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822B1 - 보일러용 배기장치 - Google Patents

보일러용 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822B1
KR102037822B1 KR1020180022745A KR20180022745A KR102037822B1 KR 102037822 B1 KR102037822 B1 KR 102037822B1 KR 1020180022745 A KR1020180022745 A KR 1020180022745A KR 20180022745 A KR20180022745 A KR 20180022745A KR 102037822 B1 KR102037822 B1 KR 102037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e
exhaust pipe
ring member
exhaus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2403A (ko
Inventor
한상민
이헌재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2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822B1/ko
Publication of KR20190102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4Joints;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20Joints; Connections
    • F23J2213/203Joints; Connections between stack/duct and combus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20Joints; Connections
    • F23J2213/204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mneys And Fl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용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면에 축관부를 형성한 배기파이프를 구비하고, 내주면에 패킹홈을 형성한 연도 내로 배기파이프를 삽입 결합하며, 연도의 패킹홈에 밀폐패킹을 삽입 결합하여 연도와 배기파이프 외면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고, 축관부에 링부재를 삽입 결합하되, 밴드부로 링부재를 감싸 조임으로써, 밴드부가 링부재에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배기파이프와 연도 사이를 조임 연결하여, 밴드부가 배기파이프와 연도 사이에서 상, 하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파이프의 축관부에 삽입된 링부재에 밴드부가 걸림고정되어, 밴드부가 상, 하로 유동될 우려가 없고, 밴드부의 유동 방지로 배기파이프와 연도 사이가 밴드부에 의해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며, 연도 내로 배기파이프 진입시 링부재에 연도 하단이 맞닿아 배기파이프의 진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으며, 또한, 연도 하단이 링부재에 떠받쳐져 그 지탱력이 견고하고, 복수의 축관부 중 링부재의 삽입 위치에 대응하여 연도의 높이가 조절되며,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보일러용 배기장치{Boiler air exhauster}
본 발명은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기파이프의 축관부에 링부재를 삽입 결합하고, 밴드부로 링부재를 감싸도록 결합하여, 밴드부가 링부재에 걸림 고정되어 배기파이프와 연도 사이를 조임 연결하는 보일러용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에서 연소되어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유독성물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를 실외로 배기할 수 있도록 보일러의 배기관에는 연도관을 연결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다.
이때, 이 배기관은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됨으로써, 이 배기관에 연도관을 연장 형성하여, 연도관을 통해 배기가스를 실외로 배출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배기관과 연도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보일러 내의 배기가스를 보일러 외부로 배출하도록 연결된 배기관과, 중공형 관체 형상으로 배기관 내로 삽입 결합되고, 배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실외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연도관과, 배기관과 연도관 사이의 이음새를 따라 밀착 형성되어 이 틈새를 마감하는 기밀밴드 및 기밀밴드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기밀밴드가 배기관과 연도관 사이의 이음매에 밀착되도록 하는 클램프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밀밴드는 상기 배기관과 연도관 사이의 단턱 높이에 대응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배기관 및 상기 연도관 외면에 밀착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의 기밀밴드 지지부에 압입되어 상기 배기관 및 상기 연도관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그러면, 상기 배기관과 상기 연도관 사이의 틈새가 상기 기밀밴드에 의해 견고하게 밀폐되어, 상기 배기관과 상기 연도관 사이의 틈새를 통해 배기가스가 실내로 누수되는 것이 차단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연도관이 배기관 내주면으로 그대로 삽입되어 연도관의 진입 깊이 제한이 어렵고, 연도관이 배기관 내부로 정해진 깊이 이상 진입되어 오조립이 발생되며, 또한, 외력에 의해 기밀밴드 및 클램프가 배기관 상부로 유동되어 배기관과 연도관 사이의 이음 체결력이 저하되고, 특히, 클램프로 기밀밴드 조임시, 이 기밀밴드의 압입력에 의해 연도관 형상이 변형될 우려가 있고, 연도관 형상 변형으로 인해 연도관과 배기관 상단 사이의 틈새가 벌어져, 이 틈새를 통해 실내로 배기가스가 유입될 우려가 있으며,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537107 B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면에 축관부를 형성한 배기파이프를 구비하고, 내주면에 패킹홈을 형성한 연도 내로 배기파이프를 삽입 결합하며, 연도의 패킹홈에 밀폐패킹을 삽입 결합하여 연도와 배기파이프 외면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고, 축관부에 링부재를 삽입 결합하되, 밴드부로 링부재를 감싸 조임으로써, 밴드부가 링부재에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배기파이프와 연도 사이를 조임 연결하여, 밴드부가 배기파이프와 연도 사이에서 상, 하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보일러용 배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는, 중공형상으로 외면을 따라 환형으로 함몰 형성된 축관부를 형성하고, 보일러의 배기구에 연결되어 보일러 내의 배기가스가 보일러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기파이프와; 중공형상으로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 패킹홈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상기 배기파이프가 삽입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배기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연도; 상기 연도의 패킹홈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배기파이프와 상기 연도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밀폐패킹; 일면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상기 배기파이프의 축관부에 삽입 결합되는 링부재; 및 일 측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상기 링부재 외면을 감싸 상기 링부재에 걸림되고, 상기 배기파이프와 상기 연도 사이를 조임 연결하는 밴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파이프는 상단 테두리에 상협하광 구조로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면부를 더 형성하고, 상기 연도의 내주면에는 상기 안내면부에 대응하도록 상협하광 구조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안내면부를 타고 이동되어 상기 연도가 상기 배기파이프 외측으로 진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확관면부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파이프는 외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축관부를 형성하고, 상기 링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축관부 중 어느 하나에 삽입 결합되되, 상기 연도의 하단을 떠받쳐 상기 연도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관부는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도는, 그 하단부가 상협하광 구조 또는 "ㄴ"자 구조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링부재 외면에 떠받쳐 지지되고, 상기 밴드부에 조임되어 상기 배기파이프 외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도의 하단부는 내측 방향을 향해 굴곡지게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파이프의 축관부 단면은 원형, 반원형, 반타원형 및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링부재의 단면은 상기 축관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원형, 반원형, 반타원형 및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는, 상기 밴드부에 의해 조임되어 상기 축관부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그 양단을 체결부재로 체결고정하여, 상기 밴드부의 조임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상기 링부재의 외면 및 상기 연도의 하단부 외면을 감싸 커버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도의 하단부 외면을 눌러 가압하는 상단가압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파이프(100)는, 상기 축관부(101)와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 사이에 상기 링부재(400)가 상기 축관부(101) 내로 진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경사면(101a)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파이프의 축관부에 삽입된 링부재에 밴드부가 걸림고정되어, 밴드부가 상, 하로 유동될 우려가 없고, 밴드부의 유동 방지로 배기파이프와 연도 사이가 밴드부에 의해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며, 연도 내로 배기파이프 진입시 링부재에 연도 하단이 맞닿아 배기파이프의 진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으며, 또한, 연도 하단이 링부재에 떠받쳐져 그 지탱력이 견고하고, 복수의 축관부 중 링부재의 삽입 위치에 대응하여 연도의 높이가 조절되며, 이에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가 보일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가 보일러에서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의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의 밴드부로 배기파이프와 연도를 감싸 조인 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의 연도 높이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의 배기파이프의 다른 실시예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배기파이프(100)는 중공형상으로 외면을 따라 환형으로 함몰 형성된 축관부(101)를 형성하고, 보일러(10)의 배기구에 연결되어 보일러(10) 내의 배기가스가 보일러(10)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배기파이프(100)는 상기 보일러(10) 상면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직경은 상기 연도(20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연도(200) 내로 삽입된다.
상기 배기파이프(100)는 상단 테두리에 상협하광 구조로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면부(100a)를 더 형성한다.
상기 안내면부(100a)는 상기 연도(200)의 확장면부(200a)와 마찰되어, 상기 연도(200)의 내주면이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측으로 진입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배기파이프(100)는 상기 연도(200)의 패킹홈(201)에 결합된 밀폐패킹(300)과 마찰되면서 상기 밀폐패킹(300)를 눌러 가압한다.
상기 배기파이프(100)는 그 외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축관부(101)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축관부(101) 단면은 원형, 반원형, 반타원형 및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링부재(400)의 삽입을 허용한다.
상기 복수개의 축관부(101)는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기파이프(100)는 상기 축관부(101)와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 사이에 상기 링부재(400)가 상기 축관부(101) 내로 진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경사면(101a)을 더 형성한다.
상기 경사면(101a)은 상기 밴드부(500)에 의해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 방향으로 눌림되는 상기 링부재(400)가 상기 축관부로 진입되도록 안내한다.
연도(200)는 중공형상으로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 패킹홈(201)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상기 배기파이프(100)가 삽입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배기파이프(100)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연도(200)의 상단은 실외로 노출되도록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실외로 배출한다.
상기 연도(200)는 그 내부공간으로 상기 배기파이프(100)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연도(200)의 직경은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홈(201)에는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상기 연도(0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밀폐패킹(300)이 결합된다.
상기 연도(200)의 내주면에는 상기 안내면부(100a)에 대응하도록 상협하광 구조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안내면부(100a)를 타고 이동되어 상기 연도(200)가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측으로 진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확관면부(200a)를 더 형성한다.
상기 연도(200)는 상기 확관면부(200a)를 기준으로 그 상단부 단면 직경이 하단부 단면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된다.
상기 연도(200)는 그 하단이 상기 연도(200) 외면에 떠받쳐져,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정해진 높이 상에 고정된다.
상기 연도(200)는 그 하단부가 상협하광 구조 또는 "ㄴ"자 구조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링부재(400) 외면에 떠받쳐 지지된다.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는 외측 방향을 향해 굴곡지게 절곡 형성되어, 곡면구조를 갖는다.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는 커링, 포밍 또는 압착방식에 의해 곡면 구조를 갖도록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는 상기 밴드부(500)의 커버부(501) 및 상단가압밴드(502)에 조임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에 밀착된다.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 외면 직경은 상기 링부재(400)의 외면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거나 혹은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밀폐패킹(300)은 상기 연도(200)의 패킹홈(201)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상기 연도(2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한다.
상기 밀폐패킹(300)은 형상변형이 가능한 고무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패킹(300)은 상기 연도(200) 내로 삽입되는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과 마찰되고,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외면에 눌림되어 형상 변형되면서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연도(2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한다.
상기 밀폐패킹(300)의 단면 형상은 원형, 반원형, 반구형 및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패킹(300)은 링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부재(400)는 일면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축관부(101)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링부재(400)는 상기 밴드부(500)에 의해 감싸져, 상기 밴드부(500)가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상기 연도(200) 사이에서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링부재(400)는 상기 밴드부(500)의 커버부(501)를 걸림 고정한다.
상기 링부재(400)의 단면은 상기 축관부(101) 형상에 대응하도록 원형, 반원형, 반타원형 및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링부재(400)는 "C"자 형상의 링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부재(400)의 외면 직경은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 외면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거나 혹은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부재(400)는 상기 밴드부(500)에 의해 조임되어 상기 축관부(101)에 밀착 고정된다.
밴드부(500)는 일 측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상기 링부재(400) 외면을 감싸 상기 링부재(400)에 걸림되고,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상기 연도(200) 사이를 조임 연결한다.
상기 밴드부(500)는 그 양단을 체결부재(B)로 체결고정하여, 상기 밴드부(500)의 조임력을 조절한다.
상기 체결부재(B)는 볼트 너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밴드부(500)는 상기 링부재(400)의 외면 및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 외면을 감싸 커버하는 커버부(501)와, 상기 커버부(501)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 외면을 눌러 가압하는 상단가압밴드(502)로 구성된다.
상기 밴드부(500)는 상기 커버부(501)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외면을 눌러 가압하는 하단가압밴드(503)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501)는 상기 링부재(400)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원형, 반원형, 반타원형 및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링부재(400)를 감싸 커버한다.
상기 커버부(501)의 높이는 상기 링부재(400) 및 상기 연도(200)의 하단을 동시에 감싸 커버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단가압밴드(502)는 상기 링부재(400)의 외면에 떠받쳐진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 외면을 가압하여, 상기 연도(200)의 하단이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하단가압밴드(503)는 상기 링부재(400)를 기준으로 그 하부에 위치된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을 가압하여, 상기 밴드부(500)가 상기 링부재(400)에 걸림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보일러(10) 상면에 고정설치된 배기파이프(100)의 축관부(101)에 링부재(400)를 삽입 결합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배기파이프(100) 방향으로 연도(200)를 삽입하여, 상기 연도(200) 내에 상기 배기파이프(100)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도(200)를 상기 배기파이프(100) 방향으로 밀어넣게 되면, 상기 연도(200)의 확관면부(200a)가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안내면부(100a)에 마찰되면서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측 방향으로 진입되고, 이에따라, 상기 연도(200)가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측으로 결합된 상기 연도(200)의 하단이 상기 축관부(101)에 결합된 상기 링부재(400) 외면에 걸림되어, 상기 연도(200)가 상기 배기파이프(100)에 정해진 깊이 이상 결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는 상협하광 구조로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혹은 "ㄴ"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링부재(400) 외면에 걸림된다.
특히,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는 내측 방향으로 굴곡지게 절곡 형성되어 곡면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연도(200) 하단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연도(200)의 패킹홈(201)에는 상기 밀폐패킹(300)이 설치되어 있고, 그 상태에서 상기 연도(100)를 상기 배기파이프(100) 내로 삽입함으로써,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외면에 상기 밀폐패킹(300)이 마찰되면서 형상 변형된다.
그러면, 상기 밀폐패킹(300)이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상기 연도(20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상기 연도(2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한다.
여기서,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상기 연도(200)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는 상기 밀폐패킹(300)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상기 연도(200) 사이의 틈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후, 상기 밴드부(500)의 커버부(501)가 상기 링부재(400) 및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상기 연도(200) 하단부 사이에 결합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밴드부(500)의 양단을 체결부재(B)로 체결 고정하여, 상기 밴드부(500)를 조임 고정한다.
이때, 상기 축관부(101) 주변에 위치된 상기 링부재(400)는 상기 경사면(101a)에 안내되어 상기 축관부(101) 내로 진입된다.
그러면, 상기 밴드부(500)의 커버부(501)가 점차적으로 조여지면서 상기 상단가압밴드(502) 및 상기 하단가압밴드(503)를 조이게 되고, 이때, 상기 상단가압밴드(502)가 상기 연도(200)의 하단을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도(200) 하단을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에 밀착시키되, 상기 하단가압밴드(503)가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에 밀착 고정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501)는 점차적으로 조여지면서 상기 링부재(400) 외면을 가압하여, 상기 링부재(400)가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축관부(101)에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즉, 상기 링부재(400)를 기준으로 상기 밴드부(500)의 상, 하단가압밴드(501, 502) 각각이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 외면 및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와 상기 배기파이프(100) 사이를 견고하게 조임 고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밴드부(500)의 커버부(501)는 상기 링부재(400)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링부재(400)에 걸림 고정됨으로써,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와 상기 배기파이프(100) 사이에서 상, 하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을 감싸도록 결합된 상기 연도(20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된 복수개의 축관부(101) 중 어느 하나의 축관부(101)에 상기 링부재(400)를 삽입 결합한 후, 상기 연도(200)를 삽입 결합하여, 상기 연도(200)의 하단이 상기 링부재(400)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도(200)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여기서, 상기 연도(2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기파이프(100)에 연도(200)를 결합하기 이전에 상기 축관부(101)에 상기 링부재(400)를 결합하여 상기 연도(200)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혹은 상기 배기파이프(100)에 결합된 상기 연도(200)를 승강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링부재(400)의 결합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연도(2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밴드부(500)를 상기 연도(200)의 하단과 상기 배기파이프(100) 사이에 위치시켜, 체결부재(B)로 조임 고정함으로써, 상기 연도(200)의 하단과 상기 배기파이프(100) 사이가 상기 밴드부(500)에 의해 조임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배기파이프(100)의 축관부(101)에 링부재(400)를 삽입하되, 이 링부재(400)에 밴드부(500)가 걸림 고정되도록 하여, 이 밴드부(500)로 배기파이프(100)와 연도(200)의 하단부 사이를 조임 연결하는 구조는, 배기파이프(100)의 축관부(101)에 삽입된 링부재(400)에 밴드부(500)가 걸림 고정되어, 밴드부(500)가 상, 하로 유동될 우려가 없고, 밴드부(500)의 유동 방지로 배기파이프(100)와 연도(200) 사이가 밴드부(500)에 의해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며, 연도(200) 내로 배기파이프(100) 진입시 링부재(400)에 연도(200) 하단이 맞닿아 배기파이프(100)의 진입 깊이를 제한할 수 있으며, 또한, 연도(200) 하단이 링부재(400)에 떠받쳐져 그 지탱력이 견고하고, 복수의 축관부(101) 중 링부재(400)의 삽입 위치에 대응하여 연도(200)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보일러용 배기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 : 보일러 100 : 배기파이프
100a : 안내면부 101 : 축관부
200 : 연도 200a : 확관면부
201 : 패킹홈 300 : 밀폐패킹
400 : 링부재 500 : 밴드부
501 : 커버부 502 : 상단가압밴드
503 : 하단가압밴드 B : 체결부재

Claims (11)

  1. 중공형상으로 외면을 따라 환형으로 함몰 형성된 축관부(101)를 형성하고, 보일러(10)의 배기구에 연결되어 보일러(10) 내의 배기가스가 보일러(10)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기파이프(100)와;
    중공형상으로 내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된 패킹홈(201)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상기 배기파이프(100)가 삽입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배기파이프(100)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연도(200);
    상기 연도(200)의 패킹홈(201)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상기 연도(200) 사이의 틈새를 밀폐하는 밀폐패킹(300); 및
    일면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축관부(101)에 삽입 결합되는 링부재(400);
    일 측이 개구된 링 형상으로 상기 링부재(400) 외면을 감싸 상기 링부재(400)에 걸림되고, 상기 배기파이프(100)와 상기 연도(200) 사이를 조임 연결하는 밴드부(500);
    로 구성되고,
    상기 링부재(400)는,
    상기 밴드부(500)에 의해 개구된 일면이 점차적으로 좁혀지도록 조임되어, 상기 축관부(101)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배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파이프(100)는 상단 테두리에 상협하광 구조로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면부(100a)를 더 형성하고,
    상기 연도(200)의 내주면에는 상기 안내면부(100a)에 대응하도록 상협하광 구조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기 안내면부(100a)를 타고 이동되어 상기 연도(200)가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측으로 진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확관면부(200a)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배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파이프(100)는 외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축관부(101)를 형성하고,
    상기 링부재(400)는 상기 복수개의 축관부(101) 중 어느 하나에 삽입 결합되되, 상기 연도(200)의 하단을 떠받쳐 상기 연도(2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배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축관부(101)는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배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도(200)는,
    그 하단부가 상협하광 구조 또는 "ㄴ"자 구조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링부재(400) 외면에 떠받쳐 지지되고, 상기 밴드부(500)에 조임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배기장치.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는 외측 방향을 향해 굴곡지게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배기장치.
  7.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파이프(100)의 축관부(101) 단면은 원형, 반원형, 반타원형 및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링부재(400)의 단면은 상기 축관부(101) 형상에 대응하도록 원형, 반원형, 반타원형 및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배기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500)는,
    그 양단을 체결부재(B)로 체결고정하여, 상기 밴드부(500)의 조임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배기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500)는,
    상기 링부재(400)의 외면 및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 외면을 감싸 커버하는 커버부(501)와;
    상기 커버부(501)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도(200)의 하단부 외면을 눌러 가압하는 상단가압밴드(502);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배기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파이프(100)는,
    상기 축관부(101)와 상기 배기파이프(100) 외면 사이에 상기 링부재(400)가 상기 축관부(101) 내로 진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경사면(101a)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용 배기장치.






KR1020180022745A 2018-02-26 2018-02-26 보일러용 배기장치 KR102037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745A KR102037822B1 (ko) 2018-02-26 2018-02-26 보일러용 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745A KR102037822B1 (ko) 2018-02-26 2018-02-26 보일러용 배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403A KR20190102403A (ko) 2019-09-04
KR102037822B1 true KR102037822B1 (ko) 2019-10-29

Family

ID=67950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745A KR102037822B1 (ko) 2018-02-26 2018-02-26 보일러용 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8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0784A (ja) * 1999-02-01 2000-08-08 Sharp Corp 給排気筒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9968A (ko) * 2006-12-26 2008-07-0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배기구 구조
KR101537107B1 (ko) 2013-12-05 2015-07-1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배기관과 연도관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0784A (ja) * 1999-02-01 2000-08-08 Sharp Corp 給排気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403A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9712A (en) Device for sealing an annular space having opposing flanges, a support bead, and sealing lip
EP3540284A1 (en) Tension-resistant coupling piece
KR101476570B1 (ko) 케이블 아웃렛 커넥터에 케이블을 고정하는 장치
JP2008101775A (ja) ホースと管のためのプラグ型の結合装置
US20080197622A1 (en) Fitting and joining arrangmenent having a fitting
KR101537107B1 (ko) 보일러의 배기관과 연도관의 연결구조
KR102037822B1 (ko) 보일러용 배기장치
JP2004156783A (ja) シリンダ・ピストン装置
KR20140078703A (ko) 호스 클램프
EP0678180A1 (en) Sealing device on a pipe and sealing ring therefor
US2988170A (en) Air cleaner and silencer
RU2004118307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герметичного прохода в стенке
ES2178305T3 (es) Ramificacion atornillable para tubos de canal de pared fina.
FI3726267T3 (en) Single raw seal and plastic pipe
KR20190026101A (ko) 입상배관 연결용 클램핑 장치
US6296021B1 (en) Leak repair device for rigid pipes
KR20110005102U (ko) 주름파이프의 연결장치
KR102074928B1 (ko) 보일러용 배기장치
KR101858064B1 (ko) 보일러용 배기장치
KR20180076991A (ko) 기밀 보강 구조를 가지는 횡주관의 연결장치
PL1670111T3 (pl) Wiązka rurowa
KR102000030B1 (ko) 보일러의 배기통 접속 장치
KR101977210B1 (ko) 신축 가능한 파이프 연결구조체
KR200325929Y1 (ko) 관연결구
KR102553663B1 (ko) 가스 연소기기용 연통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