 용기에 오일을 수용시키는 S1 단계;
    물 용기에 수용된 물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가열부에 의해 기 설정된 온도가 유지되도록 제어되는 S2 단계;
    물 용기에 수용된 물에 의해 중탕되는 오일 용기에 수용된 오일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물 온도와 오일 온도의 차이를 측정하는 S3 단계;
    S3 단계에서 측정된 온도 차이가 기 설정된 온도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S4 단계; 및
    S4 단계에서 상기 온도 차이가 기 설정된 범위 이내로 판단되면, 오일 용기에 수용된 오일을 물에 투입하여 상호 혼합이 되도록 하는 S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S2 단계의 물의 기 설정된 온도와 S3 단계의 오일의 기 설정된 온도는 7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S4 단계에서 기 설정된 온도범위는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S5 단계 후에는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날개를 갖는 교반부로 물과 오일을 교반하는 S6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22.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S5 단계 후에는 상기 물 용기의 상측에 추가 물질을 수용한 추가 용기로부터 추가 물질이 물과 오일의 혼합물에 더 투입되는 S7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KR1020180084506A 2018-07-20 2018-07-20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방법 KR102038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506A KR102038661B1 (ko) 2018-07-20 2018-07-20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506A KR102038661B1 (ko) 2018-07-20 2018-07-20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661B1 true KR102038661B1 (ko) 2019-10-30

Family

ID=68463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506A KR102038661B1 (ko) 2018-07-20 2018-07-20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6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7142A (en) * 1979-05-08 1980-11-15 Mitsubishi Electric Corp Bath container type heat and vacuum mixing device
KR100495671B1 (ko) * 2002-01-31 2005-06-20 최덕용 도료 점도 자동조절장치 및 방법
KR20080003288U (ko) * 2007-02-08 2008-08-13 김민석 식용 엑기스 또는 화장수 제조를 위한 초음파 추출기
KR20120130369A (ko) 2011-05-23 2012-12-03 허민수 가정용 화장품 제조기
KR20140071721A (ko) * 2012-12-04 2014-06-12 진원 보습제 제조용 보일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습제 제조용 보일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47142A (en) * 1979-05-08 1980-11-15 Mitsubishi Electric Corp Bath container type heat and vacuum mixing device
KR100495671B1 (ko) * 2002-01-31 2005-06-20 최덕용 도료 점도 자동조절장치 및 방법
KR20080003288U (ko) * 2007-02-08 2008-08-13 김민석 식용 엑기스 또는 화장수 제조를 위한 초음파 추출기
KR20120130369A (ko) 2011-05-23 2012-12-03 허민수 가정용 화장품 제조기
KR20140071721A (ko) * 2012-12-04 2014-06-12 진원 보습제 제조용 보일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습제 제조용 보일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037B1 (ko) 식품 가온 용기
CN109843421B (zh) 用于制备化妆品和分配瓶的混合器系统
US8813635B2 (en) Steam-heat-only, food-preparation bowl structure and related methodology
US2912143A (en) Dispensing machine
JP2005530581A (ja) ヘアーアイロン
RU268986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качивания и вспенивания
KR102038661B1 (ko) 중탕을 이용한 화장품 제조장치 및 화장품 제조방법
US20070196402A1 (en) Method of preparing a cosmetic composition, and an assembly and a refill for implementing such a method
US1003941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fusing and dispensing oils
CN1344216A (zh) 分配热液体的容器
CA2948738C (en) Disposable foaming device
JPH0129244B2 (ko)
KR20180108235A (ko) 순간 유화 화장품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N209501601U (zh) 一种真空高速乳化罐
US793655A (en) Coffee-pot.
KR20030001445A (ko) 온열치료기
US1979436A (en) Bread butterer
US1335398A (en) Apparatus for treating liquids with gases
US20230296256A1 (en) Wax melting pot
KR102263666B1 (ko) 자동판매장치의 스팀을 이용한 면 조리 방법 및 그 장치
DE3149119A1 (de) Elektrischer tauchwaermer
US1141762A (en) Butter-merging apparatus.
US1195091A (en) Effie s
KR20200067608A (ko) 물순환을 이용한 온도조절 믹싱볼시스템 및 상기 믹싱볼시스템을 포함하는 제과제빵 전용 혼합기
SU46881A1 (ru) Подогрева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